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에서의 취·창업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지원방식에 대한 연구 : 국내대학 실용음악전공을 중심으로

        김다희 추계예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청년실업률이 이제는 개인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문제로 인식하고 심각성을 느낀 바이며, 정부에서는 최근 5년간 청년실업의 해결책으로 10조원 이상을 투입하였지만 2018년 4일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지난 해 청년실업률은 9.9%로 역대 최고 수치를 보였다. 또한 높은 청년실업률에 비해서 사회는 낮은 고용률로 일자리부족현상까지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청년취업률 저조에 있어 많은 복합적인 문제 중 각 대학에서의 취업관련 지원방식이 사회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임을 말하고 있다. 현재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전공을 잘 살려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이 되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와 더불어 취업률이 가장 낮은 예술계열학과 중 한때 붐이었던 국내 실용음악전공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 때 K-POP과 방송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실용음악전공 희망자가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국내 대학의 실용음악학과 개설도 점차 증가하였다. 하지만 실용음악이 발달 된 것도 언 30년이 되어가는 지금 정작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휴학률이나 졸업 후 미취업자는 점차 늘어가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음악이나 예술산업현장에서는 전공자의 인력이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로 각 대학의 실용음악전공 교육이 이제는 음악 산업현장과 더 나아가 문화 산업까지 필요한 교육이 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각 학교 별 취·창업지원 운영방식과 학생들의 요구에 근거하여 대학과 각 학과의 역할, 그리고 대학 내의 취·창업지원센터의 운영방식과 필요성에 대한 방향 설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첫 째, 실용음악의 선행연구를 통해서 교육체계와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진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국내 대학의 학교 별 취·창업지원프로그램의 운영사례 현황을 분석하였다. 실용음악의 선행연구에서는 근 10년 동안‘실용음악의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있었고, 더불어 실용음악 교과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조사도 함께 연구되어 있었다. 그에 따른 교육문제로는 교수는 교수의 전공불일치 또는 재즈에 편중된 교수가 있었으며, 고학력 교수 채용에 대한 문제도 제기 되어있었다. 교수의 전공 불일치로 인하여 학생들은 불만과 자신의 전공에 대해 혼란이 오는 경우도 있었으며, 고학력 교수채용에 있어서는 학과의 불명확한 음악적 특성을 가지게 되고, 다양한 인적자원을 활용하지 못하는 현상이 생기게 되는 것이었다. 그 외에도 학생의 실력차나 졸업에 대한 준비 부족, 학교의 교육시설이나 교육내용, 교재 등 여러 가지의 교육체계에 대해서 문제제기가 되어 왔었다. 한 때 대학에서는 실용음악전공을 개설하는 수가 양적으로 팽창되었으나 이제는 그 거품이 줄어들고 있다. 10년 전 실용음악에 대한 유행이 지나가면서 그 피해는 졸업생들한테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현재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진로나 취업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각 학교 별 제시하고 있는 학생들의 졸업 후 전망과 학생들이 재학 중 희망하고 있는 직종을 살펴보았으며, 실제 졸업 후 전공생들의 취업현황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둘 째, 우리나라와 외국 대학의 취·창업지원 서비스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조사 대상 대학은 실용음악전공이 개설되어 있는 예술대학과 종합대학을 살펴보았으며, 예술대학으로는 서울예술대학교와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백제예술대학교, 부산예술대학교, 예원예술대학교, 대구예술대학교, 백석예술대학의 일곱 개 대학이다. 국내 종합대학은 한양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경희대학교, 단국대학의 여섯 개의 대학으로 국내는 총 13개의 대학을 살펴보았으며, 이화여자대학교를 제외한 총 13개의 대학교는 실용음악과가 개설된 대학들이다. 외국대학은 미국 대학의 버클리 음악대학, 영국 대학의 리즈대학교 음악대학, 일본 대학의 도쿄음악전문학교로 이들의 취·창업지원 서비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셋 째, 취·창업지원의 실제 수요자인 실용음악전공 학생들과 관련이 있는 관계자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우선 학교는 비수도권에서 취업률 1위인 백석대학교를 기준으로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는‘교수진’과 학교 내에 설치되어 있는‘취·창업지원 센터’와 학교에서 실제로 교육을 받아보고 지원을 받았던 5년 이내의‘졸업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취·창업 지원방식과 관련 관계자들의 실제의 요구가 부합하는지 분석하였다. 이상 과정을 통해 대학에서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에게 취·창업지원 프로그램의 지원방식에 대한 방향을 다음과 같은 결과로 도출하였다. 첫째, 취업·진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둘째, 예술적 특성에 맞는 취업·진로 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국내외 인턴십 제도 활성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전공별 특수성에 따른 통합적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취·창업지원 프로그램들이 각 학과별 지원에 있어 도움이 되고 대학에서의 여러 가지 유기적인 네트워크가 이루어짐으로 앞으로의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광범위한 직업의식을 심어주며, 이제는 불확실한 미래가 아닌 자신의 전공에 대한 자신감과 음악 산업현장에 나아갔을 때는 전문인이 되기를 바란다. 더 나아가 우리 사회의 문화 산업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귀한 인재양성이 되기를 바란다. This article was based on the situation of Korea that youth unemployment have been increased and the entire society has to consider this issue as a social problem. Despite of 10 trillion won of support from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for the last 5 years, the youth unemployment rate of 2017 were raised to 9.9%, according to National Statistical Office research on 4th January 2018. Recently, furthermore, the society of South Korea has been suffered by low accession rate and it has been caused jobs crunches in South Korea. This research reports that working support system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among different factors, takes a significant role in the effort of the entire society to solve the issue. In order to explain the topic,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working support system of the universities and checks the system works efficiently in the basis of the student’s major. Especially, this article’s research focuses on the working support system for students that who majors in practical music as art-related majors show very low accession rate. Many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opened practical music major curriculum because of popularity of K-pop audition programs for a while. However, even though practical music field has been developed for 30 years in South Korea, many students that specialized in practical music leave of absence or fail to have a job after graduation. It means the lack of actual specialized human resource in practical music and art-cultural field. Because of these reasons, in order that education of practical music is able to be a necessary part of musical field and even cultural field, the article suggests that the actual role of a university and department and actual direction of government support center’s management and requirements in the basis of demand of a student and management of each university’s working support system. First of all,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education system and the current state of accession rates of the students who major in practical music from existing researches. The preceding researches have focused on‘educational system of practical music’ for the recent decade, including insight of a demand of a student for practical educational system. The researches point the tendency that a professor’s major is not matched with his/her curriculum or a professor majored in jazz music usually lead practical music curriculum. They also point the issues caused from a professor who has high level education. Because of discordance of a professor’s major, the students report that they are confused to figure out their actual speciality, and they also claim that the curriculum’s musical speciality also has been unclear and the program is not able to use various human resources, because of a professor who has high level education. Additionally, the preceding researches have claimed different issues including lack of preparedness for capacity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nd their graduation, and low quality of facilities,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Even though many universities have opened their own curriculum for practical music, but now the trend was passed and the students take the burden. In order to research the issue in detail, this article researches the ideas about employment and job of the students who major in practical music, and checks the reports on the universities regarding prospect of employment. The researcher also surveyed the types of jobs which the students want to have after graduation and researched the current state of employment of the students who major in practical music. Secondly, the researcher compares working support systems of universities in South Korea with overseas countries’ one. For the research in South Korea,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information on 7 colleges and 6 universities. The colleges includes Seoul Institute of the Arts, 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 Paekche Art College, Busan Arts College, Yewon Arts University, Daegu Arts University, and Baekseok Arts Univeristy. The universities include Hanyang University, Ehwa Women’s University, Chung-Ang University, Dongduk Women’s University, Kyunghee University, Dankook University. Except Ehwa Women’s University, all of these researched universities and colleges have their own curriculum for practical music. For the research of overseas colleges,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working support system of U.C. Berklee College of Music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niversity of Leeds in United kingdom, and Tokyo College of Music in Japan. Third, the researcher has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major in practical music and staffs who are in charge of working support program including the professors and the staffs of working support department of Baekseok University, and alumnae graduated in last 5 years from the university as the university’s employment rate is most highest among the universities established in non-capital region of South korea. Following the process of, the research found the result of the research and survey,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working support program’s support system for students majored in practical music. First,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best environment for employment. Second, working support program has to consider the special factors of the field of art. Third, a working support program has to be able to establish different network channels. Fourth, internship program has to be encouraged. Fifth, integrated information is required in the basis of distinct characteristics of each curriculum. The researcher expects that this research helps each university’s working support program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urriculum and establish organic network to give different and wide professionalism to students majored in practical music. The researcher also hopes that the universities can encourage each student to have confidence and educate them as a professional musician for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 in cultural field of South Korea.

      • 쉼터 거주 청소년의 또래관계 향상과 우울감 감소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김다희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북 K시에 위치한 청소년 쉼터의 남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가 쉼터 거주 청소년의 또래관계 향상과 우울감 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의 진행은 2011년 9월 22일부터 2012년 3월 29일에 걸쳐 주 1회 70분씩 총 18회기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경북 K시에 위치한 청소년쉼터의 남자 청소년 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집단미술치료 참여를 원하고, 또래관계척도 점수가 낮고 우울척도 점수가 20점 이상으로 우울감이 높은 청소년 8명을 선정하였다. 하지만 쉼터의 거주 기간 문제와 가정의 복귀로 인한 퇴소로 인하여 5명이 중도 하차하게 되어 3명으로 종결하게 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검사 도구는 학교생활화 그림검사(KSD)와 이야기 그림검사(DAS), 또래관계척도(NRI), 아동용 우울척도(CDI)를 사용하여 사전?사후의 점수를 비교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쉼터 거주 청소년의 또래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화 그림검사(KSD)를 통해 알아본 결과 사전보다 사후 검사에서 자신과 타인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긍정적 감정으로 표현되었으며, 혼자 고립되어 있거나 타인에 대해 무관심했던 부분이 긍정적인 상호작용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또래관계(NRI)척도에서는 A청소년과 C청소년의 점수는 사전에 비해 사후가 높아졌지만, B의 경우 사전에 비해 낮아 졌다. 이는 B청소년과 친밀감 있게 지낸 또래 5명이 갑작스럽게 퇴소하여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또래관계에 악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또 다른 이유는 사후 검사지 작성 시 본인 스스로 사전에는 성의 없이 설문지를 작성하였다고 시인하였고 이러한 요인이 또래관계 척도점수에 악화 요인으로 작용한 걸로 시사된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쉼터 거주 청소년의 우울감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야기 그림검사(DAS)에서는 부정적이던 정서가 긍정적인 정서로 표현되었고 부정적 자기상에서 긍정적인 자기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용 우울척도(CDI)를 통하여 알아본 결과 사전보다 사후 점수가 낮아져 집단미술치료가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결론은 집단미술치료가 쉼터 거주 청소년의 또래관계 향상과 우울감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쉼터 거주 청소년에게 예방적 집단미술치료로써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특성과 상황 등을 고려하여 보다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주요어: 쉼터 거주 청소년, 또래관계, 우울감, 집단미술치료.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how group art therapy could affect to male youth who lived in youth shelter. The main target of this study is reducing depression and improving peer relationships. The progression of research had held from 22nd September 2011 to 29th March 2012 and each therapy has been done for 70 minutes once a week during 18times. After the survey, 8 out of 10 male youths who had lower NRI(Network of Relationsips Inventory) score and CDI(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score rates over 20 participated in this study at first. However 5 of them eliminated because of their period of staying and early homecoming. So this case closed within 3 member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Kinetic school drawing(KSD), Draw a story(DAS), Network of Relationsips Inventory(NRI),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CDI) were us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brought a positive impact on participants to improve on peer relationship. As a result of KSD(Kinetic school drawing) program, emotion or feeling to themselves and others were changed into positive expression. Isolating and indifferent to the others were also moved on to positive interactions. Although, subjects A, C had higher rates after this program in the case of NRI(Network of Relationsips Inventory), subject B has lower rate than before this study. Two things would be considered as a reason. One, eliminating 5 intimacy peers would cause aggravating circumstance to the other participants. The other reason could be influenced by concentration during the post-test unlike the real results.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impact on reducing depression. In the test of DAS(Draw a story), negative emotions which were expressed as Negative self ?image turn into positive self ? image. In addition, the result of CDI(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showed lower scores than pre-test which means group art therapy works in positive way. In short, this group art therapy process mainly affect on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and depression reduction. Therefore, this program effect expected as a preventing group art therapy for youth shelter dwellers. To improve the therapeutic effec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ong-term study, which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of youth continuously. Key words: youth shelter, relationship, depression, a group art therapy.

      • 범죄발생 위치데이터와 가로 세그먼트 분석단위를 활용한 CPTED 요소의 범죄예방효과 분석 : 마포구 염리동을 중심으로

        김다희 세종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염리동 소금길에 설치된 셉테드(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이하 CPTED)요소의 범죄예방 효과에 대한 연구이다. 많은 연구들이 범죄예방효과로 CPTED의 설계적, 이론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지만, 범죄예방에 미치는 실질적인 효과에 대한 검증이 부족한 실정이다.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연구진행자나 설문대상자의 주관적인 의견이 들어갈 수 있는 설문조사를 통한 검증들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의 대표적인 우범지대였던 마포구 염리동을 대상으로 범죄발생 위치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CPTED 설치요소의 범죄예방효과를 실질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을 위해 먼저 대상지의 범죄발생 지점 및 CPTED 요소의 위치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공간데이터로 변환하였다. 가로 세그먼트 단위로 분석을 수행하여 CPTED 요소가 범죄예방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상지에 적용된 CPTED 13요소 중 IP카메라, 골목 놀이시설, 운동시설, 운동안내판, 지킴이집, 소금나루의 6개 요소가 범죄예방 차원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며, 이 요소들이 설치된 거리의 범죄발생이 낮춰진 것을 알 수 있었다.

      • 일상에서 발생한 불안 심리와 해소 욕구로써 나타난 환원적 색에 대한 연구

        김다희 건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자는 세월호 사건을 계기로 발현된 불안과 심리의 시각적 표현인 작품 간의 관계를 논거를 통해 찾고자 한다. 현대 의학에서 말하는 불안은 시대의 변화와 맥락을 같이 한다. 우리가 사는 지금 이 시대에는 시간에 대한 가치와 집중이 증가하면서 현대인들은 많은 시간을 땀 배출과 같은 육체적 반응을 동반한 과다 각성 상태, 긴장에 노출되어있다. 가속화된 흐름의 전진(前進)적 방향성은 변혁 실현 가능성의 벽을 높이고 인간이 안착하지 않은 무중력을 체험하도록 한다. 한편 철학에서의 불안은 외부적 요소가 아닌 존재 내면에 뿌리를 둔다. 하이데거의 존재 철학에서 불안은 크게 세 가지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는 현존재와 현존재 외의 존재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세계를 구축하는 존재-내-세계 구조를 따른다. 이는 일상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대체로 의식되는 감정으로 현대의학과 맥락을 같이한다. 두 번째 현 존재 무(無)는 근본적으로 ‘놓이다’의 상태라 설명한다. 하이데거는 인류 탄생의 시작을 추적 불가한 절대적 영역으로 나눔으로써 인간 안에 내재된 불안을 이야기한다. 이는 연구자의 개인적 경험과 불안이 무의식에 자리하며, 화면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색이나 일상에서 표상되지 않은 형태는 무의식에 관련된 무(無)가공 상태의 이미지라고 판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인간이 갖는 죽음에 대한 불안이다. 흔히 ‘운명’이라는 현대의 해석은 죽음에 대해 의연해지려는 의지이자 반대로 죽음에 대한 의식이 더 견고해지는 것으로 치환된다. 연구자의 작품에서 조형적으로 나타나는 대상의 변화는 내부에서 촉발된 힘의 작용이다. 이는 무(無)에서 시작해 다시 무(無)의 상태로 되돌아감에 대한 회귀운동으로 이는 기이한 형태와 내적 요인에 관련해 조형론 에서 원으로 응집된다. 본 연구자는 불안에 대한 철학적 물음과 작품에 표출된 낯선 형(形)과 색(色)의 분석을 통해 내부의 힘에 대한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visual expressions of anxiety and psychology generated due to Sewol Ferry Disaster. In medical science of the present-day society, anxiety goes along with the changes of time. With the increased value and concentration on time in today’s society, people have been exposed to excessive state of awakening and tension accompanied by physical reactions such as sweating. The progressive direction of accelerated flow raises the wall of possibility of revolutions, and makes humans experience zero gravity they have not reached. On the other hand, anxiety has its roots in inner existence, not external elements. In Heidegger’s existence philosophy, anxiet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elements. The first one follows the structure of existence—internality—world that builds the world through mutual interactions with the current existence and the beings outside the current existence. This is an emotion felt in everyday relationships and shares context with contemporary medical science. Second, current existence is explained fundamentally as the groundless state of being ‘put down.’ Heidegger discusses inherent anxiety of humans by dividing the birth of humanity into untraceable absolute domain, implying that the researchers’ personal experience and anxiety are in unconsciousness and that colors appearing on a screen or a form not expressed in daily life is an unprocessed image related to unconsciousness. The third element is human anxiety toward death. Usually, the present-day interpretation of ‘fate’ is the determination to be strong toward death as well as more solid consciousness of death on the contrary. The subject change that appears formatively in the researcher’s work is an effect of strength stirred internally. It is a recurrence movement that begins from nothingness and returns to the state of nothingness, which coheres as a circle in a formative theory related to bizarre forms and internal elements. Through the philosophical questions on anxiety and the analysis of strange shapes and colors that are expressed in works, the researcher seeks to find clues to internal strength.

      • SNS 여성 이용자의 신체불만족과 식이장애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대상화이론과 사회비교이론을 중심으로

        김다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new environments such as online have emerged, and people have also made new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s(SNS). The use of SNS is also increasing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the use of smart phones and smart devices. Based on this background, SNS is used as an important marketing tool for companies and brands in these days. On the easy and convenient photo editing and SNS, which allows users to upload their own photos anytime and anywhere, mainly consist of appearance and body-related images, and users voluntarily or involuntarily are exposed to ideally skinny images that are socially and culturally defined. As a result of that, users internalize, monitor and compare themselves with ideal body images on the SNS. This can lead to serious problems with women's body image and negatively affect physical and mental health, such as eating disorders.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objectification and the theory of social comparison as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women's physical image problems, the study want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impact of SNS usage on internalization of thin ideal body, body surveillance, appearance upper comparison, body dissatisfaction, and eating disorders of SNS female users. Furthermore, it was intended to verify positive moderators in improving women's body image by finding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usage and body dissatisfaction and eating disorders depending on the users' envy on SNS and self-compassion.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for female SNS users in their 20s and 30s and collected data through online survey companies and analyzed data. A total of 397 respons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SPSS 25.0 was use to verify demographic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and AMOS 23.0. was use to verify confirmed factor analysis(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usage of SNS has been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internalization of thin ideal body, body surveillance and appearance upper comparison. It also confirmed that internalization of the thin ideal body had a positive effect on body surveillance and appearance upper comparis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internalization of thin ideal body and body surveillance had positive effects on appearance upper comparison, while appearance upper comparison had positive effects on body dissatisfaction and eating disorders. Body dissatisfac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ating disorders. In addition, the usage of SNS did not directly had a effect on body dissatisfaction or eating disorders, but it was found to have indirect effects through internalization of thin ideal body, body surveillance, and appearance upper comparison. Finally, after examining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among group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usage, body dissatisfaction, eating disorders, and leading factors, the group with the high SNS envy showed higher level of body dissatisfaction and eating disorders than lower SNS envy group, whereas the group with high self-compassion showed a lower level of body dissatisfaction and eating disorders than the low group. This study empirically identified the impact of SNS use on internalization of women's thin ideal body, body surveillance, appearance upper comparison, body dissatisfaction, and eating disorders based on the objectification theory, social comparison theory, and prior studies. This study confirmed that internalization of thin ideal body, body surveillance, and appearance upper comparison are the leading factors in the impact of SNS use on body dissatisfaction and eating disorders. It is also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has proved that the usage of SNS differs from the effect of women's body image to eating disord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NS users, such as envy on SNS and self-compassion. Through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 academic implications, marketing strategies, and educational strategies to companies and brands that utilize marketing strategies using SNS and SNS users. Specific implications include: First, companies and brands are suggested to set up an ethical SNS marketing strategy that can positively presents women's body images, recognizing that marketing using socially ideal thin body images presented on SNS is likely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SNS users. Second, SNS users are suggested to have cognitive and behavioral approach that consciously recognizes that images unloaded on SNS are ideal images defined by society, so that users can protect their own body image. Third, SNS users are suggested to make efforts to promote self-compassion in order to protect their own body image from SNS, where their appearance and physical images are highly exposed, and education strategies to promote self-compassion are needed.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marketing that creates envy for consumers by using fancy and ideal information or images should be avoided, as it can lead users to experience negative emotions as a result.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 산업의 발달과 과학 기술의 발달로 온라인과 같은 새로운 환경이 생겨났고, 현대인들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통해 자아를 형성하기도 하며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스마트폰과 스마트 기기의 이용 급증으로 SNS 이용률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기반으로 현대사회에서 기업과 브랜드에게 SNS는 중요한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쉽고 편리해진 사진 편집 기술과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사진을 업로드 할 수 있는 SNS에서는 주로 외모와 신체 관련 이미지가 주를 이루며, 이용자들은 자발적 또는 비자발적으로 사회문화적으로 규정된 이상적으로 마른 신체의 이미지에 노출되면 이를 내면화하고, 스스로를 감시하며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게 된다. 현대사회에서 SNS는 강한 영향력을 가진 미디어로써 이용자에게 이상적인 이미지에 대한 내면화와 신체감시, 신체불만족과 식이장애등과 같은 신체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대상화이론과 사회비교이론에 의해 이해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두 이론은 미디어에 대한 노출이 이용자의 신체이미지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는 사회심리이론이다. 대상화이론은 여성이 스스로를 타인의 시선으로 바라보며 평가하고 감시하는 대상화를 설명한다. 또한 사회문화적 차원의 내면화와 대상화로 인한 신체감시가 증가할수록 타인과의 비교가 일어나며, 이는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스스로의 평가를 설명하는 사회비교이론으로 이해 가능하다. 나아가 화려하고 이상적인 정보와 이미지가 주를 이루는 SNS 상에서 발생하는 선망의 정서와 타인과의 비교보다 스스로를 인정하고 이해하는 자기자비 성향 정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여 이용자의 올바른 SNS 사용에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신체이미지 문제를 이해하는 틀로써 대상화이론과 사회비교이론을 바탕으로 SNS의 이용정도가 SNS 이용자의 마른 몸매에 대한 내면화, 신체감시, 외모상향비교와 신체불만족 그리고 식이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용자의 SNS 선망과 자기자비 정도에 따라 SNS 이용정도와 신체이미지에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 30대 여성 SNS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NS 이용 경험은 전자기기 사용에 능숙한 20, 30대의 비율이 가장 높으며, 신체관련 문제는 남성에 비해 젊은 여성에게서 더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20, 30대 SNS 여성 이용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온라인 설문 전문 업체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총 397명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 25.0를 통해 인구통계학적 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3.0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용자의 SNS 이용정도가 높을수록 마른 몸매에 대한 내면화, 신체감시와 외모상향비교 또한 높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른 몸매에 대한 내면화는 신체비교와 외모상향비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마른 몸매에 대한 내면화와 신체감시가 높을수록 외모에 대한 상향비교도 높게 나타났고, 외모에 대한 상향비교가 높을수록 신체불만족과 식이장애 또한 높게 나타났다. 신체불만족은 식이장애의 선행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SNS 이용정도는 신체불만족과 식이장애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으나, 마른 몸매에 대한 내면화, 신체감시, 외모상향비교를 매개로 하여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SNS 이용자 특성인 SNS 선망과 자기자비 경향 정도의 높고 낮은 정도에 따라 SNS 이용정도, 마른 몸매에 대한 내면화, 신체감시, 외모상향비교와 신체불만족과 식이장애에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SNS 상에서 선망의 정서를 더 높게 경험한 이용자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SNS 이용정도, 마른 몸매에 대한 내면화, 신체감시, 외모상향비교와 신체불만족과 식이장애를 보였고, 반면 자기자비 경향이 높은 이용자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더 낮은 수준의 SNS 이용정도, 마른 몸매에 대한 내면화, 신체감시, 외모상향비교와 신체불만족과 식이장애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SNS 이용정도가 여성의 마른 몸매에 대한 내면화, 신체감시, 외모상향비교와 신체불만족 그리고 식이장애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대상화이론과 사회비교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이는 대상화이론과 사회비교이론을 바탕으로 여성은 기존 미디어와 같이 SNS를 통해 이상적인 이미지에 노출됨으로써 마른 몸매에 대한 내면화를 경험하며, 자신의 신체를 감시하게 되고, 이러한 내면화와 신체감시는 자신보다 우월하다고 생각되는 타인과의 외모비교를 일으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SNS 이용자 특성인 SNS 선망과 자기자비 정도에 따라 SNS 이용정도와 신체이미지에 대한 집단 간 차이가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SNS 이용자들과 SNS를 활용하여 마케팅 전략을 활용하는 기업과 브랜드에게 마케팅 전략과 사회적 함의를 제안 한다. 구체적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과 브랜드는 SNS에 제시되는 신체 이미지는 이상적으로 왜곡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를 활용하는 마케팅은 이용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여성의 신체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제시하는 SNS 마케팅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둘째, SNS 이용자는 인지 행동적 접근을 통해 SNS 상의 이미지와 정보는 가공될 수 있으며, 사회가 만들어낸 이미지일 수 있음을 인지하여 신체이미지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SNS 이용자는 외모나 신체에 관한 이미지가 많이 노출되는 SNS 상에서 스스로의 심리적, 신체적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자신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자기자비 성향을 증진하려는 개인의 노력과, 사회적으로 이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전략을 세우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화려하고 이상적인 정보나 이미지를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선망의 정서를 일으키는 마케팅은 결과적으로 이용자에게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무분별하게 선망을 조장하는 마케팅을 지양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 간호사가 인식한 간호사-의사 협력과 간호업무누락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김다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가 인식한 간호사-의사 협력과 간호업무누락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2개와 종합병원 4개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323명을 대상으로 2022년 4월 4일부터 4월 29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간호사-의사 협력을 측정하기 위해 이영주와 황지인(2019)이 번역한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Scale을 사용하였고, 간호업무누락을 측정하기 위해서 Cho, Kim, Yeon, You와 Lee (2015)가 번역한 MISSCARE Survey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한미영과 정면숙(2017)이 의료기관평가인증원(2014)에서 개발한 환자 안전 평가 항목을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6.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간호사-의사 협력은 5점 만점에 평균 3.45점이었고, 간호업무누락은 5점 만점에 평균 1.77점, 환자안전간호활동은 5점 만점에 평균 4.48점이었다. 둘째, 간호사-의사 협력은 대상자의 연령(F=5.70, p=.001), 총 임상 경력(F=11.04, p<.001), 현 부서 근무경력(F=7.30, p=.001), 의사와 함께한 집담회 참여 여부(t=4.10, p<.001)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간호업무누락은 총 임상경력(F=6.89, p=.001)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환자안전간호활동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간호사-의사 협력과 환자안전간호활동 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r=.27, p<.001), 간호업무누락과 환자안전간호활동 간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56, p<.001). 넷째, 환자안전간호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업무누락(β=.-.51, p<.001)으로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간호사-의사 협력의 하부영역인 환자의 정보공유(β=.20, p=.001)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쳤다. 영향요인에 대한 설명력은 35%이었다(F=43.74, p<.001). 결론 : 환자안전간호활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업무누락을 감소할 수 있도록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간호사-의사 협력 중 환자정보공유를 강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 A descriptive survey to identify the effects of nurses’ perceived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and missed nursing car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Method : A total of 323 nurses working at two advanced general hospitals and four general hospitals from April 4th to April 29th, 2022 were included. Data were collected with the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Scale Korean version, MISSCARE Survey Korean version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scal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SPSS Statistics 26.0 software(IBM Corp., Armonk, NY, USA). Results: The degree of the average nurses’ perceived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was 3.45 points out of 5, the average missed nursing care was 1.77 points out of 5, and the averag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was 4.48 points out of 5.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according to age (F=5.70, p=.001), total clinical experience (F=11.04, p<.001), current working environment experience (F=7.30, p=.001), and experience on a conference with a physician (t=4.10, p<.001). The difference in the missed nursing ca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otal clinical experience (F=6.89, p=.00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Moreover,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r=.27, p<.001).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missed nursing care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r=.-56, p<.001). Finally, the factor that affecting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the most was missed nursing care(β=.-.51, p<.001), and in the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sub-domain, sharing patients’s information(β=.20, p=.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influencing factor was 35%(F=43.74, p<.001).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system to reduce missed nursing care and further research to achieve this goal. Moreover, the development of an efficient training program that can strengthen the sharing of patients information in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and research to verify its effectiveness are required. s

      • 나다니엘 호손의『주홍글자』에 나타난 반여성적 사회와 급진적 여성주의 연구

        김다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주홍글자』에 드러난 호손의 페미니스트적 면모를 반여성적 사회와 급진적 여성주의 연구를 통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호손의 페미니즘’은 최근까지 학계의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호손은 자신의 여성관을 주로 작품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드러내어 왔지만 그 평가는 비평가들에 의해 다양하게 갈리고 있다. 호손을 페미니스트로 보는 시각과 그와 상반된 시각이 함께 자리하고 있다. 하지만『주홍글자』를 좀 더 면밀히 살펴보면 호손은 ‘반 페미니스트’나 ‘비 페미니스트’가 아니라 작품 속에서 페미니즘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음이 밝혀진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의 비평이론 관점에서『주홍글자』에 나타난 호손의 페미니스트적 면모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여성주의에 관한 호손의 관점을 이해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가부장제 사회와 여성의 갈등에 대해 다루고 있다. 17세기는 반여성적 청교도 사회로서 남성중심주의와 이성 중심주의가 극대화 된 세계였다. 호손은 청교도 사회가 그들만의 교리로 인간, 특히 여성의 본성을 억압하고 자연에 대한 지배를 정당화했던 이기심에 주목한다. 호손은 청교도 사회의 불합리하고 모순된 면을 비판하면서, 여성을 억압한 청교도들의 지배이데올로기에 저항하고 여성을 옹호하는 입장을 드러낸다. 호손이 주로 작품 활동을 하던 19세기 중엽의 미국사회는 노예제 폐지운동, 여성해방운동, 사회개선운동 등 개혁의 의지가 전반적으로 높았다. 즉, 미국에서 여성운동이 등장했던 1800년대는 영토 확장, 산업발달, 사회개혁운동의 성장 시기였고 개인 자유와 평등한 교육기회에 대한 주장이 팽배했던 시기였다. 여성의 기회확대와 관련된 여성운동은 여성들이 최초로 정치적 분야에서 그들의 권리를 시험하였던 여권운동이었다. 호손의 작품 속 여성인물들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등장하였기 때문에 호손의 여성관을 이해하기 위해서 19세기 여성운동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호손의 여성주의 관점에 관한 다양한 논의에 관해서, 호손이『주홍글자』에서 페미니스트들이 경탄할만한 여주인공 헤스터 프린을 그려내면서 기존의 비평가들의 견해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근거를 마련한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호손은 헤스터를 통해 급진적 여성주의의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 호손은 헤스터를 통해 여성의 권리 추구와 사회적 자아실현의 모습을 표현한다. 보수적 사회에서 헤스터의 갈등을 묘사하면서, 헤스터가 스스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 속에서 점차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호손은 이 작품 속에서 가부장 질서에서 여성이 놓여 있는 열악한 위치를 첨예하게 깨닫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위치를 점진적으로 개선할 것을 주장한다. 무엇보다도 호손이 이 소설에서 사회 규범이나 인습에 반항하는 주인공으로 남성이 아닌 여성을 내세운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 헤스터는 가부장제 인습에 순응하기보다는 스스로의 권리를 주장하며 여성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호손은 헤스터를 통해 17세기의 남성중심주의적 청교도 사회의 희생양이 된 여성이 스스로 자신의 사회적 정체성을 추구해 나가고자 노력하는 과정을 드러낸다. 헤스터는 바느질을 통해 생활하고 스스로 자립하는 현실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나아가 미래에 대한 전망을 예견하기도 하며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피력하는 주체적인 여성의 모습을 보인다. 호손은 헤스터가 남성 중심적 사회의 모순을 극복하고 성숙한 페미니스트의 모습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입장을 드러내고자 했음을 추론할 수 있다. 헤스터의 신여성으로서의 변화는 호손의 여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겠다. 당시 사회개혁에 대한 강한 바람과 실현되지 못한 한계를 헤스터의 목소리를 통해 드러내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더불어 호손은 헤스터가 스스로 청교도 사회로의 회귀를 결정하면서 실천적 의지를 보여주는 자발적인 여성으로서의 모습을 보여준다. 헤스터는 기존의 가부장제 사회의 전형적인 여성을 이탈해서 진취적이고 파격적인 여성으로서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페미니스트임에 분명하다. 위와 같이 호손은 헤스터의 목소리를 통해 여성의 자아실현 및 사회의 전반적인 개혁의 의지를 드러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비평적 입장들이 존재하는 『주홍글자』속 호손의 여성관에 대하여 호손은 급진적 여성주의에 바탕을 둔 페미니스트로서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결론을 내리고자 함이다.

      • 「무지개 물고기」 그림책 시리즈의 기호학적 의미

        김다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와 교사 그리고 부모들에게 오랫동안 사랑과 관심을 받아오고 있는 환상 그림책 「무지개 물고기」시리즈를 기호학적 접근에 기초하여 유아 그림책에 내포된 전체적인 내용과 심층적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분석대상「무지개 물고기」시리즈는 1994년 「무지개 물고기」를 포함하여 현재까지 8권의 그림책이 국내에서 번역 출판되었다. 「무지개 물고기」시리즈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사회적 관계 형성지도 및 사회 정서 지도를 위한 효과적인 교수 자료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기호학자인 Greimas, Barthes의 이론을 통합하여 그림책을 하나의 기호복합체로 보는 관점에 따라 4가지 영역에 관한 내용 분석방법을 마련하였다. 시퀀스 분석, 이항대립 분석, 행위주 분석, 신화분석을 통해 핵심의미를 이해하고 개념화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그림책들이 드러내는, 복합적이고 유기적인 기호들을 더욱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무지개 물고기」 그림책 시리즈에 대해 기호학적 개념인 시퀀스, 이항대립, 행위주 분석을 통해 이야기의 구조적 특성과 신화분석을 토대로 그림책이 내포한 의미를 도출하였다. 또한, 분석내용을 기반으로 「무지개 물고기」 그림책 시리즈가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의미의 특성을 끌어냈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교육 현장과 유아 부모에게 유아 그림책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에서 의미를 찾아낼 수 있으며 내포된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general content and in-depth meaning of children's picture books based on a semiotic approach to the fantasy picture book “Rainbow Fish” series, which has been loved by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for a long time. The research subject “Rainbow Fish” which has been selected in this study has released in Korea with translation including a total of eight picture books. “Rainbow Fish” series have been actively used as an effective teaching material for social relationship formation instruction and social emotional instruc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integrated the theories of semiotic scholars Greimas (1982) and Barthes (1997) as a research method and arranged analysis method for four fields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symbol complex. Firstly,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semiotic structure analysis through sequence analysis, and secondly, examined categorization, meaning production, and structural composition through binary opposition analysis. Thirdly, this study verified the roles and actions of the subjects of the event through the analysis of relation subject object, and lastly, comprehended the core meaning through in-depth analysis, and conceptualized it. Through this method, this study considered organic signs in the picture books more logically and systematically. As a result, this study derived the meaning of the picture book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tory and myth analysis through sequence, binary oppositions and relation subject object analysis which are semiotic analysis for the picture book series of “Rainbow Fish.”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aning that the “Rainbow Fish” picture book series have in common based on the analysis cont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 picture book has messages to be delivered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the parents of young children and provides the basic data to comprehend the implied meaning.

      • 한국어능력시험(TOPIK)과 스페인어능력시험(DELE)의 읽기 문항 비교 분석

        김다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Reading evaluation categories and question types of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and the Spanish language proficiency test were analyzed and compared. It aims to help improve the questions and improve the qualitative value of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reading area, and aims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reading items.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were reviewed and research methods were discussed. In addition, the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in three sections: 'Classification of Korean Proficiency Test reading item types', 'Analysis of questions by type', and 'Comparative Analysis with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Test'.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quired for the study was examined. The categories of domestic and foreign reading assessments are summarized. Also,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questions were suggested by reviewing the types of questions. In chapter 3,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and the Spanish proficiency test was examined through the official website; test purpose, test target, host organization, test application place, grade classification and composition by grade, evaluation criteria, etc. The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es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chapter 4, evaluation categories and question types were classified through the past test of Korean proficiency test and the sample test of Spanish proficiency test. Also, the each question was examined as a specific exampl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the reading item type and the questionnaire, it revealed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reading item development. 14 question types were asked in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and 4 question types were asked in the Spanish Proficiency Test. There are more question types on the Korean Proficiency Test than the Spanish Proficiency Test. In addition, the questions in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are independent and individual, whereas the questions in the Spanish language proficiency test are integrated and complex. In the Korean Proficiency Test, instruction, text, and question are corresponded one-to-one. However in the Spanish Proficiency Test instruction, text, and question are corresponded many-to-many. Lastly,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revealed a difference between grades according to the question types for each evaluation purpose category and the proportion of questions in each evaluation purpose category, and the Spanish proficiency test revealed a difference between grades according to the category of evaluation purpose. In addition, the Spanish Language Proficiency Test established a hierarchy between grades within the same question. Thre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reading questions were presented. First, the diversity should be maintained, but integrated and complex questions should be presented at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Second, even if it is the same item type, it need to set the hierarchies between different levels. Third, compared to the Spanish language proficiency test, the vocabulary and grammar categories are reduced at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of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so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is. Finally, in chapter 5,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nd the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it is a study limited to the question types in reading evaluation. This research should be developed with a multi-faceted approach. However, this study, which consider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reading questions,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provide one implication in the development of reading questions for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will be helpful to develop a new type of reading area from a new perspective through comparison with the Spanish proficiency test that was not available.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be a starting point for comparative studies with European language assessment. 본 논문은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의 문항 개선과 평가 전반의 질적 가치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국어능력시험과 스페인어능력시험의 읽기 평가 범주 및 문항 유형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읽기 문항 발전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 1장 서론에서는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검토하고 연구 방법에 대해 서술한 뒤, ‘한국어능력시험 문항 유형 분류’, ‘유형별 실제 출제 문항 검토 및 분석’, ‘기타 외국어능력시험과의 비교 분석’, 다음 3가지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제 2장에서는 본 연구에 필요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국, 내외 읽기 평가의 범주를 정리하고 읽기 문항 유형을 검토해 분류 기준을 제시하였다. 제 3장에서는 공식 홈페이지에 기재된 내용을 토대로 한국어능력시험과 스페인어능력시험의 평가체제를 시험 목적, 응시 대상, 주관 기관, 시험 활용처, 등급 구분 및 등급별 구성 내용, 평가 기준 등으로 살펴보고 두 시험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제 4장에서는 기출문제와 샘플 시험을 통해 한국어능력시험과 스페인어능력시험의 평가 범주와 각 범주별 문항 유형을 분류하였다. 또한 문항별 출제 양상을 구체적인 예로 살펴보았다. 읽기 문항 유형의 구성과 출제 양상을 비교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힘으로써 앞으로의 읽기 문항 발전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한국어능력시험에서 14개의 문항 유형이 출제되었다면 스페인어능력시험에서는 4개의 문항 유형이 출제되었다. 스페인어능력시험에 비해 한국어능력시험의 문항 유형이 보다 다양하게 출제되고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능력시험의 각 문항은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반면 스페인어능력시험의 문항은 통합적이고 복합적이다. 한국어능력시험의 지시문, 본문, 문항은 각각 일대일로 대응되는 반면 스페인어능력시험의 지시문, 본문, 문항은 다대다로 대응된다. 마지막으로 한국어능력시험은 평가 목적 범주별 출제 문항 유형과 평가 목적 범주별 문항 출제 비중에 따라 등급별 차이가 나타났지만 스페인어능력시험은 평가 목적 범주 설정에 따라 등급 간 차이가 드러났다. 또한 스페인어능력시험의 경우 동일 문항 내 등급 간 위계를 설정하였다.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문항의 발전 방향으로는 첫째, 다양성은 그대로 유지하되 중, 고급에 통합적이고 복합적인 문항을 출제하여 보다 고차원적인 평가 방식을 지향하고 초급 문항과는 차별화되는 독자성을 확립하여야 한다. 둘째, 동일한 문항 유형일지라도 등급 간 위계를 설정하여 출제해야 한다. 셋째, 한국어능력시험 중, 고급의 경우 스페인어능력시험 중, 고급에 비해 어휘, 문법 범주가 크게 축소되어 평가됨으로 ‘어휘, 문법 능력’ 범주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제 5장 결론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의의에 대해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읽기 평가의 문항 유형에만 한정된 연구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읽기 문항 외 다각적인 접근으로 연구를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그러나 한국어능력시험과 스페인어능력시험의 읽기 문항을 분석하고 두 시험 간 차이를 비교하여 읽기 문항의 발전 방향성을 고찰한 본 연구는 향후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문항 개발에 있어 하나의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기존에 없었던 스페인어능력시험와의 비교를 통해 새로운 관점에서 읽기 영역의 신(新)유형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유럽어권 평가와의 비교 연구의 시발점이 될 거라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