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딥러닝 기술을 적용한 작곡 과정 : 현악 사중주 작품 《TURN》에 대한 연구

        김다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음악 창작 과정에서 인간과 기술 간의 협업이 새로운 창의성과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김다은의 현악 사중주 작 품 《TURN》의 작곡 과정에서 딥러닝 기술을 적용하여, 전통적인 음악 창작 방식과 디지털 기술이 융합된 새로운 음악 창작 시각의 확장을 목표로 하였다. 딥러닝 모델 중, 다중 트랙 형식의 음악 데이터를 사용하여 팝 음악을 생성 하는 뮤즈겐(MuseGAN) 모델 시스템의 일부를, 베토벤, 모차르트와 같은 클 래식 작곡가 곡을 기반으로 사용자 입력 데이터의 특징이 추가된 곡을 생성하 도록 수정하였고, 이를 통해 뮤즈겐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실험하였다. 수정된 뮤즈겐 모델을 통해 생성된 음악을 김다은의 현악 사중주 작품《TURN》에 활용하여, 인간과 컴퓨터가 서로 주고 받으며 작품을 써내려 가는 창의적 상 호작용의 예시로써, 음악 창작 과정에서 인간의 창의력을 보완하고 향상시키 는 데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자동 음악 생성 기술이 음악 창작과 예술 분야에서 새로운 가능 성을 열어주는 것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앞으로의 연구에서 뮤즈겐을 비롯 한 자동 음악 생성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음악 창작자들의 창의적인 활동을 지원하고 발전시키는 데 주력하고자 한다.

      •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몰입도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다은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교사효능감, 교수몰입도, 교사-유아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몰입도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교사효능감, 교수몰입도, 교사-유아상호작용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교수몰입도, 교사-유아상호작용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교수몰입도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및 경기지역에 있는 유아교육기관에 재직하고 있는 현직 유아교사 2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Riggs와 Enochs(1990)에 의해 개발된 과학 교수 효능감 측정도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를 이분려(1998)가 유아교사에게 적절하게 수정하고, 정명자(2016)가 전문가 2인과 협의하여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송주연(2014)이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하는 몰입상황을 반영하여 개발하고 타당화한 유아교사 교수몰입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유아교사의 교사-유아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하여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Program(APECP)평가척도,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Young Children(NAEYC)인정기준, The National Childcare Accreditation Council(NCAC)인정기준, 이은해와 이기숙(1996)의 유아교육프로그램 평가척도, 한국교육개발원(2000)의 평가기준 등 유아교육프로그램 평가척도들에서 교사-유아상호작용에 관한 문항을 추출하여 이정숙(2003)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교사효능감, 교수몰입도,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최종 학력과 교직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교수몰입도는 교사의 연령, 최종 학력, 교직 경력,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사-유아상호작용은 교사의 연령, 최종 학력, 교직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의 최종학력과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았고, 교사의 연령과 최종 학력, 교직 경력이 높을수록 교수몰입도와 교사-유아상호작용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교수몰입도, 교사-유아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교수몰입도는 교사-유아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효능감보다 교수몰입도가 더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교사로서 자신의 능력에 대한 기대와 신념이 높고 교수활동에 깊게 몰입하는 교사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상호작용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몰입도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즉 유아교사의 변인들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직접적 혹은 간접적인 경로를 통해 영향을 주기 때문에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교수몰입도가 유아의 성장 및 발달에 직결되는 문제라고 할 수 있으므로 교사효능감과 교수몰입도의 중요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교사-유아상호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엇보다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사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며, 교수활동에서 깊게 몰입할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마련해 주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후속연구에서 심도 있는 자료를 토대로 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하며 질 높은 교사-유아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구가 계속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In search of the goddesses : a feminist reading of William Blake's The Four Zoas

        김다은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윌리엄 블레이크의 서사시『The Four Zoas』속 여성 주인공들이 어떻게 남근이성중심주의적 종교에 맞서 싸우는지를 밝힌다. 노스롭 프라이(Northrop Frye) 이래 많은 학자들은 작품 속 여신들의 권능을 예수 그리스도가 물리쳐야 할 부정적인 요소로 읽어왔다. 하지만 블레이크는 가부장적이고 폐쇄적인 기독교 율법주의에 대단히 비판적이었고, 억압적인 종교 이데올로기를 극복할 수 있는 구원적 힘을 상반되는 가치(contraries)의 공존에서 찾는다. 따라서 그의 서사시 속에서 여신들, 즉 성차(sex differences)를 상징하는 네 명의 여성 에마네이션(Emanation)들은 유리즌(Urizen)의 종교로 대변되는 남근이성중심주의에 대항한 시인의 대변자이자 전사들이다. 종교와 성차에 대한 시인의 급진적 해석에 따라, 이 논문은 페미니스트 신학자인 메리 데일리(Mary Daly)와 페미니스트 철학자 뤼스 이리가레의 이론에 기대어 서사시 속 여신들의 중요성을 고찰한다. 두 학자들은 가부장제의 억압과 남신의 신화로 대체된 여신 신화에 주목하여, 잃어버린 여신의 형상을 되찾아 페미니스트들의 영적인 혁신을 이뤄낼 수 있다는 데 동의한다. 한 때 스러졌던 여신의 귀환은 여성들이 스스로를 신의 형상을 담은 소중한 존재로 바라보고 자신에게 권능을 부여할 수 있게 해 준다. 데일리의 『하나님 아버지를 넘어서(Beyond God the Father)』와 이리가레의 『성과 계보(Sexes and Genealogies)』에 기대어, 본 논문은 블레이크의 서사시가 죽음을 극복하고 돌아와 성차를 회복하고 다름을 인정하는 사회를 지향함으로써 남근이성중심주의를 이겨낸다고 주장한다. 태초의 어머니신 발라(Vala)는 유리즌의 독재에 직접적으로 위협을 가하는 복수의 여신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녀가 광기를 무기로 삼는다면, 에니온(Enion)과 아헤니아(Ahania)는 지혜와 예언을 중심으로 한 자매애를 형성하며 가부장적 위선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에니탈몬(Enitharmon)은 육체로부터 분리되어 여성혐오적 이성의 상태로 존재하는 자들(Spectres)을 대체할 새로운 인간의 육신을 직조한다. 끊임없는 여성성의 축소와 주변화에도 불구하고, 네 명의 여신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활발하게 가부장적 종교에 맞선다. 죽음 이후에도 다시 돌아와 성차를 비롯한 모든 상반되는 것들이 환영을 받는 낙원을 만들겠다는 그녀들의 약속은 현대의 페미니스트 신학의 비전과 크게 공명한다. 페미니스트의 시선에서 재해석하는 블레이크의 작품은 우리가 기대하고 가꿔가야 할 성평등하고 자유로운 사회를 위한 하나의 예언서가 된다.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four central female figures in William Blake’s The Four Zoas (1807) fight against the phallogocentric religion. Since Northrop Frye, many literary critics have regarded the female force in this epic poem as an abomination Jesus Christ must drive out. However, Blake has criticized the institutional religion’s patriarchal and autocratic legalism and found the co-existence of the contraries as redemptive energy to overcome such oppressive religious ideology. In The Four Zoas, the four Goddesses, who are called the Emanations, stand for sexual differences and become the active agents of Blake’s philosophy. They are the vibrant warriors who try to defeat Urizen’s phallogocentric religion. In response to the poet’s radical rethinking of religion and sexual differences, this thesis draws on feminist theologian Mary Daly and feminist philosopher Luce Irigaray to speculate the importance of the Emanations. Both scholars agree that that feminists can realize the spiritual renovation by excavating and retrieving the lost images of Goddesses. This return of the once-slain Goddesses can help women dignify their lives as precious, empowered beings who bear the divine image. Drawing on Daly’s Beyond God the Father (1974) and Irigaray’s Sexes and Genealogies (1987), this thesis proves that The Four Zoas is a story of the four slain Goddesses who return to defeat phallogocentrism and aim for a society that embraces contraries, including sexual differences. The first Mother Goddess, Vala, embodies the avenging madwoman figure who directly threatens Urizen’s tyranny. While Vala chooses madness as her weapon, Enion and Ahania form a strong sisterhood of wisdom and prophecy. They provide trenchant criticism towards the patriarchal hypocrisy. Lastly, Enitharmon weaves new human bodies to substitute the disembodied and misogynistic logos, the Spectres. Despite the endless marginalization of the female sex, all four Goddesses actively resist the phallic religion in their respective and colorful ways. Their promise to return from death and create the utopia that celebrates all contraries happily resonates with modern feminist theological vision, making this Romantic epic a prophecy for the egalitarian world we would cultivate and anticipate.

      • 역사적 감정이입을 적용한 기념관 교육 프로그램 개발 : -독립기념관 제2, 3관을 중심으로

        김다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new educational program for Independence Memorial Hall by applying historical empathy that creates meaningful memories. A memorial hall is a place to honor significant events or people in the collective memory of a society. Due to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memorial hall from the general history museum, priority should be given to the composition of the memorial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what kind of memory and how to convey it. Not only do main values continuously change with the times, but memories reproduced through commemoration become the new collective memories that will continue to the next generation as a basis for individual values and social norms. Therefore, a more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 is needed for the memorial hall to develop individuals‘ more reflective memory of the subject. Historical empathy, the center keyword of this study, is a way of grasping history by looking at a subject through the eyes of the past and placing historical acts or events in the context of the period, which is suitable for memorial hall education in that it can narrow the psychological distance with the subject. In addi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First, a multifaceted approach to the subject is possible by utilizing abundant historical data. Second, it is easy to create and find a link between the historical situation and the subject. Third, the visual, auditory, and experiential display elements of the memorial hall promote the creation of individual learners' memories. Incorporating historical empathy, the new program for Independence Hall consists of learning activities that include contextual understanding, empathy, and commemoration. In the introduction of activities to arouse interest, records of "ordinary life" were used to help the audience get closer to the subject and think more actively about their aspirations for memory and peace through gradual empathy. Exhibit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ose that reveal the subject's feelings or thoughts, those that explain the context of the action, and those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learner's experience so that they can reach a contextual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step by step. The instructional stage was reorganized into the following stages: Introduction-Exploration I: Daily Empathy-Exploration II: Contextual Empathy-Expression-Introspection(reflection). Introspection is the ultimate goal of this plan in which learners relate and internalize their own emotional reactions or lessons learned from the memorial hall. 기념관은 한 사회의 집단 기억 가운데 의미 있는 사건이나 인물을 마음에 새기는 장소이다. 일반 역사박물관과 구별되는 이러한 기념관의 특성으로 인해, 어떤 기억을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기념관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 보다 가장 선행되어야 하는 중심 과제이다. 시대에 따라 중요한 가치는 계속해서 변화할 뿐 아니라, 기념을 통해 재생산된 기억은 개인 가치관과 사회 규범의 바탕이 되어 결과적으로 다음 세대로 연속될 새로운 집단 기억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념관에는 대상에 대한 내면적 이해를 발전시켜 개개인의 기억을 생성하는 보다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역사적 감정이입을 적용한 독립기념관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의미 있는 기억을 생성하는 효과적인 기념관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중심 키워드인 ‘역사적 감정이입’은 인물의 행위나 역사적 사건을 당시의 상황과 맥락 속에서 파악하여 과거의 눈으로 대상을 바라보게 하는 역사 이해의 한 방법으로, 경험하지 못한 대상과의 심리적 거리감을 좁히고 이해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기념관 교육에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나아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풍부한 사료를 활용하여 대상에 대한 입체적 탐구가 가능하다. 둘째, 역사적 상황과 자신과의 연결고리를 찾도록 하는 내러티브 생성이 용이하다. 셋째, 기념관의 시·청각적, 체험적 전시 요소는 학습자 개인의 기억 생성을 촉진한다. 역사적 감정이입을 적용한 새로운 독립기념관의 프로그램은 맥락적 이해와 동시에 공감, 추모가 포함된 학습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흥미 유발을 위한 활동의 도입부에서는 관람객이 기억의 대상에 더욱 다가갈 수 있게끔 ‘평범한 삶’을 다룬 기록물을 활용하였으며, 나아가 점진적인 감정이입을 통해 추모와 평화에 대한 염원을 보다 주체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했다. 전시물은 대상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통해 학습자가 단계적으로 역사 이해에 도달할 수 있도록 행위자의 감정이나 생각이 드러난 전시물, 행위에 대한 맥락을 설명하는 전시물, 학습자의 경험과 밀접한 전시물 세 유형으로 분류하여 활용하였다. 역사적 감정이입의 수업 단계는 ‘도입-탐구Ⅰ:일상적 감정이입-탐구Ⅱ:맥락적 감정이입-표현-자기화’의 단계로 재구성하였다. ‘자기화’는 학습자가 기념관에서 얻은 감정적 반응이나 교훈을 학습자 자신의 삶과 관계 짓고 내면화하는 마지막 단계로 기념관 교육의 최종 목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역사적 감정이입을 기념관 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실제 독립기념관의 전시를 예로 역사적 감정이입에 유용한 전시물의 유형을 분류하여 적용 가능한 구체적 학습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자원회수과정의 건축화를 통한 미래 도심형 산업시설제안

        김다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부분의 산업시설은 서울 외곽에 위치하여 주거시설과 분리되어 위치하고있으나, 자원회수시설은 서울시의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 내에 위치하고있다. 그러나 서울시의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도심 속 인프라스트럭쳐임에도 불구하고 자원회수시설은 님비시설로 인지되어 서울시 내에서도 여전히 입지를 선정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선행연구는 님비시설로 인식되어지는 서울시 4곳의 자원회수시설의 문제점과 해결 주안점을 알아보고자 어떠한 방식으로 현재 운영되고있는지, 주민들에게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고있는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기존 4곳 자원회수시설 모두 주민편의시설을 노출시키고 자원회수시설은 주민편의시설과 분리 배치하여 님비시설에 대한 인식을 탈피하고자하는 노력을 보였으나, 여전히 인근 주민들에게는 부정적인 기피시설로 인식되고 있었다. 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미래의 자원회수시설은 주민편의시설과 분리되어 위치되는것이 아닌 함께 있을 수 있는 공간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사람들이 기피하는 공간이 아닌 깨닫고 도시의 삶을 영위하는데 만들어진 것들을 볼 수 있는 공간으로 보여지도록 기계들의 동선을 길게 늘려 사람들이 체험하고 일상속에서 느낄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 저소득 남성 독거노인 암환자의 암 투병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김다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more about the fighting cancer experience of low-income, older male cancer patients who live alone and to suggest social welfare services they need for them during their struggle against cancer. Through an in-depth psychosocial review of cancer treatment experiences of low-income male older adults living alone, I attemted to identify the challenges in the cancer treatment process, and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need for social welfare servic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hrough a purposive sampling of six low-income older males 65 years or older who had been diagnosed with solid cancer and were undergoing treatment or follow-up car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ith six study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ase analysis and inter-case analysis, one of the analysis methods of qualitative case studies, were conducted. In Within Case Analysis, specific accounts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throughout the struggle against cancer were provided. In Between Case Analysis, thematic analysis method was used to identify common themes in the cancer fighting experience of low-income older male cancer patients who lives aloneliving alone that transcend beyond specific instances. As a result of the study, 7 upper categories and 25 subcategories were derived. The top 7 categories are <the pain of cancer added to the accumulated weight of life> and <kindness. And growth> was divided into a large theme. It was divided into "sadness and calmness of being a cancer patient," "Vacancy in a family, absence of guardians," "social relationships that have to be cut off by themselves," "Cancer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make a living ", "environments that make it difficult to overcome cancer alone," and "people and institutions that helped me in struggling against cancer.“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low-income older male cancer patients who live alone experience several challenges as a result of their disease’s diagnosed in the context of precarious economic and psychosocial support systems. The weak socioeconomic environment, which is not suitable for cancer treatment, further aggravated the hardships they experience. After that, it was confirmed that cancer patients with low-income male older adults living alone experienced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the economic and psychosocial support from an official and informal system.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better environment and quality of life for low-income older male cancer patients who lives alone are as follows. First, expanding psychosocial support provided by medical social workers and other medical staff, second, supporting medical expenses and indirect medical expenses, third, improving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 for cancer treatment, and fourth, forming a new community. This study did not widely reflect the experiences of cancer patients diagnosed with Hematologic Malignancy, terminal stage, recurrence, and metastasis. Also, it has a limitation tha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ountery were not taken into account. Through this study, which examined the experience of fighting cancer in depth, it confirmed the complex difficulties experienced by cancer patients with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verty, men living alone, and the older male.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policy and practical measures were propo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cancer patients who are low-income males living alone. Through this study, it is anticipated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that may be used to develop policies and services that would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low-income older cancer patients who lives alone.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 남성 독거노인 암환자의 암 투병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 암 투병 중 이들에게 필요한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언하는 데 있다. 저소득 남성 독거노인 암환자의 암 투병 경험에 대한 심리사회적 측면에서의 심층적 고찰을 통해 암 투병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확인을 위해 질적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고형암을 진단받고 치료 중이거나 추후 관리 중인 만 65세 이상의 저소득 독거노인 남성 총 6명을 의도적 표집을 통해 모집하였다. 연구 참여자 6명과 개별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연구의 분석 방법 중 하나인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 내 분석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암 투병 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한 세부적인 기술을 하였다. 사례 간 분석에서는 주제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개별 사례를 초월하는 저소득 남성 독거노인 암환자의 암 투병 경험의 공통적인 주제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7개의 상위범주와 25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7개의 상위범주는 <누적된 삶의 무게에 더해진 암의 고통>과 <다정한 손길. 그리고 성장>이라는 큰 주제로 구분하였다. 이는 다시 ‘암환자가 된 슬픔. 그리고 담담함’, ‘가족의 빈자리, 보호자의 부재’, ‘스스로 단절할 수밖에 없는 사회적 관계’, ‘생계를 유지하기도 버거운 상황에 부닥쳐버린 암’, ‘암을 홀로 이겨내기에 버거운 환경들’, 그리고 ‘암 투병 과정에서 힘이 되어 준 사람들과 제도’, ‘어려움을 넘어선 성장’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저소득 남성 독거노인 암환자는 경제적, 심리사회적 지지체계가 미약한 가운데 암을 진단받고 치료하게 되어 복합적인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암 투병에 적합하지 않은 취약한 사회경제적 환경은 이들이 경험하는 고난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후, 저소득 남성 독거노인 암환자는 공식적, 비공식적 체계의 경제적, 심리사회적 지지를 통해 외상 후 성장을 경험하게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저소득 남성 독거노인 암환자의 더 나은 투병 환경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제언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사회복지사와 의료진의 심리사회적지지 확대, 둘째, 의료비 및 간접의료비 지원, 셋째, 암 치료에 관한 사회경제적 환경 개선, 넷째, 새로운 공동체 형성이다. 본 연구는 혈액암, 말기, 재발과 전이를 진단받은 암환자의 경험을 폭넓게 반영하지 못했으며, 연구 대상자 중 상당수가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어 전국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빈곤, 남성, 독거, 노인이라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지닌 암환자의 암 투병 경험을 심층적 고찰을 통해 이들이 겪는 복합적인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저소득 남성 독거노인 암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저소득 남성 독거노인 암환자의 안정된 투병 환경 조성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과 서비스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정부의 정책수단에 대한 해석적 연구 : 식약처의 유전자변형식품(GMO) 정책을 중심으로

        김다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re are various perspectives on the GMO policies in complex social contexts. For example, GMOs are expected to be a universal solution to meet growing needs for food and provide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On the other hand, they are criticized as a Franken-food due to its uncertain safety that can cause harm to the human and the environment. Therefore, competing perspectives and understandings of policy actors such as government agencies, related industries, and consumers and NGOs have caused social controversies about GMO policy. This study examines why the controversies about GMO policy in South Korea last over 20 year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an interpretive policy analysis(IPA) focusing on the policy instruments of government. Unlike an empirical approach that focuses on analyzing human behavior objectively, an interpretive approach based on a constructivist view presupposes that people's actions are meaningful. From this perspective, IPA focuses on sense-making of various policy actors and explain how their meanings are communicated and interacted in the policy process. By conducting IPA, researchers can identify and interpret policy meanings given by interpretive communities. In addition, this study utilizes policy instruments as an analytic framework. Policy instrument is not merely a tool for solving social problems but rather a means of understanding policy. Therefore, policy actors can participate easily in the complex policy areas such as uncertain risks by expressing their values, emotions, and beliefs about specific policy instruments. For the analysis, research data is gathered from the minutes of Health and Welfare Committee`s parliamentary inspection on KFDA and newspaper articles since 1998. This study describ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GMO policy and the revision history of the related laws first. Then the case is reconstructed by IPA with category, metaphor, and narrative analysis. The meanings of policy instruments given by interpretive communities are formed through categorization and expressed with metaphors. Accordingly, interpretive communities construct competing narratives based on their different understandings on the policy instruments. In the GMO case, different narratives of the interpretive communities caused conflicts on the disclosure of GMO safety-related information and the revision of rules in the labeling system. As a result, the conflicting interpretations between interpretive communities were due to the difference of intention to use of the policy instruments and the different perception of the controversy. Both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can be derived from the analysis. As a theoretical implic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olicy instruments can be useful as analytical frameworks in complex policy analysis such as new types of risks. By redesigning the research proces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GMO policy cas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related discussions. As a policy implicat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terpretive approach for democratic policy process. If the government constructs negative and passive images of the public according to its interpretation of the policy instruments,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policy may be severely restricted.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enhance the social justification and acceptance of policy with interpretive approaches to policy instrument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characteristics of policy instruments.

      • 실버 블라우스 디자인의 조형적 특성 분석 및 모듈 디자인 연구

        김다은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ilver generation of the modern society will lead the silver fashion market with their high interest in fashion and purchasing power.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categorize blouse designed for silver generation according to the types and to analyze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each blouse and to develop module design. The study will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on the blouse design for the silver generation, by analyzing design elements such as silhouette, pattern, material, inside composition line and decoration and by developing module design, especially in shirt blouse, pullover-shirt blouse, t-shirt blouse, tunic blouse. Brands were selected in order to collect product pictures used in this study, with reference to Brand Yearbook. After selection of domestic and foreign brands, 840 pictures were collected from on-line shopping malls and websites of the fashion brands from October 2013 to July 2014. Based on the criteria of previous literature, the types of 840 pieces of domestic and foreign brands’ blouses were categorized into Shirt Blouse, Pullover-Shirt Blouse, T-shirt Blouse and Tunic Blouse, except three other types with limited data. As methods of data analysis, content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similarities of shirt blouses both in domestic and foreign brands are the use of square silhouette, plain pattern, stiff texture, shirt collar, set-in sleeves, and functional trimming. On the contrary, differences are identified; realistic pattern was used a lot in domestic while stylized or geometric pattern was most utilized in foreign brands. In the design elements of pullover-shirt blouse, similarities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brands are found in the use of square silhouette, plain pattern, soft texture, stand collar, round neckline, curved detail, and functional trimming. On the other hand, differences also were shown; while complex or realistic pattern was most utilized in domestic, geometric or artistic patterns was most utilized in overseas brands. In addition, unlike domestic, superficial detail is often used in foreign brands. In terms of T-shirt blouse, design elements of both domestic and foreign brands were composed of square silhouette, plain pattern, soft texture, round neckline, set-in or kimono sleeves, and superficial detail. However, domestic brands used complex pattern frequently, whereas foreign brands utilized geometric and realistic pattern a lot. Tunic blouses produced by domestic and foreign brands were common in triangle silhouette, soft texture, round neckline, set-in sleeves, superficial detail. On the contrary, differences were found in silhouette; square silhouette was identified a lot in local brands, while hourglass silhouette in foreign brands. Moreover complex or realistic pattern was most utilized in domestic, whereas plain and geometric patterns are most used in fore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