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성분 로지스틱 회귀분류법의 분류율 향상에 관한 연구

        金基浩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주성분 로지스틱 회귀분류법의 분류율 향상에 관한 연구 본 연구에서는 로지스틱 회귀분류법을 응용한 이항분류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로지스틱 회귀분류법 사용시 본래의 변수를 그대로 이용하 는 대신 이를 대표하는 주성분을 사용하되, 변수선택법에 의거하여 사용되 는 주성분을 자동으로 선정하도록 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우수성을 컴퓨터 모의실험 및 실제자료들을 이용하여 타 방법론들과 정량 적으로 평가 및 비교하였다.

      • 파랑후측에서 나타난 동해 파랑 기후의 선형 추세

        김기호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파랑기후의 변화는 연안 침식과 해안선 변화 등 연안 환경에 많은 영향을 준다. 최근 우리나라 동해안에 고파랑에 의한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고파랑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파고와 함께 연안 환경에 영향을 주는 파의 주기와 방향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WAN 파랑모형과 ERA-Interim 재분석 바람자료를 이용하여 40년(1979~2018) 기간의 파랑을 재현하였으며, 이를 통해 동해에서 풍속, SWH, PWP, PWD을 분석하였다. 유의파고와 첨두주기의 40년 장기평균은 북서쪽에서 남동쪽 해역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공간분포를 보이며, 이러한 공간분포는 겨울철 장기 평균과 상당히 유사하다. 이는 겨울 공간분포가 장기 공간분포에 크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첨두파향의 장기 평균은 강한 북서풍의 영향으로 동해 남동쪽 해역에서 북서계열의 파가 우세하며, 서쪽으로 갈수록 반시계방향으로 변화하여 우리나라 연안에서는 남동~북동계열파가 나타났다. 동해는 계절풍의 영향으로 계절별 풍향 변화가 크기 때문에 풍향에 크게 영향을 받는 파향 역시 뚜렷한 계절변동을 보인다. 하지만 동해 남서쪽 해역인 포항 연안에서는 북동~남동계열의 파가, 동해 남동쪽 해역인 일본 연안에서는 북서계열의 파가 연중 지속된다. 99 백분위수 유의파고와 첨두주기는 동일하게 동해 대부분의 영역에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특히 동해 남동쪽 해역에서 가장 크게 증가한다. 첨두주기와 99 백분위수 유의파고 월별 평균은 비슷한 공간분포를 보이지만, 선형추세는 다르게 나타난다. 풍속 추세에 영향을 크게 받아 99 백분위수 유의파고 추세는 시,공간 변화가 크게 나타나는 반면, 첨두주기는 8~10월 동해 북쪽 해역에서 감소를 제외하고 대부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 Changes in ocean wave climate influences the costal environments such as coastal erosion and coastline change.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about the high wave height, since high wave impacts on the east coast of Korea, recently. However, relatively few researches are investigated by the wave period and direction which affect the coastal environment with the wave heigh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wind speed, significant wave height (SWH), peak wave period (PWP), and peak wave direction (PWD) in the East Sea, using a 40 years (1979~2018) wave hindcast experiment conducted by using the SWAN wave model forced with the ECMWF reanalysis wind data. The long-term mean of the PWP and monthly-mean and 99th percentile SWH showed high value in the southeastern area, while low value in the northwestern area. This spatial distribution is considerably similar to that of December, which means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ecember significantly influences long-term mean. The prevailing of the long-term mean of PWD is northwesterly in the southeastern area and translate an anti-clockwise toward the east coast of Korea. In association with the apparent seasonally-varying wind data by the Asian monsoon, the long-term mean of wave properties shows obviously differ in seasons. Nevertheless, throughout the year, there are predominant from northeasterly to southeasterly waves in the southwestern area, and northwesterly waves in the southeastern area. The PWP and monthly-mean and 99th percentile SWH appear an increasing trend in most of the area, especially, in the southeastern basin show a noticeable increasing tre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monthly mean of the 99th percentile SWH and PWP show a similar pattern, while that of the linear trends appear differently. The trend of the 99th percentile SWH considerably alter in accordance with locations and seasons, while, the PWP tends to increase in most of the East Sea except the northern area from August to October.

      • 地下空間 在室者의 避難意識 및 特性 調査 硏究

        김기호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underground space is a closed space that is used by many people of all walks of life, when a fire or explosion breaks out, a large scale human loss can occur because instant sensing of their location and also sensing the direction of emergency exit is more difficult as compared to the surface level. In other words, underground space that has limited amount of possible evacuation path will lead to inappropriate evacuation during emergency and thus will have higher likelihood of causing large scale human loss. In order to minimize human loss in the underground living space during emergency situations, safety plan from the evacuees' point of view must first be established to essentially lower the evacuation dangers of the occupant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standards and systems to inspect evacuation safety of the underground space.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evacuation evaluation system that includes securing and evaluating evacuation safety by understanding evacuees' behaviors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during emergencies through on-site investigation of actual underground fire case and a full-scale evacuation experiment. To reiterat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rehensive fire prevention technology system that effectively reduces human loss during emergency situations in the underground living space by eliminating risk factors of evacuation.

      • EMP 위협으로부터 Ku 밴드 위성 통신 시스템 보호회로 개발

        김기호 경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Ku-Band 위성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새로운 도파관 구조의 대역통과 필터와 리미터를 제안하고자 한다. 주파수 선택성 표면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낮은 신호 레벨에 대해서는 대역 통과 필터로 동작을 하지만 –3dBm 보다 높은 신호 레벨에서 Schottky 다이오드가 동작하여 리미터로 동작을 한다. 설계된 구조는 HFSS를 사용하여 시물레이션 했으며, 실제 제작되었다. 제작된 회로는 0dBm 미만의 전력 신호에 대해서 –1.5dB 보다 뛰어난 삽입 손실 특성을 나타내며, 35dBm의 높은 전력 신호에 대해서 –35dB 보다 뛰어난 격리 특성을 보여준다. In this thesis, the new design of WR-75 waveguide band-pass limiter for Ku-Band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is studied. Based on a FSS(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the circuit functions as the band-pass filter at the low power level. Under the high power condition, above –3 dBm at 12.5GHz, however, the circuit works like a limiter when Schottky diodes are turned on. The structure has been simulated with HFSS and fabricated. Measurement results show the insertion loss better than –1.5 dB at the power level less than 0 dBm, isolation characteristics better than –35 dB at the power level of 35 dBm of the power level.

      • Comparison of food quality in dried persimmon(Diospyros kaki THUNB.) treated with medicinal plant extract and food additive : 약용식물 추출물 및 식품첨가제가 곶감 식품학적 품질비교

        김기호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직접 필드에 적용하기 위해 우선 선발자원과 추가로 선정한 식초, 자몽추출물 총 6종의 추출물에 대한 배합비를 설정하였고, 그 결과 우수한 활성을 가지는 천연 복합 활성제의 최종적인 혼합비는 정향 18.18%, 계피 9.90%, 감초 9.09%, 천궁 4.55%, 자몽종자출물 4.55% 및 사과 식초 54.54%임을 확인하였다. 대조구 및 처리구의 수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항갈변 실험과 항진균 실험, 항갈변/항진균 실험 모두에서 전체적으로 1주차에 비해 6주차에서 수분의 함량이 증가 하였으며 측정 주차별로 control이 처리구에 비해 수분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당도 변화에서는 건조가 진행 됨에 따라 전반적 곶감의 당도는 증가하였다. 항갈변/항진균 실험에서 30∼39°brix로 높은 당함량을 보였다. 경도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control과 처리구는 거의 비슷하였으며 6주뒤 평균적으로 0.5∼0.8정도 줄어들었다. 색도변화에서는 △E 값의 변화는 건조 기간 중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천연추출물은 곶감의 건조기간 중에 나타나는 품질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유해성 논란이 되고 있는 유황훈증법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