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독일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미각형용사 교육 방안 연구

        김기빈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A Study on Teaching Korean Taste Adjectives for German Speaking Learners Kim, Gibi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Th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aste is one of the human five senses. And taste word is the expression of feelings of taste words and any kind of language contains more or lees a certain amount of words, which express the senses of taste. Because of the same feeling, so different nations haver the same taste and taste words, and because of cultural differences, so that different ethnic and cultural meaning of the word given to taste differen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of what ar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 exact comprehension and use of the basic and extension meaning between Korean and German vocabularies {sweet}, {sour}, {salty}, {bitter}, {spicy} and {astringency}, and also know about how would it be used in daily life. Then help German Speaking learner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This thesis consists of 5 chapters. Chapter 1 described the purpose and need of the study, presented the direction of the study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taste adjectives and sensory adjectives, and discussed the contents and methods covered in this study. Chapter 2 present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Korean taste adjectives using the concepts and semantic change of taste adjectives. The implications were drawn through the importance of cultural factors in language education. Chapter 3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taste adjectives between Korean and German. In this chapter, the semantic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aste adjectives of Korean and German were compared. Also compared the factors of semantic extension appearing in taste adjectives of Korean and German. In Chapter 4, the Korean taste adjectives for educational purpose were selected using the pattern of semantic change for German speaking leaners based on the comparison made in Chapter 3. 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education for Korean using the taste adjectives were presented.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pattern of semantic change appearing in Korean and German for the purpose of teaching the meaning of Korean taste adjectives.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in a significant way, as the present study, in particular,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 in semantic change of Korean taste adjectives and presented the teaching methods of the meaning of Korean taste adjectives by extending its scope to the comparative study with German, which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Korea in terms of culture and language. Eine Studie zum Lehren koreanischer Geschmacksadjektive für deutschsprachige Lernende Kim, Gibi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Th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Zusammenfassung Der Geschmack ist einer der fünf menschlichen Sinne. Und Geschmackswort ist Ausdruck von Gefühlswünschen, und jede Art von Sprache enthält mehr oder eine bestimmte Menge an Wörtern, die die Geschmackssinne ausdrücken. Aufgrund des gleichen Gefühls haben so unterschiedliche Nationen dieselben Geschmacks- und Geschmackswörter und wegen kultureller Unterschiede, so dass unterschiedliche ethnische und kulturelle Bedeutung des Wortes anders geschmeckt werden. Der Zweck dieser Arbeit ist es, zu untersuchen, welche Unterschiede und Gemeinsamkeiten im genauen Verständnis und in der Verwendung der Grund- und Erweiterungsbedeutung zwischen koreanischen und deutschen Vokabeln(süß, sauer, salzig, bitter, scharf und herb) bestehen und wissen auch, wie sie im täglichen Leben eingesetzt werden würde. Dann helfen Sie den deutschsprachigen Lernenden durch die vergleichende Analyse. Aufbau und Inhalt von dieser Arbeit sind wie folgt. Diese Arbeit besteht aus 5 Kapiteln. Kapitel 1 beschrieb den Zweck und die Notwendigkeit der Studie, stellte die Richtung der Studie dar, indem sie frühere Studien zu Geschmacks- und sensorischen Adjektiven durchging und die in dieser Studie behandelten Inhalte und Methoden erörterte. Kapitel 2 präsentierte die pädagogischen Implikationen koreanischer Geschmacksadjektive anhand der Konzepte und semantischen Geschmacksadjektiven. Die Implikationen wurden durch die Bedeutung kultureller Faktoren für den Sprachunterricht gezogen. In Kapitel 3 wurden die Merkmale der Geschmacksadjektive zwischen Koreanisch und Deutsch verglichen. In diesem Kapitel wurden die semantischen und morphologischen Merkmale der Geschmacksadjektive von Koreanisch und Deutsch verglichen. Verglichen wurden auch die Faktoren der semantischen Erweiterung, die in Geschmacksadjektiven von Koreanisch und Deutsch vorkommen. In Kapitel 4 befanden sich die koreanischen Geschmacksadjektive zu Bildungszwecken ausgewählt nach dem Muster des semantischen Wandels für deutschsprachige Leaner auf der Grundlage des in Kapitel 3 durchgeführten Vergleichs. Darüber hinaus wurden die Komponenten der koreanischen Schulung anhand der Geschmacksadjektive vorgestellt. Die vorliegende Studie konzentrierte sich auf die Unterschiede im Muster des semantischen Wandels in Koreanisch und Deutsch, um die Bedeutung koreanischer Geschmacksadjektive zu vermitteln. Diese Studie unterscheidet sich in bedeutender Weise von früheren Studien, da insbesondere die vorliegende Studie die Merkmale des Musters beim semantischen Wandel koreanischer Geschmacksadjektive zusammenfasste und die Lehrmethoden für die Bedeutung koreanischer Geschmacksadjektive präsentierte vergleichende Studie mit Deutsch, die sich in Kultur und Sprache deutlich von Korea unterscheidet. 독일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미각형용사 교육 방안 연구 김기빈 부산대학교 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요약 본 논문의 목표는 한국어와 독일어 미각형용사인 ‘달다, 짜다, 시다, 쓰다, 맵다, 떫다’의 기본 의미를 비교⦁대조하고 더 나아가 비유적 의미를 비교⦁분석하여 독일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비유적 의미의 한국어 미각형용사를 효과적인 방법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미각형용사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우선 미각형용사의 개념 과 교육적 의의를 알아보았다. 또한 미각형용사의 특징을 기술하기 전에 한국어와 독일어의 형용사의 개념과 특징을 알아보고 형용사 중에서도 미각형용사가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와 독일어의 미각형용사를 대조하였다. 한국어 미각형용사와 독일어 미각형용사의 형태적 측면을 먼저 살펴보았다. 한국어와 독일어는 기본적으로 그 뿌리가 서로 다른 만큼 독일어 형용사는 한국어 형용사가 가지고 있는 형태적인 특성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는 전제에서 그 특성을 살펴본 다음 두 언어의 미각형용사의 형태적으로 비교⦁대조 하였다. 한국어 미각형용사 ‘달다, 시다, 짜다, 쓰다, 맵다, 떫다’에 대응되는 독일어 미각형용사를 제시하였으며, 의미적으로 한국어와 독일어 미각형용사의 기본 의미를 제시하고 대조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기본 의미에 그치지 않고 비유적 의미 즉, 의미가 전이 되어 공감각적 전이를 표와 예문으로 제시하였다. 앞서 제시한 형태적, 의미적, 그 안에서의 기본 의미와 비유적 의미를 토대로 형태 및 의미를 대조 분석하여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기술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알아본 한국어와 독일어의 미각형용사의 특징들을 가지고 독일어에는 없는 한국어 미각형용사의 비유적 의미 즉, 의미 전이가 된 2차적 의미를 가지는 한국어 미각형용사를 교육용 미각형용사 목록을 먼저 제시했다. 그 후 이 교육용 미각형용사 목록에 있는 미각형용사를 어떻게 교육 할 것인가에 대해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고 거기에 따른 기본 의미 교육 방안과 비유적 의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국인 학습자들과 일본인 학습자들에 비해 독일어권 학습자들은 많지는 않지만 확실히 다른 문화권이기 때문에 다른 교육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독일어의 미각형용사를 올바르게 알아보고 어떠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는지에 대해 간결하게 제시하여 독일어권 학습자는 한국어에서 어떠한 미각형용사를 어려워하며 독일어권 학습자의 모국어에 없는 미각형용사의 비유적 의미를 이해시키기 위한 교육 방안에 초점을 두었다.

      • 아크 용접한 클래드(A4045/A3003) 알루미늄 합금의 기계적 성질과 미세조직에 관한 연구

        김기빈 순천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work was aimed to examine the variation of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lad(A4045/A3003) Al alloy sheet by tungsten arc welding. Tensile strength was affected by the weld-line direction. The heat affected zone(HAZ) was softened and failed during tensile test. The hardness of HAZ was lower than that of base metal, since the heat input relieved the work hardening effect and grain growth. Hardness distribution near the weld zone represented a similar value of the metal, on the other hand HAZ decreased remarkably. The microstructure of clad layer in welds was formed columner grains and dendrite contain of A3003 fuzed Si of A4045. Key words: TIG welding, Clad(A4045/A3003) Al alloy, HAZ, Work hardening

      • 한국과 미국 postmodernism의 비교 연구

        김기빈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한국과 미국 두 나라에 있어서의 포스트모더니즘의 발생, 개념 등 제 경향을 알아보고, 작품을 통하여 전개과정과 주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특성을 좀 더 자세히 규명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미술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건축, 문화, 예술 전반에 걸친 사상적이고 정신적인 흐름이다. 세월이 변화함에 따라 미술도 변화하고 있다. 오늘날 미술계에서는 모더니즘의 대안적 위치로서 확고히 하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회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한 연구는, 그 개념의 모호성으로 인해 방법론과 체계 등의 일반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아직도 전반적인 파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발생은 제2차 세계대전 직후 팽배했던 희망과 낙관주의가 절망과 비관주의로 바뀌기 시작하고, 미국 국내외의 크고 작은 문제들이 사회와 경제 전반에 중요변수로 작용하면서 부터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의 어떤 견해를 부정하거나 비판한다. 60년대는 고급 모더니즘과의 결합을 뿌리치면서 유럽 아방가르드를 소생시키려 했으며, 70년대에는 절충주의 출현과 모더니즘 자체의 와해를 실현시키는 예술적 책략의 광범위한 확산과 유포를 들 수 있고, 후반에는 초자연적인 새로운 역사주의, 원시주의, 표현주의 등이 비합리적으로 수용된다. 80년대에는 동시적인 미술운동이 즐비하게 도열되는 시기로서 과거의 것을 오늘날의 감각으로 해석하여 환원시키는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한국의 미술 상황에서 볼 때 포스트모더니즘은 1970년대 두드러지게 분출되었던 형식주의 논리와 소수 엘리트에 의한 평면의 절대화 등 모더니즘에 대한 비판의 의미가 나타나기 시작하고, 80년대에 들어서면서 새로운 변화를 갈망하던 젊은 세대들에 의해 반모더니즘의 비평적 대안으로서 포스트모더니즘 논의가 활발해진다. 처음에는 모더니즘 미술형식에 대한 반형식에서 비롯하여 인간성 형성을 회복시키려 했으며 방법론이 다각도에서 강구되면서 구상의 내용이 풍부해진다. 80년대 중반부터는 대중유통 구조의 엄청난 변화와 뉴 미디어의 출현, 소비문화의 확산 등으로 기본의 리얼리티가 이미지 중심으로 바뀌게 되고, 최근에는 더욱 포괄적인 문제에 직면하면서 이를 검증하기 시작한다. 우리 사회가 민주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다양성, 열린 시각, 해방감 따위를 경험하기를 원했고, 우리 미술을 좀더 자유주의적인 문법 속에서 계측하고자 하고 있다. 혹자는 한국의 포스트모더니즘은 개념만 있고 스타일은 없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질적인 문화배경에서 자란 포스트모더니즘이 우리 문화에 완전히 융화되어 발전되기에는 많은 시간과 어려움이 따를 것이다. 현재 미국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일반적 특성인 대중성과 상업성 그리고 난해한 이론 등을 배격하는 탈포스트모더니즘적인 작품이 성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설치미술, 행위예술 등과 같이 상품화 할 수 없는 미술활동이 많아지고 자연과 환경, 인간 등을 다룸으로써 물질문명에 대한 회의를 나타내고 있다. 한국에 포스트모더니즘이 수용되어 채 검증이 되기도 전에 이 새로운 사조는 우리 미술계에 수용되어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문화가 유기적이기 위해서는 생성과 소멸이 있기 마련이다. 우리 민족의 원형을 구현하고, 시대상황이 필요로 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먼저 외래의 예술사조를 아무런 저항이나 비판없이 차용해서도 안되겠으며, 수용된 제 사조들을 체계적으로 이론화하고, 주체적인 측면에서 한국인의 개성과 감각, 시대에 맞게 발전시켜야 할 책무가 우리에게 있는 것이다.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search for the start and idea of postmodernism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is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painting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heme and development through the works. Postmodernism is a mental and ideological flow as well as a part of art. Art has changed as this world has changed with time passing by. Nowadays there is an active study on postmodernism which takes the place of modernism. But the study on postmodernism, due to vagueness of the idea, has difficulty in generalizing the system and methodology in it. The sprout of postmodernism was seen when hope and optimistic view which filled the world after World War II started to be changed into despair and pessimism, and issues in America, both inside and outside, played an important role as variables in economy and in society. Postmodernism denies any view of modernism. In the 1960s, it tried to revive the European Avangard, at the same time it refused the combination of high(quality) modernism. In the early 1970s, there was the spread of artistic tactics which carried out breakdown of modernism. In the late 1970s, supernatural new historicism, primitivism, impressionism were accepted illogically. Efforts which alter the works of the past by using sense of today appeared remarkably in the 1980s, the time when simultaneous art movement was revealed. In the light of art in Korea, criticism toward modernism started to appear, especially toward both formalism which noticeably sprang out in the 1970s and absoluteness of a plane by a few elites. With beginning of the 1980s, there is active debate on postmodernism. by younger generation who wanted new change. In the first place, it started with antiform against artform of modernism, and then tried to revive the humanity; and after that, it had got rich in contents in many aspects. In the mid. 1980s, established reality has changed to image-centered, by great change of the mass distribution structure and emergence of consumption. It has been conformed as it faced more inclusive matter. As our society has changed more matured democratic society, we have wanted to experience diversity, wide and open view, feeling of liberation, and we have wanted to measure our art with more liberal grammar. Some people argue that there is only concept, no style in Korean postmodernism. It may take lots of time and difficulty before postmodernism grown in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can completely harmonize with and is developed in Korean culture. Now, in America, a kind of antipostmodernism works are flourishing which rejec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pursuing, popularity, commercialism and complexing theory. For example, more works of art which cannot be produced as commercial scale like performance come to appear, and more works which show doubt for materialism come to show up by dealing with nature, environment and human beings. This new trend is being accepted and is flourishing vigorously in Korean art world even before postmodernism is completely accepted and verified. There is birth and extinction for culture to be organic. To realize the Korean prototype, and to go forward to direction needed by the situation of this time, we should not accept foreign culture or art trend without criticism or resistance. And we have the responsibility to systematically theorize the accepted trends and to subjectively and properly develop those trend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senses and situation of Korea.

      • 프로덕션디자인의 사회적 함의 : 영화 <도가니>의 분석을 중심으로

        김기빈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re is no denying that mass communi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social communication. The role of film in society has gone way beyond just a pleasant feature. Film has become a powerful vehicle for reenacting history, conveying the messages from directors, touching a diverse audience all deeply, and causing a great sensation in society. This study explores how a piece of film changes systems and investigates the factors that produce the social implications characterized by narrative and production design. Narrative and production design create a great sensation on human emotions and also, they are public momentum for causing social implications. with this in mind, I chose a recent faction film <Silenced>, which achieved its function to expose deep-rooted and far-reaching social injustice about corporal and sexual abuse in a Korean school for the deaf. Based on the 2009 nobel "Dogani" by Gong Jee-Young, Silenced dramatically depicts the messages and ideas and causes public indignation. I explore the role of production design and determine the components of production design that sparked a public sensational stir. Faction is a hybrid genre; faction movies are part of a sociocultural genre that represents the social subconscious, driven by the fictional imagination that is based on historical facts. Faction movies are affected by postmodernism and characterized by the convergence of various disciplines and the defiance of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fantasy. One of the reasons faction films have been a great success is that the film tends to intentionally shaken historical truth and dramatical imagination and make people live the very moment depicted in the movie. The cause of the social syndrome generated by factional movies should be interpreted within a sociocultural context to explain why past events are recalled in the present. The success of the faction genre in the Korean film industry during the 2000s was translated into widespread distrust in authority figures and the perception that truth is hidden behind the distortions of modern history portrayed in the form of movies. The film is mainly about the violence perpetrated toward children and an expose of a real-life case of rampant sexual abuse of deaf children by one school's authority. However, what this film was trying to say is that we live in a time when power outweighs logic. Also, power will be always tolerated in this society. In particular, the movie Silenced provoked social interest and public curiosity with its portrayal of the trials of child sexual abusers in the 2000s, which resulted in lenient sentences for offenders. This film demonstrates the influence of these types of films. They can affect audiences with hopeful messages that state that reality can be transformed by the truth. This study focuses on two important points: First,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ilenced, which is based on facts,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xtual elements in the “narrative” and the formative attributes of its production design. Second, this study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ie’s production design and evaluates the intended social implications. <Silenced> is a hybrid film that combines the genres of narrative thriller and mystery. To create a dramatic story structure, the plot employs a flashback sequence based on a non-chronological narrative method. The production design of the characters relies on the narrative method. It demonstrates the process of stabilization and healing of the characters (who are disabled children) by the use of changes in the colors of the makeup and textile designs of the costumes throughout the movie. Although the film set, in general, is a realistic depiction of the real world, the spatio-temporal changes are visualized during flashback scenes in which the school’s reality is depicted as an “enclosed” space structured by expressions of color, lighting effects, and camera angles. Overall, this film demonstrates the differences in the representation of production design in faction movies that unify audiences by the use of visual effects techniques that hope to create emotional impact. With respect to faction movies that represent the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imagination inherent in social issues, it is important to examine how the story is narrated and how the discourse is revealed by the production design. It is crucial to analyze the formal aspects of image and structure, but it is equally important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social relevance on the production design process. 영화매체의 사회적 소통역할이 커져 가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이제 영화는 단순한 볼거리 위주의 대중문화의 역할을 넘어서 과거의 사건을 재현하는데 그치지 않고, 작가와 감독의 메시지를 담아 목소리를 표현하고, 관객의 마음을 움직여 사회에 전반적으로 반향을 일으킨다. 본 연구는 어떻게 영화 한 편이 제도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었는지 영화의 ‘서사’와 ‘프로덕션디자인’의 특징적 요소를 통하여 규명하는 것이다. 이는 ‘서사’와 ‘프로덕션디자인’이 관객의 정서를 자극하고, 사회적 함의 도출의 동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에 분석대상으로 최근에 개봉하여 성폭행과 비리를 고발해 사회적 파장을 일으킨 팩션영화 <도가니>(2011)를 선정하였다. 영화 <도가니>에서 실화소재의 충격적인 사건을 영화화하며 메시지를 극적이게 전달하는 동시에 관객으로 하여금 감정적인 변화, 즉 ‘공분’을 일으키게 한 ‘프로덕션디자인’의 역할을 살펴보고 감정적 극대화를 일으킨 요인을 프로덕션디자인의 구성요소에서 찾고자 한다. 현실과 가상의 경계지양과 각종 분야의 융합으로 특징되는 포스트모던의 영향을 받은 ‘팩션’은 일종의 혼종장르이며, ‘팩션영화’는 역사적 사실을 근거로 허구적 상상력을 통해 사회적 무의식을 대변하는 사회문화적 장르를 말한다. 팩션영화가 성공한 이유 가운데 하나는, 역사적 사실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영화 속에 그려진 역사적 사실과 허구적 상상력을 관객들이 의도적으로 혼동하면서 감정적 몰입을 하게 만든다는 데 있다. 중요한 것은, 팩션영화가 사회적 신드룸을 불러일으키는 원인을 왜, 현재의 시점에서 과거의 사건을 불러오는 가에 대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해석해야 한다는 것이다. 2000년대 한국영화계에 나타난 팩션장르의 성공은 진실이 차단된 왜곡된 근현대사를 거친 우리에게 진실이 숨겨져있다는 인식과 권력에 대한 불신이 팽배한 상황이 영화로 표출된 현실에서 찾을 수 있다. 영화가 보여주는 것은 어린 장애아들에 대한 성폭행이지만 근본적으로 힘의 논리가 지배하는 권력에서 비롯되고 용인된다는 점에서 우리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특히, <도가니>는 낮은 형량과 재판결과를 통해 2000년대 아동성폭력 사건을 연상시키기에 사회적 관심과 공분을 가중시켰고, 결과적으로는 진실된 마음이 현실을 바꿀 수 있다는 희망의 메지시를 던지며, 관객들의 마음을 움직이고, 영화의 힘을 보여주기에 충분했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Fact’를 소재로 한 팩션영화 <도가니>의 구조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서사’의 내용적 특징과 ‘프로덕션디자인’의 조형적 특징이 어떻게 재현되는지 알아보고 둘째, 영화에 드러난 프로덕션디자인적 특징을 통하여 어떠한 사회적 함의를 드러내려고 했는가 연구하는데 있다. 영화 <도가니>는 스릴러 서사장르의 특성과 미스터리물의 특징이 결합되어있으며, 극적 이야기 구조를 만들기 위해 플롯을 비연대기적 서사방식으로 변형하여 플래시백으로 재구성한다. 캐릭터의 프로덕션디자인은 서사도식에 따라 장애아들이 고통에서 완화되고 안정되어가는 상태를 캐릭터의 의상 칼라와 패턴, 분장으로 변화된 과정을 보여준다. 세트는 현실사회를 주로 외부적 공간에서 사실적으로 묘사한 반면, 학원의 실체가 폭로되는 ‘플래시백’에서는 ‘폐쇄’된 내부적 공간을 색채, 조명, 카메라의 표현주의적 화면구성과 주간적 시점으로 시공간의 변화과정을 시각화하였다. 전반적으로 감정몰입을 위한 영상표현기법으로 관객을 동일화시키며 팩션영화에서 프로덕션디자인의 표현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사회적 이슈를 소재로 한 팩션영화를 설명하는데 있어 스토리는 ‘서사’로, 담화는 ‘프로덕션디자인’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의미 있는 일이었다. 서로 아이덴티티를 구성함과 동시에 사회적 함의의 소통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미지나 구조의 형식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성에 연관된 의미들을 연구하고 프로덕션디자인에 접근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