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이 구급대원 허리에 미치는 효과

        김근희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19 구급대원의 근 골격 질환자 에게 테이핑을 이용하여 실제 작업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환자 이송 시 구급대원들의 근 골격계 질환 예방 및 관리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연구목적 : 본 연구는 119 구급대원의 근골격 질환자에게 테이핑을 이용하여 실제 구급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환자 이송 시 구급대원들의 허리통증과 신전 근력 요부의 관절범위 및 근 활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측정하여 근 골격계 질환 예방과 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J시 소방본부 산하 3개 소방서 구조구급과를 방문하여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한 후 동의를 구하여 2016년 10월 1일부터 2016년 10월 7일까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배포한 설문지는 20부로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부실한 3부를 제외하고 15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용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비모수 통계(월콕슨 부소순위 검정:대응 t-표본 검정의 비모수 통계법 )처리 하였다. 1. 주관적 통증 평가 (VAS) 본 연구를 통하여 구급대원들의 들것 실험 시 요통에 관련된 테이핑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측정된 VAS의 평가 점수는 테이핑의 중재 전 1.67±0.62에서 테이핑 중재 후 0.80±0.68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2.배근력 근력 관련 실험인 배근력에서는 테이핑 중재 전 133.10kg±26.22kg에서 테이핑 중재 후 141.60kg±24.81kg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3.좌·전굴 관절가동범위의 실험인 좌전굴의 결과 테이핑 중재 전 14.62cm±4.89에서 중재 후 16.41cm±4.11cm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났다(p<0.05). 4.근 활성도 구급대원들의 근육의 활성도 비교에서 ES(척추 기립근)에서는 유의하게 근활성도의 감소를 나타냈다 . 결론 : 본 연구는 급성 통증과 요추부 관절 가동 범위의 장애가 심한 경우, 과거허리 수술 경험이 없는 119구급대원을 대상으로 테이핑 전,후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척추기립근은 근활성도 감소, 외복사근은, 근활성도의 증가는 들것 동작 시 복부 근육의 이환을 예방하고 이들 근육에 대한 근력강화의 효과라고 할 수 있다 . 중심단어 : 119 구급대원, 요통, 테이핑.

      • Maurice Ravel(1875-1937)의 ‘Miroirs’(거울) 중 제 4곡 “Alborada del gracioso(어릿광대의 아침노래)” 에 대한 작품분석 연구

        김근희 평택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the auther looked into impressionism and Maurice Ravel’s creative musical expressions mainly with Alborada del Gracioso, the fourth piece of Miroirs. Before Ravel participated to the Grand Prix de Rome, He had used impressionistic musical language style more often since 1905, he showed his creative musical xpressions especially in his piano works by mixing tonality and modality, effectively using unresolved harmony of VII and IX, exotic elements-especially Spanish dance music, neo-classicism, and Jazz. This work can be divided in 3parts (fast-slow-fast) like a Sonata movements. On top of traditional classicism it added clown’s jocularity and the flavor of impressionism. Through the melody, harmony, form and rhythm we can see Ravel’s musical characteristics of composing style. In melody, he added ambiguous and mysterious color with pentatonic scale and diatonic scale, and showed various modes. Also, he used drastic change of dynamics on Arpeggio, Tremolo, Glissando. Ravel, in this work, is mainly using high compass, especially he skillfully describes splendid, dazzling tone-color of his on the igher register. In harmony, by using VII, IX harmony, he expresses bundant sound. Thus we can often see dissonances of II choards. And, in the Parallel chords of IV and VIII frequently that leads uncertainty of tonality, he showed the aspect of mpressionism and tries to broaden the traditional harmonic progress. Especially, omitted the third and fifth note harmony adds the ambiguity of tonality more. This work is in 3 part form(A-B-A') such as classic onata. part B is similar to the slow movement of sonata and A' is cadenza like of A variation. Ravel adhered rhythm and repeating melodies in 2:3, 4:3 rhythm, syncopation, divided rhythm and Spanish rhythm etc. Through 'Alborada del Gracioso' Ravel showed his musical creativeness and compositional ability in traditional and mpressionistic music.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외식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사회적 지원이 가맹점주의 회복탄력성과 사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근희 영산대학교 관광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는 많은 자영업자들의 폐업에 영향을 미쳤다. 독립점포와 프랜차이즈 점포를 막론하고 외식업의 대규모 폐업 상황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가맹점 사업자들이 힘든 상황속에서도 그들의 사업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가맹점이 어떻게 살아남고, 가맹본부가 어떤 지원을 했는지를 규명하는 선행연구는 상당히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는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사회적 지원이 가맹점 사업자의 회복탄력성과 사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므로써, 코로나19 사태를 극복하기 위한 외식 프랜차이즈 시스템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지를 활용하여 코로나19 대유행 기간에도 사업을 유지하고 있는 프랜차이즈 가맹점 사업자로부터 168개의 유효한 데이터를 확보했다. 이론적 모델을 실증적으로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가맹본부의 사회적 지원은 정서적, 정보적, 평가적, 물리적 지원 등 4가지로 구성되었다. 둘째,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정서적 지원은 가맹점 사업자의 사업지속의도에 직접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서적 지원은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정보적 지원은 가맹점 사업자의 회복탄력성과 사업지속의도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평가적 지원은 가맹점 사업자의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은 그들의 사업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물리적 지원은 가맹점 사업자의 사업지속의도에 직접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회복탄력성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중요한 발견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본 연구의 결과가 의미하는 이론적 공헌도와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가 제공하는 시사점은 코로나19로 인한 대유행 기간에도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와 가맹점 사업자 간의 상생 관계에 초점을 맞춘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Social distancing due to COVID-19 has affected the closure of many self-employed people. Despite the mass closure situation in the restaurant business, regardless of independent stores and franchisees, many franchisees still maintain their business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literature on how existing franchisees survive and what franchisors support them.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developing a restaurant franchise system to overcome the COVID-19 situation by analyzing the effect of restaurant franchisors’ social support on the franchisees’ resilience and the intention to retain their business. Using the online questionniare, one hundred sixty-eight valid data was obtained from the franchisees who were maintain their business even in the COVID-19 pandemic period. The theoretical model was empirically examined,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Franchisor’s social support consists of four construct such as emotional, informational, evaluational, and physical supports. (2) Restaurant franchisors’ emotional support to their franchisees has a direct and positive influence on franchisees’ intention to retain business. However, emotional suppor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resilience. (3) Restaurant franchisors’ informational support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both franchisees’ resilience and intention to retain business. (4) Restaurant franchisors’ evaluational support positively influences franchisees’ resilience resulting in their intention to retain business. (5) Restaurant franchisor’s physical support directly and positively affects franchisees’ intention to retain the business but doe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ir resilience. Based on these significant findings, this research discusses the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managerial suggestions. The implications that this study provides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the franchise system, which focuses on symbiotic relationships between a franchisor and franchisees even in the pandemic period.

      •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제도가 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근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designed to understand how the ‘Apprenticeship System’ affects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ind out whether the system is effective and suggest what can be improved. The study selected two classes, one apprenticeship class and one general class, and compared the students’ self-efficacy level of each class. Also, within the apprenticeship class, it found how different variables and options of apprenticeship system affected the student self-efficacy level. Th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e self-efficacy level of students in the apprenticeship class had been largely improved, compared to that of students in the general class. This shows the system would help students make a career decision. Among five sub-sections to measure the student self-efficacy, the biggest gap of self-efficacy between two classes appeared in the problem-solving section. Second, the study analysed the results of the pre-survey and post-survey while considering the traits of students. In the ‘setting goals’ sub-section of the post-survey, male students have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than female students. This suggest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successful cases of female machinery technicians to female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ost-surve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at marked by their economic conditions. Thus, despite economic conditions, the apprenticeship system has positive impact on the student self-efficacy. Academic performances did not have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self-efficacy, except for the ‘future plan’ section, meaning students understand what kind of career they want regardless of their academic performances. Regarding how much students felt satisfied with the companies they worked, the students with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showed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than those who felt less satisfied and who felt dissatisfied. About the fields that students had participated in, the students in metalworking field showed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than those in mechanical(cutting) process field when making a career decision. When the students were asked whether to choose the same field for career that they had experienced in apprentice system, the self-efficacy level of students willing to keep pursuing a career in the same field had risen most, compared to students unwilling to do so. Third, the study compared how three different options of Apprenticeship system (weekly part time, weekly + intensive time or intensive time) can affect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y conducting both pre-survey and post-survey. In terms of how much level of self-efficacy had increased, a group of students having chosen ‘weekly part time’ showed the sharpest increase in level of self-efficacy among three groups. So, it can be said the weekly part time option would be more effective to improve the level of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정시한의 심성론 연구

        김근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퇴계학파로 분류되는 정시한 이론의 성격에 대해서는 그동안 상반된 두 의견이 제시되었다. 하나는 정시한이 이황을 중심으로 이이의 견해를 일부 수용하여 양 쪽을 종합했다는 주장이고, 다른 하나는 정시한이 이황의 이론을 충실히 계승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본 고에서 살펴본 바에 따르면 정시한은 사단칠정론에 대한 이황의 이중적 관점인 하나로 통틀어 보는 가운데 구분해 보아야 한다는 견해의 입장에서 그의 마음 이론을 전개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정시한의 이기론은 이황의 호발설이라는 형식을 끌고 가면서도 결국 리주기보(理主氣輔)라는 명제로 리와 기 사이에 주종관계를 확립함으로써 실질적으로는 리발일로의 성격을 갖게 된다. 이러한 정시한의 리기에 대한 관점은 리를 중시하는 이황 철학의 성격을 계승하면서 이를 더욱 강화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정시한은 사단칠정을 구분해 보면서도 통틀어보는 이황의 이론을 이어받는 한편, 이를 마음상의 논의인 인심도심에 적용해 발전시킨다. 이황은 도덕적 실천의 단서로서 본성에서 드러난 선한 감정인 사단에 주목했다면, 정시한은 도덕적 실천을 위한 실질적인 공부는 결국 본성과 감정을 거느리는 마음에서 이루어진다는데 주목한다. 정시한은 주희가 「중용장구서」에서 설명한 ‘정밀하게 하고 한결같이 하는 공부’는 드러나는 마음에서 하는 것이라고 하며, 인심도심의 마음을 중심축으로 그의 이론을 정립한다. 이에 따라, 정시한은 혼륜한 한 마음에서 사단칠정과 인심도심을 구분해서도 보고 하나로 합하여도 보아야 한다는 주장을 전개한다. 이황은 사단칠정의 감정을 하나로 보는 것에서 그쳤다면, 정시한은 여기서 더 나아가 혼륜한 한 마음에서 본성이 그대로 드러나면 인심도심도 하나라고 설명한다. 이러한 정시한의 주장은 실질적으로 리발을 의미하는 이황의 사단칠정론을 인심도심의 마음에 적용하여 리일원적인 마음의 구조를 명확히 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감정에서 마음으로 초점이 옮겨진 정시한의 마음 이론은 곧 드러나는 마음의 기미에서 살필 것을 강조하는 이발의 성찰 공부로 연결된다. 이 기미를 살피는 공부란 본성의 리가 드러난 사단·도심인지 형기에서 생겨난 칠정·인심인지를 구별하고, 사단을 확충하고 칠정을 절제하며, 도심으로써 인심을 주재하여 인심이 도심의 명령을 듣게 하는 것이다.

      • 한국인 정상 노인층의 음성장애지수 및 삼킴장애지수

        김근희 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의료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Larynx plays an important role in phonation and protection of respiratory tract during swallowing. The reduced anatomical and physiological function in elevation of larynx and glottis closure can cause the problem in voice and swallow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Korean version of handicap index of voice and dysphagia in Korean eldery. Therefore, 60 normal Korean elderly ranged from 65 to 95 and 20 normal Korean young adults aged from 20 to 25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comparing total(T), physical (P), functional (F), and Emotional(E) index scores between two groups as well as among sub groups (60s, 70s, 80s) in elderly. In addition, relationship between total voice handicap index(VHI) and laryngeal diadochokinesis(L-DDK) was observed. For swallowing, total and sub dysphagia handicap index (DHI) scores, voice quality during /a/phonation following swallowing (saliva and water), intensity of coughing, and L-DDK. The results showed that functional(P), physical(P), emotional(E) scores as well as total(T) sco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young adults and old adults for both VHI and DHI. Old adult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voice handicap index and dysphagia handicap index,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voice handicap index and L-DDK(r=-.60). Also,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otal DHI score and intensity of coughing(r=-.51) as well as L-DDK(r=-.70). This findings suggest that the slow coordination of larynx during phonation and swallowing and reduced intensity of coughing affects the phonation and swallowing. Thus, recently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dysphagia handicap index is useful in evaluating the swallowing disorders in elderly.

      • 초등학교 재량활동 운영의 지역·규모별 차이 연구

        김근희 창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mote teachers’ understanding of discretional activities and to contribute to more efficient discretional activities. It investigated into and analyzed how schools are arranging education activities, in which the goal, contents and assessment methods are thoroughly decided and managed by an individual school according to its own need and requirement. It additionally analyzed the difference of arrangement and management of activities upon region and size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research. This research randomly chose 28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sangnam?do, and conducted survey on class teachers with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22 questions, including 9 questions about arrangement, 9 questions about management and 4 questions about assessment. Collecting all answered questionnaire, this research analyzed the data based on SPSS program. It calculated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conducted f?test to find out the difference among groups. Considering the result deduced from aforementioned analysis, the improvement plans which can contribute to efficient management of creative discretional activities are as follows. First, discretional activities ne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 and school, and requests of teachers,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 school needs to appoint its own unique realm, develop excellent training program within the subject and wield autonomy and flexibility in order to manage the programs elastically.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it is required to develop and offer various programs, which can be applied to diverse schools regardless of the region and the size. Second, discretional activities should focus on learners’ level and goal for each stage in order to realize user? and learner?oriented curriculum of discretional activities. The schools need to avoid repeating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and reflect requirements of regional community, school and students, in order to attain primary goal of discretiona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s. Regarding the results, this research implies that schools in the suburb or small community has relatively less factors to consider compared to the ones located in bigger cities, since they are more likely to adapt extensive programs. Hence, the curriculum of learner?oriented discretional activities can be carried out through reduction of classes per teacher, lightening of teachers’ works and lessening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Third, discretional activities should be flexible and elastic curriculum based on diverse managements, including constant, concentrated or decentralized execution, considering interrelation and consistency between academic years, change of season and conditions of each school. When the schedule of discretional activities is fixed due to the size of school or conditions of regional community, creative discretional activities focusing on outdoor activities are unlikely to be carried out. More than anything else, the activity time should not be exploited as the one for school events or complementary classes. Next, it requires an institution for development, share and offer of various programs through sufficient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The teachers in suburb schools have difficulty in inviting regional celebrities in particular, so each regional in?service training institute needs to establish programs offering experiential and creative discretional activities training to the teachers teaching in small schools the suburb. Additionally, conducting contests of discretional activities and putting up the cases and relevant menu in the homepage of the office of education will enhance share and offer of the programs, increase development of various practical programs and help teachers to use of them more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Fifth, assessment of creative discretional activities should contain efficient evaluation of definitive areas, including participation, execution demeanor and application will. Thus, it need to avoid existing assessment focusing on cognitive areas, which only lays weights on results of the students as well as shortage of the time, and make efforts to make the best of the original goal of discretional activities, i.e. selfdirected learning. 본 연구는 7차 교육과정에서 단위학교의 교육적인 필요와 요구에 따라 교육의 목표와 내용, 방법, 평가에 관한 일체의 사항을 단위 학교가 결정· 운영하는 교육활동이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편성·운영 되고 있는지 그 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편성과 운영상에서 나타나는 지역, 규모별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재량활동에 대한 교사의 이해를 촉진시키고 효율적인 재량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경남지역 초등학교 28개교를 임의 표집하여 당해 학교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재량활동의 편성(9문항), 운영(9문항), 평가(4문항)의 3분야 22문항을 구성하여 각 설문 문항에 대한 수집된 자료 220부를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기법으로는 변인별로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F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과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창의적 재량활동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량활동은 지역과 학교의 특성, 교사, 학생, 학부모의 희망과 요구를 최대한 고려하여 편성해야 한다. 학교 나름의 특색 있는 활동 영역을 선정하고, 그에 따른 우수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학교의 자율성과 융통성을 최대한 발휘하여 탄력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가 소재한 지역 및 규모별로 활용 가능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수요자 중심, 학습자 중심의 재량활동 교육과정 편성을 위해서는 누구보다 학습자 중심의 수준별, 단계별 조직 등을 고려하여 구성하여야 한다. 초등학교에서 재량활동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그대로 전달하는 것이 아닌 학교와 지역 사회의 요구와 학생의 요구까지 수용하여야 한다. 본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농어촌 소재 학교 또는 소규모 학교들이 수용의 폭이 넓다는 것은 중소도시나 대도시 학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생 개개인의 고려해야할 요소가 작다는 점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사의 수업 시수의 감축 및 업무 경감, 학급 당 인원수의 감축을 통해 학습자 중심 재량활동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재량활동은 학년 간 연계성 및 지속성을 고려하고 계절의 변화, 학교의 실정 등에 따라 연속, 집중, 분산 등 다양하게 운영하여 융통성 있고 탄력적인 교육과정이 되어야 한다. 학교 규모나 지역 사회의 여건으로 인해 대부분 고정된 시간에 교실에서 운영을 한다면 체험학습 위주의 창의적 재량활동이 이루어지기 힘들 것이다. 특히 학교 행사나 교과 보충 학습 시간으로 개별 학습이 이루어지는 없어야 한다. 넷째, 충분한 교사 연수를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공유, 보급을 위해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하다. 특히 지역 사회의 자원 인사 활용 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규모 농어촌 학교 교사들에게 다양한 체험적, 창의적 재량활동을 연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각 시·도 교육 연수원에서 수립하여 연수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재량활동에 대한 다양한 실천적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재량활동 실천 사례 연구 대회를 실시하고 프로그램의 공유 및 보급을 위해 교육청 홈페이지에 재량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메뉴를 설치하면 교원들이 편리하고 능률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창의적 재량활동의 평가는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참여도, 실천 태도, 실천 의지 등의 정의적 영역의 평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시간 부족과 학생들의 학업 결과만을 중시하는 인지 영역 위주의 평가 상의 문제점으로부터 벗어나 자기 주도적 학습 이라는 재량활동의 본래의 목적을 살려야 할 것이다.

      • 재일작가 곽인식 예술에 나타난 오브제 연구

        김근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analyze a special character of the objets shown by the art of Quac In-sik(1919-1988), a Korean artist in Japan. He, with experimentalism and creative spirit, had a great affect on the contemporary art history of Korea and Japan. He went to Japan in the late 1930's, was influenced by surrealism like most of the Japanese artists, and began to appear intensively in the Japanese art circles in the 1950's, with surrealistically-figured works in form and style; especially his drawing works showed this surrealistic tendency. He acted diversely, influenced by a combination of surrealism, informel, structuralism, etc. of Japan. The beginning of 1960's saw a turning point in his art world; his art works with various materials like glass, brass, iron plates, stone, etc. are judged to have affected Monoha appearing in the Japanese art world in the late 1960's. By various and experimental objet work, he tried to listen to what those objects say, as seeing that there exist astronomical objects in the universe, those faced by him. From 1965 to 1968 saw him sticking to heavy and hard iron, and 1969 saw him become interested in paper called 'Hwaji' in Japan instead of iron. The new style using India ink had astronomical dots repeated on the paper, proceeding to the closing years of his work. This study is to assay the special character of such various objets as stone, glass, paper, brass, iron plates, etc. of his works shown in his art world using properties of matter. His objet art works are recognized to have a thread of connection with assemblage or combine painting, in that they introduce objets on canvas, but whereas Rauschenberg vests his works with social character by using scrapped materials or wastes, that is, leftovers of consumption civilization, in an extended form of collage introducing real objects to traditional pictorial materials, Quac In-sik introduces objets with the character that they themselves are the essence of matter individually as they are what they are on canvas. This study, as a one that focuses the objets of Quac In-sik who arted his way through social upheavals as a Korean artist in Japan, looks, first of all, into his social circumstances as a Korean artist in Japan through an environmental factor like the origin of his art, and into his deed in taking sides with his national art movement. And studied are the meanings of his chosen objets in the course of his art being made, and the influence of his art using objets on Monoha of Japan and his relations with it. Furthermore, by a division of his works into glass, stone, iron and paper classes according to their material type, the analysis of his objet works using those properties of matter is to watch the meaning, symbol and character of each of his chosen objets, his position in the Japanese art world comprehensively of them all, and the artistic value of his works. Korean artists in Japan had lived a sorrowful life amid the miserable history of Korea and Japan and the national division, and Quac In-sik, as one of them, arted his unique way through his own lonely life as well. The treatment and life against Koreans in Japan made him think seriously of between 'what is visible' and 'what is inwards,' this agony exposed to a study of objets. He emphasized interest in and conversation with objets thoroughly, by experimental deeds in objets. His work materials were deeply related to everyday life, showing his attachment to bells, brass stuff, riverside gravels, etc. in Korea during his infancy and boyhood; this attachment turned into love of objects themselves, and in his later years he expressed delicate sense through color by making the most of the texture of Hwaji. This was a result of creating a universal art world based on the nationality of Korea and Japan beyond national boundaries, and his experimental art activities are judged to have greatly influenced the Japanese contemporary art. His art world remained faithful to endless experiment and creative spirit, extended its expression field through pioneer-like study on properties of matter, and late in life reached a transcendental world of light in an echo feeling of clear and warm tonality. Despite a life in Japan, never to return to motherland, his inborn Korean sentiment filling a corner of his mind was never to be deleted, and expressed itself spontaneously in his creative activity. 본 연구는 재일작가 곽인식(1919-1988)의 예술에 나타난 오브제의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곽인식은 실험성과 창조정신으로 한국과 일본 현대미술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화가이다. 1930년대 후반 일본으로 건너가 대부분의 일본인 화가들과 마찬가지로 초현실주의의 영향을 받았고, 1950년대 이후 초현실주의 작풍으로 일본화단에 본격 등장했다. 그의 초현실주의 형태와 기법은 특히 드로잉 작품에서 그 경향을 잘 엿볼 수 있다. 일본의 초현실주의, 앵포르멜(Informel), 구성주의 등 복합적인 영향을 받아 다양한 작품 활동을 펼친 곽인식은 1960년대 접어들면서 작품세계에 일대 전환점을 맞는데 이는 그가 작품의 오브제로 사용한 유리, 놋쇠, 철판, 돌 등 다양한 소재를 이용한 작품들을 통해서였다. 그의 이러한 작품들은 1960년대 말 일본 미술계에 등장한 모노하에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곽인식은 다양하고 실험적인 오브제 작업을 통해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 무수히 많은 물질을 화폭에 담고자 했으며 세상만물을 보면서 그 물질들이 전달하는 메시지를 들으려 노력했다. 1965년에서 1968년까지 주로 무겁고 단단한 철을 사용해 작업하던 그는 철과는 대조적인 성질의 종이에 매력을 느끼게 됐고 1969년 일본에서 화지(和紙)라고 하는 종이에 수묵을 사용한 새로운 작업을 선보이게 된다. 중첩된 수많은 점들을 화지에 담아내는 작업은 그의 말기 작업에까지 지속된다. 본고는 이러한 곽인식의 물성을 이용한 작업세계에서 나타난 돌, 유리, 종이, 놋쇠, 철판 등을 통해 작품 속에 활용된 다양한 오브제의 특성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곽인식의 오브제를 이용한 작품은 오브제를 화면에 도입했다는 점에서 앗상블라주(Assemblage)나 컴바인 페인팅(Combine Painting)과도 맥락을 같이하고 있는 것처럼 인식되기도 한다. 하지만 라우센버그(Rauschenberg)가 전통적인 회화재료에 실재 물건을 도입한 확대된 꼴라쥬의 형태로 소비문명의 잔재인 폐기물이나 쓰레기를 사용함으로써 작품에 사회적 성격을 부여했다면, 곽인식은 화면 위에 존재로서의 개체 그 자체이자 존재하는 물질의 본질이라는 성격을 가진 오브제를 그대로 도입했다는 특징을 보인다. 재일작가로 격변의 시대를 살아가며 예술 활동을 해온 곽인식의 작품에 나타난 오브제의 특성에 관한 이번 연구를 위해 우선 재일작가 곽인식 예술의 근원인 환경적 요인을 통해 재일작가로서 사회적 환경과 민족미술운동에 가담한 그의 행적을 살펴본다. 그리고 곽인식의 예술형성 과정 안에서 그가 선택한 오브제의 의미를 알아보고 일본의 모노하에 영향을 끼친 곽인식의 예술과 모노하와의 관계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나아가 오브제의 재료 유형에 따라 유리, 돌, 금속, 종이 작품으로 분류하여 이러한 물성을 이용한 오브제 작품 분석을 통해 곽인식이 선택한 오브제 각각의 의미와 상징, 그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종합하여 곽인식의 일본미술화단에서의 위치와 그의 작품의 예술적 가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재일화가들은 대부분 한·일의 불행한 역사와 민족 분단의 아픔 속에서 가슴 아픈 삶을 살았고 곽인식 역시 재일교포로서 고독한 삶을 살면서 자신만의 예술세계를 펼쳐나갔다. 일본에서의 한국인에 대한 대우와 삶은 그에게 ‘눈에 보이는 것’과 직접 그 ‘내면을 들여다보는 것’과의 차이에 대해 고민하게 만들었고 이러한 고민이 오브제 탐구로 표출됐다 할 것이다. 그는 오브제를 이용한 실험적 행위를 통해 철저히 오브제에 대한 관심과 대화를 강조하고 있다. 곽인식의 작품 소재로서 오브제들은 대부분 일상생활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들이며 그가 유ㆍ소년기를 지낸 고국에서 썼던 종이나, 놋쇠, 강가의 자갈 등에 대한 애착이 나타나고, 그것이 점차 물질 자체에 대한 애정으로 변화하면서 만년에는 화지가 갖고 있는 재질감을 최고도로 살려 색을 통해 섬세한 감각으로 표현된다. 이는 그가 한국과 일본의 국경을 넘어 양자의 민족성을 근간으로 하면서 보편적인 예술세계를 창출한 결과이며 그의 이러한 실험적인 작품 활동은 일본 현대미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받는다. 그의 예술세계는 끝없는 실험과 창조정신으로 일관하며 물성에 대한 개척자적 탐구로 그 표현영역을 넓혔고 말년에는 그것을 초극한 빛의 세계에 다다르면서 투명하고 온화한 색조로서 조용한 기도의 울림마저 느껴진다. 고국에 올 수 없었던 일본에서의 생활이었지만 마음 한구석을 채우고 있는 본능적인 한국적 정서는 지울 수 없었고 이는 그의 창작과정에서 자연발생적으로 표출되었다. 곽인식의 예술세계에 대한 탐색과 연구는 이러한 재일작가들의 내면에 자리한 정서와 궁극적으로 그가 보여주고자 했던 광활한 우주적 질서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졌다 할 것이다.

      •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 유능성과의 관계

        김근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들의 놀이성과 또래 유능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아들의 놀이성이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유아들의 놀이성 군(群)이 어떻게 분류되는지를 알아보고, 놀이성 군(群)에 따라 교사가 평정한 또래 유능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4~6세 유아 210명이었다. 유아의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Barnett (1990)의 CPS(Children's Playfulness Scale)를 김영희(1995)가 수정하고 보완한 놀이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또래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교사 평정용으로 박주희와 이은해(2001)의 또래 유능성 척도와 또래 평정용으로 Agard와 Harrison(1978)이 제작한 How I Fell Toward Others (HIFTO)를 Asher, Singleton, Tinsley와 Hymel(1979)이 수정하고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Cronbach's α계수, 중다회귀분석, 군집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아들의 놀이성은 교사가 평정한 또래 유능성의 모든 하위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체적 자발성은 사교성과 친사회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자발성은 사교성, 친사회성과 주도성에, 그리고 인지적 자발성은 사교성과 주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들의 신체 활동이 과도하지 않고, 다른 사람을 배려하면서 자연스럽게 놀이에 참여하며, 놀이를 창의적으로 새롭고 재미있게 할수록 또래와 잘 어울리고 또래로부터 잘 수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유아들의 놀이성 군(群)은 김영희(1995)가 밝힌 세 가지 놀이성 군(群), 즉 집단 분포 별로 ‘주도활달 놀이군’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소극참여 놀이군’, ‘주저관망 놀이군’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김영희(1995)의 연구와 본 연구는 공통적으로 많은 유아들이 ‘주도활달 놀이군’으로 분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차이점으로 ‘소극참여 놀이군’과 ‘주저관망 놀이군’의 분포에 있어서, 본 연구는 ‘소극참여 놀이군’이 ‘주저관망 놀이군’보다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3) 유아들의 놀이성 군(群)에 따라 교사가 평정한 또래 유능성은 사 교성, 친사회성, 주도성 모두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유아들의 놀이성 군(群)은 전반적으로 놀이를 자발적으로 즐기는 특성을 지닌 집단일수록, 즉 주도활달 놀이군, 소극참여 놀이군, 주저관망 놀이군 순으로 또래에게 잘 수용되어 또래와 잘 어울리며, 또래에게 도움을 주거나 협력하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또래를 주도하는 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playfulness and their competence. So first I have investigated how and what children's playfulness influence on the peer competence and I have classified the type of children's playfulness. Then I have observed the difference between peer competence rated by teachers according to the type of playful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have been 210 children who were between 4 and 6 years old. They have been living in Seoul and going to kindergarten and children's house. To measure the children's playfulness, I have used the children's playfulness scale proposed by Barnett in 1990 and modified by Kim, Young Hee in 1995. The measurements of children's peer competence have been carried out with two tools as follows: for teachers rating, I have used the peer competence scale proposed by Park, Ju Hee and Lee, Eun Hae in 2001. For peers rating, I have used the scale that was brought forward by Agard and Harrison in 1978 and was modified by Asher, Singleton, Tinsley and Hymel in 1979 I have used the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s α, multiregression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one-way ANOVA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t was observed that children's playfulness affected all sub- factors of the teachers rating peer competence. Physical spontaneity affected sociability and pro-social behavior in the negative. Social spontaneity influenced sociability, pro-social behavior and leadership. Cognitive spontaneity effected sociability and leadership. It meant that if children moderate in physical activity, if they are considerate of others and play in naturally, and if their play is creative, new and fun, then children easily get along with their peers and their friends accepted them well. 2) I found the types of playfulness ‘Initiative-active playfulness type’, ‘Passive-participation playfulness type’, and ‘Hesitative- onlooking Playfulness type’ that were classified by Kim, Young Hee in 1995. The list was in the order of high frequency. Through this result, this study showed that most children were commonly classified in ‘Initiative-active playfulness type’ as Kim, Young Hee had classified in 1995. But it was different from Kim, Young Hee's result that ‘Passive-participation playfulness type’ was higher than ‘Hesitative- onlooking playfulness type’. 3) I found that peer competence rated by teachers according to the types of playfulness was different in all part - sociability, pro-social behaviors, and leadership.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f children generally enjoy play on their own accord, then children were accepted by their friends well and easily got along with their peers. In addition the children cooperated with or helped their peers, and they had ability to lead their friends. So these characteristics were found in Initiative- active playfulness type, Passive-participation playfulness type and Hesitative-onlooking playfulness type in high frequency.

      • 가정에서의 미디어경험과 유아의 창의적 쓰기와의 관계

        김근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iscover the effect media has on creative writing in young children's essays. Young children have come into contact with media environment since their birth and come to be exposed to it as they grow up.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 1. Is the creative writing ability distinguished by young children's on-line education time? 2. Is the creative writing ability distinguished by young children's on-line game time? 3. Is the creative writing ability distinguished by young children's electronic game activity time? 4. Is the creative writing ability distinguished by young children's watching TV time? 5. Is the creative writing ability distinguished by young children's reading time? 6. Is the creative writing ability distinguished by young children's learning material activity time?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242 five-year-old young children who were attending kindergarten in Daegu. The study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young children's homes, collecting them, reading 2 storybooks to the subject young children, stoping at the conflict situiation of the story, and letting them write on "What would happen next?" It took 10-member small groups about a month to get result. The creative writing was scored according to subordinate factors such as flexibility, suitability, originality, elaborateness, imagination, fluency. According to media activity time, higher group and lower group were classified.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environment and young children's creative writing, this paper tried to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 factor, creative writing, and higher group, lower group. In this research, we it was found ou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environment and crative writing, appropriatensess in the internet game and elaboration in electionic game and watching TV were different.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flexibility and originality by the extent of experiences with learning material activitie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other media eperiences. (초록) 본 연구는 유아가 태어나면서부터 미디어 환경에 접하게 되고 자라면서 더 많은 미디어 환경에 노출되면서 미디어의 중요성의 부각과 유아들의 논술의 기초가 된다고 볼 수 있는 창의적 쓰기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인터넷 교육시간에 따른 창의적 쓰기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인터넷 게임시간에 따른 창의적 쓰기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전자게임 활동시간에 따른 창의적 쓰기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4. 유아의 TV시청 시간에 따른 창의적 쓰기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5. 유아의 도서시간에 따른 창의적 쓰기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6. 유아의 학습지 활동시간에 따른 창의적 쓰기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시에 위치한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242명이다. 연구방법은 먼저 가정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거된 설문지의 유아를 대상으로 2권의 동화책을 갈등상황까지만 연구자가 읽어 준 후 ‘그 다음 상황은 어떻게 되었을까?’에 대하여 자유롭게 쓰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10명씩 소그룹으로 진행이 되었다. 창의적 쓰기는 하위요소인 융통성, 적절성, 독창성, 정교성, 상상력, 유창성으로 구분하여 점수화하였다. 미디어 활동시간은 빈도분석을 하여 상집단, 하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미디어 환경과 창의적 쓰기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창의적 쓰기의 하위요소와 상집단, 하집단간의 t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디어환경과 창의적 쓰기와의 관계에서 인터넷 게임 활동에서는 적절성이, 전자게임과 TV시청에서는 정밀성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학습지 활동에서는 융통성과 독특성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다른 미디어 환경과 창의적 쓰기의 하위요소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