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하천생태계에서 물새류 군집과 서식환경 요인과의 관계

        김규중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시 중랑천의 도시하천생태계에서 물새류 군집 특성을 파악하고 물새류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서식환경 요인을 분석하여 물새류 군집과 서식환경 요인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는 2018년 2월부터 2020년 11월까지의 기간동안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수행되지 않았던 중랑천 전 구간에 서식하는 물새류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그 의의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 물새류는 6개 분류군으로 나누었다. 조사지역에서 관찰된 물새류는 총 28종 7,748개체가 기록되었다. 종수는 대형섭금류(large wading birds)가 8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확인되었고, 개체수는 수면성오리류(dabbling ducks)가 5,239개체로 가장 많았다. 물새류 군집과 서식환경 요인과의 관계는 다중선형회귀분석(MLR)을 통해 하천 구조 요인과 서식지 특성 요인을 분석하였다. 하천 구조 요인 중 하천의 폭과 투명도, 소(물의 흐름), 모래와 큰돌(하상의 재료), 제방 형태, 굴곡의 수는 물새류 군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투명도와 굴곡의 수는 물새류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하천 구조로 밝혀졌다. 또한 물의 투명도는 물새류의 먹이 찾는 능력과 출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서식지 특성 요인 중 수역 면적과 수면식생 면적, 수변식물 종수, 징검다리, 낙차공 및 어도, 시가화 면적, 녹지 공간 면적, 산림 식생 면적, 자전거도로 면적, 먹이주는 행위가 물새류 군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특히 수역 면적과 수변식물 종수, 낙차공 및 어도는 물새류에게 크게 영향을 주는 서식지 특성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중 수변식물은 물새류에게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고, 낙차공 및 어도는 먹이원 공급과 휴식공간 제공의 긍정적인 효과를 초래하였다. 서울시 중랑천의 도시하천생태계에서는 물새류 군집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 지역 특성에 맞는 다양한 서식환경 관리 목표를 설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도시하천 관리 및 생태도시 설계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waterbirds community and habitat variables in a urban stream ecosystem.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in total area of Jungnangcheon, Seoul, South Korea from February 2018 to November 2020. Waterbirds were classified to six major groups such as cormorants, large wading birds, dabbling ducks, diving ducks, gulls, and small wading birds. Total 7,748 individuals of 28 species of waterbirds were recorded in this study. Large wading birds (1,102 individuals of 8 species) and dabbling ducks (5,239 individuals of 7 species) were dominant waterbirds. Multiple linear regression (MLR) analysis was used for relationship between waterbirds community and habitat variables such as stream structure and habitat characteristics. Waterbird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water width, transparency, water flow-pool, bed material-sand and cobbles, levee form, and number of bends. Especially, transparency and number of bends were major stream structure for waterbirds. Moreover, transparency would be affected to food supply and occurrence of waterbirds. Water cover, vegetation cover, number of plant species, stepping stone, drop-fishway, urbanized cover, green space cover, forest vegetation cover, bicycle road cover, and feeding were significantly affecting habitat characteristics for waterbirds. Especially, water cover, number of plant species, and drop-fishway were major habitat characteristics. Riparian plants might supply various merits for waterbirds. Moreover, drop-fishway could be positive variables for food supply and resting. Different habitat management goals would be prepared in each sector of Jungnangcheon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aterbirds and their habita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basic information in urban stream management and ecological city design.

      • 전동차 ATO Mode에서 안전을 고려한 ECO Driving 패턴에 관한 연구

        김규중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Safety Assured ECO Driving Pattern of Electric Multiple Unit in ATO Mode Kim, Kyu Joong (Supervisor Lee Keun Oh) Dept. of Safety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Urban transit vehicle that uses electrical energy, is faster, safer and energy-efficient public transit than other means. Recently in the field of railway, for energy savings by the low-carbon green growth and global warming prevention, studies on new trains which can increase energy efficiency and regenerative energy storage system(RESS) for the stabilization of catenary voltage and etc. become active. On the one hand, considering urban rail systems' nature which operates repeatedly to drive and stop in short running time less than 2㎞ station spacing, a study on optimal ATO operation patterns which reduce driving energy consumption and improve driving comfort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 is yet insignificant. The train driving patterns should be for the purpose of safe operation and train driving energy minimization considering traction/braking force, and passenger load conditions, jerk, interval running time, various train resistance etc.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finding ECO Driving patterns which secure driving safety of the ATO System train and reliability and which optimize efficiency of the driving energy consumption. As a Research method, the Matlab/Simulink are used to modeling a regenerative brake-capable train, and actual parameters such as powering and braking characteristics, all kinds of resistance, passenger load, velocity, gradient, radius of curve etc and powering and breaking commands per time or distance are inputted to train’s dynamic equation, then a simulation program is made and used to yield train driving pattern and driving time and the amount of driving energy used thereby at auto and manual operation and at all sector. In particular, to calculate accurately traction and braking characteristics of the train, based on the actual operating data of the vehicle and the motor characteristic curve acceleration/deceleration per step is differentiated, which is reflected to train modeling, thereby error in actual train operation pattern are minimized. In addition, some simulation results show overspeed(4㎞/h above than speed limit)(which is one of the train's emergency braking condition) then it was ignored and resimulated although it’s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was high, by that, we tried to secure train operation safety. In the scopes in the research, currently operated train’s automatic/manual operation driving pattern difference and energy usage are comparative analysed and to complement problems of the existing ATO pattern, simulation scope is classified to 5 models which is necessity of coast control, influence of driving time, comparison of departure pattern, change of driving pattern, minimization of slip phenomenon. Research results derived by performing simulation of those 5 model shows that the emergency braking which affects safety of passenger and the machinery is minimized, and safe driving speed is maintained by the prohibition of drastic acceleration/deceleration, coasting and constant-speed driving, therefore if this result is applied to urban railway train by amending or making ATO program to save energy usage improve environmental quality, its effects as ECO driving pattern is considered huge. Keyword : Urban Transit, EMU(Electric Multiple Unit), Regenerative Braking, ATO(Automatic Train Operation), Regenerative Energy Storage System, ECO Driving Pattern, Emergency Braking, Coasting Control 요 약 제 목 : 전동차 ATO Mode에서 안전을 고려한 ECO Driving 패턴에 관한 연구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 도시철도 전동차는 자동차 등 타 교통수단보다 신속․안전하고 에너지효율성이 높은 대중교통수단이다. 최근 철도분야에서는 저탄소 녹색성장에 따른 에너지 절감과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하여 가선 전압의 안정화를 위한 회생에너지 저장시스템(RESS) 및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전동차 개발 등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2㎞ 이내의 역간 거리를 정해진 짧은 운전 시분 내에 주행과 정차를 반복하며 운행하는 도시철도 전동차의 주행에너지 소비를 절감시키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의 ATO 운행패턴에 대한 연구 및 실제적인 적용사례는 아직까지 미비하다고 볼 수 있다. 전동차의 운행패턴은 견인력/제동력, 승객하중조건, Jerk, 구간별 운행시간, 각종 열차저항 등을 고려하여 열차 주행에너지의 최소화 및 안전운행을 목적으로 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ATO System 전동차의 운행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 주행에너지의 사용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는 ECO Driving 패턴을 찾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으로는 Matlab/Simulink를 활용하여 회생제동이 가능한 전동차를 모델링한 후 선로를 주행하는 전동차의 운동방정식에 역행 및 제동 특성, 각종 저항, 승객하중, 속도, 구배, 곡선반경 등의 실제적인 Parameter값과 시간 또는 거리별 역행, 제동 명령값을 입력시켜 모든 구간에서 자동 및 수동 운전을 할 때의 열차 운행패턴과 주행시간 및 그에 따른 주행에너지의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는 Simulation Program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특히 전동차의 견인 및 제동특성을 정확히 산출하기 위하여 실제 차량의 운행데이터와 모터 특성곡선을 기초로 각 제어단별 가․감속도를 차별화하여 전동차 Modeling에 반영함으로서 실제 차량의 운행패턴과의 오차를 최소화하였다. 또한 전동차의 비상제동 체결조건의 하나인 속도초과(제한속도보다 4㎞/h 초과되는 경우)가 일부 나타난 Simulation 결과는 사용에너지의 효율이 높더라도 안전이 확보되지 않으므로 권고속도를 0.5㎞/h씩 낮추며 Simulation을 재실행함으로서 전동차 운행의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노력하였다. 연구범위는 현재 운행되고 있는 전동차의 자동․수동운전 운행패턴의 차이점과 에너지 사용량을 비교․분석한 후, 기존 ATO 운행패턴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Simulation 범위를 타행제어의 필요성, 운행시간의 영향, 출발패턴의 비교, 운행패턴의 변화, Slip 현상의 최소화 등 5가지 Model로 구분하였다. 5가지 Model에 대한 Simulation을 수행하여 도출한 연구결과는 승객과 기계장치의 안전에 영향을 주는 비상제동 체결을 최소화하며, 급격한 가․감속의 금지, 타행 및 정속주행으로 안전한 운행속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하고 환경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ATO 프로그램 튜닝 또는 제작에 적용시켜 도시철도 전동차에 실제 사용하면 주행에너지를 약 15% 정도 절감할 수 있는 ECO Driving 패턴으로서 그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핵심어 : 도시철도, 전동차, 회생제동, ATO, 회생에너지 저장시스템, ECO Driving 패턴, 비상제동, 타행제어

      • 박새 새끼 소리의 재생이 부모와 새끼에게 미치는 영향

        김규중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박새 새끼 소리(begging call)의 재생(playbacks)이 부모와 새끼에게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2011년과 2012년 3월에서 7월까지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 내에서 진행되었다. Begging call의 재생은 대조군, 실험군 1(80dB), 실험군 2(100dB) 등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강도를 달리하였다. 연구결과, 박새 부모에게 새끼의 begging call을 재생해서 들려준 그룹과 들려주지 않은 그룹에서 부모의 먹이공급 횟수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새끼의 성장률과 관련된 무게와 부척의 길이는 begging call을 재생해서 들려주었을 때 증가하였다. 새끼의 평균 무게는 h=9일 이후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2에서 더 높았다. 부화 후 일령별 무게 증가량은 h=4일 이후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2에서 더 높았다. 일일 무게 증가량의 총 평균은 대조군에서 0.99g/일, 실험군 1에서 0.96g/일, 실험군 2에서 1.25g/일로 나타났으며, 대조군과 실험군 1에 비해 실험군 2에서 더 높았다. 새끼의 평균 부척 길이는 begging call을 재생해주었을 때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부척 증가량은 h=7일부터 h=10일까지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2에서 더 많았다. 일일 부척 증가량의 총 평균은 대조군에서 0.57mm/일, 실험군 1에서 0.61mm/일, 실험군 2에서 0.73mm/일로 나타났으며, 대조군과 실험군 1에 비해 실험군 2에서 더 높았다. 본 연구결과 부모에게 새끼의 begging call을 재생해서 들려주었을 때 새끼의 무게와 부척의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었다. 또한 부모에게 새끼의 begging call을 재생하여 들려주는 실험을 통해서 부모와 새끼의 의사소통 관계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influence of playback of begging call on parents and nestlings of great tit (Parus major) used artificial nest box from March to July, 2011 and 2012 in Anseong Campus, Chung-Ang University, Anseong, Gyeonggi-do, Korea.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3 different intensities of begging call playback, such as control (no playback), playback 1 (80dB), and playback 2 (100dB) treatments. The feeding frequencies of par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ontrol and treatments. However, mean body weight and tarsus length were higher in playback 1 and 2 treatments than in control. Mean body weight of nestlings after h=9 and daily weight gain after h=4 were higher in playback 2 treatment. Mean of daily weight gains were 0.99 g/day in control, 0.96 g/day in playback 1 treatment, and 1.25 g/day in playback 2 treatment. Mean of daily weight gain was higher in playback 2 treatment than in control and playback 1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tarsus lengths of nestlings among control and treatments. However, Mean daily tarsus gains were higher in playback 2 treatment compared with control and playback 1 treatment during h=7 and h=10. Mean of daily tarsus gains were 0.57 mm/day in control, 0.61 mm/day in playback 1 treatment, and 0.73 mm/day in playback 2 treatment. Mean of daily tarsus gain was higher in playback 2 treatment than in control and playback 1 treatment. By the playback of begging call of nestling, increases of body weight and tarsus were significant in this study. Moreover, 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nestling can be understood by playback experiment of begging call of nestling.

      • 도시철도 차량의 제연설비를 활용한 화재안전성 향상에 관한 연구

        김규중 서울産業大學校 鐵道專門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울 및 지방 대도시들의 도시철도는 도심 분리나 소음진동 등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구간을 지하로 운행하고 있어 여러 가지 측면에서 지상보다는 위험잠재요소와 위험도가 높은 구조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현재 국내 도시철도 운영기관들은 대구지하철 화재사고와 같은 참사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정부 주관 하에 운행 전동차 약 6,400량의 기존 내장재를 불연 내장재로 교체하는 사업을 활발히 진행시키고 있다. 그러나 불연 내장재로 교체된 개조전동차도 휘발유와 같이 가연성 높은 물질을 이용한 방화테러를 당하게 되면 가연물질 그 자체의 연소로 발생되는 유독가스와 열기로 인하여 밀폐된 전동차 객실 내부의 승객들은 매우 치명적인 피해를 입을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본 연구는 불연 내장재 전동차 객실 내에서 휘발유를 가연물질로 발생된 모의화재를 가정, 진행시간에 따른 전동차 내부에서의 연기의 유동형태, 이동시간 및 수직적 온도 분포에 대하여 Simulation 및 모의화재 실험한 결과를 Model 별로 비교·분석하여 도시철도 차량의 제연 System 설치 필요성을 연구함으로서, 도시철도 차량의 효율적인 화재 안전성 향상대책을 찾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기존 전동차의 경우, 가연물질의 자체 연소로 발생되는 연기와 열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해 순식간에 객실 전체로 확산되어 유지됨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객실 인통문을 활용하여 연기와 열을 배출할 경우, 제연 System이 설치된 경우보다 그 효과는 떨어지지만 실내에서 실외로 많은 량의 연기와 열이 배출되어 연기의 농도가 옅어지므로 화재 안전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연 System이 설치된 전동차의 경우 실내에서 실외로 많은 량의 연기와 열이 동시에 배출되므로 연기와 열의 확산속도가 늦고 연기농도도 옅으며 객실 내 연기와 열의 확산시간이 지연되어 화재안전성이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In order to avoid the damage caused by noise vibration from trains in the urban transit of Seoul and other provinces, the trains are being operated underground but when looked from a different angle such trains tend to be more dangerous than the ones that operate over the ground. In the operating system in the present urban transportation, in order to prevent any death or injury in advance that can be caused such as one in the fire accident of Taegu train, the governments management unit is undertaking the work of changing the interior of around 6,400 vehicles in order to prevent fire. Even though the interior has been changed as a preventing measure against fire to make it inflammable, there remains a possibility of fire breaking out in case of gasoline etc being brought in the subway. However,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that in case if fire toxic gas is generated and hot air spreads in carriage it will prove very dangerous for people sitting inside. This is a comparative study where we compare simulation results with model examining the time and direction the fire spreads when it breaks out. Also there is vertical distribution of temperature in carriage where the fire spreads out. This study is about demonstrating how to establish smokeless system in urban vehicle, about its necessity, and about vehicle system restructuring. This study also makes an effort to find more advanced method for efficient fire safety in trains. In existing vehicles, in case of fire, the smoke can't go out when doors are closed and hence it spreads in whole train. Even though the method of using ventilation or exhaust established inside the carriage to throw smoke out is much better than the way of opening end doors in each carriage, this study is trying to do research on second way. Through simulation we see that in second case, even though not as good as the first one, smoke can exit through gates. Even though the first method is better, the second can also be uses to let fire out. We can know that in the first case as the smoke can exit out faster, it provides more safety for people. So this system provides better fire safety condition.

      • Interactive multimedia installation art : the manipulation of space for viewer participation

        김규중 New York University 1998 해외박사

        RANK : 247615

        현대미술가가 예술작품이나 그 주위의 환경으로서 공간을 다루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다. 최근의 테크놀러지와 결합된 새로운 비디오나 컴퓨터 매체의 개발로 정적인 전시 공간안에서 보여지는 회화나 조각등 예술형태의 전통적인 정의는 확장되어지고 있다. 상호반응 멀티미디오 미술로서 비디오 설치작업은 복수적인 시간과 공간이 제시되고 관객은 더이상 수동적인 관조자가 아니라 작품과 상호반응하는 방식의 능동적인 참여자가 된다. 전시공간은 비디오 영상에의해 환경적인 공간으로 변형되고 미적 사건의 요소가 되다. 시각적 표현형태의 이러한 주요 변화는 창작, 해석, 분석 그리고 반응의 새로운 표준을 요구한다. 상호반응 멀티미디아 설치미술의 경우에 시간과 공간의 개념, 관객의 상호반응, 예술적 의미, 상호 의존적인 반응이나 예술적 효과 등은 이러한 새로은 미적 형식이 주는 영향을 밝히기위해 조사되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상호반응 멀티미디아 설치 미술에서 새로운 미디아의 사용에 대한 조사는 그러한 미적 과정에 내재돈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예술가나 관객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본 연구과정에서 미적 문제의 해결방식은 관객과 멀티미디어 설치미술, 설치미숙과 작가, 작가와 관객사이의 관계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멀티미니아 설치미술가들의 작품과 전시방법을 조사하므로서 이루어진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선택된 작가들은 빌 바이오라(Bill Viola), 게리 힐(Gary Hill) , 백남준(Paik NamJun), 페폰 오소리로(PePon Psorio) 로나심슨(Lorna Simpson), 제프리 쇼우(Jeffrey Shaw), 토이 아우슬러(Tony Ousler), 다이아나 데터(Diana Thater), 피터 캠퍼스(Peter Campus), 부루스 나우만(Bruce Nauman), 아드리안 파이퍼(Adrian Piper), 그리고 본 연구자의 작업을 포함한다. 본 연구는 회화나 조각 등 기존의 시각예술 형태와 멀티미디아 설치미술과의 관계를 조사하고; 미술가가 그들이 사용하는 공간의 개념을 확장하기 위하여 비디오나 컴퓨터 매체를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며; 미술가가 실제 전시공간과 다양한 영상매체를 결합하고 관련시키는 방법을 조사하며; 끝으로 시각적 경험으 주체로서 관객이 어떻게 멀티미디아 설치작업에 의해 창조된 환경과 상호반응하는지를 조사한다. 본연구의 진행과정의 일부분으로서 연구자는 일련의 멀티미디어 설치미술의 제작과 전시 그리고, 작품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