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로짓분석을 활용한 통계적 선박 충돌위험도 평가에 관한 연구

        김광일 목포해양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In maritime traffic situation, prevention of collision between ships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the waterway safety. In order to assess ship collision risk, it needs to consider variable factors likes ship traffic quantity, ship type, route information and encounter type and so on. Statistical data of the maritime traffic situation is one of the possible method to assess ship collision risk analysis. In this study, we derive collision risk assessment and estimation model by means of logit model using ship trajectory. Firstly, AIS raw data pre-processed for time synchronization and position interpolation. Then it converted to ship encounter data and route ship traffic data. Secondly, ship encounter data is divided into ship collision variance variables and ship approach variables. For eliminating multicollinearity, factor analysis conducted with these selected variables. Thirdly, route ship traffic data is used to annual calculate collision candidates by means of the IWRAP MK2 programme. Collision candidates multiplying geometric collision candidates and Causation factor are selected as an another dependent variables. To do regression analysis, a dependent variable reflecting the objective effect is necessary. In this study, we suggested two dependent variables. One is dichotomous dependent variable which determined Near miss occurrence(Near miss/no Near miss). Dichotomous dependent variable can represent the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by logistic regression. The other is ordered dependent variable which has 5 stepwise Ship domain dimensions level by 4 Ship domains from a ship's position. Ordered dependent variable can derive regression equations by the ordered logit model. To predict ship collision risk, Near miss level by stepwise Ship domain dimensions are estimated using ordered logit regression equations. In conclusion, statistical risk assessment based on encounter data using Near miss variable as dependent variables can be utilized in analysis of the ship encounter situation and estimation of the ship Near miss risk. In terms of preparing for the big data era in maritime safety area,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analysis and estimation of the ship collision risk.

      • Synthesis of Novel Hybrid Compounds with Conventional Drugs Scaffold and Their Anticancer Activities

        김광일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티로신 키나아제(tyrosine kinase)는 세포 내 신호 전달과 세포 활동을 조절하여 정상 세포의 성장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과도한 티로신 키나아제 활성은 암 및 자가 면역 질환 등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2001년 미국 FDA에서 Bcr-Abl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로서 Imatinib(글리벡)을 허가함에 따라 항암치료제 개발에 있어 표적항암제라는 선택적이고 특이적인 치료제 개발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Imatinib의 내성이 알려지면서 티로신 키나아제의 structural biology에 관련한 지식을 바탕으로 한 rational drug design을 통한 2세대 약물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항암제를 개발하고자 약리활성이 확인된 약물들의 key intermediate 성분의 조합에 기초하는 분자 결합(molecular hybridization) 개념을 이용하여 새로운 화합물을 합성하였고, 이에 대한 생물학적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특히, 다이아릴 우레아(diaryl urea) 구조가 도입된 화합물의 경우 우수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화합물 N-3의 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가 세포자살(Apoptosis)에 의한 세포사멸 기전임을 밝혔다.

      • 노로바이러스의 검출과 HRM을 이용한 유전적 다양성 분석

        김광일 부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phylogenetic analysis of noroviruses in water and oyster samples. Feline calicivirus (FCV) strain F9, a known norovirus surrogate, was spiked into the digestive gland of oysters, and different methods of concentrating noroviruses in the oyster digestive gland were compared. The different procedures, viral elution with glycine buffer, disruption of tissue by sonication, and precipitation ultracentrifugation, based on polyethylene glycol (PEG) precipitation did not differ in the band density of gel electrophoresis of the PCR amplicon of the spiked FCV strain F9. Due to time considerations and the accessibility of reagents and instruments, we used the viral elution with glycine buffer and PEG treatment procedures. Water samples from Dong Brook were ultracentrifuged to concentrate the virus. Oyster samples were from Tongyeong seashore. PCR was conducted on the noroviruses in the samples, using primer sets designed in this laboratory to be more sensitive and specific in amplification. Proportions of genogroup I and genogroup II in noroviruses detected in Dong Brook water were 74.47% and 67.6%, respectively, and in the Tongyeong oyster samples the proportions were 57.14%, respectively.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Dong Brook noroviruses showed that they appeared to be members of GI/1, GI/2, GI/4, GI/5, GI/9, and GI/10 in genogroup I and GII/4, GII/5, GII/11 and GII/13 in genogroup II. The major genotypes were GI/4 (5/12), GI/5 (4/12), and GII/4 (4/10). To confirm the presence of genetic variation, possibly derived from degenerate primers targeting different regions for cDNA synthesis and PCR, we compared nucleotide sequences of the cloned fragments. Then, to examine whether norovirus variations were more numerous than those derived from nucleic acid sequencing using the cloned PCR amplicon, we applied high-resolution melting (HRM) analysis to analyze greater numbers of cloned colonies. As a result, we were able to detect various norovirus genotypes, using primers for different cDNA syntheses and PCR. Compared with sequencing as a genotyping method, HRM analysis is a simple, more rapid method to differentiate norovirus genotypes and allowed us to group noroviruses from even a single sample.

      • 3D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비디오 워터마킹

        김광일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전을 통해 디지털 세계는 급속도로 변화해 가고 있다. 멀티미디어 매체들이 디지털화되면서 사람들은 아날로그 시대보다 손쉽게 멀티미디어 매체들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0과 1로 대변되는 디지털의 특성 때문에 손쉽게 복사할 수 있고, 배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불법 복제 및 배포가 무분별하게 이루어지면서 디지털 미디어 저작권자들은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는 기술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디지털 미디어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는 여러 기술 중에 워터마킹 기술에 대한 연구가 각광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3D 웨이블릿 변환과 대역확산방법(direct spread spectrum)을 이용한 비디오 워터마킹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동기 워터마크를 삽입한 다음 사용자 정보를 갖는 워터마크를 삽입하게 된다. 입력된 프레임을 분할하고, 다시 홀수행과 짝수행으로 정렬하여 각각 3D 웨이블릿 변환을 수행한 다음 대역확산방법으로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기존의 3D 웨이블릿을 이용한 비디오 워터마킹 알고리즘과는 달리 제안한 방법은 blind 방식으로써 원본 영상 없이 워터마크 검출이 가능하다. 실험결과 PSNR이 평균 40 dB 이상으로써 높은 비가시성을 만족하는 동시에 프레임 절삭, 잡음 첨가, 압축 등의 공격에서도 10% 이하의 BER을 기록하여 공격에 강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and widespread use of internet have driven this world into fast-changing digital place. With digitization of multimedia contents, everybody can access multimedia contents more easily than in analog age. Even through digitiza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s provides more opportunities to media contents, it also provide easy access paths to copy and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s, because of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data, represented by 0 and 1. As the copy and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s are widely conducted illegally in internet environment, the copyright holders began to pay attention to copyright protection technologies. Of the technologies that can protect copyright of digital contents, watermarking technology has received keen interests from research communitie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video watermarking algorithm based on a three dimension discrete wavelet transform (3D DWT) and direct spread spectrum (DSS). In the proposed method, the information watermark is embedded into followed frames, after sync watermark is embedded into the first frame. Input frames are divided into sub frames which are located odd row and even row. The sub frames are arranged as 3D frames, and transformed into 3D wavelet domain. In this domain the watermark is embedded using DSS. Existing video watermarking using 3D DWT is non-blind method but, proposed algorithm uses blind metho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s robust against frame cropping, noise addition, compression, etc. acquiring BER of 10% or below and sustains level of 40dB or above on the average.

      • 주요 난대수종 임분의 NVOCs 잔존량 특성

        김광일 전남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난대수종림의 생태자원과 NVOCs(천연휘발성유기화합물)양 등 환경적 특성을 확인하고 기후변화에 따라 주요 자원이 될 것으로 보이는 난대수종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주요 난대 상록활엽수종 4종(Quercus acuta, Castanopsis sieboldii, Camellia japonica, Dendropanax trifidus)과 침엽수종 1종(Pinus thunbergii)을 선정하였다. 조사는 봄(5월), 여름(8월), 가을(10월), 겨울(1월) 각 계절별로 이루어졌으며 식생조사를 포함하여 09:30~17:30까지 8시간 동안의 NVOCs양과 분진, 기온, 습도, 풍속, 토양온도 등 환경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난대수종 4개소 및 곰솔림의 수목활력도는 전체적으로 건강~아주건강(60~99) 범위에 포함되었으며 기온이 높고 수목의 생장이 활발한 여름철에 활력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구별 산림토양 분석 결과, 각 조사구별 pH는 붉가시나무림 5.1, 구실잣밤나무림 5.1, 황칠나무림 5.5, 동백나무림 5.8, 곰솔림 6.5였으며, EC는 붉가시나무림 0.27dS/m, 구실잣밤나무림 0.28dS/m, 황칠나무림 0.26dS/m, 동백나무림 0.37dS/m, 곰솔림 0.50dS/m이었다. 산림내 분진농도는 측정당일의 산림외부의 분진 농도에 따라 전반적으로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사구 5개소의 NVOCs양은 모두 여름철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봄, 가을, 겨울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NVOCs 성분 중 α-pinene은 모든 조사구에서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특히 조사구 5개소 중 침엽수인 곰솔림에서 가장 높은 비율로 확인되었다. 또한, 곰솔림에서는 α-pinene, β-pinene이 주요 성분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나 난대수종 4개소에서는 Eucalyptol, Menthol, Cymene 등의 성분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각 임분별 분석결과 붉가시나무림은 여름(1,730.31pptv), 봄(473.91pptv), 가을(130.60pptv), 겨울(29.13pptv)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실잣밤나무림은 여름(1,372.62pptv), 가을(996.80pptv), 봄(379.36pptv), 겨울(32.37pptv) 순, 동백나무림은 여름(1,451.85pptv), 봄(320.31pptv), 겨울(178.94pptv), 가을(157.02pptv) 순, 황칠나무림은 여름(1,544.92pptv), 봄(740.70pptv), 겨울(572.08 pptv), 가을(367.80pptv) 순, 곰솔림은 여름(1,659.13pptv), 봄(363.55pptv), 가을(280.47pptv), 겨울(121.69pptv)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결과를 토대로 미기상인자가 NVOCs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미기상요인은 NVOCs양의 53.2%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온(β=0.416, P=0.000), 습도(β=0.507, P=0.000), 기압(β=-0.234, P=0.048), 풍속(β=-0.173, P=0.042)은 NVOCs양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조도, 풍향, 분진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온과 습도가 높아질수록, 기압과 풍속은 낮을수록 NVOCs는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cologic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NVOCs(Natur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amount of major warm temperate forest in Korea, and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warm temperate tree species that are expected to become major resource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For the study, 4 major warm 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tree(Quercus acuta, Castanopsis sieboldii, Camellia japonica, Dendropanax trifidus) and 1 coniferous species(Pinus thunbergii) were selecte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each season in spring (May), summer (August), autumn (October), and winter (January). Amount of NVOCs for 8 hours(9:30~17:30)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dust, temperature, humidity, wind speed, and soil temperature were analyzed. The tree vitality of four warm temperate forest and Pinus thunbergii forest was overall in the healthy to very healthy(60-99) range, and the highest vitality was found in summer when the temperature was high and tree growth was active. In addition, as a result of forest soil analysis by study area, the pH of each survey area was Quercus acuta 5.1, Castanopsis sieboldii 5.1, Dendropanax trifidus 5.5, Camellia japonica 5.8, and Pinus thunbergii 6.5, and EC was Quercus acuta 0.27dS/m, Castanopsis sieboldii 0.28dS/m, Dendropanax trifidus 0.26dS/m, Camellia japonica 0.37dS/m and Pinus thunbergii 0.50dS/m. The dust concentration in the forest showed a general tendency to increase or decrease depending on the dust concentration outside the forest on the day of measurement. The NVOCs amount in the five site was highest in summer, followed by spring, autumn, and winter. Among the components of NVOCs, α-pinene was detected the highest in all investigational group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st rate was found in Pinus thunbergii forest, a coniferous tree among the five sites in the survey area. In addition, in Pinus thunbergii forest, α-pinene and β-pinene showed a high ratio as the main components, but Eucalyptol, Menthol, and Cymene were relatively high in four places of warm temperate forest. As a result of analysis for each stand, Quercus acuta forest was showed to be high in the order of summer(1,730.31pptv), spring(473.91pptv), autumn(130.60pptv), and winter (29.13pptv). Castanopsis sieboldii forest was showed to be high in the order of summer(1,372.62pptv), autumn(996.80pptv), spring(379.36pptv), and winter (32.37pptv). Camellia japonica forest was showed to be high in the order of summer(1,451.85pptv), spring(320.31pptv), winter(178.94pptv), and autumn (157.02pptv). Dendropanax trifidus forest was showed to be high in the order of summer(1,544.92pptv), spring(740.70pptv), winter(572.08 pptv), and autumn(367.80pptv). Pinus thunbergii forest was showed to be high in the order of summer(1,659.13pptv), spring(363.55pptv), autumn(280.47pptv), and winter(121.69pptv). Based on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relative effects of micrometeorological factors on the NVOCs amount. Micrometeorological factors were found to explain 53.2% of NVOCs amount, and temperature(β=0.416, P=0.000), humidity(β=0.507, P=0.000), atmospheric pressure(β=-0.234, P=0.048), and wind speed(β=-0.173, P=0.042) were analyzed to significantly affect NVOCs amount. And illuminance, wind direction, and dust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lower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wind speed, the higher the NVOCs.

      • 中國外資誘致政策과 韓國企業의 對中投資

        김광일 京畿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WTO 가입이후, 중국경제는 전면적으로 세계경제에 융합되었으며 한방면으로는 세계화경제와 세계무역자유화의 좋은점을 향수할 수 있고 다른 방면으로는 날로 심화지고 있는 국제경쟁의 충격에 준비하여야 한다. 하여 WTO가입은 중국의 거시적경제와 국민경제에 대한 영향은 광범하고 심원(深遠)한 것이다. 중국의 WTO 가입은 세계경제구도를 미국, EU, 일본, 중국의 '4각구도'로 재편할 것이다. 중국의 WTO가입은 한국의 입장에서는 지정학적으로나 양국의 산업구조적으로 엄청난 기회이다. 그러나, 이 기회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할 경우 중국의 WTO가입은 또 하나의 경제대국의 탄생 이외에는 한국에게 아무런 의미를 부여하지 못한다. 세계경제에서 장기적으로 일관되고 안정적인 대중사업의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계기로 한국 산업의 구조조정을 시행하는 등의 대응이 필요하다. 한국 기업의 중국시장에 대한 진출은 세계 주요 국가와 비교할 때 비교적 늦게 시작되었다. 1980년대 말부터 한국 기업의 중국 투자가 시작되었는데, 당시의 투자는 비교적 소규모였으며, 탐색성을 띤 것이었다. 1992년 8월 한·중 수교 이후 비로소 정식적인 중국투자가 시작되었고, 한국 기업의 대중국 투자 발전 속도는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이로 인하여 중국은 미국 및 일본에 이어 한국의 세 번째 교역 상대국이 되었다. 특히 한국이 미국과 일본의 교역에서는 적자를 면하지 못하는 데 비해, 중국과의 교역에서는 국교 수립 이후 꾸준한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중국은 한국의 주요 시장일 뿐만 아니라, 생산협력 대상자로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한국 기업의 대중국 투자에 대한 어려움과 문제점 등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현재 중국에 투자하고 있는 한국 기업 중에는 중소기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들은 경험과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인사, 노무, 회계 등의 방면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기에 중국정부의 정책 다변화로 인해 실제 경영상에 있어서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특히 대중국 투자 진출의 성과는 어떤지, 당면한 문제는 무엇인지 등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가 부족하여, 후발업체 또는 진출 희망업체들의 대중국 경영 전략 및 투자 전략 수립과 정부 및 지원기관들의 지원 정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의 WTO 가입은 장기적으로 정치, 경제적 이익은 물론이고, 국제사회에서의 중국의 위상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기존의 개혁개방 정책에 가속화가 붙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게 될 것이나, 단기적으로는 국제질서 순응에 따른 중국 시장경제의 경제적인 손실도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은 경제적으로 중국 기업의 무역량 증가와 외국인 투자량의 급속한 확대를 가져올 것이고, 관세율 인하(현재 17%에서 2005년까지 9.4%로 인하) 및 비관세 장벽 등의 철폐 또는 완화로 중국의 수입은 연간 24~30억 달러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산업은 시장 개방에 따라 완전한 시장 경제 즉, 공정한 경쟁을 통해 경쟁률이 떨어지는 제품은 자연 도태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통해 중국의 제조업체 및 중국 국유기업의 도산과 경쟁 격화 등 여러 가지 산업구조 변화가 예상된다. 특히 정보통신, 가전제품, 석유화학, 자동차 산업 등은 경쟁력이 다른 선진국에 비해 상당히 취약하므로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나 ,중국의 전체적인 산업구조로 보아 상당한 사업구조의 고도화를 이룰 것으로 본다. 또한 한국의 중국서부대개발의 참여는 한국기업의 발전과 산업 이전을 위한 좋은 기회이며 유럽에 진출하여 발전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종합적으로 볼 때 한국기업의 중국 서부대개발의 적극참여는 단기적인 경제이익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 양호한 기초를 마련할 수 있으므로 장구한 이익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문의 제4장에서 서술한바와 같이 WTO가입이후의 외자유치정책의 조정에는 목전 4가지 주요한 관점이 있다. (1)내국민대우원칙으로 외자정책을 조정한다. (2)내국민대우원칙을 실행하는 동시에 선택성(選擇性)우혜정책을 실행한다. (3)외자에 대해 전면적인 우혜정책을 실행한다. (4)외자에 대해 제한과 기시(岐視)정책을 실행한다. 실질상 우의 4가지 관점은 중국WTO 가입이후 어떠한 외자정책을 실시하는가 하는데 있다. 중국은 WTO국제투자규칙의 요구와 본국경제발전의 요구에 의하여 각종 외자우대정책과 제한성(制限性)정책을 취소하여야 하며 이는 중성(中性)외자정책으로 개괄할 수 있으며 중국의 외자유치정책조정의 기본방향이다. 중성외자정책으로의 변화는 중국외자유치정책에서의 근본성 변화이며 중국정부는 이 변화의 순리적인 실현을 위하여서는 여러 가지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우선 중국외자유치정책의 조정은 국제화원칙, 자유화원칙, 호혜원칙, 공평성원칙, 투명성원칙, 안전원칙을 견지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원칙은 추상적이며 실질적인 조치가 필요한 것이다. 금후 중국은 이러한 원칙에 근거하여 절실유효(切實有效)한 조치를 취하여 중국외자중성정책의 실현을 다그쳐야 한다.

      • 한국의 패류 및 해수 내 어류 질병 바이러스의 검출과 양식에 미치는 영향

        김광일 부경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수생동물 바이러스성 질병의 확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수성 숙주 생물 (susceptible host)를 비롯하여 환경 수와 바이러스 매개체 (vector) 또는 함유생물 (reservoir)이라는 큰 요소가 있다. 바이러스의 축적 및 전파와 관련하여 패류는 여과섭식 (filter-feeding)을 통한 먹이섭취 시 병원체를 비롯한 다양한 물질을 체내로 축적할 수 있으며, 소화과정 동안 불활성화 되지 않거나 중장선 (digestive gland)에 특이적으로 부착하여 존재하는 바이러스 입자를 일정조건에서 배출할 수도 있기 때문에 매개체 또는 함유생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어류 및 패류 양식장이 밀집된 공간 내 인접하게 존재하고 있으므로, 패류와 해수에 존재하는 수생동물 바이러스성 질병의 검출방법의 개발과 감염성에 대한 평가는 수생동물질병 전파 및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패류와 해수 내의 바이러스는 매우 극 미량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대상 시료로부터 바이러스 농축과정이 필요하다. 패류의 경우 노로바이러스 (norovirus)등 사람 장내 바이러스성 질병 원인체 농축법인 PEG 처리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PEG처리법은 5g이상의 중장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처리과정이 복잡하며 소요시간이 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바이러스의 농축과정의 개선을 위해서 국내에서 유행하는 바이러스 중 megalocytivirus (DNA 바이러스)와 VHSV (RNA 바이러스)를 표준바이러스로 선정하여 검출에 사용되는 중장선 조직의 양적 비교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50mg (PEG 비 처리)의 소량 조직을 사용할 경우에도 정성•정량적 분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소량의 중장선을 이용하는 방법은 기존의 방법 (PEG 처리)에 비해 검출소요시간의 단축 및 개체 별 분석의 장점이 있었다. 해수로부터 바이러스를 농축하기 위해서 음이온 여과 막 농축법을 사용하였으며, glass microfiber (GF/C) 및 니틀로셀룰로즈 (nitrocellulose)를 이용한 이중 필터 방법으로 해수 중 바이러스를 효율적으로 농축할 수 있었다. 그리고 VHSV 감염 넙치 양식장의 유입수 및 사육수에 대한 적용시험을 통해 해수 중 바이러스 농축법으로서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패류와 해수에는 다양한 수생동물 바이러스성 질병 원인체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multiplex-nested PCR법을 개발하였다. 국내에서 유행하고 있는 DNA 바이러스들 (megalocytivirus, WSSV)과 RNA 바이러스들 (MABV, VHSV, VNNV)을 표적 바이러스들로 선정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multiplex-nested PCR법은 대상 바이러스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었으며, 검출한계는 중장선 1 mg당 1-10 viral particles으로 나타났다. Multiplex-nested PCR을 이용하여 국내에 서식하고 있는 패류와 주변 해수에 분포하고 있는 바이러스에 대해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다양한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었으며 VNNV를 제외한 다른 바이러스들의 시료 채취 지역별 및 시기적인 양성비율의 유효성 (P<0.05) 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패류와 해수에서 검출된 바이러스 중 megalocytivirus와 VHSV는 국내 양식 어류에서 유행하는 유전형과 동일하였으며, VNNV의 경우 국내에서 알려진 RGNNV 타입 이외에 외래 유전형(exotic subtype)인 BFNNV 타입이 검출 됨으로써 외래 바이러스의 국내 유입 및 정착되었음을 보여 주었다. 양식넙치에서 유행하고 있는 VHSV IVa 유전형에 대한 패류의 바이러스 매개체 (vector) 또는 함유생물 (reservoir)로서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담치의 소화효소로 인해 VHSV는 24시간 이후에도 완전히 불활성화 되지 않았다. 그리고 인위적으로 VHSV에 오염된 담치의 바이러스 정화능 (depuration)시험 결과, 중장선에 축적된 바이러스는 168시간 이후에도 10 viral particles이상으로 존재하고 있었으며 이는 바이러스가 특이적으로 중장선에 부착하여 장시간 존재할 수 있음 나타낸다. 그러나 담치와 VHSV 감염 넙치간의 cohabitation 모델 실험 결과, VHSV 감염 넙치가 사육수로 배출하는 바이러스의 양은 담치 중장선으로부터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는 한계 이하였다. 또한, 현장 패류 시료로부터 검출된 VHSV는 CHSE-214 세포주 (in vitro) 및 넙치 (in vivo)에서 감염을 유도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패류에 존재하는 VHSV는 자연상태에서 넙치에 감염을 유발하기 힘든 양적 수준이며, 또한 중장선에 비 감염 상태로 존재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수생동물 바이러스성 질병의 전파와 관련하여 패류와 해수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의 검출법 개선 및 감염성 평가를 통해 수산양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개선된 바이러스 검출법을 사용하여 국내 해안에 서식하고 있는 다양한 패류와 주변 해수로부터 어류질병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었으며, 어류로부터 유래된 바이러스와의 유전적 동일성을 보여주었다. 넙치에서 유행하는 VHSD을 대상으로 패류의 전파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현장 패류시료에서 검출된 바이러스는 CHSE-214 세포주와 넙치에서 병원성을 유발하지 않는 비 감염성 상태로 나타났다. VHSV는 패류 내에서 비 감염 상태로 존재하고 있으나 지속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어류질병 바이러스들이 패류와 해수에서 검출됨을 고려할 때, 패류의 바이러스성 질병 전파에 대한 잠재적 위험은 배제할 수 없을 것이며 질병 발생 전후로의 패류 및 해수에 대한 모니터링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