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軍事.非軍事 부문간 관계변화에 따른 국방운영의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金官洙 조선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concept of national security has been defined differently as the times and circumstances changes. Traditionally, it was perceived by most people as a thing that is associated only with military affairs. However, after the nineties, the transformed domestic and overseas situation is making numerous effects on this conventional concept of national security and on the direction of national defense management. In particular, domestic transition [ e.g. the settlement of localized government, the advent of environment-care era, and the pursuit of personal well-being (prosperity)] is demanding a great deal of changes in the operation of national defense. This thesis was written to clear the main cause of these sources of problem and to make sure what we can do with managing national defense when there are these kinds of anti(or non) military aspects like the fraction between local interest in protecting environment that has been neglected in order to ensure the important aim of national defense, the situation that puts more gravity on personal interest rather than national on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is going to concentrate on the conflict that are derived from anti(or non) military sector. By doing this, I hope, we might find a key to clear what kind of problem does this present transformation of non-military sector will cause and may find a way to confront this effectively. the general access is like this ( or the following is the general access). First, I would like to examine the shift of non-military sector related to national defense management amongst the course of general social transition. When we look into the main disagreement cases between the current non-military and military sector, the principle change of non-military part that makes direct influence in the management of national defense are the settlement of localized government era, a tendency that puts importance to social well-being and environment care. Therefore, I will look into the direction of change by closely examine these three trends. Second, I would like to make an analysis of these three points that may give birth to or cause problem to the conflicts between non-military and military parts. Third, let me present the right way of confronting these disagreements in order to develop the logic on how to accept or deny a claim by the non-military sector.

      • 상온의 87Rb 증기셀에서 속도 선택흡수선 관찰 및 선택된 원자의 속도성분 분석

        김관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87Rb의 증기셀에서 광펌핑 현상을 이용하여 원자의 속도선택 광펌핑 분광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주파수가 안정화된 펌핑광(pumping beam)과 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조사광(probe beam)을 동시에 사용하였고 편광은 서로 수직으로 하였다. 두 빔을 반대 방향으로 진행시키고, 증기셀 속에서 서로 겹치게 한 상태에서 조사광의 진동수를 시간에 따라 변화시키면서 조사광의 흡수율을 측정하여 속도선택흡수신호를 관찰하였다. 펌핑광의 세기에 따른 속도선택흡수선의 변화와 펌핑광의 주파수를 주공진선에 안정화시켰을 때와 교차공진선에 안정화시켰을 때 각각의 신호변화를 관찰하면서 속도선택 흡수선에 기여하는 원자군이 가지는 레이저의 진행방향으로의 원자의 속도성분을 계산해 보았다. 조사광의 세기(Ib)는 35 μW/cm2 이고 펌핑광의 세기(Ip)가 3.73 mW/cm2 일 때 속도선택흡수선의 선폭이 좁고 피크가 크게 나왔음을 알 수 있었으며 펌핑광의 세기가 커짐에 따라 강한 레이저에 의한 선폭확대효과에 의해 속도선택 흡수선의 선폭(full width at half maximum ; FWHM)이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정 신호에 해당하는 원자군의 실험실좌표계에서의 조사광 방향의 속도성분은 0 m/s, -209 m/s, -333 m/s, -212 m/s, -333 m/s, -105 m/s, 105 m/s, 104 m/s, -108 m/s, -232 m/s, -229 m/s임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 칼라사진표현의 사진사적 의의와 그 영향에 관한 연구

        김관수 경성대학교 산업대학원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A color photography is the most excellent media to express a color of nature. In spite of unbounded possibility and reappearance, the value id the photography has not acknowledged well. In the beginning 1970's, the possibility is presented by the young photographers activing around America. Invention of a color photography is appeared a new media with infinite potential energy. It could transcend the limits of color expression, the problem of a black-and-white photography 'Documents' reappearing the fact of reality and 'Image' organized newly based on document could fascinate. As a color photography, a black-and-white photography realized the limits of the fact reappearance investigated a new appearance method. So, enlarged the boundaries of more various appearance field. It result in a basic power. The first acceptance of color photography was inadvertize ment and news. When the existing photographers was hesitating to accept a color photography, some photographers gave full play the excellent color and vision of color photography with their expression purpose. In a history of photography, the value of color photography was reserved during the long time. After 1970's, the province as a expression media was located by the bold young photographers. The limits of color was sought an inner world in a real reappearance of color photography. The various expression with color photography is presenting the vision of unlimited expression in a entry of new abstract passing the step of expression. When the potential energy is showed eternally, either experimental approach or metaphysical sight, a color photography with the light and color at a time will be reclaimed a new history of photography.

      • 한국의 섬지역에서 분포하고 있는 식물의 생활형 및 생육형에 관한 연구

        김관수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020 through March 2022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lant life forms and growth forms with the south coast (low latitude), the east coast (middle latitude), the west coast (high latitude), the west/south coast (islands in Sinan-gun) and south of the west coast (Wido Island) of Korea. The results of an analysis, referring to the climate, topography, vegetation, and soil environment by dividing into six habitats into forest, river and wetland, tidal mudflat, dune, rocky, and arable land and village area, considering various environments on each island to interpret the ecological adaptability of plants on islands using life forms, are as follows. An analysis of the life forms according to climatic factors showed that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among the south sea, west sea, and east sea (Ulleungdo Island and Dokdo Island). However, as for the life forms by topographic factors and vegetation type, they were doing ecological adaptation at each habitat with different life forms. Moreover, topography, vegetation type, and soil humidity greatly affected the plant life forms distributed in each island area as well. As for the dormancy forms of all the islands surveyed, the distribution ratio of hemicryptophytes (H) was the highest, followed by geophyte (G), therophytes (Th), and therophytes (Th(w)). However, the distribution ratios of hydatophytes (HH), therophytic aquatic plant (HH(Th)), and chamaephytes (Ch) was low. This is a result in which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island, including soil, wind, and topography are reflected, and the ratio of hydatophytes is low probably because the size of wetland related to water is small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sland. As for the radicoid form of vascular plants, non-clonal growth (monophyte), R5, was the highest on nine islands surveyed, and the ratio of R4 was low. R5 was high on land. It seems that this is because the most advantageous type for plant growth is the monophyte type. However, considering R4 radicoid form to be a form with the condition favorable for growth in sand and gravel soil in the middle and upstream of the river, this is because the area scale of the islands surveyed is small, and the river develops poorly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sland. As for the disseminule form, the form having no special modification for dissemination takes up about 50%, so a lot of plants chose the form having no special modification for dissemination to be evolved, favorable for the inhabitation and survival on the island. As for the growth form, the erect form was distributed at the highest percentage; however, it was relatively lower on Dokdo Island. This is affected by the strong wind because of the rocky topographic condition and long distance from land. Especially, the distribution of branched form (b) was 17.54%, about three times higher rate than other islands because of the strong wind and thin soil depth by topographic characteristics. As for the growth forms on Dokdo Island and Ulleungdo Island on the east coast, Hansando Island and Bogildo Island on the south coast, islands in Sinan-gun on the southwest coast, and Wido Island, Jawoldo Island, and Daecheongdo Island on the west coast, overall, the ratios of growth forms show a tendency similar to those of land; however, as various physical conditions, such as island climate, soil, topography, salinity concentration, and wind/soil depth were reflected, the distribution ratios of erect form and rosette form were lower than on land, and those of branched form, tussock form, and procumbent form were high. A survey, subdividing six habitats on each island, showed similar tendencies in rocky and dune habitats. Tidal mudflat habitats were almost the same as tidal mudflat habitats on land and island habitats. This is because in the tidal mudflat habitat environment, salinity acted primarily on plant growth. Plant growth forms are related to the habitat environments to some extent because the behaviors or habits of stems and branches have abundant plasticity as a criterion for growth form and mutate in response to the environment of location. This is because it more sensitively reflected micro-environmental differences than Raunkiaer’s dormancy form (Nakanishi et al., 1983). As for the dormancy form according to the latitude, in five habitats, except for the tidal mudflat on islands in the south coast belonging to low latitude (Bogildo Island, etc.), chamaephytes (Ch) showed low distribution ratios. In Daecheongdo Island at the highest latitude, it was distributed only on dune, rocky, arable land and village area. Ulleungdo Island at the middle latitude on the east coast showed a tendency similar to Daecheongdo Island as well. Epiphyten (E) was distributed in rocky or forest area at all low latitude, middle latitude, and high latitude. Geophyte (G) was not distributed in tidal mudflat on islands at low latitude and middle latitude, and it showed the lowest distribution ratio of six habitats in Daecheongdo Island. The habitat with limited distribution of geophyte is tidal mudflat, and it seems that this is associated with soil properties. Hemicryptophytes (H) showed very similar distribution ratios in all island areas at low latitude, middle latitude, and high latitude. The distribution area of hemicryptophytes was very wide, and the adaptability was very high in different environments. Hydatophytes (HH) were not distributed in forest area on low latitude islands, in tidal mudflat and dune areas on middle latitude islands, and in habitats in dune and rocky areas on high latitude islands. This was not related to the difference in the latitude of the island but related to the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island surveyed and the size of the island. Phanerophyte (M) had the highest distribution ratio in forest habitats on all islands. It was not distributed in tidal mudflat habitats, while the distribution ratio was low in dune and rocky habitats. This phenomenon showed a similar tendency also in megaphanerophytes (MM). However, nanophanerophytes (N) had a high distribution ratio in dune and rocky habitats on islands at low latitude and high latitude, and the distribution ratio was lower, or it was not distributed on Ulleungdo Island. This phenomenon might result from the slight formation of dune habitats due to the topographic phenomena on Ulleungdo Island. The distribution ratio of therophytes (winter annual) (Th) were high in tidal mudflat, arable land and village, and dune area in all island areas, and this was related to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in tidal mudflat and dune area habitat, and disturbance, to arable land and village. In forest area habitats, the distribution ratio of therophytes was low. Like this, in relation to climates in the southernmost region on the latitude in Korea like Bogildo Island, etc. (low latitude), Ulleungdo Island, etc. (middle latitude), and Daecheongdo Island, etc. (high latitude), as for the distribution ratio by dormant bud habitat, the environmental factor of latitude acted as a limiting factor for the distribution of chamaephytes, and geophyte was evenly distributed in all areas regardless of the latitude. As for radicoid form by latitude, R1,2, R3, R4, and R5 appeared on all islands. R1,2 showed a high distribution ratio in tidal mudflat and dune area at low latitude, middle latitude, and high latitude and a low ratio in forest, arable land and village area. This phenomenon is because R1,2 has both R1 and R2, which acts favorably for growth in these habitats. The form disseminated widely by wind or water (D1), a disseminule form by latitude, was high in forest, rocky, river and wetland area on low latitude islands and low in tidal mudflat and dune area. On middle latitude island, the distribution ratio was high in rocky area and low in tidal mudflat area. On high latitude islands, the ratio was high in rocky, river and wetland area and low in tidal mudflat and dune area. The form disseminated attaching with or eaten by animals and man (D2) had a high distribution ratio in forest habitats on all islands and a low distribution ratio in dune area on middle latitude and low latitude islands. This is because animal habitats are distributed more in forest area than in dune area, since the form disseminated attaching with or eaten by animals and man is greatly affected by animals, The distribution ratio of the form disseminated by mechanical propulsion of dehiscence of fruits (D3) was high in arable land and village area at low latitude and high latitude and low in forest area on all islands. The distribution ratio of the form having no special modification for dissemination (D4) was the highest in habitats on all islands. Of the growth forms by latitude, the distribution ratio of branched form (b) was the highest in tidal mudflat area at low latitude and middle latitude and low in forest area on all islands. The erect form (e) was distributed high in forest area on all islands and low in tidal mudflat and dune area. On Bogildo Island, etc. (low latitude) and Daecheongdo Island, etc. (high latitude), by habitat, the ratio of the highest distribution of partial rosette form (pr) was the same in tidal mudflat area; rosette erect form (ps), in river and wetland area; rosette form (r), in tidal mudflat area; and tussock form (t), in dune area, and that of the forms except for rosette form (r) was the same on Ulleungdo Islands (middle latitude). Rosette form (r) on the middle latitude was distributed the highest in rocky area. In conclusion, the extent of disturbance, the size of the island, and topographic characteristic acted greatly on the plant life forms and growth forms in the island regions of Kore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plant geography were not greatly reflected on the south coast, the west coast, and the east coast. 한국의 남해안(한국의 저위도), 동해안(중위도), 서해안(고위도), 서·남해안(신안군 도서) 그리고 서해안 남부(위도) 등을 대상으로 식물의 생활형과 생육형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20년 3월부터 2022년 3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생활형을 이용한 도서식물의 생태적 적응력에 대한 해석을 위해 각 섬의 다양한 환경을 고려하여 산림, 하천 및 습지, 갯벌, 사구, 암석, 경작지 및 마을지역의 6개 서식지로 구분하여 기후, 지형, 식생, 토양환경 등을 참고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후적 요인에 따른 생활형 분석은 남해도서, 서해도서, 동해(울릉도·독도)도서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그러나, 지형적 요인과 식생유형에 의한 생활형은 서로 다른 생활형 유형을 가지고 각각의 서식지에서 생태적 적응을 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섬 지역에서 분포하는 식물의 생활형도 지형, 식생유형, 토양습도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지 전체 섬의 휴면형은 반지중식물(H)의 분포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지중식물(G), 1년생식물(Th), 동형1년초(Th(w))의 분포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수생식물(HH), 1년생 수생식물(HH(Th)), 지표식물(Ch)의 분포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섬의 물리적 환경인 토양, 바람, 지형 등이 반영된 결과이며, 수생식물의 비율이 낮은 것은 섬의 특성상 물과 관련된 습지의 규모가 작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관속식물의 지하기관형은 조사대상 9개 도서에서 단립식물인 R5가 가장 높았으며, R4의 비율이 낮았으며, 육지에서도 R5가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식물의 생육에 가장 유리한 유형이 단립유형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R4형의 지하기관형은 하천의 중·상류 모래·자갈 토양에서 생육하기가 유리한 조건을 가진 유형인 점을 고려할 때 조사대상 도서의 면적 규모가 작고 섬의 특성상 하천발달이 미미하기 때문이다. 산포기관형은 중력산포형이 50% 내·외를 차지하고 있어서 많은 식물들이 섬에서 서식과 생존에 유리한 중력산포형을 선택·진화한 것으로 보인다. 생육형은 직립형이 가장 높은 비율로 분포하였으나, 독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이유는 암석으로 이루어진 지형적 조건 및 육지와의 거리가 멀어서 강한 바람이 영향을 미친 결과이다. 특히, 분지형(b)이 17.54%로 다른 섬에 비해 약 3배 높은 비율로 분포한 것은 강한 바람과 지형적 특성상 토양 심도가 얇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동해안의 독도, 울릉도, 남해안의 한산도, 보길도 등, 서남해안 신안군 도서, 서해안의 위도, 자월도, 대청도 등의 생육형은 전체적으로 생육형 비율은 육지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섬의 기후·토양·지형·염분농도·바람·토심 등의 다양한 물리적 조건이 반영되어 직립형, 로제트형 등의 분포비율은 육지보다 낮고 분지형, 총생형, 포복형 등은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각 섬의 6개 서식지를 세분하여 조사한 결과 암석, 사구 서식지에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났다. 갯벌 서식지는 육지 갯벌 서식지와 섬 서식지가 거의 같았다. 이것은 갯벌의 서식환경이 염도가 식물의 생육에 1차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식물의 생육형이 서식환경과 일정한 관계가 있는 것은 줄기와 가지의 행동이나 습성이 생육형의 기준으로서 가소성이 풍부하고, 입지의 환경에 대응하여 변이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Raunkiaer의 휴면형에 비해 미시적인 환경의 차이를 민감하게 반영한 결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中西哲 등, 1983). 위도에 따른 휴면형은 저위도에 속하는 남해안 도서(보길도 등)의 지표식물(Ch)은 갯벌을 제외한 5개 서식지가 낮은 분포비율을 보였다. 가장 고위도에 속하는 대청도는 사구, 암석, 경작지 및 마을지역에서만 분포하였다. 동해안의 중위도인 울릉도 역시 대청도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착생식물(E)은 저위도, 중위도, 고위도 모두 암석 또는 산림지역에서 분포하였다. 지중식물(G)은 저위도, 중위도 섬의 갯벌에서는 분포하지 않았으며, 대청도에서는 6개 서식지 중 가장 낮은 분포비율을 나타냈다. 이것은 지중식물의 분포제한 서식지는 갯벌이며, 토양의 특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반지중식물(H)은 저위도, 중위도, 고위도의 모든 섬 지역에서 매우 유사한 분포비율을 나타내고 있어 반지중식물의 분포역 및 서로 다른 환경에서의 적응력이 매우 높았다. 수생식물(HH)은 저위도 섬에서는 산림지역, 중위도 섬에서는 갯벌·사구지역, 고위도 섬에서는 사구·암석지역 서식지에서는 분포하지 않았다. 이것은 섬의 위도 상의 차이와는 관계가 없으며, 조사대상지 섬의 지형적 특징, 섬의 규모 등과 관련이 있었다. 지상식물(M)은 모든 섬에서 산림서식지의 분포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갯벌 서식지는 분포하지 않았고, 사구와 암석 서식지는 분포비율이 낮았다. 이러한 현상은 대형지상식물(MM)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미소지상식물(N)은 저위도와 고위도의 섬에서는 사구와 암석 서식지에서 분포비율이 높았으며, 울릉도에서는 낮거나 분포하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은 울릉도의 지형적 현상으로 인한 사구 서식지의 형성이 미미한 결과로 보인다. 1년생식물(Th)은 모든 섬 지역에서 갯벌, 경작지 및 마을, 사구지역 등에서 높았는데, 이것은 갯벌 및 사구지역 서식지는 물리적 환경요인과 관련이 있으며, 경작지 및 마을은 교란과 관련이 있었다. 산림지역 서식지는 1년생식물의 분포비율이 낮았다. 이와같이 우리나라 위도상 가장 남쪽지역인 보길도 등(저위도), 울릉도 등(중위도) 그리고, 대청도 등(고위도)의 기후 등과 관련되 휴면아의 서식지 별 분포비율은 지표식물의 분포는 위도의 환경요인이 제한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지중식물은 위도와 관계없이 전 지역에 고루 분포하였다. 위도에 따른 지하기관형은 모든 섬에서 R1,2, R3, R4, R5형이 모두 나타났으며, R1,2는 저위도, 중위도, 고위도에서 모두 갯벌, 사구지역에서 높은 분포비율로 나타났으며, 산림, 경작지 및 마을지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R1,2는 R1, R2의 유형을 모두 가지고 있어 이들 서식지에서 생육에 유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위도에 따른 산포기관형인 풍수산포형(D1)은 저위도 섬에서는 산림, 암석, 하천 및 습지지역에서 높았으며, 갯벌, 사구지역에는 낮게 나타났다. 중위도 섬에서는 암석지역에서 높은 분포비율을 보였으며, 갯벌지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고위도 섬에서는 암석, 하천 및 습지지역 등에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갯벌, 사구지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동물산포형(D2)은 모든 섬에서 산림 서식지가 높은 분포비율로 나타났으며, 중위도와 저위도 섬은 사구지역에서 낮은 분포비율로 나타났다. 동물산포형은 동물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동물의 서식지가 사구지역보다 산림지역에 많이 분포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자동산포형(D3)은 저위도, 고위도에서 경작지 및 마을지역에서 높은 분포비율로 나타났고 모든 섬에서 산림지역에서 낮게 분포하였다. 중력산포형(D4)은 모든 섬의 서식지에서 가장 높은 분포비율로 나타났다. 위도에 따른 생육형 중 분지형(b)은 저위도, 중위도의 갯벌지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섬의 산림지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직립형(e)은 모든 섬의 산림지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갯벌, 사구지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보길도 등(저위도), 대청도 등(고위도)에서 일시적로제트형(pr)은 갯벌지역, 로제트직립형(ps)은 하천 및 습지지역, 로제트형(r)은 갯벌지역, 총생형(t)은 사구지역에서 서식지 별 가장 높은 분포의 비율이 같았으며, 울릉도 등(중위도)에서는 로제트형(r)을 제외한 유형이 같았다. 중위도의 로제트형(r)은 암석지역에서 가장 높게 분포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도서지역 식물의 생활형과 생육형은 교란의 정도, 섬의 규모, 지형적 특성이 크게 작용하였으며, 남해안, 서해안, 동해안의 식물지리구계의 특성은 크게 반영하지 않았다.

      • 스마트폰 다중센서 및 GPS 데이터를 결합한 딥러닝 기반 PDR 기법

        김관수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마트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이동 변화량을 관성 센서 기반으로 계산하는 보행자 관성항법은 사용자의 신체적, 보행 습관에 따른 보폭 추정 문제, 보행 경로에 따른 드리프트 문제, 주변 환경에 따른 자기장 변동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측위 정확도를 향상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기존 보행자 관성항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딥러닝 기반의 PDR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관성 센서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스마트폰 사용자의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는 관성 센서를 GPS의 위치 변화량으로 대응시키고 두 요소를 입력과 출력 데이터로 구성해 심층 신경망을 학습시킨다. 또한, 대다수의 딥러닝 학습에서 존재하는 문제 중 하나인 데이터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 기법의 입출력 데이터 특성을 활용한 데이터 증강 기법을 제안하며, 보유한 데이터가 적은 상황에서도 데이터 증강을 통해 학습과 측위 성능의 효율성을 향상한다. 제안 기법의 알고리즘 개발과 실제 측위 실험을 위해 Android OS 기반 삼성전자의 Galaxy S8 스마트폰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구축하였고, 딥러닝 프레임 워크는 스마트폰에 이식이 쉬운 Google사의 TensorFlow를 사용하여 제안하는 딥러닝 기반 PDR 기법의 모델을 구축 및 학습을 진행하였다. 제안 기법의 실제 측위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단일 건물을 통과하는 짧은 경로 실험과 두 개의 건물을 통과하는 복잡하고 긴 경로의 실험을 통해 실질적인 측위 성능을 확인하였다. Pedestrian dead reckoning, which calculates the amount of movement change based on inertial sensors to track the current location of smartphone user's, causes problems of estimating stride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and walking habits, drift issue according to walking paths, and magnetic field fluctuations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 study is being actively conducted to resolve the above problem and improve the localization accuracy, and this paper proposes a deep learning-based PDR scheme to solve the problem arising from the existing pedestrian dead reckoning. To complement the problem of inertial sensors, the proposed scheme responds to inertial sensors that can express the movement of smartphone user's by the amount of GPS position change and consists of input and output data to learn deep neural networks. In addition, to solve the data shortage problem, one of the problems in most deep learning, we propose a data augmentation method using input/output data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scheme,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learning and localization performance through data augment even when there is little data. For algorithm development of the proposed scheme and actual localization experiment, an application was built on Samsung Galaxy S8 smartphone based on Android OS, and the deep learning framework constructed and learned a model of the proposed deep learning-based PDR scheme using Google's TensorFlow, which is easy to transplant to smartphones. Finally, to confirm the actual localization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the actual localization performance was confirmed through a short path experiment through a single building and a complex and long path experiment through two buildings.

      • 작목반의 운영실태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남양주시 작목반을 중심으로

        김관수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작목반은 경제작물의 도입과정에서 농업생산의 조직화와 협업을 통한 공동화의 필요에 따라 조직되었다. 작목반은 기술협동, 공동작업, 공동시설이용, 공동출하, 공동판매 등을 통하여 생산기술수준의 제고, 출하규모의 영세성 극복, 시장교섭력 재고 등으로 소득 수준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판매의 안정성을 추구하고 있다. 따라서 작목반의 운영활성화는 농업·농촌의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작목반을 품목별, 지역별, 발전단계별로 구분하고, 문제점 및 운영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우선 작목반 조직과 밀착된 농협의 작목반 지원을 살펴보기 위하여 선행 검토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전국과 남양주시 지역내의 작목반을 비교·분석하였다. 1970년대 1,484개소의 시작으로 형성된 작목반은 1999년 현재 20,602개소로 양적·질적으로 큰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작목반이 기대한 바대로 확고한 기초산업을 담당하고 있지 못한 바, 이러한 문제점을 다각도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남양주시 회원농협을, 지역별로 구분하고 이중 21개의 작목반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내용은 작목반의 공동시설 보유 실태, 공동생산 활동 실태, 선별기준 설정주체, 상품수집방법, 수송방법, 출하처, 시장정보 습득실태, 대금 정산실태, 표준규격화 및 브랜드화 실태, 작목반 공동기금 조성 및 운용실태 등이다. 이상의 실태결과에 따라 품목별, 지역별, 발전단계별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품목별 문제점은 판로개척, 상품의 질 향상, 친환경농업에 대한 토론의 부재, 노동력의 질 저하, 재배과정의 어려움, 영농자금의 부족, 규모의 영세성 등이다. 지역별 문제점으로는 지역의 협소, 규모의 영세성, 다수의 임차농, 영농에 대한 애착심의 부재, 농가인구 감소, 협동심 부족 등이다. 그리고 발전단계별 문제점으로는 기초작목반의 경우 규모의 영세성, 영농자금 사용능력의 한계, 반원간 개인주의 의식팽배 등이고, 일반작목반의 경우 농협의 영농교육에 대한 실천의 미흡, 선진작목반의 경우 조직의 비대화, 과다농산물에 대한 판로의 문제점이 지적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작목반의 운영활성화 방안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목반 정비 및 선진작목반의 육성, 둘째, 농협의 작목반에 대한 지원강화와 이에 대한 후속 조치로 영농지도사의 역할 강화, 농협의 작목반 지원사업 강화, 작목반 신규 등록의 평가강화, 셋째, 작목반에 대한 경영컨설팅의 현실화, 넷째, 통합농협 및 지역농협 내 품목별 영농지도사 육성, 다섯째, 농협과 작목반간 경제사업의 연계강화체계가 수립, 추진되어야 한다. Farming Organizations are organized because of necessity for organizations of farm production by cooperative process of economic crops. Farming Organizations have concrete objects to receive high price considering safety of marketing, level of production skill and restoration of small-scale of shipments. This research showed development strategies by finding the problems of each parts classified by items, regions, and development stages on farming organizations. First of all, this research is arranged through reviewing applications to farming organizations of agricultural co-operatives related to the farm organizations. In addition, the basic data brings to comparative analysis of farming organizations in the whole country and Namyangju-Si.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farming organizations were 1,484 in 1970, and they are increased to 20,602 in 1999. The data was obtained from the public facilities, activities of a joint production, selective criteria, methods of collecting goods, transport methods, shipments, market informations, price adjustment, actual conditions of standardization and brand and the operational realities of farming organizations and so on. The problems are conditions of results mentioned above classified by items, regions, and development stages. First, questions classified by items are scattered market reclamation, improvement in quality of goods, absence of debate about sustainable agriculture, deterioration in quality of labor, difficulties of cultivating process, lack of a farming fund and small-scale of economy. The problems classified by regions are small area, small-scale, a large number of leased farmlands, absence of attachment for farming, decrease in farm population etc. And questions classified by development stages are small-scale in farming organizations, the limit in using capacity of funds and overflowing of individualities consciousness etc, lack of farming education in the case of general farming organizations and advanced farming organizations. Development strategies are as follows; Firstly, we should put farming organizations in good conditions and enhancement the advanced farming organizations. Secondly, we should support for reinforcement of agricultural cooperatives related to farming organizations and evaluate reinforcement of new registration in the farming organizations. Thirdly, it is necessary to apply consulting systems in management. Fourthly, we should promote farming guide lines classified by items in united agricultural cooperatives and reg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s. Fifthly, we should strengthen economic business linkage and farming organ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