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리모델링에 따른 청주 연초제조창의 음향성능 개선 및 변화

        김경훈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63

        청주 연초제조창은 지역사회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였으나 2004년 공장폐쇄 이후 별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못하고 방치되어 왔다. 따라서 청주시에서는 연초제조창내 동부창고를 새롭게 리모델링하여 지역주민들에게 공연예술연습공간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연초제조창을 리모델링하기 위해서는 설계단계에서부터 공간의 용도 및 목적에 적합한 물리적 음향성능을 확보해야 하며 이에 따른 주관적 반응의 변화도 파악해야 한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리모델링 시 대부분 물리적 음향성능의 개선에만 그치고 있어 주관적 음향성능도 평가해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청주 연초제조창 내에 있는 동부창고를 대상으로 리모델링 전·후 음향시뮬레이션과 현장실험을 통해 물리적 음향성능을 평가 하였다. 그리고 가청화 기법을 이용한 청감실험 등을 통해 리모델링 전·후 물리적 음향성능의 변화에 따른 주관적 음향성능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리모델링 전 청주 연초제조창의 음향성능은 SPL(A)는 73.9dB(A), SPL500Hz는 70dB, RT500Hz는 3.5초, D50,500Hz는 14.6%, C80,500Hz는 -5.6dB, RASTI는 36.1%로 나타났다. 따라서 리모델링 전 청주 연초제조창은 과도한 울림과 긴 잔향시간으로 인해 심각한 음향적 결함이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2. 리모델링 후 소연습실1,2와 중연습실의 음향성능은 SPL(A)는 81.6∼83.7dB(A), SPL500Hz는 69.4∼72.1dB, RT500Hz는 0.21∼0.3초, D50,500Hz는 93.3∼97.4%, C80,500Hz는 17.2∼24.7dB, RASTI는 80∼86%로 나타나 무용이나 연극 등의 동작 및 대사연습에 적합한 음향성능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대연습실의 음향성능은 SPL(A)는 76.5dB(A), SPL500Hz는 66.7dB, RT500Hz는 1.13초, D50,500Hz는 51.7%, C80,500Hz는 3dB, RASTI는 60.8%로 나타나 다양한 공연 및 행사가 가능한 다목적 공간의 음향성능을 확보하고 있다. 3. 리모델링 전·후 공간을 4가지 Case로 유형화하였으며 가청화 기법을 이용한 청감실험 결과 리모델링 전(Case1)은 과도한 울림으로 인해 “울림”, “크기”, “확산감”에 대한 주관적 반응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공간의 용도에 맞게 음향성능이 개선된 리모델링 후(Case2∼Case4)에는 “친밀감”, “명료성”, “선명함”, “포근함”, “균형”등의 어휘에 대한 주관적 반응이 증가하였다. 4. 청감실험 결과 평가어휘 중 가장 많은 감쇠량을 보인 “울림”에 대한 주관적 반응은 리모델링 전(Case1)에 비해 리모델링 후 Case2에서는 50%, Case3에서는 34.3%, Case4에서는 20% 정도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평가어휘 중 가장 많은 증가량을 보인 “명료성”은 리모델링 전(Case1)에 비해 리모델링 후 Case2에서는 47.1%, Case3에서는 34.3%, Case4에서는 20% 정도로 증가하였다. 5. 청감실험 결과 리모델링 전(Case1)에 비해 리모델링 후 Case2∼Case4에서 주관적 반응의 개선량을 파악해 보면 동작 및 대사연습 공간으로 리모델링 된 Case2에서 평가어휘별 변화 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다목적 홀에 적합한 공간으로 리모델링 된 Case4에서는 평가어휘별 변화폭이 가장 작았으며 Case3에서는 중간정도의 변화 폭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물리적 음향성능의 개선에 따른 주관적 반응도 공연의 용도 및 목적에 맞도록 개선되었다. The Cheongju Tobacco Center, which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community, has failed to be used for a specific purpose and been neglected since the plant was closed in 2004. So Cheongju City intended to remodel the East Warehouse within the center into a performing arts practice space for local residents. It is necessary to begin to secure physical acoustic performance appropriate for the use and purpose of space at the stage of design and determine the resultant changes in subjective responses with the objective of remodeling a tobacco center. However, since remodeling in South Korea involves physical acoustic performance alone in most cases, there is a need to evaluate subjective acoustic performance as well.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imed to perform acoustic simulation and field experiment before and after remodeling in the East Warehouse within the center and evaluate physical acoustic performance. Another attempt was made to perform psycho-acoustic experiment using auralization to determine the changes in subjective acoustic performance in terms of the changes in physical acoustic performance after remodeling.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As for pre-remodeling acoustic performance of the Cheongju Tobacco Center, SPL(A) was 73.9 dB(A), SPL500Hz 70 dB, RT500Hz 3.5 sec, D50,500Hz 14.6%, C80,500Hz -5.6 dB, and RASTI 36.1%. Since the Cheongju Tobacco Center has serious acoustic defects due to excessive reverberation and long reverberation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m. 2. As for post-remodeling acoustic performance of the small-sized practice rooms 1 and 2 and the medium-sized practice room, SPL(A) was 81.6-83.7 dB(A), SPL500Hz 69.4-72.1 dB, RT500Hz 0.21-0.3 sec, D50,500Hz 93.3-97.4%, C80,500Hz 17.2-24.7 dB, and RASTI 80-86%, confirming acoustic performance appropriate for movement and line practice in dances or plays. As for acoustic performance of the large-sized practice room, SPL(A) was 76.5 dB(A), SPL500Hz 66.7 dB, RT500Hz 1.13 sec, D50,500Hz 51.7%, C80,500Hz 3 dB, and RASTI 60.8%, confirming acoustic performance appropriate for multipurpose space to hold various performances and events. 3. Before and after remodeling, space was categorized into four cases; the psycho-acoustic experiment using auralization found that the subjective responses to reverberation, loudness, and diffusion were very great due to excessive reverberation before remodeling (Case 1). The subjective responses to such vocabularies as intimacy, definition, clarity, warmth, and balance increased after remodeling with improved acoustic performance to meet the use of space (Cases 2-4). 4. The subjective responses to reverberation, which decreased most significantly among the vocabularies in the psycho-acoustic experiment, decreased to about 50% in Case 2, about 34.3% in Case 3, and about 20% in Case 4 after remodeling. Those to clarity, which increased most significantly among the vocabularies in the psycho-acoustic experiment, increased to about 47.1% in Case 2, about 34.3% in Case 3, and about 20% in Case 4 after remodeling. 5. The psycho-acoustic experiment found that the improvement of subjective responses after remodeling was greatest for each vocabulary in Case 2-4 of remodeling into space for movement and line practice. The improvement was smallest for each vocabulary in Case 4 of remodeling into space appropriate for a multipurpose hall and was at an average level in Case 3. To put these results together, the subjective responses based on the improvement of physical acoustic performance also improved to meet the use and purpose of performance.

      • 바위털갯지렁이 대량 종묘생산을 위한 초기 사육기법

        김경훈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바위털갯지렁이의 대량생산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초기 유생단계의 높은 폐사율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바위털갯지렁이 대량생산을 위하여 인공종묘생산을 통한 초기 사육기법 개발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자연수온에서 유생의 출현 수온은 18~23℃범위였으며, 일조량이 8시간 이상 되었을 때와 사리일 때 그 양이 증가하였다. 인공종묘생산 결과 모충 사육장 수온이 20℃에 이른 후 18일령에 방정이 시작되었으며 그로부터 5일후 유생이 최초 출현하였다. 50일간 출현한 유생의 수는 총 1270만미였다. 이 종묘를 이용하여 바위털갯지렁이 유생의 생존율 향상을 위한 사육환경 실험을 실시하였다. 유생 사육 호적온도는 20℃로 나타났다. 적정 사육수는 Autoclave 로 멸균 한 것과 여과한 해수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육기질은 기질A(특허출원중)가 가장 효과 적이었다. 기질에 따른 빠른 잠입시간은 곧 빠른 성장을 보여주었다. 최종 생존율 또한 92%로 높게 나타났다. 가장 적합한 사육밀도는 10~40 마리/㎝2 였다. 먹이실험에서 탈각알테미아가 가장 높은 성장과 생존율을 나타냈다. 탈각알테미아를 먹이로 준 실험구의 생존율은 61%였으며 사료실험구는 52%였다. 일간 성장률은 사료를 먹이로 준 실험구가 7.4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탈각 알테미아가 6.49% 였다. 위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사육한 결과 이전 보고된 바위털갯지렁이 유생의 형태적 특성(Prevedelli et al., 2007) 보다 좀 더 빠른 발달양상과 높은 생존율을 보여주었다. The most important problem in the mass production of polychaete Marphysa sanguinea is high mortality in the early stage of larvae.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early-rearing techniques through the artificial seed production of M. sanguinea at the Fisheries Science & Technology Center,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n the natural sea water flow system, spawning was found from 18℃ to 23℃ in the rearing tank. When it was high tide and sunshine duration was for more than eight hours, the larvae production increased. For the artificial seed production, the water temperature was controlled for 100 days and the temperature of the rearing tank was maintained at 20℃. Spermatogenic spurts were observed 18 days after the temperature of the tank reached 20℃, and the larvae were released from burrows 5 days after that. The larvae continued to be produced for 50 days.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survival of larvae was found to be 20℃ through the rearing experiments on the artificially produced see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ring larvae between the sea water sterilized by the autoclave process and the filtered sea water. Among the rearing substrates, substrate A (which a patent was filed for) was the most effective, showing a high specific growth rate and survival rate (92%). It also showed the time-reducing effect on the settling-down process in the trochophore stage. The suitable densities for the settlement were 10~40 individuals/cm2. In the feeding experiment for larvae culture, the suitable was decapsulated Artemia and shrimp feed. The survival rate reached 61% and 52% on decapsulated Artemia and shrimp feed, respectively. However, the specific growth rate was the highest (7.46%) on shrimp feed and it was the second highest (6.49%) on decapsulated Artemia. The results of rearing larvae for 20 days showed a much faster settlement and development than compared to the previous results in Italy (Prevedelli et al., 2007).

      • 神經回路網 PID 制御器를 利用한 電力 系統의 負荷周波數 制御에 관한 硏究

        김경훈 동아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에서는 부하외란이 발생할 경우 2지역 전력계통의 부하주파수 제어 즉, 각 지역내의 주파수 및 연계선 조류편차가 허용치 내로 신속히 수렴하도록 하기 위하여 신경회로망 자기동조 PID 제어기를 제안하였다. 종래의 PID 제어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기동조를 위한 방법으로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PID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서 전력계동 방정식의 구성, 종래의 제어방법,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자기동조 PID제어기 설계순으로 전개하였으며 또한 이에 대한 타당성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다.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신경회로망은 입력층 2개, 중간층 10개, 출력층 3개의 뉴런으로 구성하였다. 2개의 입력층 뉴런은 시스템의 오차와 오차 변화율이 입력되게 하였고 출력층은 PID 제어기의 파라미터에 해당하는 3개의 뉴런으로 구성하였다. 신경회로망의 학습 방법중의 하나인 오차 역전파 학습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학습하였다. 학습된 제어기를 부하주파수 제어모델에 적용하여 각 사례별로 부하변동에 따른 PID 파라미터 자기동조 과정과 각 지역에 대한 주파수 최대편차량과 연계선 조류 편차량등을 종래의 다른 제어기법과 비교·고찰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신경회로망 자기동조 PID 제어기는 종래의 다른 제어 기법보다 동특성 응답과 제어 성능이 우수한 제어기임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Neural Network self tuning PID controller, load frequency control in 2-area power system, is proposed to converge the amount of frequency deviation in each area and tie-line power flow deviation into permitted limit promptly when load disturbance occurs. This paper suggests a PID controller design based on neural network for self tuning its PID parameters to solve problems of a conventional PID controller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composed of formation of power system equation, conventional control method, a self tuning PID controller design using the neural network. The propriety was verifed through computer simulations. The neural network applied to this simulation is composed of two input layers, ten hidden layers and output layer which has three neuron. Two input layer neuron are designed for inputting error of system and change of error, and output layer is made up of three neuron that is parameter of PID controller. The proposed controller is learned by using Error Back Propagation Algorithm that is one of the learning method for neural network. The learned neural network controller is applied to load frequency control model to make a case study of self tuning process of PID parameter and tie-line power flow deviation with conventional other control methods such as optimal control and Ziegler-Nichols' PID method. As the obtained conclusion from this simulation, it turned out that neural network self tuning PID controller is superior to any other conventional controller for dynamic response and control performance.

      • 배합비가 상이한 콘크리트 혼용시 품질확보 방안

        김경훈 군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소도시에 위치한 건설현장은 해당 지역의 레미콘 회사들의 영세성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1일 타설계획량을 확보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 논문은 중소도시에 위치한 레미콘 회사들의 생산능력, 믹서트럭 보유대수, 품질관리자 수를 조사하고, 현장의 콘크리트 품질 확보를 위하여 건축공사 표준시방서의 이해 및 준수, 그리고 실무적으로 수행되는 품질관리 실태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실무적인 콘크리트 품질관리는 현실적으로 타설 후 일정 재령경과시 압축강도 시험이 전부였으며, 혼합타설시 발생할 수있는 예측하지 못한 화학반응 등에 대한 관리는 전무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및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의 혼합타설을 제한하고 있는 규정에서 언급한 혼합타설이 불가피하다면 책임기술자의 확인과 담당원의 승인을 규정하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무엇을 확인할 지에 대한 것은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구체화 방안으로 『공사착수후 콘크리트 공사전 까지 첫째, 미리 인근 레미콘 회사의 배합비들을 통일시키고, 둘째, 혼합타설 부위에 대한 품질의 추적조사를 통한 콘크리트 성능확보 여부를 확인하고, 세째, 혼화제 상응성 테스트를 통하여 혼용가능한 혼화제 목록화』등을 시방서에 추가∙개정할 것을 제안한다. 아울러 시범현장을 선정하여 다수의 레미콘 회사들의 콘크리트 배합비를 경제적이며 실현가능하도록 통일함으로써 혼합타설에 의한 품질위험을 회피할 수있었음을 검증하였으며, 이 경우에 각 레미콘 회사들에게 납품물량의 확보, 기존 원재료 납품사와의 관계등 상응하는 혜택이 있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과제로는 본 연구에서 검증되지 않은 제안인 혼합타설 부위에 대한 품질의 추적조사를 통한 콘크리트 성능확보 여부와 혼화제 상응성 테스트를 통하여 혼용가능한 혼화제 목록화등에 대한 계속적 연구가 필요함을 설명하였다. 아울러 지역별 표준배합설계안 도입등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장기적 대책으로 필요함을 제안한다.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have difficulties in supplying the required quantity of ready-mixed concrete(remicon) to the construction site because the capacity -production and delivery- of remicon company is insufficient. This study surveyed the capacity -related with production, delivery, number of quality control staff- of remicon companie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in order ensure the quality of concrete, the extent of complying with quality standard and regulations and taking the quality control through planned quality management has been surveyed and analysed. Accoding to the analysis result, concrete quality management is nothing more than verifying the value of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through compressive strength test. No chemical reaction test has been done even pouring the concrete with the different mixing ratio simultaneously. The current specification issued by AIK AIK :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대한건축학회 and KCI KCI : Korea Concrete Institute, 한국콘크리트학회 prescribes not to pour the concrete with the different mixing ratio simultaneously except the inevitable case. In the inevitable case, the current specification prescribes that the contractor shall get the comfirmation and approval from the representative engineer. However, no detailed article was on the specification regarding the issue discussed and approved when pouring the concrete with the different mixing ratio.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o add the following on the specification ; 『using the period between the project commencement date and the starting date of concreting, 1) to unify the concrete mixing ratio among adjacent remicon companies and/or 2) to carry out follow-up survey for the adjacent surface between the concrete with different mixing ratio and/or 3) to perform the reponse test between the different mixtures to check whether active or not and to record the non-active admixtures.』 In addition, after selecting the sample project in Gunsan, the second proposal above was applied and verified practicability of unifying the mixing ratio of 11 remicon companies in Gunsan and thereby the sample project was able to avoid the concrete quality risk unforeseen and at the same time to supply the concrete without any difficulties. The restraint of this study is that the suggestions 2) and 3) above were not validated whether applicable practically. Therefore the suggestions 2) and 3) will be studied continuously. Additionally the study for the introduction of standard mixing ration system locally, etc. will be performed in the long term base in order to avoid pouring the concrete with different mixing ratio.

      • 알레르기 꽃가루 농도와 알레르기 증상 유발과의 상관성 연구

        김경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Pollinosis is the allergic diseases which caused by allergic pollen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pollen concentration and the outbreak of allergic diseases (symptom index) from allergic patients and this outcome would be necessary to upgrade Korean own risk grade for pollen forecasting system. Methods: Airborne particles carrying allergens were collected daily from Seoul and Guri area by using 7 days-Burkard sampler (Burkard Manufacturing Co Ltd, Hertfordshire, UK) for 6 years. Total 596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n=144 for Spring, n=139 for Autumn), and Hanyang University Guri Hospital (n=157 for Spring, n=156 for Autumn). Symptom index was evaluated and recorded by phone-calling to study subjects daily or asking questionnaire when they visit outpatient clinic every week.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was analyzed by using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regression models with time series graph. Results: Airborne pollen has two peak seasons that is May and September in Korea. In skin prick test, sensitization rate for ragweed pollen were gradually increased in children. In the same period, sensitization rates for airborne pollen, especially oak, birch for Spring, and Japanese hop for Autumn were increased annually.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ymptom index from allergic patients and allergic pollen concentrations in this study. Especially symptom index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oak pollen concentration of Day 0 in spring and to Japanese hop concentration of Day -1 in autumn. Conclusion: Sensitization rates for pollen increased annually. Furthermore,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allergy symptom index and pollen concentrations. The risk grade levels need confirmation by further investigation for pollen allergy foreca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