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관한 구조모형 연구

        김경호 남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관한 구조모형 연구 김경호 지도교수 : 김영춘 사회복지학과 남부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이직의도의 실태를 파악하고, 아울러 직무스트레스, 소진, 조직몰입 등이 이직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함으로써 이직의도를 완화시킬 수 있는 이론적, 실천적 대안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주광역시와 전남지역에 소재하는 노인장기요양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여 동의를 받아 설문지를 통한 자기기입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AMO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후 구조방정식 모델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적합도 검증, 경로관계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된 잠재변인 연구모형 적합도는 χ²(p)=577.794, df=284, n=202, p<.001), TLI=.939, CFI=.947, RMSEA=.050, SRMR=.045로 나타나 모든 지수가 적합기준에 부합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델을 활용하여 검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심할수록 소진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심할수록 조직몰입은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소진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소진이 심할수록 이직의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조직몰입이 심할수록 이직의도가 낮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직무스트레스가 소진과 조직몰입을 매개하여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한 결과, 이직과 조직몰입도 이직의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며,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간에 소진과 조직몰입 모두 매개변인은 간접효과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검증결과를 기초로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을 감소시키며 지속적으로 업무에 집중함으로써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실천적 측면과 정책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실천적 측면으로 첫째, 소진을 예방하거나 낮추기 위해서 또는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를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조직 차원의 실천적 개입이 필요하다. 둘째, 소진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이 확인되었으므로 부정적 결과가 예상되는 경로의 중간 고리를 끊는다는 의미에서 소진을 낮추거나 조직몰입을 높이려는 조직 차원의 실천적 행동이 필요하다. 셋째, 감정노동자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들이 업무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직무교육의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긍정적 사고 함양을 위해 명상치료, 상담, 힐링 캠프, 자기관리 기술 교육, 소그룹 토론과 대화의 장 마련, 적극적 대처 유도를 위한 슈퍼비전 등 자기개발에 대한 교육과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정기적인 건강진단, 스트레칭, 금연, 운동, 절주, 영양관리 등 스트레스 예방대책을 수립하여 개인의 건강관리 프로그램 운영하며, 요양보호사의 정신건강을 고려한 심리 상담 서비스 제공과 요양보호사가 주어진 업무 외에 다른 업무를 과도하게 하고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시정조치가 필요하다. 다섯째, 퇴직과 이직이 잦은 직업적인 특성에 맞는 역량강화를 위한 직무교육을 체계화하고, 특히, 감정노동이 심한 직종이기 때문에 개별상담 및 힐링 프로그램 등으로 이뤄진 ‘번 아웃 해소프로그램’을 실시해 업무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를 해소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정책적 측면에서는 첫째, 시설 입소자들의 과도한 서비스 요구를 당연시하는 풍토를 바꾸기 위해 제도적으로 요양보호사의 업무범위를 정하고,  사업주가 이를 지키도록 유도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이 시급하다. 둘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들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에 대한 명확성과 자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 관리의 체계화와 현실적인 처우개선이 요구된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근로환경 개선 및 관련 법규에 대한 정보 및 자문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관을 설치하여 근로자의 권익을 보장해야 할 것이다. 넷째, 명확한 직무분석을 통해 직무의 표준화 지침을 마련해야 한다. 정부 또는 관련 협회에서 체계적인 직무분석을 연구하여 시설에 제공한다면 역할 모호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정부 차원에서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역할스트레스 및 소진의 완화 그리고 조직몰입의 증가에 노력을 경주하여야 할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의미를 갖는다. 특히 역할갈등과 역할과다의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거나 그런 상황이 발생한 후에라도 사후적으로 개입하려는 정책 의지의 구현이 필요하다. 요컨대,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낮추고 조직몰입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제도와 정책지침의 정비가 필요하다. 아울러 이와 관련된 체계적인 실태조사, 정책개발, 관련 법령의 정비 등이 요구된다.

      • 英語 複會名詞의 分析

        김경호 경북대학교 1983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yntactic and semantic properties of complex nominals in English, and to propose appropriate underlying structures and transformational derivations within generative semantic theory. A complex nominal is defined as a syntactic construction composed in its simplest form of a head noun preceded by a modifier which is either another noun or a nominal adjective and dominated by a node label of noun on the surface. Complex nominals must be analyzed as nouns: affixes which are attachable to simple nouns, but not to full noun phrases, are attachable to these elements; predicating adjectives may not be interspersed between the adjective and noun of a complex nominal; both nouns and complex nominals which are grammatically singular, count, and common must be preceded by a determiner of some sort; anaphoric processes do not work inside complex nominals, which suggests that they be analysed as single words: and only single unmodified words can occur as initial elements in these constructions, never entire phrases. These follow from an analysis in which complex nominals themselves belong to a lexical category, not a phrasal category. The fact that nonpredicating adjectives appear to function just like nouns strongly suggests the hypothesis that such adjectives are derived from underlying nouns, and predicts that these adjectives manifest semant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nouns, despite their surface morphological difference: neither nouns nor nonpredicating adjectives may be immediately preceded by very, quite or other degree ad verbials; both nouns and nonpredicating adjectives conjoin only with other nouns or nonpredicating adjectives: both nouns and nonpredicating adjectives may appear after quantifiers, but not true adjectives: both nouns and nonpredicating adjectives may be categorized by semantic features such as [±def finite], [±concrete], [± animate], [±human], [±masculine), and [±comnon]; both nouns and nonpredicating adjectives may be analysed as entering into case relations such as agentive, objective, locative, dative, and instrumental: neither nouns nor nonpredicating adjectives are subject to the process of nominalization which normally turns predicating elements(verbs and adjectives) into derived lexical nouns. An examination of the communicative function served by complex nominals covers the following: compacting function, naming function, demonstrative function, and sub-categorizing function. When complex nominals can be understood as naming and demonstrative devices, most comlex nominals begin their life with semantic transparency. But when they can be understood as sub-categorizing devices, they may be generated with tremendous productivity, and sooner or later lose their initial transparency as they acquire elements of specialized meaning: these forms then enter the lexicon and so must be learned as idiosyncratic units by the next generation. Complex noninals are derived by just two syntactic processes: predicate deletion and predicate nominalization. Complex nominals not derived by nominalization processes have their origins in semanic structures from which only nine predicates may be subsequently deleted: CAUSE, HAVE, MAKE, USE, BE, IN, FOR, FROM, and ABOUT. These predicates may be deleted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relative clause construction into the typically ambiguous surface configuration of the complex nominal. The derivations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 ing to the morphological shape of the compound adjective formed in an intermediate step: these three types are a passive participle form, an active participle form, and a preposition form. The transformational processes that are essential to the formation of these complex nominals are lexical insertion, case preposition spelling, passive, compound adjective formation, copula insertion relative pronoun formation, WH-fronting, WH-be deletion, predicate preposing, predicate deletion, and morphological adjectivalization, Complex nominal by predicate deletion is potentially ambiguous. In actual usage, however, this relatively large ambiguity is reduced to very manageable proportions by judicious exploitation of semantic clues, lexicalization, and pragmatic or extralinguistic(encyclopaedic) knowledge. For complex nominals derived by predicate nominalization, the head noun is a nominalized verb, and the prenominal modifier is derived from either the underlying subject or the underlying, irect object of this verb. Nominalized verbs are divided into four fundamental types: ACT, PRODUCT, AGENT, and PATIENT nominalizations. Complex nominals in which such nominalizations form head nouns are classified into three major groups: Subjecti.e, Objective, and Multimodiffier complex nominals. The transformations listed into their proposed order of application are as follows: lexical insertion of verb, case preposition spelling, nominalization lexical insertion of nominalization, unspecified noun phrase deletion, subject preposing, object adjunction, object adjunction, object preposing, subjective genitive formation, subject adjunction, morphological adjectivalization, and by- of adjustment. Complex nominals derived by predicate nominalization can operate recursively, producing complex nominals from complex nominals by repeated, cyclic application. In conclusion, complex nominals are derived by these two syntactic processes: predicate deletion and predicate nominalization. The potential ambiguity caused by predicate deletion is reduced in discourse by both semantic and pragmatic considerations. Because of the recursive nature of complex nominal formation, a complex nominal may be short or long. To sum up,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non-lexicalized complex nominals in English have the syntactic and semantic regularities.

      • 소비자의 흑마늘 구입의향과 선호 속성

        김경호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건강식품을 통한 농산물 부가가치 창출에 초점을 두고 있다. 건강과 관련이 깊은 농산물 중에서도 마늘은 국내 소비가 매우 많은 식품이다. 그러나 값싼 수입마늘 등으로 인해 마늘 농가는 어려움에 처해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마늘의 형태를 가공하여 판매하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흑마늘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소비자의 흑마늘에 대한 인식 및 구매실태, 흑마늘 구매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그리고 구매 속성 우선순위를 분석하고 흑마늘 제품속성에 따른 시장점유율을 추정하는데 있다. 우선 논문의 앞부분에 국내 마늘과 흑마늘에 대한 현황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본문에서는 일반 소비자 3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소비자의 흑마늘 구매현황을 제시하였다. 또한 조사된 자료를 토대로 가격, 건강기능식품 인증여부, 가공형태, 맛 등의 선호 속성을 분석하기 위해 컨조인트 분석을 실시하고 시장점유율을 추정하였다. 추가로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소비자의 흑마늘 구매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우선 흑마늘 구매현황에 대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소비자들의 흑마늘에 대한 관심정도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흑마늘에 대한 홍보는 대부분 소비자가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흑마늘에 대한 인식은 일반 생마늘에 비해 건강에 유익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고 접대 및 선물에 적합하고, 안전성도 믿을 만 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마늘 특유의 맛과 향은 강하다고 응답하였다. 흑마늘을 구입 해 본 소비자는 약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흑마늘 구매자들은 주로 건강을 위해 소비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대부분 흑마늘 판매 전문점 혹은 건강식품 판매점을 통해 흑마늘을 구매하고 있었다. 구매 형태는 액상의 형태 구매비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통·깐흑마늘의 비율이 높았다. 소비자의 향후 흑마늘 구매의향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가 흑마늘 구매 시 안전성과 성분을 가장 중요시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구매 경로로는 흑마늘 판매 전문점과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고자 하는 소비자가 많았다. 가공형태 선호도는 흑마늘 농축액과 통 흑마늘을 가정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흑마늘 소비확대를 위한 개선 사항으로는 가공형태의 고급, 다양화 및 흑마늘 맛과 향의 개선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흑마늘 구매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흑마늘 인식부분에서 생마늘 대비 흑마늘의 건강유익 정도, 흑마늘 가격의 비쌈, 접대 및 선물용도 여부, 관심정도에 따라 흑마늘 구매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매 시 중요 고려사항에서는 가격, 브랜드, 안전성, 구매여부 등이 흑마늘 구매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도 가격은 흑마늘 구매 의향과 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흑마늘 제품의 선호 속성을 알아보기 위한 컨조인트 분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매 속성을 가격, 맛, 건강기능성 인증여부, 가공형태로 두고 분석을 진행하였는데 소비자들은 4가지 속성 중 가격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흑마늘의 맛, 가공형태의 순서로 중요도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건강 기능성 식품 인증여부는 다소 중요도가 낮았다. 또한 시장점유율 추정 결과 각 제품 프로파일에 대해서 시장점유율이 크게 변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이 논문에서는 일본 및 중국으로의 흑마늘 수출전략 확보, 흑마늘 맛과 향 그리고 가격에 대한 개선, 인터넷 및 SNS를 활용한 홍보전략 마련 등을 중심으로 흑마늘의 소비확대를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소비자조사로써 기존 이화학적 성분 분석 중심의 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향후 이 연구가 농산물의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방안과 흑마늘 또는 건강관련 농산물 판매에 있어 전략 수립에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공무원 채용 한국사 시험문제의 개선방안 연구 : -7,9급 공개경쟁 채용시험을 중심으로-

        김경호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공무원 채용 한국사 시험 문제의 개선 방안 연구 - 7․9급 공개경쟁채용시험을 중심으로 - 본 연구는 현재 매년 높은 응시율을 기록하고 있는 국가 공무원(7․9급) 공개경쟁채용의 한국사 시험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문제의 개선 방안을 찾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동안 공무원 채용시험에서 한국사 과목은 ‘대한민국의 고시(考試) 역사 50여년’ 과 함께 하여왔음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에 대한 연구 사례는 거의 축적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무원 채용 한국사 시험의 변천과 공무원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서 한국사 시험의 현재적 위상에 관해 진단해 보았다. 이와 함께 행정자치부에서 문제 공개를 시작한 2008년부터 최근 2014년 까지 7년간 시행된 7․9급 국가직과 지방직 한국사 시험 문항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서 앞으로 한국사 문항은 현재보다 좀더 세련된 역사 감각과 안목을 측정하는 방안으로 개선되기 위해서는 역사적 사고력과 관련된 문항, 통합형 문항, 인물 탐구 문항, 문화사 관련 문항의 확대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주요어(Key Word): 공무원 채용 한국사시험, 공직 인재 선발, 한국사 문항 분석, 선택형, 역사적 사고력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History Exam Subject of Government Official Recruitment - focusing on the 7th,9th grade open competitive examination for service This study aims to seek improvement plans by analyzing the Korean history exam subject of the open competitive examination for government officials(7th,9th grade) which continues to show a high number of applicants every year. Even though the Korean history exam subject of government official recruitment examination has existed throughout the '50 years of Korea's national examination history', there are very few studies in this field. Therefore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changes of Korean history exam over time and conducted a survey of examinees who are preparing for the government official examination, in order to make a diagnosis on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history exam subject. We also aimed to analyze the test items of Korean history exam subject for 7th, 9th grad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during the recent 7 years between 2014 and 2008, when the test items were first made public by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s a result, the Korean history test items need to be improved to test a more refined perception and view of history and we would like to propose a need for more items on historical thinking, integrated items, character research items and items related to cultural history. Keywords: Korean history exam of government official recruitment, human resources selection for public service, analysis of Korean history test items, historical thinking

      • 손가락 끝 점을 이용한 손 형상 인식

        김경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사용자 친화형 유저 인터페이스 구현을 위해 인간의 손 형상을 실시간으로 인식하는 연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손은 자유도가 크기 때문에 손 형상을 정확히 인식하기란 매우 어렵고 또한 피부색과 유사한 색을 가지는 복잡한 배경에서는 더욱 곤란하다. 본 논문에서는 별도의 센서를 부착하지 않고 단일카메라를 사용하여 손가락 끝 점을 찾고 손 형상을 실시간으로 인식하며 트래킹하는 알고리즘에 대해 기술한다. 이 방법은 배경이 복잡한 환경에서도 손 형상을 정확히 추출할 수 있으며 수행속도가 빠르고 조명변화에도 안정적인 결과를 보인다. 손가락 끝 점은 입력 영상으로부터 손 영역의 에지를 구하여 에지 각을 구한다음 각의 변화율이 큰 것을 찾음으로써 알 수 있다. 에지 각의 변화율이 크게 변하는 순간부터 에지 각의 변화율이 없을 때(변화율=0)까지를 손가락 끝 점(fingertip)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손가락 형상은 매우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인식을 위해 주성분 분석법을 적용한다. 이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손 형상의 범위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계산량을 줄이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환경에서 추출해낸 손 영역으로부터 손 형상을 인식하여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위한 보다 자연스러운 인터페이스 기술을 제공한다. Recently, importance of research in real-time hand shape recognition is highlighted for user friendly interface implementation. But hand poses are very difficult to recognize exactly because human hands have high degree of freedom. Also, hand detection is disturbed by complex background with similar skin tone . In this paper, hand shape is segmented with a camera using skin color information, then fingertip is detected for direction finding algorithm. This method finds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 using fingertip and centroid of wrist using template matching.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3D virtual reality environment navigation. Experiments for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 finding are showing very result. Proposed method in this paper, will be able to offer natural Human Computer Interaction using intuitive indication of four direction without mouse, keyboard or joystick.

      • 새로운 진료 프로토콜을 이용한 응급실 내원 내과 환자의 진료 결과 변화

        김경호 을지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배경 전공의 특별법과 최근의 내과 기피현상으로 전국적으로 대학병원에서 내과 전공의 부족문제가 현실화 되며 이로 인한 내과 부문에서의 업무 공백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응급실의 경우 전담 내과 의사의 부족으로 진료의 차질 및 응급실 과밀화가 발생하여 내과 전공의 부재 시의 진료 프로토콜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응급실에서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내과 전공의의 역할을 대신했을 때의 변화를 알아보기로 했다. 방법.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의 응급의료 센터에서 내과 전공의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비교하기 위하여 2015년 9월 1일부터 12월 31일 까지 내과 전공의가 없는 시간 동안 내원한 환자 중 내과 질환 환자를 실험군으로 하였으며 2014년 같은 기간 중 실험군과 같은 시간대에 내원한 환자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자의 퇴원 환자와 타 병원으로 전원 조치된 경우는 제외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입원율의 차이, 응급실 재실 시간의 차이, 재원 일수의 차이, 입∙퇴원 시 진단명의 일치도를 각 분과 별로 비교하여 내과 전공의의 유무에 따른 진료 형태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결과 대조군은 2,341명 실험군은 2,21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실험군에서 입원율의 증가(53.4%, 95% 신뢰구간, p<0.001), 응급실 재실 시간의 감소(15.1%, 95% 신뢰구간, p<0.001), 호흡기내과에서의 재원 일수의 감소(38.4%, 95%신뢰구간, p=0.001)를 보였으며 진단명은 실험군에서 심장내과에서의 불일치(14.2%, 95% 신뢰구간, p=0.021)를 보였으나 나머지 분과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응급실에 내과 전공의가 상주하지 않는 대신, 응급의학과 의사가 내과 환자의 입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경우 응급실 재실 시간과 입원기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리더십의 조절효과=

        김경호 경기대학교 한류문화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논문은 미용사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고, 이를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리더십의 조절효과와 함께 분석한다. 논문에서는 미용사들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발견한다. 이는 직무스트레스가 개인의 직무 만족도를 저하시키고고 이를 통해 이직 의지를 유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리더십이 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 의도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사이의 연결이 약화 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리더십이 적절하게 조절되면 직무스트레스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사이의 관계: 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지를 조사하였다.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사회적지지가 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사이의 관계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이직의도의 영향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자기효능감이 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사이의 관계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이직의도의 영향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리더십의 조절효과: 리더십이 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사이의 관계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리더십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이직의도의 영향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주제들을 바탕으로 논문은 미용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조절효과를 확인하기로 한다. 따라서, 논문을 통해 미용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이직의도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1. 연구주제 : 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2. 연구 변수 1) 독립변수 :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리더십 2) 종속변수 : 이직의도 3. 연구방법 : 문헌 고찰, 설문조사 등을 통해 데이터 수집 및 분석 4. 예상 결과 :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리더십이 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됨 5. 의의와 시사점 : 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이직 의도를 줄이기 위해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리더십 등의 요소를 고려해야함. 이러한 개요를 바탕으로 논문은 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사이의 관계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조사하여 실질적인 시사점을 도출할 것으로 예측한다. 키워드 :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 리더십 This study examined how the job stress of hairdressers affects their intention to turnover, and analyzes it along with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leadership. In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job stress of hairdressers, the higher the turnover intention. This means that job stress lowers an individual's job satisfaction, thereby inducing a willingness to change job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leadership play a role in contro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the weaker the connection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f leadership was properly controlled, the effect of job stress on job turnover intention could be reduced. The main contents of the paper are as follows: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higher the level of job stress of hairdressers, the higher the turnover inten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is study analyzed whether social support plays a role in alleviating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job turnover-intention of hairdressers.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the less the effect of turnover intention on job stress is expecte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self-efficacy plays a role in alleviating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job turnover intention of hairdressers. The higher the self-efficacy, the less the effect of turnover intention on job stress is expected.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ship: This study analyzed whether leadership plays a role in alleviating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job turnover intention of hairdressers. The higher the leadership, the less the effect of turnover intention on job stress is expected. Based on these topics, the thesis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job stress and job turnover intention of hairdressers and checks the moderating effec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will be able to derive measures to alleviate job stress and reduce the intention to turnover of hairdressers. 1. Research Topic: The effect of job stress of hairdressers on job turnover intention 2. Research variables 1)Independent variables: social support, self-efficacy, leadership 2)Dependent Variables: Turnover Intention 3. Research method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rough literature review, surveys, etc 4. Expected results: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leadership are expected to play a role in contro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turnover intention of hairdressers 5.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factors such as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leadership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alleviate the stress of the hairdresser's job and reduce the intention to change jobs. Based on this outline, the paper analyzes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job turnover intention of hairdressers from various angles, social support, self-efficacy, It is expecte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ship to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Keywords: Job stress, turnover intention, self-efficacy, social support, leadership

      • 大都市 住宅供給制度에 관한 硏究 : 住宅協同組合制度를 중심으로

        김경호 京畿大學校 行政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Among the major problems faced by modern cities, the housing problem is prominent. This problem is resulted from, on the one hand, the explosive flood of population into urban and the rapid change in family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problem is cured by less goverment into housing policy. We should understand that low-income classes are people who have been suffered from the shortage in supply of housing, and that problem lies in the fact that they cannot afford to purchase housing. It is, therefore, recommendable for goverment to operate the housing policy. This study is centered on the problem of housing policy for the urban houseless. Problems in Housing Policy are as follows: 1. It is difficult to make it smooth to supply the land and impossible to control the land price in urban areas. 2. There is little financial support for low-income classes. 3. There is shortage in the supply of the rental housing. And houseless low-income classes are suffering from the rapid change in rent amount. Suggestions are as follows: 1. We must continue to invest into housing policy. And attention should be focused on financial support to favor the low-income classes. 2. We have to improve the rent system and foster the rent-house industry. 3. We have to promote the housing co-operatives are one form of non-profit housing(NPH) enterpr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