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하철 1호선〉의 신화적 양상 연구

        김경혜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ough a rock musical, 〈Line 1〉by Kim Min-kee was adopted from Volker Ludwig‘s 〈Linie 1〉, it was considered having korean unique characters. Kim Min-kee and Volker Ludwig‘s were similar in terms of their experiences, the 68 student's movement and the democratic movements, respectively, they had in their divided countries. The similarity in social background and ensuing criticism and resistance and the view of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the world through arts had common in their works. 〈Line 1〉was characterized by Kim's unique satirical and humorous technique, as well as his ability to reform the characters, which was represented by the form of Madangguk. Narrative literature originated in myth. So this study, based on the fact that narrative literature originally reflects myth, focused on the mythological aspect of 〈Line 1〉. In the story of 〈Line 1〉, deficiency and search for something, abandonment and struggle, sacrifice, and transformation were well immerged, all of which were aspects typically shown ancient myths. These aspects are needed in a narration which involves isolation, troubles, and subjugation (new birth), which contribute to the perceptive birth of a musical hero/heroine. Angyeong, a fake college student who called himself a singer for people, and Sunnyu who was pregnant but discarded by her lover, Jebee, and reached Opalpal in Cheonglangli, are both discarded from society and met in a subway. Their troubles were summarized by, in case of Angyeong, the search for self and, in case of Sunnyu, the search for self as the god of mother. In the process, a struggle between Sunnyu and human trafficker were emerged, and Gule tried to commit suicide. At last, the trouble were overcome when Angyeong recovered his identity and Sunnyu got qualification as the god of mother. Angyeong recovered himself by discarding his glasses and crutches, and Sunnyu was purified as the god of mother when Gule conducted a sacrifice ritual and Jebee became a scapegoat. The union between Angyeong and Sunnyu, both of who had a perceive rebirth, completed the event in the subway. As the underground represents in myths chaos, subway represented by a chaos and darkness was, in this story, used as a place in which the union between Angyeong and Synnyu took place. Though the characters shown in this story were not different in function from the characters in myths, they were differently described because of the times in which they lived, but they all wanted a true hero/heroine to come. Therefore, the baby who Sunnyu had in her body and would come to this world someday symbolized a new birth, and the true birth of a hero/heroin was symbolized by a full moon. In this respect, modern performances represent the rituals performed in the age of myth, and by seeing performances, modern people could participate in the representations of myths. The variation in the interpretation of myths is attributable to the difference in people's perception of the world as the times pass.

      • 서울 천주교 역사유적지의 세계유산적 가치

        김경혜 경기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시아권 내에서 세계유산에 등재된 로마 가톨릭 교회 관련 유산은 인도 고아의 유산을 시작으로 하여 필리핀, 중국, 말레이시아 등 극히 드물다. 그리고 최근 일본에서 나가사키의 교회 관련 유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려고 노력 중이다. 그렇다면 한국 천주교 유산은 어떠한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세계유산의 가치를 가지는가에 대한 문제제기가 이 논문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 한국 천주교는 유래 없이 천주교가 자발적으로 피어났다는 특징이 있다. 비 가톨릭 문화권에서의 가톨릭 유입이 사제와 선교사들의 직접적 이동과 전파였던 것에 반해, 한국의 경우 학문의 형태로 천주교가 유입되면서 점차 종교로 변해가는 양상을 보인다. 그러는 과정에서 전통적 유교 사상과의 충돌과 정치적 상황 등의 박해는 순교라는 행위로 전개된다. 따라서 조선 천주교사의 특징은 자발적 공동체의 탄생과 순교라고 요약해도 좋을 것이다. 자발적 공동체의 형성과 순교는 물리적으로 공동체 장소와 순교지로 형상화된다. 박해시기 서울이라는 범위에서 자발적 공동체는 비밀리에 개인의 집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었고, 천주교 발상지로써 이벽의 집과 김범우, 이승훈의 집이 신앙 공동체의 중심을 이루며 종교의 자유가 인정된 후, 뮈텔주교에 의해 종현과 약현에 최초의 성당이 건립된다. 순교지는 본래 처형장으로 사용되었던 서소문 밖, 새남터, 당고개와 병인양요 이후 본보기로 사용된 양화진의 절두산이 이에 해당한다. 본고에서는 천주교 자발적 공동체의 발상지로써 이벽의 집터, 명동성당, 약현성당을 예로 들고, 순교지로써 서소문 밖, 절두산, 당고개, 새남터, 네 곳을 선정했다. 대상지의 세계유산적 가치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세계유산에서 제시하고 있는 OUV와 진정성, 완전성이라는 세 가지 가치 기준이 현재까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살펴보고, 세계유산과는 별도로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인정하고 있는 개념으로써 ‘성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성지’는 종교적 신앙심과 신성성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세계유산의 가치와 성지로서의 가치는 차이가 있고, 중복되는 경우도 극히 드물다. 더욱이 한국 천주교의 경우, 독자적 의미 부여를 통해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의미하는 성지와는 다른, 폭넓은 의미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것은 비 가톨릭 문화권이 한국에서 전개된 천주교의 역사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대상지로 삼은 7곳 중에 명동성당과 약현성당은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세계적 가치에 대해서도 논의된 바가 있으나, 이벽의 집 터를 비롯한 네 곳의 순교지는 그 가치 검증도 이루어진 적이 없다. 본고에서는 이에 대해 그 위치의 검증과 대상지의 물리적 변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세계유산의 가치 기준에 적용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현재 세계유산은 건축물이나 기념물, 유적 등 물리적 실체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장소성만 있는 순교지를 대상으로 삼는 것은 무리가 있다. 하지만 순교지가 갖는 한국 천주교 역사유적지로서의 가치는 천주교사의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 천주교 역사유적지의 세계적 가치를 도출하기 위해 세계유산의 가치를 기준으로 삼았으나, 먼저 한국 천주교사의 가치를 가진 장소를 역사유적지로 인식하여 유산적 가치를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1994년 ‘나라 문서’의 발표 이후, 각 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는 방향으로 세계유산의 가치가 변화해 가고 있는 바, 한국 천주교 역사유적지가 갖는 특성을 이해하고 보존하기 위한 새로운 가치의 패러다임을 구축해야 할 과제가 있다.

      •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초등영어교사의 경험과 인식

        김경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 문 요 약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초등영어교사의 경험과 인식 김 경 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전공 (지도교수 안 경 자) 본 연구는 교사의 교수동기와 전문성 발달 양상이 교사연수와 깊은 관련이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초등영어교사들의 경험 및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를 통해 영어과 교사연수의 방향성과 영어교육 정책에의 심층적이고도 유의미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초등영어교사의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영어교사들이 영어과 교사연수의 유용성 정도를 인식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초등영어교사의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연구 방법으로는 영어교육에 대한 전문성이 높은 네 명의 고경력 초등영어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과 여섯 명의 초등영어교사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기법을 사용하였다. 녹음한 자료는 모두 전사하여 코딩 작업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확보를 위해 삼각측정법, 구성원들의 검토, 동료검토 전략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초등영어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대한 연구 결과, 이들의 연수 지원 동기에는 개인적 요인과 학교 맥락 및 교육정책과 같은 많은 요인에 의한 다양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다양한 경험과 인식의 차이 간에도 몇 가지 유사한 맥락과 유의미한 경향성을 찾을 수 있었다. 연수동기면에서는 영어연수에 대한 교사 개개인의 내적 요인과 학교 맥락 또는 영어교육 정책이라는 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이들의 연수동기를 형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의 연수 경험은 교실수업에의 적용 및 반성적 사고의 과정을 통해 내재화되어 개인의 고유한 영어교육철학 및 교수법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영어교사들은 다양한 연수 경험 및 교수실행을 통해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발달시켜 온 결과, 영어연수 유형에 따라 장단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관점과 안목을 가지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어과 교사연수의 유용성 정도를 인식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참여형 및 체험형 연수를 선호하였고 맞춤형 영어회화, 교수법, 지도안 작성법, 수업코칭, 일대일 컨설팅 등 심도있는 커리큘럼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특히, 교사들은 연수 강사진의 역량을 매우 강조하였으며 코로나 팬데믹(이하, COVID 19)의 영향으로 강사의 ICT 활용 역량 역시 연수 유용성 정도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인식하였다. 주목할만한 점은 연수에 참여한 동료 교사 요인이었으며, 이는 교사들이 동료교사의 전문성과 열정에 긍정적인 영향과 자극을 받고 정보를 교환하며 도움을 주고 받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초등영어교사의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요구사항은 크게 체계적인 연수체계 구축, 내실있는 커리큘럼, 학교 및 현행 영어교육 정책에 대한 요구로 분류되었다. 연수면에서는 연수의 양과 질 관리, 체계적인 연수체계의 설계, 영어지도 경력별 맞춤형 연수 설계, 참여형 커리큘럼 구축,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한 연수형태의 다양화였다. 학교와 영어교육정책면에서는 교사의 전문성 발달 기회 부여, 영어전담교사에 대한 인식 및 처우 개선, 영어교육 활성화 정책, 연수 기회 확대 및 예산 지원, 마지막으로 우수초등영어교사에 대한 지원체계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제언 사항은 다음과 같다.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예산 확대, 연수 수요자 중심 맞춤형 영어연수 프로그램 구안, 단계별· 수준별 영어연수 프로그램 체계 구축, 학교의 상황을 고려한 연수 시기 계획 수립, 전문성이 높은 영어교사에게 영어지도 기회 보장, 우수한 영어교사들에 대한 투자와 지원, 마지막으로, 성과상여급 및 승진에서의 불이익에 대한 제도적인 접근과 실질적인 해결책 마련이다. 본 연구는 영어연수 경험에 대한 초등영어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설문 분석 통계에 기반한 양적 연구와는 달리 교사들의 진정성 있는 목소리와 이들의 어려움 및 요구사항에 귀를 기울일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영어과 교사연수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고 학교 맥락과 영어교육 정책 부문에서의 책무와 시사점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주요어: 고경력 영어교사, 심층 면담, 영어과 교사연수, 영어과 교사교육, 질적 연구, 초등영어교사 * 본 논문은 2021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A B S T R A C T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by Kim, Kyoung Hye Major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Ahn, Kyoung Ja This study sought to gain in-depth and significant recommendations for Korean public school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English education policy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ublic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The research issue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in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Second, what factors do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recognize the degree of usefulness of English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Third, what are the recommendations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for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The research method used was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elementary English teachers(here after teachers) who had more than ten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more than five years experience teaching English and six teachers with high expertise in English education. All recorded material was transcribed, and the transcribed material was divided into thought groups and analyzed through coding. Among the six strategies proposed by Merriam(1998) to secure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tudy, triangulation, member checks, and peer review strategies were utili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eachers in English training showed that their motivation for applying for training was diverse due to many factors such as personal factors, school contexts and educational policies. On the other hand, several similar contexts and significant trends could be found between different experiences and perceptions. In terms of training motivation, individual teachers' internal factors for applying English training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school context or English education policy combined to form their motivation for training. Their training experience has been internalized through application to practice in the classroom and reflective thinking processes, affecting individuals' unique philosophy of English education and teaching. In addition, teachers have continued to develop their expertise through various training experiences and carrying out instruction, and have a perspective and eye to analyze pros and cons and suggest variable ideas to improve the quality of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Second,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factors that recognize the degree of usefulness of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are as follows. Teachers preferred participatory and hands-on training and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in-depth curricula such as English conversation, explanation of teaching methods, instruction writing methods, class coaching, and one-on-one consulting. In particular, the ability of training programs’ instructors was highly emphasized and the ability of teachers to utilize ICT was also an important emphasis due to the influence of COVID-19. Other positive factors for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was they were influenced and stimulated by the professionalism and passion of their fellow teachers, and developed relationships where they exchanged information and ideas on English education to help each other. Finally, the recommendations of teachers for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are as follows. The requirements for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were largely classified as the requirement for a systematic training system, a substantial curriculum, schools and current English education policies. Specifically,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ystematic training system, secondly, customized training design for each career, fourthly, diversification of training forms in preparation for the post COVID-19 era, fifthly, expansion of training opportunities and budget support for elementary English school teachers. Suggestions are as follows. Expanding the budget for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establishing a customized English training programs for students, establishment of an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 system for various skill levels, ensuring English teaching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English teachers, investing and supporting excellent English teachers, and finally, institutional approaches and solutions to disadvantages in performance-based pay and promotion. This study is a case study based on interviews with 10 former and current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who have worked or are working in Seoul, and a mixed qualitative study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Therefore, there may be some lack of objective tendency to present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factors of English language training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raining, and it is necessary to further study the examples of other regional education offices. Through interviews with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about their English training experience, unlike quantitative research based on survey statistics, the researcher was able to listen to teachers' sincere voices and their difficulties and requirements. Based on thi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the direction in which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proceed and suggested responsibilities and implications in the school context and English education policy sector. Key Words: a highly experienced English teacher, an expert in English education,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 English teacher ​training, in-depth interview, qualitative research, teacher education * This paper is a master's degree in education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June 2021.

      • 자녀의 지적 특성, 양육, 교육에 대한 부모의 신념 : 2학년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김경혜 숙명여자대학교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민학교 2학년 자녀를 둔 부모들은 자녀의 지적 특성으로 어떠한 기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 자녀를 양육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방식으로 양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 또한 교사가 자녀에게 학문적 목적과 사회적 목적중에 어떠한 것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를 알아보며, 이러한 부모의 신념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가족구조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자녀의 지적 특성, 자녀양육, 교사의 교육목적에 대한 부모의 신념은 어떠하며 이러한 신념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1.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라 자녀의 지적 특성, 자녀양육, 교사의 교육목적에 대한 부모의 신념은 차이가 있는가? 1-2. 부모의 직업에 따라 자녀의 지적 특성, 자녀양육, 교사의 교육목적에 대한 부모의 신념은 차이가 있는가? 1-3. 소득에 따라 자녀의 지적 특성, 자녀양육, 교사의 교육목적에 대한 부모의 신념은 차이가 있는가? 2. 자녀의 지적 특성, 자녀양육, 교사의 교육목적에 대한 부모의 신념은 가족구조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1. 부모의 연령에 따라 자녀의 지적 특성, 자녀양육, 교사의 교육목적에 대한 부모의 신념은 차이가 있는가? 2-2. 자녀의 수에 따라 자녀의 지적 특성, 자녀양육, 교사의 교육목적에 대한 부모의 신념은 차이가 있는가? 2-3. 주거형태에 따라 자녀의 지적 특성, 자녀양육, 교사의 교육목적에 대한 부모의 신념은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국민학교 2학년 자녀를 둔 아버지 347명, 어머니 371명으로 총 718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Okagaki와 Sternberg(l993)가 개발한 "Parental Belief Questionnarie"로서 이를 본 연구자가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질문지는 자녀의 지적 특성 측정도구, 자녀양육신념 척도, 교육목적 측정도구로 되어 있다. 지적 특성 측정도구는 인지적 기능과 비인지적 기능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인지적 기능은 문제해결 기술, 언어적 기술, 창의적 기술에 관한 항목들로 되어 있으며 비인지적 기능은 동기부여, 자기관리 기술, 사회적 기술에 관한 항목들을 포함하고 있다. 자녀 양육신념 척도는 독립심에 관한 항목과 순응에 관한 항목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독립심에 관한 항목은 문제해결 능력, 창의적 능력, 실제적 기술에 관한 항목들로 되어 있다. 교육목적 측정도구는 학문적 목적과 사회적 목적에 관한 항목들로 되어 있으며 이 중 사회적 목적은 독립심과 순응에 관한 항목으로 분류되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해결 능력이 있고 어휘력이 좋으며 창의성이 뛰어난 것과 같은 인지적 기능이 자녀의 지적 특성에 중요한지 수업에 대한 동기를 부여받고 자기관리를 잘하며 사회적 기술이 발달된 것과 같은 비인지적 기능이 지적인 자녀의 특성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서 부모들은 인지적 기능보다 비인지적 기능이 자녀의 지적 특성에 중요하다는 신념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부모의 신념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인지적 기능을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소득이 높을수록 인지적 기능과 비인지적 기능 모두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아버지의 직업에 따라서는 관리직에 종사하는 아버지들이 다른 직업에 종사하는 아버지들보다 인지적 기능과 비인지적 기능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아버지의 연령에 따라서는 별 차이가 없었으나 어머니의 연령이 31∼35세일 때 그리고 자녀가 외동이일 때 인지적 기능과 비인지적 기능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자녀의 독립심이 발달하도록 부모가 도와주는 것이 중요한지 자녀가 순응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한지에 대해서 부모들은 자녀의 독립심이 발달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신념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신념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자녀가 순응하도록 지도하기보다는 독립심이 발달하도록 도와주는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소득이 높을수록 자녀의 독립심이 발달하도록 지도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직업에 따라서는 사무직과 관리직에 종사하는 아버지들이 자영업과 기능직에 종사하는 아버지들보다 자녀의 독립심이 발달하도록 지도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가 순응하도록 지도하는 것을 가장 중요하지 않게 생각한 아버지들은 전문직에 종사하는 아버지들이었다. 부모의 연령이 31∼35세일 때 자녀에게 순응하도록 지도하는 것을 중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아파트에 사는 부모들이 주택에 사는 부모들보다 자녀의 독립심이 발달하도록 지도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또한 자녀의 수가 두 명 이상일 때보다 외동이일 때 자녀양육에 대한 모든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자녀에게 학문적 목적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지 사회적 목적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지에 대해서 부모들은 사회적 목적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는 신념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신념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본 결과 부모의 학력이 높고 소득이 높을수록, 자녀가 외동이일 때, 어머니의 연령이 31∼35세일 때 학문적 목적과 사회적 목적을 가르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특히, 지시를 따르고 학교의 규칙을 지키는 것과 같은 사회적으로 순응하는 것을 가르치기보다는 사회적으로 자율적인 행동이 발달하도록 지도해야 한다는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arental beliefs about intelligence, child rearing, and education. The parents of second grade children responded to questions about what characterizes an intelligent child, child rearing, and what teachers of second graders should teach their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7 fathers and 371 mothers who had second graders.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as "Parental Belief Questionnaire" devised by Sternberg and Okagaki(1993).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hree sections related to specific parental beliefs about intelligence, childrearing, and education, and one section of demographic questions. The data were computed by Multivariate profile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arents of second graders valued noncognitive attributes such as motivation, self management and social skills more than cognitive attributes such as problem solving ability. creativity and verbal expression for their children. 2. The parents of second graders valued developing autonomy such as problem solving skills, creativity and practical skills more than developing conformity for their children. 3. The parents of second graders gave higher importance rating to the goals on teaching social goals than academic goal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social economic status.

      •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종사자의 감성지능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TMX(팀-구성원 교환관게)의 매개효과, LMX(리더-구성원 교환관계)의 조절효과

        김경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과학기술환경이 급변하면서 정부는 연구개발과 과학기술 발전에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총 연구개발비 연평균 증가율은 2 008년 이후 2017년까지 9.6% 증가 추세인 반면 과학기술 성과는 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최근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는 연구주체들의 협업역량과 자체적으로 역할을 찾는 자발적인 혁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종사자 288명을 대상으로 감성지능, 혁신적 업무행동, TMX, LMX 간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감성지능과 혁신적 업무행동 간의 정(+)적인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둘째, 감성지능과 TMX의 정(+)적인 상관관계는 통계 적으로 유의하다. 셋째, TMX과 혁신적 업무행동의 정(+)적인 상관관계는통계적으로 유의하다. 넷째, 감성지능과 혁신적 업무행동 간 TMX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다섯째, 감성지능과 혁신적 업무행동 간 L MX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상기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추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With the rapidly changing science and technology environment, the government is continuously investing in development in R&D and S&T. Since 2008, the annual average growth rate of the nation's total R&D cost has been on the rise of 9.6% until 2017, while the outcome is pointed out as a weakness. In particular,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recently require collaborative capabilities and self-innovation in finding their own roles. Therefore, the need for related research is necessary. In this study, 288 subjects’ engaged in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survey were analyzed an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MX i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MX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effects of TMX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the adjustment effect of LMX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and further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studies.

      • 中國 會計利益의 情報效果에 關한 實證的 硏究 : 中國의 去來所 上場企業을 中心으로

        김경혜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회계는 이해관계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측정?전달하려는 기능을 수행하고 이해관계자들은 이러한 객관적인 회계정보를 이용하여 의사결정을 하고자 한다. 이처럼 회계정보는 정보이용자들의 유용성 측면에서 강조되고 있는데, 오늘날 회계이익은 정보이용자들의 투자의사 결정 또는 대출 등의 경제적 의사결정에 핵심적 성과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중국은 1980년대 이후에 등소평의 개혁개방정책에 따라 과거의 사회주의 계획경제로부터 급격히 시장경제체제로 전화되었고, 2000년에 본격적인 회계제도개혁이 이루어지면서 회계정보 유용성이 자본시장에 주는 효과가 뚜렷해지기 시작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상장기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회계이익의 정보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손익계산서상의 주당순이익과 이익총액 및 영업이익을 보통주식수로 나누어 별도로 계산한 주당회계이익들을 변수로 활용하여 주식수익률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단순회귀식을 통해 각 이익정보의 정보효과를 실증분석 하여 어떤 이익정보가 정보이용자에게 더 유용한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하여 종속변수는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중국 상장기업의 4년간의 주식수익률을 사용하였으며, 독립변수는 동 기간 동안의 주당순이익, 주당이익총액, 주당영업이익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2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첫째, <가설1>의 단계로, 독립변수인 주당순이익, 주당이익총액1), 주당영업이익과 종속변수인 주식수익률에 대한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각 변수들 간에 관련성을 검증해 보았다. 둘째, <가설2>의 단계로, 주당순이익, 주당이익총액, 주당영업이익의 주당이익정보가 주식수익률을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는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회계자료와 주가자료는 중국 증권거래소 공시시스템에서 수집하였고, 요건을 충족시키는 2,469개 표본기업을 선정하여, 주당순이익, 주당이익총액, 주당영업이익과 주식수익률간의 상관관계분석 및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얻었다. 1) 주식수익률, 주당순이익증가율, 주당이익총액증가율, 주당영업이익증가율간에는 모두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주당순이익증가율, 주당이익총액증가율, 주당영업이익증가율과 주식수익률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모두 1% 유의수준(2004년부터 2007년 합계분석)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가설1>이 주장하는 가설이 검증되었다. 2) 회계이익 중 어느 것이 주식수익률에 보다 유의적으로 영향 주는가 검증에서 2004년부터 2007년까지의 기간을 전체 연구대상으로 한 결과를 본다면, 회귀계수는 주당순이익증가율이 0.051(t값 9.208)이고, 주당이익총액증가율이 0.061(t값 9.790)이며, 주당영업이익증가율은 0.053(t값 8.542)으로서 모두1% 유의수준에서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주당순이익증가율, 주당이익총액증가율, 주당영업이익증가율의 정보효과가 모두 높은 것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주장하는 <가설2>는 귀무가설이 기각되고 대립가설이 채택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중국 손익계산서상의 주당순이익 및 주당영업이익, 주당이익총액은 모두 주식수익률을 설명하는데 유용성이 있으며, 이러한 회계이익정보의 정보효과가 모두 높으므로, 회계정보이용자들에게 상당한 의미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음을 설명한다. Accounting has the functions that measure and provide much valuable useful information for information users to make an economic decision. The financial information is highlighted in terms of the availability of information users, and today Accounting Earnings is used as key Business performance indicators for the information of users of financial investment or loans in economic decision-making. Chinese reform and opening policy implemented in the 1980s, according to the Deng, Xiao Ping. And the socialist planned economy system converted to market economy system rapidly, and accounting system radically reformed in 2000. It begun to made financial information as a useful effect in the capital marke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study empirically on the Information effect of Chinese accounting earnings focused on the Chinese listed companies with accounting information. In this research, the Earnings, Ordinary Income, and Operating profit, as stated in the Chinese statement of profit and loss, are divided by common stock distribution values. Using separately calculated business profits of each stock as a variable, its correlation with stock profit ratios is analyzed. Information effects of each profit report are corroboratively analyzed using simple regression equations in order to examine the type of profit report that is most valuable to information users. In order to make a corroborative analysis, this research uses stock profit ratios as a dependent variable of 4 years between the years 2004 through 2007. The independent variable is set to the Earnings per share, Ordinary Income per share, And Operating profit per share during this period of time. The research was categorized and executed the following 2 stages. Firstly, at the level of <Hypothesis 1>, the independent variable of each stock’s Earnings per share, Ordinary Income per share, and Operating profit per share and their correlation to the dependent variable of stock profit ratio was researched for any possible valuable relations. Secondly, at the level of <Hypothesis 2>, each stock’s Earnings per share, Ordinary Income per share, and Operating profit per share, and profit information was analyzed with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the value it has on the stock profit ratio. The accounting and stock price data used in this research was collected from the Listed Companies Association database program of China Stock Exchange. 2,469 cases that fit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ere chosen,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ach stock’s Earnings per share, Ordinary Income per share, and Operating profit per share, and stock profit ratio was execute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based on above mentioned hypotheses. Firstly, from correlations analysis, each stock profit ratios, Earnings per share increase rate, Ordinary Income per share increase rate, and Operating profit per share increase rate all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And they all result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in the 1% level of significance. Thus, the first hypothesis testified true. Secondly,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in relation to the range of 4 years from 2004 to 2007,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Earnings per share increase rate is 0.051(t-value 9.208), Ordinary Income per share increase rate is 0.061(t-value 9.790), Operating profit per share increase rate is 0.053(t-value 8.542). It resulted to be greatly significant within the level of significance range of 1%. Such results show that Earnings per share increase rate, Ordinary Income per share increase rate, and Operating profit per share increase rate all effectively valuable information. So it rejected the second hypothesis and the alternate hypothesis is selected. Results above proved that Earnings per share increase rate, Ordinary Income per share increase rate, and Operating profit per share increase rate all were effectively useful information to financial information users and provide them great significance.

      • 지역사회서비스 제공인력의 스트레스 인지, 대처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경혜 전남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역사회서비스 제공인력들의 스트레스 인지, 대처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광주광역시와 부산광역시 사회서비스 지원단의 협조를 받아 지역사회서비스 제공인력을 대상으로 편의표집을 하고, 제공인력들의 교육 날짜를 확인 후 교육 시 설문지를 배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로서 연구대상자가 자기보고식으로 응답하게 되어 있다. 예비조사를 거쳐 일부의 부적절한 문항만을 수정,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439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설문지 14부와 영리기관도 아니고 비영리기관도 아닌 곳에서 일하는 응답자 설문지 59부를 제외한 365부를 SPSS 20.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먼저 주요변수의 일반적 경향은 다음과 같다. 지역사회서비스 제공인력들의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2.64점으로 척도의 평균값보다 약간 낮은 점수이다. 근로환경스트레스 점수는 평균 2.87로 나타나 직무스트레스 점수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이 또한 평균값 이하로 제공인력들이 인지하는 스트레스 수준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본 연구자의 예측, 즉 제공인력들이 인지하는 스트레스 인지수준이 높을 것이라는 것을 빗나가는 것이다. 본 조사결과의 다양한 수치에 근거하여 제공인력이 인지한 스트레스 수준이 높지 않은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제공인력들의 상당수는 고학력의 파트타임 일자리 종사자로서 출ㆍ퇴근 시간, 소속된 제공기관의 통제로부터 자유롭다. 둘째, 이들은 높은 자아존중감의 소유자들로서 자신의 전문지식과 기술을 발휘하여 자아실현을 하면서 가구소득이 아닌 개인의 가처분 소득을 올리며 만족하는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제공인력들은 사회적지지 즉, 가족 지지와 동료ㆍ상사의 지지라는 스트레스 대처자원을 많이 가지고 스트레스에 잘 적응한다고 할 수 있다. 지역사회서비스 제공인력들이 스트레스를 통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대처자원의 하위영역별 점수는 자아존중감이 3.84점, 가족 지지가 4.06점, 동료 지지가 3.72점, 상사 지지가 3.60점, 그리고 수퍼비전 만족도는 3.41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사회서비스 제공인력들이 지닌 자원들의 평균점수가 모두 중간점수보다 높게 나타나 제공인력들이 안정된 내적자원을 가지고 가족 그리고 조직의 동료, 상사, 수퍼바이저로부터 사회적 지지라는 대처자원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스트레스 대처행동 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하위영영별로 살펴보았는데, 문제중심 대처행동의 평균점수는 3.79점으로 척도의 중간점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정서중심 대처행동의 평균은 2.76점으로 척도의 중간점수보다 조금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사회서비스 제공인력들은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한 행동으로 문제중심 대처행동과 정서중심 대처행동 둘 다를 하지만 주로 문제중심 대처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서비스 제공인력들의 생활만족도는 평균 3.31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척도의 중간점수 3.0점 보다 약간 높게 나타난 것을 볼 때 지역사회서비스 제공인력들은 자신들의 생활에 만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지역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사회인구 및 근로환경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인지, 대처자원, 대처행동과 생활만족도 차이를 요약하고자 한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과 월 소득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환경 스트레스는 월 소득, 근로유형 그리고 이용자 모집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처자원으로서 자아존중감은 연령, 성별, 혼인상태, 학력, 주당근로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문제중심 대처행동에 대한 차이는 연령, 성별, 혼인상태, 학력, 사회서비스 관련 경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서중심 대처행동의 경우 월소득, 사회서비스 관련경력, 복지기관 근무경력을 포함한 사회서비스 관련 경력 및 이용자 모집여부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생활만족도에 대한 차이는 연령, 월소득, 근로유형, 복지기관 근무경력을 포함한 사회서비스 관련 경력 및 이용자 모집 용이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지역사회서비스 제공인력의 스트레스 인지, 대처자원 및 대처행동에 따른 생활만족도 차이를 보면 다음과 같다.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자원에 따른 생활만족도 차이를 살펴보면,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동료지지, 상사지지, 수퍼비전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처행동에 있어서도 문제중심 대처행동을 많이 하는 제공인력일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았고, 정서중심 대처행동이 높을수록 오히려 생활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서비스 제공인력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변인들의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근로환경스트레스, 둘 다 생활만족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고, 자아존중감과 상사 지지가 생활만족도에 유의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생활만족도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영향은 문제중심 대처행동이 정적으로 유의한 반면 정서중심 대처행동은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금까지의 조사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의 원인이 되는 근로환경을 개선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바우처 정책은 일자리 창출정책의 일환으로 도입ㆍ실행되었다. 그런데 조사결과에서 드러나듯이 지역사회서비스 제공인력들에게 비정규직ㆍ파트타임, 저임금의 괜찮지 않은 일자리가 제공되고 있다. 현 정부의 중요한 정책목표가 공공일자리 80만개 창출이므로 바우처 정책 예산을 획기적으로 확대하여, 이들의 근로환경을 개선하려는 정책이 시행되어야 한다. 둘째, 제공기관들은 제공인력들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거의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직무스트레스와 서비스 질과의 부적 관계를 제시하고 있다. 서비스 제공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을 저하시킴을 고려할 때 제공인력을 고용하고 있는 제공기관들이 제공인력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셋째, 제공인력들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중에 문제중심 대처행동이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생활만족도 증진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이 필요하다. 조사결과에서 보았듯이 4년 이상 경력의 제공인력들은 문제중심 대처행동의 수준이 높았지만, 2년 이하의 초심자 제공인력들은 문제중심 대처행동을 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앞서 제공인력들이 직무수행과정에서 어떠한 직무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는지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Lazarus는 스트레스를 평가하는 개인적 요인 중의 하나로 목표와 신념체계를 제시하였다. 제공인력 교육 시 이들의 가치체계 변화를 위해 사회서비스의 공공성, 이타주의적 가치관, 낙천적 사고방식을 교육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넷째, 조사결과에서 조사대상자의 사회적 지지(상사와 동료)는 생활만족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지역사회서비스 제공인력의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생활만족도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를 더 제공하는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시군구 단위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바우처 사업분과’를 신설할 필요가 있다. 지역사회서비스 제공인력들이 바우처 분과라는 사회 관계망 혹은 네트워크에 속함으로서, 제공인력 개개인의 관계망의 크기도 커 질 수 있고, 확대된 관계망 속에서 다양한 사회적 지지를 획득하여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고, 문제중심 대처행동능력을 키워갈 수 있다. 끝으로 제공기관의 상사들은 제공인력들에게 수퍼비전을 더 많이 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수퍼비전은 지역사회서비스 제공인력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상사, 동료의 수퍼비전이 더 많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사회보장기본법 개정은 사회서비스의 범위를 크게 확대했고, 서비스 제공인력의 근로현장을 다양화했으며, 영역간의 이질성도 커졌는데, 서비스 영역별로 근로환경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도 밝혀지지 않았다. 근로환경의 차이는 근로환경 스트레스 차이를 가져오고 포괄적으로 직무스트레스 차이의 요인이 된다. 이러한 논리에 근거하여 후속연구는 사회서비스의 개념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영역별 근로환경 스트레스, 직무스트레스를 연구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서비스 제공인력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밝혔지만, 어떠한 요인에 의해 스트레스가 유발되는지는 규명하지 않았다. 선행연구들이 직무 특성, 조직 내에서의 역할, 조직 내 관계, 경력개발, 조직 분위기, 조직 외부의 장애, 개인 특성 등이 직무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이라고 하고 있는데, 본 연구의 대상인 지역사회서비스 제공인력들은 어떠한 요인에 의해 스트레스를 받는지를 규명하는 연구가 후속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