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연령별 MFOEI 설정에 의한 12주간 트레드밀 운동이 신체구성과 혈중지질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김경택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대 남성 6명과 50대 남성 6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령증가에서 오는 신체적 대사 작용 저하 및 신체활동 감소로 인한 비만, 대사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운동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MFOEI(maximal fat oxidation exercise intensity)로의 운동을 통해 신체구성과 혈중지질호르몬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 50대 남성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MFOEI로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하여 체중과 체지방의 변화 및 혈중 leptin과 adiponectin의 발현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연령에 따른 신체구성과 혈중지질호르몬의 변화에 미치는 MFOEI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조성에 있어서 집단 내 트레이닝 시기에 따른 변화에서는 2O대는 체중에서 사전 측정과의 차이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BMI는 사전 측정과 6주 측정과의 차이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50대에서는 체중, 체지방량, BMI 모두에서 사전 측정과의 차이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집단 간 평균치 변화에 대한 비교에서 50대는 20대에 비하여 체지방량, BMI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adiponectin에 있어서 집단 내 트레이닝 시기에 따른 변화에서는 20대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50대는 사전 측정과 6주 측정과의 차이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집단 간 adiponectin 평균치 변화에 대한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leptin에 있어서 집단 내 트레이닝 시기에 따른 변화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집단 간 평균치 변화에 대한 비교에서는 그룹간의 사전 측정에서 50대가 20대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와 같은 결론들을 종합해 보면 MFOEI로 12주간 트레드밀 운동은 50대의 체중, 체지방량, BMI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 시켰으며, 혈중 adiponectin의 농도 또한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써 체지방 감소와 혈중지질호르몬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에 반해 20대에서는 체중, BMI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체지방 및 혈중 adiponectin과 leptin의 농도는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는 300kcal로 설정된 본 연구에 총 운동량이 20대의 체중, 체지방량, BMI를 감소시키기에 부족하였고 체지방 감소가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혈중지질호르몬인 adiponectin, leptin의 농도 변화 또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50대에서의 긍정적인 변화는 연령 증가에 의한 신진대사 작용의 저하 및 신체활동량의 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비만, 대사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 연구에서 설정된 MFOEI로의 지속적인 유산소 운동을 통하여 체지방의 조절, 지질대사의 개선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xercise which affects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 hormone by researching the changes of weight, body fat, leptin and adiponectin in blood using tread mill exercise of the maximal fat oxidation exercise intensity(MFOEI) for twelve weeks by age so as to suggest the most effective way of exercise that can prevent obesity and metabolic disease resulted from aging. The subjects were two male groups whose ages were in their twenties and fifties and each group consisted of 6 memb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body composition, weight in a group of twenti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easured before the training. BMI measured after 6 weeks of traini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easured before the training. However, in a group of fifties, weight, body fat and BMI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measured before the training. Also means of body fat and BMI in a group of fifties are significantly decreasing, which was different from a group of twenties. Second, adiponectin among times of trainin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 group of twenties but in a group of fifties adiponectin measured after 6 weeks of traini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easured before the training. Means between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ird, leptin among times of trainin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Mean of leptin measured before the training was significantly higher only in a group of fifties. The research has reach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 12-week tread mill exercise of MFOEI mak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of weight, body fat and BMI, an increase of adiponectin which means a positive change of blood lipid hormone in the age of fifties. However, in the age of twenti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weight and BMI but not in body fat, adiponectin and leptin in blood. It seemed that this study design which set on 300kcal was not enough to decrease weight, body fat and BMI in the age of twenties so that made no difference of adiponectin and leptin in blood. Therefore 12-week tread mill exercise of MFOEI in this study is an effective way of preventing obesity and metabolic disease resulted from aging in the age of fifties.

      • 호텔의 품질경영요소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김경택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를 주도할 산업 중 하나로 관광산업이 주목 받기 시작하면서 이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호텔산업도 규모가 커지고 점점 고급화·다양화 되어가고 있다. 이와 더불어 현대 호텔기업 간의 경쟁은 점점 심화되고, 치열한 경쟁 환경 속에서 기업들은 고정고객을 확보하고 고객의 새로운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려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고 있다. 즉, 체계적인 관리와 차별화된 서비스를 통한 경쟁 우위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As the tourist industry is drawing growing attention as one of the industries that will take the initiative in the 21st century, the hotel industry that accounts the largest portion of the tourist industry is getting larger in size and is gradually getting more refined and diversified. Accordingly, there is a keener competition among hotel businesses, and they spare no efforts to develop and provide a wide variety of quality service to lure regular customers and address their new needs in such fierce competitive environments. It's especially important for them to boost management efficiency and the quality of differentiated service to have a competitive edge.

      • 수중 센서 네트워크에서 자기 조직화 기법을 이용한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법

        김경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an adaptive scheme for network topology configuration is proposed to save the overall energy consumption in underwater acoustic sensor network. The proposed scheme employs a self-organized network concept where network topology is locally optimized by exchanging the energy-related information between neighboring nodes such as the remaining energy of each node and the distance to cluster header, in a way that the network life time can be eventually augmented without any centralized control function.

      • 아마이드 덴드론의 합성과 자기집합 거동에 관한 연구

        김경택 仁荷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덴드리머는 많은 가지로 이루어진 구형의 고분자로서 잘 정의된 크기와 형태, 그리고 많은 수의 최외곽 기들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아마이드 덴드론을 여러 카르복시산을 1,1'-carboxyldiimidazole (CDI) 을 이용하여 N-(3-aminopropyl)-propanediamine 에 반응하고 succinic anhydride 를 카르복시화제로 이용하여 합성하였고 특성을 결정하였다. 최외곽에 길이가 긴 지방족 사슬을 도입한 아마이드 덴드론들은 유기용매와 수용액상에서 지기집합 현상을 보이고, 자기집합을 통한 나노크기의 새로운 삼차구조를 형성한다. 덴드론의 자기집합의 기구와 특징을 FT-IR, 투과전자현미경 (TEM), X-선 회절분석법 (XRD), 모델분자연구, 그리로 분자모형연구 등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형성된 나노크기의 자기집합 구조체는 아마이드기들 사이의 수소결합에 의하여 형성됨이 확인되었고, 주요한 단위체는 덴드론 분자의 이분자화에 의해 얻어진 이분자형태로 확인되었다. 형성된 자기집합 구조는 사용된 덴드론의 세대수에 의존하여 lamellar 구조에서 hexagonal columnar 구조로 변화됨을 XRB 와 TEM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조절된 focal 관능기를 가진 덴드론은 수용액상에서 미셀형태의 자기집합 구조를 이룬다. Vesicle 형태의 가지집합 구조가 형성됨을 TEM 과 동적광산란분석법 (DLS)을 통해 관찰하였다. Dendrimers are highly branched spherical macromolecules with the defined size and structure and numerous functional groups at the outer shell of molecules. In this thesis,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mide dendrons with various peripheral groups were described. Various carboxylic acids were used as starting materilas for dendrons, which reacted to N-(3-aminopropyl)- propandiamine with 1,1'-carbonyldiimidazole as a coupling agent. Succinic anhydride was used for carboxylation of synthesized dendons. Amide dendrons with long alkyl chains at the peripheray self-assembled in organic and aqueous media. The self-assembly mechanism and suprastructures obtained were studied by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X-ray diffreaction technique (XRD), FT-lR spectroscopy, model compound experiments, and molecular modeling. The studies showed that the main driving force of self-assembly was hydrogen bonding of amide groups. The dendron dimer was primary building blocks for self-assembled suprastrucrues, which was identified by XRD and model compound experiments. XRD and TEM experiments revealed the suprastructure varied from the lamella structure to the hexagonal columnar structure on increasing the generation number of dendoms. Modified dendrons with methyl ester or sodium carboxylate focal group formed micelles In aqueous phase. The vesicular structures were observed by using TEM and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 DC sputtering 을 이용한 SnOx 기반의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 특성 연구

        김경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에 디스플레이의 채널층으로 사용되고 있는 비정질 실리콘의 경우 낮은 이동도와 불투명한 특성으로 인하여 대면적 디스플레이나 투명 디스플레이 등의 차세대 디스플레에이에 적요하는 소자로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산화물 반도체로 ZnO, SnO2, In2O3, IGZO와 같은 물질들이 연구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C magnetron sputtering 법을 이용하여 증착된 SnO2 기반의 산화물 반도체 박막의 결정학적 및 표면구조, 화학적 및 전기적 특성을 분석하고, 단위 셀에 채널층으로 적용하여 현재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층으로 사용되는 비정질 실리콘을 대체하여 고성능 트랜지스터 구현을 위한 그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저온 공정 개발 및 실제 공정 적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기판온도는 상온에서 실험을 진행하였고, 장비의 특성을 고려하여 플라즈마 방전 전력과 공정압력은 0.5 W/cm2 와 5 mTorr로 각각 고정하였다. 산소 분압은 0~60 % 범위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SnO2 기반의 산화물 반도체 박막을 트랜지스터의 채널층으로 적용하는데 있어서, 우선 다양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intrinsic SnO2 (i- SnO2) 박막을 산소 분압의 변화에 따라 형성하였고, 이들을 각각 채널층으로 적용하여 소자 특성 평가 후 채널층 물질로 적합한 경계조건을 확립하였다. 그리고 채널층으로 가능성 평가를 실시하고, 표면구조, 화학적 결합상태 및 전기적 특성을 AFM, XRD, XPS, Hall effect system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위 실험들을 통하여 얻어낸 최적화된 조건들을 토대로 하부 게이트 형식의 트랜지스터를 제작, 평가하였다. 또한, Hafnium을 첨가함으로써 박막내에 있는 oxygen vacancy의 형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여 캐리어의 양을 조절하려고 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HTO 기반의 박막트랜지스터는 i-SnO2 기반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비해 전계효과 이동도가 4배 정도 향상하는 결과가 나왔으며, 107 대의 on/off ratio를 갖는 특성을 보였다.

      • Electroacupuncture attenuates mechanical and warm allodynia through suppression of spinal glial activation in a rat model of neuropathic pain

        김경택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신경병증성 통증은 임상에서 다루기 어려운 통증 중의 하나이다. 이것은 전통적으로는 오직 뉴런에 의해서만 조절된다고 보았으나, 최근에 신경교세포가 통증조절에 있어서 강력한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전침의 효과는 아편계, 아드레날린계, 도파민계, 세로토닌계 그리고 콜린계 반응기와 관련된 하행성 통증 억제기전에 의해 진통효과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침이 신경교세포 활성을 억제한다는 연구는 거의 없다. 이번 연구에서 우리는 신경병증성 통증 쥐모델에서 전침이 기계적, 온이질통을 억제하는 지 알아보았다. 더불어 우리는 장기간의 치료를 통하여 임상적으로 전침이 장기간의 치료도구로써 가치가 있는지 평가하였다. 우리는 이를 위해 신경교세포활성,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2, proinflammatory cytokines 억제를 살펴보았고, immunoglobulin G (IgG) 농도증가를 살펴보았다. 쥐들은 수술한 군 (OP), 수술후 비경혈점 전침군 (EA-NA), 수술후 족삼리 전침군 (EA-ST36), 가짜 수술군 (ShamOP) 네 군으로 무작위적으로 나뉘었다. 신경병증성 통증을 유발하는 수술 및 가짜수술후 전침치료를 이틀에 한 번씩 행동검사 이후에 시술되었다. 수술후 53일째, 행동검사후에 신경교세포의 활성 변화를 보기 위해 immunohistochemistry와 western blot 분석이 시행되었다. OX-42, GFAP의 정량변화를 살폈으며, MMP-9/-2와 proinflammatory cytokines의 변화도 관찰하였다. 전침군에서 이질통과 OX-42/GFAP/MMP-9/MMP-2/TNF-α/IL-1β의 정량은 OP군, EA-NA군에 비해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전침군의 IgG 농도가 다른 군에 비해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침의 진통효과가 일정부분 염증의 억제와 신경교세포 활성 억제를 통하여 발현된다는 것을 보여주며 반복적인 장기간의 전침치료가 임상적으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Neuropathic pain remains one of the most difficult clinical pain syndromes to treat. It is traditionally viewed as being mediated solely by neurons; however, glial cells have recently been implicated as powerful modulators of pain. It is known that the analgesic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EA) are mediated by descending pain inhibitory systems, which mainly involve spinal opioid, adrenergic, dopaminergic, serotonergic, and cholinergic receptors. However, studies investigating the suppressive effects of EA on spinal glial activation are rare. In the present study, we assessed the cumulative analgesic effects of EA on mechanical and warm allodynia in a rat model of neuropathic pain.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efficacy of EA as long-term therapy and examined its effects on spinal glia,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MMP-2,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serum immunoglobulin G (IgG) concentration.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as follows: the operation group (OP), operation with EA-non acupoint (EA-NA), operation with EA-ST36 acupoint (EA-ST36), and sham operation (shamOP). Following neuropathic or sham surgery, repeated EA was performed every other day after the behavioral test. On day 53 after the behavioral test, rats were perfused for immunohistochemistry and Western blot analysis to observe quantitative changes in spinal glial markers such as OX-42, astrocytic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MMP-9/MMP-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Allodynia and OX-42/GFAP/MMP-9/MMP-2/tumor necrosis factor (TNF)-α/interleukin (IL)-1β activity in the EA-ST36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OP and EA-NA groups, and IgG in EA-ST36 rats significantly increased.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analgesic effect of EA may be partly mediated via inhibition of inflammation and glial activation and repeated EA stimulation may be clinically useful for treating chronic pain.

      • 서번트리더십과 임파워먼트 및 개인-팀 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경택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호텔기업은 서비스산업의 특성으로 인하여 호텔조직 및 팀 내의 리더 십과 종업원들의 태도와 행동, 구성원들 간의 협업이 대단히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번트리더십, 임파워먼트, 팀 성과인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개인성과인 고객서비스행동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서번트리더십이 어떻게 팀 성과(서비스품질,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둘째, 개인의 고객서비스행동과 이직의도에 대한 서번트리더십의 효과를 매개하는 임파워먼트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셋째, 서번트리더십이 임파워먼트를 통하여 고객서비스행동과 이 직의도를 포함하는 개인행동과 태도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증명하고 자 하였다. 넷째, 서번트리더십이 어떻게 팀원들의 고객서비스행동과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다섯째, 팀 내 리더십 관리 방안과 인적자원관리 방안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팀장과 소속팀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서울과 부산지역의 인터내셔널 체인호텔 브랜드의 12개 특1급 호텔에 소속된 55 개 팀(팀장) 및 그 구성원(팀원) 258명을 포함하여 총 313명의 표본을 분 석하였다. 분석방법에는 탐색적 요인분석(EFA)과 신뢰도 및 타당도, 확인 요인 분석을 하였고,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모델은 주성분 분석(PCA)을, 요인구조의 회전방법으로는 베리맥스 기준을, 그리고 분석 도구는 SPSS 18.0을 사용하였으며, 다층관계에 대한 분석은 HLM 5.0 프 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실증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 내 서번트리더십은 팀성과로서 고객만족(서비스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할 수는 있으나 그 가능성이 통계적으로 의미를 부여할 만큼 높지 않았다. 둘째, 팀 내 서번트리더십은 팀원들의 임파워먼트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파워먼트는 고객서비스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 을 미치며, 이직의도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팀 내 서번트리더십과 팀원들의 고객서비스행동, 이직의도의 관계는 팀원 들의 임파워먼트 인식에 의해 부분적으로 매개되고 있으며, 다섯째, 팀 내 서번트리더십이 팀원들의 고객서비스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이직의도에 부분적으로 부의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층분석에 의해 서번 트리더십이 팀 성과와 개인성과에 동시에 영향 미치는 프로세스를 실증적 으로 규명하고 있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팀 내 서번트리더십이 팀원들의 임파워먼트 인식을 통하여 바람직한 개인행동에 영향 미치는 다층적 프로 세스를 실증하고 있는데 그 의의가 있다. 셋째, 인터내셔널 체인호텔브랜 드 소속의 여러 팀들과 그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자료추출이 이루어졌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넷째, 호텔조직에서 개인성과의 동기부여요인 (motivator)은 서번트리더십으로 확인되었고, 호텔조직에서 지속적 경쟁우 위 확보가 서번트리더십 개념을 채용, 교육훈련, 성과평가, 보상 등의 실 무제도와 적합을 이루는 인사아키텍처(HR architecture)의 구축에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팀 내 서번트리더십이 팀성과에 직접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 내 서번트리더십이 팀성과 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팀원들간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팀문화내지는 팀워 크의 형성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industry, for the hotel companies, leadership, employee attitudes and behaviors, and collaboration among employees are very importan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rst, discover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team performance(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to identify the impact of empowerment mediating the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on individual customer service behaviors and turnover intentions and third, to identify the indirect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individual behaviors and attitudes including customer service behaviors and turnover intentions through the empowerment. Fourth, to discover how Servant Leadership affects team members' customer service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and lastly, I tri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leadership management in teams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is study, a total of 55 teams (team leaders) and 258 members (team members) belonging to 12 first class hotels of the International Chain Hotel brand in Seoul and Busan area were surveyed. 313 samples were analyzed. The analysis method wa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reliability, validit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factor analysis model use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the Verimax criterion for rotation of the factor structure. SPSS 18.0 was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analysis of multi-layer relationships was performed using HLM 5.0 program.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rvant Leadership within a team can be estima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service quality) as team performance, but the possibility was not high enough to give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 Servant Leadership within the team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eam members' awareness of empowerment. Third, empowerment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ervice behavior and negative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team member's customer service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is partially mediated by team members' awareness of empowerment. Fifth, it was confirmed that Servant Leadership within the team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customer service behavior of the team members and a nega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turnover. The implic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meaningful to clarify the process that Servant Leadership affects team performance and personal performance simultaneously by multi-layer analysis. Second, Servant Leadership within the team demonstrates a multi-layered process that affects desirable personal behavior through the recognition of empowerment among team members. Third, the data extraction was done to various teams and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chain hotel brand. Fourth, motivation of personal performance in hotel organization was identified as servant leadership. This suggests that the continuous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hotel organization lies in the establishment of HR architecture, which adopts the concept of Servant Leadership, and is compatible with practical systems such as recruitment, training, performance evaluation, and compensation. Finally, Servant Leadership within the team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eam performance. It suggests that in order for the team to generate team performance, the formation of team-culture or teamwork that facilitates interactions among team members is essent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