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웨어러블 테이핑 요법과 침구요법의 병행 치료에 따른 어깨, 무릎 통증 완화 효과에 대한 연구

        김경옥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어깨, 무릎 수술 후 대상자의 기본적인 일상생활의 증진과 지속적인 재활을 하기 위해서 수술 부위의 기능 수행의 증진과 통증을 해결해 주는 것은 중요한 사항이다. 본 연구는 웨어러블 테이핑 요법을 적용 하여 기존 테이핑 요법의 불편함을 해결하고, 침구 요법의 병행을 통하여, 상지 통증, 기능 및 통증완화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총 62명으로 연령별로 실시하였다. 일반생활, 운동 시, 수면 시, 전체적인 통증별로 증상을 체크하였다. 웨어러블 테이핑을 착용안함, 착용함, 침 치료 병행으로 하여 실시하였으며,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 연구 방법론과 정적균형능력 연구를 진행하였다. 웨어러블 테이핑, 침 치료 병행 요법은 총 9주 (1주3회) 실시하며, 침 치료를 병원을 통하여 웨어러블 착용은 본인이 직접 수행하도록 하였다. 부착부위는 통증 부 어깨의 삼각근, 극상근, 극하근에 입도록 하였다, 연구도구는 시각적 상사척도, 상지기능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실험전과 후에 각각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웨어러블 테이핑 요법을 제공한 실험군은 웨어러블 테이핑 요법을 제공하지 않은 대조군 보다 상지 통증이 감소되었으며, 통증감소에도 영향을 주었다, 이에 테이핑 요법과 침 치료를 병행하는 요법을 제안한다.

      • 사업장 안전⦁보건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김경옥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안전·보건관리자의 일반적 특성과 사업장 특성, 직무관련 특성을 파악하고 직무 스트레스 유발요인과 직무만족도의 영향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규명함으로써 안전·보건관리자에 대한 환경 및 처우 개선과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함이 그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안전⦁보건관리자 총 194명이 자기기입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자의 기술통계량(빈도분석, 산술평균. 표준편차)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위계적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고, 통계 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전⦁보건관리자의 직무 스트레스 인식수준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하부요인 업무만족도와 직장만족도를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보건관리자의 업무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일반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의 모형1에서는 연령대, 고용형태, 근무시간, 승진기회가 업무만족도에 영향요인이 되었다. 한편 이 연구의 핵심적 독립변인인 직무 스트레스 요인들이 추가적으로 투입된 모형2에서는 ‘직무자율’과 ‘보상부적절’ 두 변인이 업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이하게도 모형1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이 확인되었던 것은 사라졌다. 이것은 그 영향력이 흡수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러한 일반적 특성이 결국 특정 형태의 직무 스트레스와 연계되어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며, 그렇게 연계적으로 발생된 직무 스트레스가 결정적으로 업무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라는 것이다. 둘째, 직장만족도의 경우에는 업무만족도와는 다르게 일반적 특성 중 주당평균 근무시간과 소득수준 또한 직장만족도에 높은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와 동시에 직무 불안정 및 조직체계와 관련한 직무 스트레스 또한 직장만족도를 결정하는 주된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업무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자율성’과 ‘보상’과 관련된 것이지만, 자신이 속해 있는 직장 자체에 대한 만족도를 결정짓는 것은 자신이 맡고 있는 직무와 관련된 고용의 안정성과 조직 전체가 갖고 있는 분위기나 체계 등이기 때문에, 제도적으로 직무만족도를 상승시키고자 하는 시도에 있어서도 또한 이 두 가지 변인을 구분하여 정확히 어떠한 분야의 만족도를 높일 것인지를 특정하여야 그 제도적 효과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안전․보건 관리자의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효율적인 업무와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e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afety and health managers working in the workpla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pl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b-related functions, an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job stress-inducing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By identifying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providing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environment and treatment of safety and health managers and improving job satisfaction.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safety and health manager's job stress-related factors and analyzed th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job stress recognition level by dividing the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of the lower factors. The degree of job stress of the study subjects showed that the average value of the factors out of 4 points was found to be 2.340 points and experienced normal job stress. Job satisfaction was confirmed as a lower area of job satisfaction of 5 points 3.264 points, workplace satisfaction 2.931 points. The main results shown through the analy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afety and health manager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factors, such as "age group", "employment type", "average working hours per week" and "promotion opportuniti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job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n model 2, where the core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added to the job stress factors were added, it was found that the two variations of "job autonomy" and "compensation inappropriat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Model 1 was confirmed. This can be seen as absorbing its influence. Such a general characteristic will eventually inform that it is associated with a certain form of job stress, that the job stress generated in such a link is a factor that decisively reduces job satisfaction. Second, in the case of work satisfaction, the average working hours and income level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e work satisfaction was also found to exert a high influence on work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job stress related to job instability and organizational system was also found to be the main factor in determining work satisfaction. Increasing work satisfaction is related to 'autonomy' and 'compensation', but determining the satisfaction of the workplace itself in which you belong is because it is the stability of the employment that the person is in charge of the job and the atmosphere or system of the organization as a whole, in an attempt to institutionally increase job satisfaction, also in an attempt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institutionally, you must also distinguish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o ensure the exact satisfaction of any field that can be guaranteed. it is that there is. This study is believed to be used as a basis for reducing the job stress of safety and health managers and seeking ways to improve effective work and job satisfaction.

      • 놀이치료자가 지각한 내담아동의 치료저항 척도 개발 연구

        김경옥 숙명여자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놀이치료에서 발생하는 내담아동들의 치료저항의 개념을 분명히 하고자 놀이치료자가 지각한 내담아동의 치료저항 척도를 개발하였다. 먼저 임상경험 자료를 분석하여 내담아동의 치료저항 문항을 구성하고 이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구하였으며, 개발된 척도가 치료저항을 타당하게 측정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관련변인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국의 전문 아동상담센터, 종합사회복지관, 소아정신과, 대학 부설 아동상담센터 등에서 근무하고 있는 놀이치료자 131명을 대상으로 내담아동의 치료저항 척도 개발 연구를 하였으며, 159명을 대상으로 상담관련변인 관계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AS를 사용해 분석하였는데, 내담아동의 치료저항 척도를 구성하는 각 하위 요인의 문항 양호도와 문항 변별도를 검토하였다. 또한 놀이치료자가 지각한 내담아동의 치료저항 척도의 요인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상관계수법을 통해 전체와 하위변인 간 상관을 살펴보았다.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문항 내적 합치도 계수인 Cronbach α값과 반분신뢰도를 구하였다. 또한 개발된 내담아동의 치료저항 척도를 사용하여 내담아동의 성별 및 학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역전이 감정 및 치료관계 변인과 치료저항 간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보기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놀이치료자가 지각한 내담아동의 치료저항 척도의 요인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24개 치료저항 문항들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4개의 하위요인이 구성되었다. 요인1은 치료자와 치료에 대한 직접적인 거부 및 불평과 관련되어 ‘적극-공격적 저항’으로, 요인2는 아동 자신에 대한 정보 제공과 치료자와의 깊은 대화를 꺼리고 통찰을 거부하는 것과 관련되어 ‘소극-회피적 저항’이라 명명하였다. 또한 요인3은 놀이치료 자체에 대한 참여 거부와 관련된다고 판단되어 ‘치료참여 거부 저항’이라 하였으며, 요인4는 치료실에서 말을 하지 않으려는 것과 관련되어 ‘침묵 저항’이라 명명하였다. 치료저항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전체 Cronbach α는 .84였고, 하위요인들은 .70에서 .79까지 나타나 비교적 높은 내적 합치도를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내담아동의 치료저항 척도가 양호한 신뢰도를 가졌음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치료저항 중 적극-공격적 저항을 남아가 여아보다 더 많이 보이고 있어, 남아가 더 직접적으로 치료저항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내담아동이 고학년인 경우가 저학년인 경우보다 소극-회피적인 저항을 더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내담아동의 치료저항과 역전이 감정, 치료관계와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첫째, 내담아동의 치료저항이 클수록 놀이치료자의 긍정적이며, 자율적이고 따뜻한 역전이 감정이 적어지고, 반면 치료자가 부정적인 정서를 느끼고 냉담하며 전문적인 능력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치료저항이 클수록 치료적 협력관계와 긍정적 감정관계는 적어지고, 부정적 감정관계는 커졌다. 이와 같이 치료저항은 역전이 감정, 치료관계와 관계를 보이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scale of child client's resistance perceived by play therapist to clarify the concept, "Child Client's Resistance perceived by Play Therapist". For the analysis, collecting survey data for the resistance, assess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reviewing related variables to track the consistency of newly-developed measurement was sequentially completed. Subjects for the study includes 131 play therapists working at private-owned child counseling center, community center, center at adolescent psychiatric and 159 subjects for counseling-related variables. Collected data was run by statistics program "SAS"and extent of discrimination and soundness of sub items to measure child client's resistance has been examined. Also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evidence based on internal structure over the scale. To assess the validity, correlation coefficient methodology, expla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universal set and sub variables was used. Cronbach α value and split-half reliability was derived to analyze sub factors calculated by factor analysis. T-test and one way ANOVA to figure out gap causing from gender and age of child client by newly-developed sca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understand the inter-relation among counter-transference, variables connecting with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resistance were also applied. To validate the evidence based on internal structure over the scale, preliminary factor analysis over 24 items for resistance was completed and consequently four sub factor was constructed. Factor one is named as 'Active-aggressive Resistance' related with direct rejection and complaint about therapist and therapy, Factor two, 'Passive-avoidable Resistance', reluctance to offer information about child him/herself to communication with therapist and to be observed, Factor three, 'Rejectable Resistance to Therapy Participation', unwillingness to taking part in play therapist and Factor four, 'Silence Resistance', keeping silent in therapy center. First of all, correlation between resistance scale and sub factors were highly statistically significant over four factors. Cronbach α is .84 and sub factors ranges from 0.70 to 0.79, which reflects relatively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therefore scale developed by the study implies high reliability. Secondly, the result that 'Active-Aggressive Resistance' is prevailing in boy group rather than girl may explain that boy more aggressively resist to the therapy. And senior group is more passively-avoidably resistant than junior. Lastly, inter-relationship among child client's resistance, counter-transference and therapeutic relationship means (1) the stronger child client's resistance, the less positive, autonomous and warm counter-transference of play therapist, and conversely therapist feels negative, cool and lack of professional skill set when he/she faces stronger resistance. (2) Stronger child client's resistance result in less therapeutic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more negative feeling, which proves that resistance is critical factor in counter-transference and therapeutic relationship.

      • 가족친밀감이 농촌 청소년의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경옥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령사회와 초고령사회에서 노인부양의 역할을 담당하게 될 농촌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들의 부모와 조부모간의 친밀감 및 청소년과 부모간의 친밀감과 노인부양의식과의 관련성을 고찰해 봄으로써 노인 부양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가정의 부양기능을 강화시키는 노인부양 정책 수립에 도움을 주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가족친밀감(청소년과 부모간의 친밀감, 부모와 조부모간의 친밀감)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노인부양의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가족친밀감(청소년과 부모간의 친밀감, 부모와 조부모간의 친밀감)과 노인부양의식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4.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무엇인가? 조사 대상자는 강원도 화천군에 소재한 고등학교 2학년 전체 남, 여 청소년 2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적 통계, t검증 및 F검증, 단순적률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와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친밀감의 차이에 대한 분석 결과, 학교형태, 보호자 학력, 월평균 수입에 따른 부모와 조부모간의 친밀감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가정교육, 월평균 수입에 따른 청소년과 부모간의 친밀감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노인부양의식의 차이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제적 부양의식에는 학교형태, 가정교육, 월평균 수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정서적 부양의식에는 학교형태, 가정교육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서비스 부양의식에는 학교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가족친밀감과 노인부양의식과의 관계는 부모와 조부모간의 가족친밀감과 경제적, 정서적, 서비스 부양의식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청소년과 부모간의 가족친밀감과 경제적, 정서적, 서비스 부양의식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을 분석한 결과, 경제적 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부모와 조부모간의 가족친밀감과 학교형태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부모와 조부모간의 가족친밀감, 학교형태, 가정교육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 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부모와 조부모간의 가족친밀감, 학교형태, 조부모님과의 동거 경험(현재 같이 살고 있는 경우)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사회 복지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 지역의 다양한 가족 구조 및 형태에 따른 가정의 안정과 효율적인 가족관계 유지를 위해 건강가정지원센터 및 사회복지시설을 중심으로 부모와 조부모, 청소년과 부모와의 세대간 결속을 위한 관계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가족원들을 지지하고 강화시킬 수 있는 교육 및 상담 활동과 부모역할을 위한 바람직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확대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형태에 따른 교과과정 및 개인적 가정환경의 차이에 따른 학교사회복지사들의 학교사회복지를 실천함에 있어서 학교형태에 따른 문제 사정 및 개입방법이 달라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의 가치관과 행동은 교육 여하에 따라 그 영향력이 크므로, 가정과 학교와 사회가 연계성을 가지고 노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경로효친 사상을 고취시킬 수 있는 방안과 교과내용을 개발하여 교육 및 지도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서비스 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조부모와의 동거경험을 높이기 위해 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노인시설이나 독거노인 등을 방문하여 노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노인과의 접촉 기회를 늘리기 위해 노인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정서적 부양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성인자녀와 노인세대가 같이 사는 과정에서 생기는 신·구세대의 의견 차이와 스트레스, 그리고 고부간의 갈등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실제 부양을 책임질 성인자녀와 노인 세대와의 충돌을 피하면서도 정서적 유대를 가질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다섯째, 가족부양기능의 강화를 위해 노인이 가정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노부모부양 수당을 현실화하고 면세혜택을 강화하는 등 경제적 제반 여건을 정부가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신체적 서비스 부양자의 부양부담감 및 부양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정책적 방안으로 농촌의 노인 단독가구의 증가에 따른 그룹 홈의 활성화 및 전문병원 및 장기요양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다. 일곱째, 노인들 역시 성공적인 노년기를 보낼 수 있도록 시설 및 각종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재교육의 기회 등을 갖도록 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며 바람직한 조부모역할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correct understanding about support for the aged and providing basic data that helps to set up the policy support for the aged through the consideration the relationship of intimacy for parents-grand parents, youth-parents and support consciousness for the aged to rural youths who charge the role of support for the aged in aged society and post-aged society The specific subjects of this study to carry out the purpose are as follows: Subject 1 What kind of differences are there between the familial intimacies(between youth and their parents or between parents and their grandparents)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sociology of population? Subject 2 What kind of differences are there in the consciousness to support the aged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sociology of population? Subject 3 What relationship is there between the familial intimacy(between youth and their parents or between parents and their grandparents) and the consciousness to support the aged? Subject 4 What are the main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n the consciousness to support the aged? Research surveyed 205 youth sophomore at senior high school in Hwacheon-gun, Gangwon-do, and gathering data are analysed frequency, descriptive analysis, t-test, F-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2.0. The result and implications is as followed; First, the result of difference of family intimacy about demographic trait is that type of school, parents' schooling, income per month have statistically meaning difference for intimacy of parents-grand parents and home education, income per month haver statistically meaning difference for intimacy of youth-parents. Second, the result of difference of support consciousness for the aged about demographic trait is that type of school, home education, income per month have statistically meaning difference for economic support consciousness, type school, home education have statistically meaning difference for emotional support consciousness, type of school has statistically meaning difference for service support consciousness. Third, relationship between family intimacy and support consciousness for the aged is that family intimacy of parents-grand parents have statistically meaning positive correlation with economic, emotional, service support consciousness, family intimacy of youth-parents have statistically meaning positive correlation with economic, emotional, service support consciousness. Fourth, the result of determining factors which influence on support consciousness for the aged is that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economic support consciousness are family intimacy of parents-grand parents and type of school in order,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emotional support consciousness are family intimacy of parents-grand parents, type of school, home education in order,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service support consciousness are family intimacy of parents-grand parents, type of school, cohabitation experience with grand parents in order. The implication based on the result is as followed ;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 which invlove the relationship for solidarity among generations and to enlarge desirable 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role of parent and consultant, education for empowering family members centered on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to be stabilized home and to maintain efficient family relationship through various structure and type of rural family. Second, it present the difference th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to type of school as school social workers practice school social work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curriculum and personal home environment by type of school.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lan inspiring the propriety for the aged and positive consciousness and curriculum because youths' values and behavior is difference to teaching or not. hird, to improve the cohabition with grand parents who influence service support consciousness, it is necessary to develop old-experiencing program and operat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aged and involve contact of the aged through the volunteer program. Fourth, it is necessary to grope the political plan able to have emotional band at once avoiding intergenerational stress, trouble, difference. Fifth, to strengthen the ability of family-support, politically, it is necessary to support economic condition like involving tax-free benefit, actualizing allowance for support for the aged. Sixth, it is necessary to expand long term care facilities, specialized hospital for the aged, revitalizing group home as increasing elderly people living with a spouse only to reduce support stress and support pressure. Seventh, it is necessary to systemize the chance to re-educating with facilities and social education program and to develop desirable grand parents role program for successful aging.

      • 이혼한 여성한부모의 삶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경옥 전남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혼은 결혼 생활의 실패라고 규정지을 수 있는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생활 사건이고, 이 과정에서 이혼 당사자는 많은 혼란과 문제들로 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이혼은 이혼 당사자와 그들의 자녀 모두에게 스트레스를 야기하는 사건의 하나이다. 특히 부모의 이혼에 대한 심리적 처리가 미숙할 때, 성장과정에서 여러 문제를 야기할 수 있 수 있다. 이혼 한부모가정의 부모와 자녀가 보이는 많은 심리적, 행동적 문제들은 이혼 후 달라진 환경을 어떻게 바라보고 수용하며 적응하느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이혼과 관련된 사회적 낙인 속에서도 이혼한 여성한부모가 이혼의 현실을 인정하며 자신을 돌아보고, 이를 자녀와 함께 나누며 변화된 역할을 받아들이고 함께 성장해 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라는 관계적 맥락에서 이혼한 여성한부모가 살아온 삶의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그 경험 이야기가 생성하는 독특한 의미를 발견함으로써 이혼한 여성한부모의 삶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또한 그 속에서 연구참여자들도 자신의 삶을 이야기하고, 다시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진정한 자신을 만나며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내러티브 탐구는 인간이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경험을 이야기하고 다시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경험의 의미를 찾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삶을 살아가게 되는 과정을 연구하는 방법으로 인간의 삶과 경험을 연구하는 데 가장 적절한 연구방법이다(Clandinin & Connelly, 2000). 본 연구의 참여자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만 18세 미만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이혼한 여성한부모 3명으로 의도표집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7년 8월 예비조사를 시작으로 2017년 10월부터 2018년 5월까지였다. 자료 분석은 면담자료와 연구일지, 카톡, 메모 등을 통해 수집된 현장텍스트(field text)를 반복해서 읽으면서 거기에서 계속해서 나타나는 내러티브 패턴, 줄거리, 주제 등을 찾아내어 그것들을 연구텍스트로 재구성하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연구 퍼즐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퍼즐 1은 ‘이혼한 여성한부모의 이혼 전·후 삶의 이야기는 어떻게 이어지고 구성되는가?’이다. 본 연구의 이야기 구성은 이혼한 여성한부모가 이혼 전에 살아온 이야기인 <삶의 경험 이야기하기>와 이혼 후 살아온 삶을 다시 이야기하는 <이혼과 함께 살아가기>, 이혼한 여성한부모가 앞으로 다시 살아갈 이야기를 하는 <삶의 주체가 되기>로 구성하였다. [캔디씨]의 <삶의 경험 이야기하기>는 ‘사랑받고 싶어요’, ‘내가 이혼을 했다’로, <이혼과 함께 살아가기>는 ‘강한 엄마’, ‘여자가 아니고 엄마니까’로, <삶의 주체로 서기>는 ‘나의 아이들, 내 삶의 이유’, ‘상처받지 않을 거야’로 이야기를 구성하였다. [네모씨]의 <삶의 경험 이야기하기>는 ‘나의 평범한 꿈’, ‘도망치고 싶어’로, <이혼과 함께 살아가기>는 ‘이혼이라는 오명은’, ‘이혼이라는 주사위는 던져졌다’로, <삶의 주체로 서기>에서는 ‘네모가 될래’, ‘든든한 울타리’로 이야기를 구성했다. [밝음씨]의 <삶의 경험 이야기하기>는 ‘꿈 많은 나는 밝음이’, ‘드라마는 끝났다’로, <이혼과 함께 살아가기>는 ‘내 아이들은 내가 스스로 지킬 거야’, ‘손을 뻗을 수 없는 곳에 있는 아들을 위하여’로, <삶의 주체로 서기>에서는 ‘힘들면 말하고 도움을 받자’, ‘나한테 거는 주문’으로 이야기를 구성하였다. 연구 퍼즐 2는‘이혼한 여성한부모의 삶의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에서 이혼한 여성한부모의 삶의 경험의 의미로는 <혼돈의 질곡(桎梏) 속에 서다: 한부모가 되다>, <오뚝이처럼!: 가장(家長)으로 서가는 엄마>, <홀로 위로하며: 살아가기 위해 나에게 주문(呪文)을 걸다>, <터널을 지나다: 이혼의 의미를 나와 자녀에게 이야기하다>, <너는 나, 나는 너: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의식의 확장>으로 5가지의 의미를 창출하였다. <혼돈의 질곡(桎梏) 속에 서다: 한부모가 되다>는 참여자들의 이혼 전(前) <삶의 경험 이야기>로 혼돈과 고통의 터널 속에서 자신도 자녀도 살아야 한다는 갈급함 속에서 이혼을 선택하며 한부모가 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들은 이혼을 선택하면서 마치 차꼬를 차고 있는 모습처럼 앞이 막막한 가운데서도 자녀를 자신의 몸에 채우며 살아가고자 하는 모성을 지닌 엄마들이었다. 또한 이들에게 전남편의 존재는 자녀를 얻기 위한 과정, 아이의 뿌리, 아이들의 아빠이기에 미워할 수 없는 존재였다. <오뚝이처럼!: 가장(家長)으로 서가는 엄마>는 이혼한 여성한부모가 이혼 후 삶을 다시 이야기하는 <이혼과 함께 살아가기>로, 경제적인 문제부터 시작하여 여러 일들에 항상 오뚝이처럼 일어서는 삶을 살아가면서 가장의 역할을 해나감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양(兩)부모로서 역할을 다하기 위해 경제적인 문제들을 스스로 해결해 가고자 노력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참여자들 스스로 가장(家長)으로서 의무를 하고 있다고 생각지는 않았으나 그 과정에 서고 있었으며, 한부모 정책에 대한 적극적인 고민도 해보면서 가장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홀로 위로하며: 살아가기 위해 나에게 주문(呪文)을 걸다>는 이혼 여성한부모가 앞으로 다시 살아갈 이야기를 하는 <삶의 주체로 서기>로, 참여자들이 자신에게 지속해서 말하는 자기 격려를 의미한다. 혼자서 아이들을 키우는 과정에서참여자들은 경제적인 문제와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에 직면하면서 타인에게 고충을 일일이 토로하고 지지를 받을 수 없었다. ‘이혼녀’라는 낙인 속에서, 참여자들은 스스로 살아가기 위해 자기 자신을 지지하고 힘을 주는 말과 자신의 역할을 규정하는 말들을 지속하면서 살아가고 있었다. <터널을 지나다: 이혼의 의미를 나와 자녀에게 이야기하다>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이혼 여성한부모가 이혼의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으며, 이를 자녀에게 이야기하고 실천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참여자들은 과거에도 자녀와 이혼에 관해 이야기한 적이 있으나, 구체적으로 말하지 못했던 이혼에 대해 본 연구를 통해 참여자 스스로도 생각해보고 자녀와 다시 이야기하게 되었다. 참여자들은 여러 우여곡절 가운데 이혼을 선택했으나, 이혼 과정은 앞이 보이지 않는 터널을 지나는 것과 같았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이혼 한부모로서 정체성도 생각해보게 되었고, 자녀에게 이혼에 대한 이야기를 계속 나누어야 한다는 것, 또한 이혼은 이것으로 끝나지 않는 새로운 시작이면서 도전이라는 것, 그래서 새로운 인생을 어떻게 펼쳐갈지를 고민해보게 되었다. <너는 나, 나는 너: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의식의 확장>은 본 연구를 진행하는 가운데 참여자와 연구자에게 나타난 변화를 의미한다. 연구자와 참여자는 상호공감과 존중을 바탕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이혼 전·후의 자녀와 살아온 경험을 이야기하고 의미를 탐구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와 참여자는 서로의 관점과 시각은 다르지만 서로가 이해되고 힘이 북돋아지는 경험을 하였다. 특히 이혼을 자녀와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자녀의 미래에 대한 많은 고민이 있으나 한부모가 이혼 사실을 잘 알려주고 서로가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하며 지지를 해준다면, 자녀 역시 진통이 있으나 잘 성장할 것이라는 연구자와 참여자간의 이야기 나눔을 통한 의식의 확장도 이루어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혼한 여성한부모의 삶의 경험에 대한 정당성을 개인적, 실제적, 사회적으로 논의하였다. 우선 본 연구는 개인적인 정당성으로 연구자에게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이혼 여성한부모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자존감이 회복되는 과정이 되었으며, 참여자들에게도 이혼의 의미를 확인하며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실제적 정당성으로는 이혼 한부모가족에게는 이혼을 자녀와 이야기하며 함께 지지해가는 가운데 이혼 한부모와 이혼 자녀의 정체성을 회복시키는 것이며, 심리적 위축감을 경험하는 이혼 한부모가정에 심리・ 정서지원 서비스와 건강 돌봄 체계를 개발・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사회적으로는 이혼 한부모와 자녀의 사회적 낙인에 대한 감정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회적으로 이혼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변화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이 필요함을 본 연구를 통해 알리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이혼한 여성한부모의 삶의 경험을 내부자적 관점에 따라 새로운 이해를 제공했다는 점과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를 적용하여, 간호사-대상자의 협력 관계에 의해 대상자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에 기반하여 더욱 높은 차원으로 의식이 확장되어 가는 경험, 즉 건강의 경험을 끌어내었다는 데에 있다. 이를 기초로 본 연구는 이혼 한부모가족들에게 그 이야기가 생성하는 독특한 의미를 발견케 함과 동시에 간호사에게는 대상자에 대한 공감과 민감성을 기초로, 돌봄의 직업으로서 불이익을 받는 집단에 힘을 북돋기 위한 간호중재전략으로 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상황제시형 수학 문제 만들기(WQA) 활동이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경옥 대구교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급속히 변화하는 사회에 살고 있다. 이에 따라 문제해결력, 즉 단순한 지식이나 기능의 습득보다 이러한 지식과 기능을 종합하여 새로운 상황에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미래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절실히 요구되는 능력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해결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수동적 입장에서 단지 전달된 교수의 결과를 받아들여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것이 아니라 학생 스스로 문제를 만들어 보고 재구성해 보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능동적이고 발전적인 문제 해결 능력이 길러진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황제시형 수학 문제 만들기 활동을 적용한 교수·학습 방법이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수학학습을 개선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상황제시형 수학 문제 만들기(WQA) 활동이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2. 상황제시형 수학 문제 만들기(WQA) 활동이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험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J초등학교 2학년 2개 학급(62명)을 임의로 선정하여 1개 학급은 실험집단(31명)으로 하고, 다른 1개 학급은 비교집단(31명)으로 정하였다. 실험연구는 18주간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두 검사도구가 사용되었다. 사전검사 결과 두 집단은 동질집단임이 판명되었다. 사후검사는 연구문제 1과 2의 두 효과를 확인하는데 사용되었으며 사후검사 결과는 t-검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문제해결력에 있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이는 상황제시형 수학 문제 만들기 활동이 일반적인 교수·학습보다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일반적으로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2) 수학적 태도에 있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결과는 없었다. 그러나 수학적 자신감을 제외한 수학적 태도의 평균점수가 비교집단의 평균점수보다 더 높았으며, 수학적 융통성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또한 실험집단 내 수학적 태도 검사의 사전-사후검사를 t-검정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전 영역의 평균점수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황제시형 수학 문제 만들기 활동이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상황제시형 수학 문제 만들기 활동이 학생들의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태도를 개선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We live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Therefore problem solving ability, which is the ability to solve the problem effectively in a new situation putting together knowledge and skill rather than picking up that, becomes important for the students to prepare for their future. To improve this problem solving ability, it is necessary for the students to have the opportunity to make problem and reconstruct it by themselves, not to construct knowledge by accepting the result of just notified instruction. And then they can improve active and expans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forward mathematics study b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pplied situation-based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ctivity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1. How the situation-based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ctivity(WQA activity) changes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students? 2. How the situation-based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ctivity(WQA activity) changes the mathematical attitudes of students?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Two classes of 2nd grade students(62 students) were sampled from the J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egu city. One of them wa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31 students) and another was assigned to the comparative group(31 student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18 weeks. Two kinds of test instruments were used: pre-test and post-test. The pre-test scores guaranteed that both groups were homogeneous. Post-test was used to identify two effects(research question 1&2) and the post-test scores were analyzed by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in problem solving ability. This means that situation-based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ctivity was generally more effective in improving problem solving ability than general classroom-based instruction. (2)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in mathematical attitudes. But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scores of mathematical attitudes except mathematical confidence was higher than comparative group's one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thematical adaptability. Moreover this study performed t-test of the difference in mathematical attitudes between experimental group's pre-test and post-test and found tha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average of all factors was higher than before. So we can say that situation-based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ctivity brought an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mathematical attitude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ituation-based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ctivity can be used to improve the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s.

      • 장편동화 『웅어와 꼽추 소년』의 창작 실제 : 설화의 수용과 변용

        김경옥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장편동화 「웅어와 꼽추 소년」의 창작 동기와 방법, 그리고 실제 창작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웅어와 꼽추 소년」은 경기 고양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전래동화를 소재로 하여 새롭게 창작된 작품이다. ‘웅어과 꼽추 소년’ 이야기는 원래 지역 특산물이었던 ‘웅어’에 관련된 짤막한 설화가 원형이다. 이 설화를 채집하여 문자로 기록하는 과정에서 이야기가 보태어졌으며, 책자에 ‘고양시에 전해 내려오는 전래동화’로 소개되어 있다. 전래동화 ‘웅어와 꼽추 소년’ 이야기는 행주산성 앞 한강에서 고기잡이 하던 꼽추 소년이 한양에서 올라 온 정판서의 딸 옥련이를 사랑하게 되어 국법으로 금지되어 있는 웅어를 잡아 주었고, 그 벌로 스스로 석빙고에 들어가 얼음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기본 줄거리이다. 이러한 줄거리를 수용하여 창작동화로 새롭게 씌어진 「웅어와 꼽추 소년」은 타인에 대한 사랑과 자비, 그리고 희생이라는 주제 외에도 자연의 생명과 인간의 생명은 대등하며, 공존 : 공생해 나가야 한다는 불교적 생명주의 인식을 담고 있다. 주인공 꼽추 소년은 아버지와 자신의 악업을 소멸시키기 위하여 생계수단인 물고기를 놓아준다. 그러나 결국 자신이 사랑하는 옥련이를 위해 산란하러 온 웅어를 잡게 되고, 국법을 어긴 죄와 자연의 생명을 해쳤다는 자책감으로 스스로 석빙고 굴에 들어가 죽는다. 이 사실을 안 옥련이도 따라 들어가 죽는다. 하지만 둘은 또 다시 웅어로 환생을 해 수백 년이 흐른 먼 훗날 한강으로 되돌아오는 것이 마지막 장면이다. ‘인간과 자연은 한 생명’이며 ‘윤리적인 관계’를 맺어야 한다는 의식 을 바탕으로 주인공과 같은 실천의 삶을 보인 사람들이 있기에 아직 자연이 존재하고 미래에도 자연이 존재할 것이라는 비전을 보여주는 것이다. 작가에게 있어 작품의 소재를 찾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논문은 우리의 전통문화원형에서 소재를 찾아, 하나의 작품이 완성되기까지의 과정을 밝혔다. 단순한 구성의 짤막한 전래동화가 장편동화로 새롭게 태어나면서 개연성과 필연성에 의해 서사가 확장되고 묘사가 가미되어 얼마든지 새로운 창작동화로 탄생될 수 있음을 보여 준 것이다. 전래동화는 우리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민족 유산이다. 민중들 사이에서 발생한 전래동화는 많은 장점들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묻혀져 있는 것들이 너무 많다. 우리 주변에 묻혀 있는 우리 문화원형의 소재를 많이 발굴해내고 살려내는 노력은 끊임없이 이어져야 한다. 이런 전통 소재에 새로운 해석을 가하여 만들어진 문학작품이, 문화산업과 연결되어 문학의 지평을 넓혀나가는 노력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paper is composed of the creation motive and method of a long fairy tale, 「Coilia Ectens and a Hunchback Boy」, and a real creative work. The ‘Coilia Ectens’ is a creative work based on the transmission fairy tale of Goyang, Kyungki do. The original form of the ‘Coilia Ectens’ is a short story of Coilia Ectens, which was the one of the special product of that area. While collected and wrote this short story, more stories were added and introduced as a ‘transmitted fairy tale in Goyang-si’. The plot of the fairy tale, ‘Coilia Ectens and a Hunchback Boy’, is that a hunchback boy who caught fish in Han-river in front of Hangju Sansung loved Oklyun, a daughter of a minister, Jung, who just moved from Hanyang and caught Coilia Ectens for her, which is prohibited by the law. As a penalty for fishing Coilia Ectens, he entered into a stone storage for ice of his own accord and became an ice. However, in the creative fairy tale, the renewed 「Coilia Ectens and a Hunchback Boy」, contains not only love, mercy, and sacrifice for the others but also that lives in the nature are all equally important so it emphasizes coexistence and symbiosis, Buddhist recognitions. A hero, hunchback boy, release fishes, a means of living, to be expiated. But ultimately for his lover, Oklyun, he catches Coilia Ectens which swim up-river to spawn and as a penalty for breaking the law and a guilty conscience of killing a life in nature leads him to walk into the stone storage for ice and kills himself. As soon as Oklyun knows this she follows him into the stone storage for ice and kills herself. However, the last scene is that they are reincarnated to Coilia Ectens hundreds years later, and come back to Han-river.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that 'human and nature is one life' and 'ethical relationship' is necessary, it shows that the nature is exist and the vision of the future nature which will be exist by showing us peoples like heroes who lived practically. It is really important to find a subject matter. This research reveals the process of completing a work from one subject matter which is an original form of the traditional culture. When renewing a simple, short fairy tale to a long fairy tale, probability and inevitability expand narration and add description so it shows us that any short story can be a creative fairy tale. A fairy tale is a national inheritance from the ancestor. Even though fairy tales among the populace have many advantages, most of them are concealed. We have to make an effort to develop many subject matters concealed around us and keep literature area to be expanded with a literature work which is made by those subject matters and new exposition linked to cultural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