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철학, 과학, 예술로 본 상반상성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김경란 호남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철학, 과학, 예술로 본 상반상성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Upper Composition in Philosophy, Science and Art 제출자 김경란 지도교수 구만채 본 연구는 철학, 과학, 예술로 본 상반상성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이다.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삶의 가치와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자의 예술관이 그 계기였다. 연구자는 2019년 ‘혼돈 속에 질서’라는 제목의 설치작품을 제작하면서 음양사상과 물리학을 탐구하였으며, 특히 본 논문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상반상성(相反相成)을 접하고, 이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을 느꼈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자의 작품주제인 ‘혼돈 속에 질서’에 대한 상반상성 이론을 다양한 학문적 해석과 상반상성의 대표적 현대미술가의 작품을 통하여 고찰함을 목적으로 둔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상반상성의 이론에 대한 다양한 주장들을 철학과 물리학, 예술학 중심으로 살펴보고, 상반상성의 대표적 조형예술가인 볼프강 라이프(Wolfgang Laib, 1950~)와 쿠사마 야요이(草間 彌生, 1929~)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철학적 관점에서 본 상반상성의 이론은 우주만물의 근원인 음양과 빛의 잔상인 명암과 색채를 통하여 규명할 수 있다. 상반상성은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서로 반대되는 것이 서로를 이룬다.’는 뜻이다. 이는 우주만물의 근원인 태극을 양분하는 음(陰)과 양(陽)의 확산이자 64괘를 나타낸 <태극팔괘도(太極八卦圖)>에서 볼 수 있다. 64괘는 모두 32쌍으로 이루어져 인간이 살아가면서 만나는 64가지의 다양한 상황을 함축하고 있다. 상반상성의 토대인 음양은 상반된 개념을 지닌 우주의 기본원리이자 생명체가 탄생하는 시발점으로서 서로 대립적이며 순환하는 특수 관계다. 빛이 있는 상태의 밝음(明)은 빛이 없는 어둠(暗)은 음양처럼 상호 대립적이지만 서로 없으면 보이지 않는 현상이다. 그런 점에서 음양이나 명암은 모두 상반상성의 구조를 갖고 있다. 특히 토마스 영의 ‘이중 슬릿(Young's double-slit experiment)’ 실험을 통하여 밝혀낸 빛의 파장으로 여러 가지 색이 상반상성 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물리학적 입장에서 본 상반상성 이론은 나비의 작은 날갯짓이 날씨의 변화와 같은 엄청난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나비효과(butterfly effect)’, 태초의 존재로 혼돈의 상태인 카오스(Chaos)와 그로부터 탄생한 질서의 세계인 코스모스(Cosmos), 그리고 카오스와 코스모스가 공존하는 ‘카오스모스(Chaosmos)’, ‘자기 닮음의 도형’이라 불리는 ‘프랙털(fractal)’ 등을 통하여 규명할 수 있다. 이러한 물리학적 다섯 요소는 상반상성의 논리를 설명해준다. 나비효과 이론은 미세한 변화가 엄청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카오스는 혼돈과 무질서 상태이지만, 그와 정반대인 질서가 필연적으로 연관되어 대조적이면서도 상호 보완하며 조화를 이룬다. 코스모스는 끝을 알 수 없는 무한한 공간으로 기묘한 작동 원리와 절묘한 상관관계를 품고 있다. 카오스모스는 확률적 추측이 가능하나 결정론적 추론이 불가능한 현상이다. 프랙털은 자기유사성의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다. 그 양상은 만델브로 집합, 코흐 곡선, 시어핀스키 삼각형, 페아노 곡선 등에 그 모습이 나타나는데, 상반상성의 이론으로 간주된다. 지금까지 고찰한 상반상성은 서로가 상반되지만 서로를 완성시킴을 의미한다. 이는 미술에서도 아름다움[美]은 추함[醜]을 바탕으로 삼는다는 논리로도 설명된다. 조형예술의 주요 제재인 자연이 탄생과 성장 그리고 소멸을 반복하면서 상반상성과 관련된다. 이는 연구자가 생각하는 탄생과 죽음에도 연관된다. 이러한 상반상성의 조형예술에 대하여 대표적인 상반상성의 현대미술가인 볼프강 라이프와 쿠사마 야요이를 통해 고찰해보았다. 볼프강 라이프(Wolfgang Laib, 1950~)는 대학에서 의학을 전공했으나 주변의 인사와 사회, 자연환경에서 동양철학에 심취하면서 자연물을 이용한 설치작가로 전환하였다. 라이프는 자연재료들을 통하여 인간이 자연과 공생하며, 생성과 소멸의 순환 과정에 있음을 제시하였다. 라이프의 초기작인 <브라만다>는 서로 다른 양자(兩者)의 화합을 이루는데, 이는 서로 대립·대조하는 두 존재가 맞물려 상호작용하는, 즉 상반상성의 조형성으로 이해된다. 이런 상반상성의 조형세계는 이후의 돌, 우유, 꽃가루, 쌀, 밀랍 등의 자연재료를 이용하여 타원형, 사각형, 원뿔, 삼각형, 다각형 등의 기하학적 형태를 제시하는 작품에서도 반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일본의 여성미술가인 쿠사마 야요이(草間 彌生, 1929~)는 어려서부터 앓은 정신질환을 치유하는 수단으로 조형예술 작업을 해왔다. 그는 꽃무늬 식탁보를 보고 수없이 많은 꽃무늬가 공간을 떠도는 환영(幻影)을 접한 뒤 지금까지 물방울무늬(Polka Dots)를 연속적으로 반복하는 조형예술 활동을 지속해 왔다. 땡땡이 점으로 불리는 물방울무늬는 쿠사마의 작품에서 우주이자 사랑과 평화, 영원을 상징한다. 그리고 작가의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남성의 성징인 남근(男根) 형상과 함께 자기유사성과 프랙털 양상을 보이면서 무한히 확장하는 상반상성의 조형성을 연출하는 특징이 있다. 서로 반대되는 것들이 하나를 이루는 상반상성을 철학과 물리학, 조형 학을 중심으로 고찰한 결과, 연구자는 2008년부터 시작한 설치작업부터 2019년에 새로 시작한 ‘혼돈 속에 질서’ 시리즈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구체화할 수 있었다. 특히 끝을 알 수 없는 무한한 우주 태양계에 속해 있는 지구는 광활한 우주 속의 아주 작은 행성에 불과하지만, 본질적으로 우주와 하나가 되는 것처럼 연구자의 작품도 거대한 담론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철학적 입장에서 본 상반상성은 자기복제와 자기 유사성을 내포하고, 우주 만물의 모든 존재가 순환 과정에서 상반되는 존재들이 하나를 이룬다. 둘째, 물리학 이론에서 본 상반상성은 본질이 하나이지만 여러 분야로 쪼개어진 구조다. 셋째, 삶과 죽음이 공존 하는 삶의 굴레에서 ‘유기적 순환’과 ‘혼돈 속에 질서’의 관계인 우주와 자연이 덧없음과 삶의 이치를 바로 세우는 계기가 된다. 넷째, 예술 이론에서 본 상반상성은 쿠사마 야요이와 볼프강 라이프의 작품을 통하여 발견한 상반상성의 공통된 유사성이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서 상반상성의 의의와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는 상반상성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접근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 분포개념 발달 관점에서 본 초·중등 확률통계 교육과정 및 교과내용의 분석

        김경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Statistics is a very important study as a tool for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factors in an uncertain phenomenon and predicting the future usefully. Through the school education we should be able to experience figuring the variety of phenomena both of the past and the present systematically and analyzing through the graphs in order to feel the need of statistics. Leading researchers refer to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establishment and the development of the major concepts of statistics as well as criticize the current teaching Statistics in school for emphasizing only the individual concepts or skills. For the learners' more effective study, the contents should be systematized considering the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otherwise They could have a problem with the next stage of studying because of the lack of understanding the basic concepts. As Mathematics is a subject that regards the order very important, the phased education of elementary-middle-high school in order is necessary as well as a study of the connection between both the grades and the degrees of schools. This study follows the precedent study which suggested three of "distribution", "summary" and "samplings" for the core statistic concept in an education of statistics, and analyzes the development of "the distribution concept". The purpose of analysing these two textbooks is consideration to the connection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distribution concept. That is, whether or not there are some missed parts in lower stages before reaching the next upper concepts in the aspect of contents, and whether or not the contents are well-constructed in a proper way that leads to the object if it's set up right are determined. Also, a way to improve some problems turned out is suggested.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textbooks, the three points are summarized and suggested as follows that should be improved in the aspects of the connection of the contribution concepts development. First, it should be suggested that the contents for expressing the distribution be strengthened when teaching a bar graph at an elementary school and the contents for expressing a relative frequency using a bar graph as well as a distribution polygon be dealt with at a middle school. A problem of the textbooks both from MIC and Korea was pointed out in that they've hardly dealt with numerical materials when teaching a bar graph, so it couldn't be ready to be connected to a probability function which has numbers as an X-axis.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drawing a bar graph of a relative frequency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ll form the basis of understanding of drawing a graph of discrete probability distribution. Secondly, I suggest that the substance should be added that make the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 the probability by dimensions using a histogram of density frequency when teaching a histogram. The histogram of a density frequency is an essential concept linked to a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in the highschool curriculum. Also, a frequency distribution polygon is useful for comparing more than two distributions, so I suggest constructing the substance focusing on this point. Third, when teaching the parts related to correlation, they should be linked to learning the concept of a conditional probability and independent or dependent in an event on the highschool curriculum. Because a correlation table tends to be regarded as building up classes about two continuous variables and a following two-dimensional frequency table, it's desirable to teach them to understand it as a kind of a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When this is described as a three-dimensional histogram, it might be able to be connected a conditional probability through conditional distribution. Besides,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conditional probability values by using a probability tree diagram or a correlation table, it's possibly concluded that if there is a big difference, the two events are dependent and if there's little difference, they're independent. 통계학은 불확실한 현상 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요소들 간의 관계를 밝혀주고 이를 미래 예측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학교교육을 통해서 이러한 통계학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도록 과거 및 현재의 여러 현상들을 체계적으로 수량화하거나 그래프로 정리하고 분석해 보는 경험을 할 수 있어야 한다. Garfield & Ben-Zvi(2004) 등의 선행연구자들은 현재의 학교에서의 통계교육은 개별적 개념과 기술들만을 강조하고 있다는 비판과 함께, 핵심적인 통계적 개념들의 정립과 이의 발달과정을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하여 언급한다(이영하,남주현 2005).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교과내용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교과 특성과 체계에 적합하도록 연계성을 고려하여 내용을 조직해야 하며, 연계성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하면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다음 단계의 학습 진행에 차질을 초래할 수 있다. 수학은 특히 위계적 성격이 강한 과목으로 초·중·고등학교의 교과내용의 단계적인 교육은 매우 중요하며, 학년 간 및 학교급 간의 연계성에 대한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교육에서 핵심적인 통계적 개념을 분포, 요약, 표본의 세 가지로 제안한 이영하, 남주현(2005)의 연구에 따르며, 특히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제 7차 수학과교육과정의 ‘확률과 통계’ 영역에서 가르쳐 지고 있는 ‘분포개념’의 발달과 이의 연계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결과, 우리나라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과정인 1단계부터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과정인 수학Ⅰ까지 전 단계에서 분포개념 관련 내용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외국의 경우와 비교해 보기 위하여 수학적 문제해결 능력과 연계성을 강조하는 미국의 MIC(Mathematics in Context)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MIC 교과서는 5~8학년 과정 총 40권 중 확률과 통계 영역을 다루는 교재가 8권인데, 우리나라에서 지도하는 개념 중 분포개념으로 분류한 것들을 기준으로 같은 개념을 다루고 있는 교재 총 5권(Picturing Numbers, Dealing with Data, Statistics and the Environment, Insights into Data, Great Expectation)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교과서를 분석하는 목적은 분포개념 발달에 관한 연계성 고찰이다. 즉 목표와 내용면에서 상위 개념에 도달하기 위해 하위단계에 누락된 부분은 없는지, 목표 설정이 올바르다면 그 목표에 도달하기에 적합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였고, 문제점이 드러난 부분에 대해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교과서 분석결과 분포개념 발달의 연계성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을 제안하면 크게 세 가지의 주제로 요약된다. 첫째, 막대그래프와 관련하여 초등학교에서는 막대그래프 지도 시 분포표현을 위한 내용을 강화하고, 중학교에서는 상대도수의 그래프 표현에서 분포다각형뿐 아니라 막대그래프로 표현하는 내용도 다룰 것을 제안한다. 우리나라 교과서와 MIC 교과서 모두 막대그래프 지도 시 수치형 자료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아서, x축이 숫자인 확률함수로의 연계가 준비되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중학교 학생들에게 상대도수의 막대그래프를 그려보는 경험은 고등학교에서의 이산확률분포의 그래프를 이해하는 기초가 될 것이다. 둘째, 중학교에서 히스토그램 지도 시 밀도도수의 히스토그램에 관한 내용과 이를 이용하여 넓이로써 확률을 이해하는 내용을 추가할 것을 제안한다. 밀도도수의 히스토그램은 분포개념의 발달 측면에서 고등학교에서 배우게 되는 확률밀도함수로 연계되는 핵심적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도수분포다각형은 두 개 이상의 분포를 비교하는 데 유용하므로, 이 점을 부각하여 내용을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중학교에서 상관관련 내용 지도 시 고등학교에서의 조건부 확률과, 사건의 독립 종속 개념과 연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관표는 두 연속 변량에 대한 계급화와 그에 따른 이차원 도수분포표로 생각할 수 있는 측면을 가지고 있어 이차원 확률밀도함수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삼차원 히스토그램으로 나타내면 조건부 분포를 통해 조건부 확률로 연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관표 자체에서나 확률수형도를 이용하여 조건부 확률값의 비교를 통해, 차이가 크면 두 사건은 종속이고 차이가 거의 없으면 두 사건은 독립이라는 판단이 가능하다.

      •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와 STZ-유발 당뇨쥐에서 함초 (Salicornia herbacea L.)의 효소적 가수분해물의 생리활성 검정

        김경란 대구가톨릭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zymatic hydrolysates from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on lipid metabolism, antioxidative defense systems, peroxidative damage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s and STZ-induced diabetic rats. The effects of four different enzymatic hydrolysates from Hamcho were examined on the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in the hepatic microsome of rats,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s (APTT) and thromboplastin times (TT) in vitro. The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of enzymes (viscozyme + cellulase) treated water extract was the highest at 0.05 mg/mL and it was higher than that of α-tocopherol, natural antioxidant.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nzyme treated water extract was the highest at 0.50 mg/mL. The APTT of enzyme treated methanol extract was the highest at 0.05 mg/mL. TT was similar to the APTT. Consequently,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Hamcho was observed due to the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y enzyme treated water extract and the antithrombogenic effects of Saliconia herbacea was observed due to the enzyme treated methanol extract. Experimental rat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a normal diet group, normal and 2%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 high cholesterol diet group, high cholesterol and 1%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 and 2% and 4%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s. Body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ratio (FER) of the high cholesterol diet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normal diet group, while those of the high cholesterol and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s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e high cholesterol diet group. Food intak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experimental groups. The serum triglyceride(TG) content of the high cholesterol diet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normal diet group, but that of the high cholesterol and Hamcho extract diet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dose-dependent concentration. The liver TG, total lipid and total cholesterol content of the high cholesterol diet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normal diet group, while those of the high cholesterol and 2% or 4%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high cholesterol diet group. Serum HDL-cholesterol content of the high cholesterol diet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normal diet group. Fecal total lipid and total cholesterol conten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igh cholesterol and 2%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 compared with the high cholesterol diet group. Fecal TG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high cholesterol diet group, compared with the normal diet group. Gastrointestinal transit time in the high cholesterol and 2%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 was shorter than that of the high cholesterol diet group. The activities of hepatic superoxide dismutase (SOD) in the 2%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 was increased up to 9%, while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GSH-Px) in the 4%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 was increased up to 53%, as compared to the high cholesterol group. However, the activity of hepatic catalas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experimental groups. Levels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in the 2% and 4%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s were reduced by 23% and 26%,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the high cholesterol group. Hepatic mitochondrial carbonyl valu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s in rats fed a high cholesterol diet. The activities of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GOT) in the serum of rats was not affected in any of the experimental groups, while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levels in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compared to the high cholesterol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pplementation of enzymatic hydrolysate from Hamcho may have a pronounced impact on lipid metabolism and oxidative damage, through activation of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s.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300±10 g were made diabetic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streptozotocin (STZ) 50 mg/kg body weight. The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normal (N) and five STZ-induced diabetic groups. Diabetic groups were classified into Hamcho extract free diet (DM), 0.02% (DM-0.02), 0.04% (DM-0.04), 0.08% (DM-0.08) and 0.16% (DM-0.16)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s. The experimental diets were administered for four weeks. Body weight gains were lower in all five groups after STZ-injection. High levels of blood glucose in diabetic ra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0.04% and 0.08% in the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s as compared to the diabetic rats. The disaccharidase activities in the proximal part of the intestine, such as maltase, sucrase and lactase, in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DM groups. Hepatic xanthine oxidase (XOD) activity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s as compared to the DM group. Hepatic SOD activ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experimental groups but GSH-Px and CAT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all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s as compared to the DM group. Levels of TBARS in the liver were markedly increased in the DM group,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but those of the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normal group. Hepatic mitochondrial carbonyl valu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s versus the DM group. The levels of serum TG in the DM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o two-fold that of the normal group,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s and normal groups.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in the DM group was higher than the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 and normal group, but those of the 0.16%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normal level. The levels of serum HDL-cholesterol in the DM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but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s increased to normal levels. TGs of the liver in the DM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but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s were increased to normal levels. The levels of total liver lipids in the DM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o two-fold that of the normal group, but 0.04%, 0.08% and 0.16%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s were increased to normal levels. The levels of liver total cholesterol in the DM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hat of the normal group, but 0.04%, 0.08% and 0.16% Hamcho extract supplemented groups were decreased to normal levels. The results indicate that STZ-induced diabetic rats are more sensitive to oxidative stress, leading to the acceleration of lipid peroxidation process, but this was reduced by the antioxidative effect of Hamcho extracts. Also, abnormality of the lipid metabolism was normalized by Hamcho extra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nzymatic hydrolysates from Hamcho may be useful as potential sources of functional foods.

      • 탐지 단서와 탐지자 기분에 따른 거짓말 탐지

        김경란 대구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탐지 단서와 탐지자 기분에 따라 거짓말 탐지율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실험을 통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시청각 자료나 청각 자료를 제시하는 것으로 탐지 단서를 시청각 단서 조건 또는 청각 단서 조건으로 조작했다. 또한 신나는 노래를 들으면서 인생에서 가장 신났었다고 느꼈던 순간에 대한 글을 쓰도록 하거나 평온한 노래를 들으면서 인생에서 가장 평온했었다고 느꼈던 순간에 대한 글을 쓰도록 함으로써 탐지자 기분을 들뜸 조건과 평온 조건으로 조작했다. 실험 결과, 시청각 단서 조건과 청각 단서 조건 모두에서 들뜬 참가자보다 평온한 참가자가 거짓말을 더 잘 탐지했다. 또한, 들뜬 참가자들이 탐지 단서에 따른 거짓말 탐지율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평온한 참가자들은 시청각 단서를 사용했을 때보다 청각 단서를 사용했을 때 거짓말을 더 잘 탐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이 논의에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detection rate of lies depends on the deception cues and detector’s mood. In this study, deception cues were manipulated as either audiovisual cues or auditory cues by presenting audiovisual media or auditory media. It also manipulated the detector’s mood as either excited or calm by writing about the moment participants felt the most excited in their life while listening to exciting songs or writing about the moment participants felt the calmest in their life while listening to calm songs. In an experiment, participants in a calm condition achieved higher accuracy in classifying deceptive messages than participants in an excited condition in both audiovisual cue and auditory cue conditions. Participants in an excited condition showed no difference in detection rates of lies in both deception cues condition, while participants in a calm condition were showed to have higher detection rates of lies when using auditory cue than when using an audiovisual cu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in the discussion.

      • Feline calicivirus에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천연식물자원 물질의 탐색

        김경란 부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노로바이러스는 사람에게 급성 위장염을 일으키는 식중독 바이러스로 최근 전 세계적으로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에 대한 사례가 많이 보고되고 있으며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최근 효과적이고 친환경적인 소독제의 개발과 평가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며 허브제제와 약용식물에서 분리한 활성 성분에 대한 보고가 많이 보고되고 있으나, 노로바이러스는 인간의 장을 숙주로 하기 때문에 동물실험이나 세포배양의 방법으로 증식 시킬 수 없어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며, 항 노로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천연물질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로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제어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norovirus의 대체 모델인 FCV를 이용하여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향신료 3종, 차(茶) 2종 그리고 식물성 한약재 6종으로 총 11종의 여러 가지 천연식물에 대하여 FCV의 plaque 형성 억제 효과 및 농도 및 시간별로 FCV를 효과적으로 불활성화 시킬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하였다. 총 11종의 천연식물 검색 결과, 향신료 3종은 모두 FCV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매우 미약하게 나타났으며, 2종의 차(茶) 중에서 녹차추출물의 SI값이 18.57으로 뛰어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3.13 mg/mL의 농도에서 1시간 만에 FCV가 완전히 불활성화 되었다. 그리고 6종의 식물성 한약재 중 항바이러스 활성이 있었던 홍화씨 추출물의 SI 값은 3.52으로 조사되었으며, 6.25 mg/mL의 농도에서 5시간 만에 FCV가 불활성화 되었다. 따라서 녹차 추출물이 FCV에 대하여 가장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녹차추출물 중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용매 분획(n-hexane, dichloromethane, ethyl acetate, n-buthanol, water)을 실시하였다. 이 중 ethyl acetate fraction 에서 가장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었고, 이를 HPLC와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catechin 화합물을 4가지(epigallochatechin, epicatechin, epigallogatechin-gallate, epicatechin-gallate) 물질로 분리 할 수 있었다. 녹차추출물의 catechin 함량은 epigallocatechin-gallate, epicatechin-gallate, epicatecin, epigallocatechin 순으로 나타났다. HPLC로 분리한 catechin을 이용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조사한 결과 epigallocatechin-gallate의 SI값이 26.67 이고 epicatechin-gallate의 SI값은 19.83 으로, 분리된 catechin화합물 중 epigallocatechin-gallate가 FCV에 대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Noroviruses, which are cause gastroenteritis illness in people, is one of important food-borne pathogens of noroviruses over world-wide. Nevertheless, there are not many commercial disinfectants effective against norovirus because which cannot be grown in tissue culture. Therefore disinfection efficacy and inactivation studies have been performed using closely related viruses such as feline calicivirus (FCV). In an effort to discover an antiviral substance against norovirus, extracts from several plants including spices and herbs were evaluated for its antiviral activity against FCV as a surrogate for norovirus. Among them, the methanolic extract of green tea (Camellia sinensis L.) exhibited significant antiviral activity against FCV, that was 0.13 mg/mL of 50% effective concentration (EC50) and 2.47 mg/mL of 50% cytotoxicity concentration (CC50). Its selectivity index (SI) was 18.57. After the treatment of Camellia sinensis L. extract (3.13 mg/mL) for 1 hr, FCV was completely inactivated. The antiviral activity of Camellia sinensis L. extracts against FCV was determined to be dose- and time- dependent. To perform more detailed investigation on antiviral activity, the Camellia sinensis L. extract was further fractioned with organic solvents. Among them,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anti-FCV activity. In order to identify an anti-FCV substance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s of Camellia sinensis L.,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d LC-MS/MS were performed. The epigallogatechin gallate (EGCG) isolated from Camellia sinensis L. exhibited the antiviral acitivity against FCV surrogated NV. The SI of EGCG were determined to 26.67.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green tea will be effective in the prevention of food-borne disease caused by NV.

      • 사상체질과 안면피부의 유 수분 상태와의 관련성

        김경란 광주여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사상체질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어 건강, 피부, 체형과의 연관성을 가지고 새롭게 접근되고 있다. 또한 피부 관리 현장에서도, 사상체질이나 오행배속에 따른 피부특성을 분류하고 있으며, 그에 적합한 피부 관리 방법을 응용하고 있다. 따라서 연령과 체질에 따른 안면피부와 유 ․ 수분유형, 피부문제, 피부상태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체질에 따른 피부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여 피부 관리 현장에서 피부분석을 실시하는데 체질요인 판정기준으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거주하는 20대 및 40대 여성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도구와 비침습적 방법을 이용하여 안면피부(顔面皮膚)의 유 ․ 수분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수집된 자료는 SPSS 10.0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측정, t-test, x²-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안면부위별 수분과 유분측정값은 20대 연령군이 턱과 볼 부위에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으며, 유분 측정값은 두 연령군 모두 턱, 이마, 볼 순으로 나타났다. 자각하는 유 ․ 수분 유형은 20대 연령군에서 유분충분과 수분부족, 40대 연령군은 유분부족과 수분보통으로 인지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자각하는 유분유형과 객관적 측정에 의한 유분 값은 일치되었다. 피부상태는 20대 연령군이 40대 연령군에 비해 민감도, 피부 결, 모공의 상태가 좋지 않다고 호소하였고, 피부문제는 20대 연령군에서 여드름과 알레르기를 40대 연령군에서는 주름을 호소하는 경우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체질과 안면 세 부위의 유분값은 소음인, 태음인, 소양인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분 값은 태음인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체질과 자각하는 유 ․ 수분유형은 태음인의 경우 수분충분과 유분보통, 소양인은 유 ․ 수분 보통, 소음인은 유분충분과 수분보통으로 인지하는 경향을 보여 객관적 측정값과 일치된 결과를 보였다. 체질에 따른 피부상태는 소양인이 피부조직이 얇고, 민감하며, 안색은 좋은 것으로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태음인은 피부 결이 거침을, 소음인은 모공이 넓다고 인지하는 경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부문제는 태음인이 여드름, 색조침착, 알레르기를 호소하는 경우가 가장 높았고, 소양인은 모세혈관 확장, 주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체질에 따른 피부 측정값과 자각하는 피부유형이 일치된 결과를 보여 체질유형별 안면피부의 유 ․ 수분 상태를 좀 더 객관화된 자료로 제시할 수 있는데 큰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동 ․ 서양적 측면에서 피부유형을 분석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항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소목 에탄올 추출물의 향균 및 여드름 개선효과

        김경란 圓光大學校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Acne vulgaris is a common skin disorder and it's causal factors are increased sebum production, hypercornification of sebaceous duct and colonization with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 in the adolescent. In the past, acne has been regarded as trivial but is presently reported to have led to lowered life quality following changes in characters, loss of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impairment that are usually accompanied with pains, papules, nodules and scars therefrom. Troubles may be added by misuse or resistance to antibiotics used for acne and bio-film generated from P. acnes, which makes it more difficult to therapy and skin care. So that, Caesalpinia sappan (C. sappan) as a new natural cosmetic material for acne skin was investigated by test of safety, stability, usability and effectiveness. Ethanol extract from C. sappan was proven to safety by closed patches on human body, and cell viability was measured on human fibroblast and glioma cell. 3% Prepared toner and 15% pack are tested stability by UV radiation, temperature change, and usability of toner and pack was tested by sensory evaluation. In order to detect effectiveness, DPPH scavenging, anti microbial activities on S. aureus, S. epidermidis and P. acnes were tested. In this way, 3% toner and 15% packs were prepared and applicated to 1 group of 4 women and 17 with acne of 2nd or higher grade of KAGS for 3 weeks. Once a week, photographs were taken to 4 times to monitor improvement. SPSS v. 12.0 program was employ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data about safety, stability of the 3% Prepared toner and 15% pack. Effectiveness was examined by t-test to the paired sample. In the results, the ethanol extracts from C. sappan showed that 50% of fibroblast viability was 5.83 ㎍/㎖ and that of brain cell was 4.24 ㎍/㎖ at a low concentration. Since there was neither erythema (-), nor edema (-), nor allergy (-), nor blister (-) after application for 48 hours of closed patches on upper arms, it might be said that the cosmetics would exercise little toxity on human body. From the stability test of the 3% toner, it was revealed that no or little change like generation of alien substances, rancidity, fluctuation of pH, etc. was observed after 72-hours storage at middle and low temperature (40℃, 4℃ and -20℃) except for slight deviation of shade detected from the UV test at 40℃ and -20℃. In case of 15% pack, there was no change like formation of alien matters or rancidity found during the 72 hours observation at 20℃, but there was change in viscosity observed at 4℃. It seems therefore needed to pay more care in storing the cosmetics before use or to use them after changing formulations. The assessment of usability indicated that 3% toner was rated to have 'good' spreadability and application by more than 50% of users. Color and absorptiveness were judged as better than 'normal'. In case of 15% pack, more than 50% of respondents labeled color, application, feeling after spreading, easiness in removal and moisturizing effect with 'good'. From the test of effectiveness to Prepared cosmetics, it was made known that antibacter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C. sappan against like S. aureus and S. epidermidis was 18.0 ㎜ at 5 ㎎/㎖, forming a clear zone bigger than CLM and GM. A clear zone of 18.0 mm, slightly smaller than CLM 30 ㎕/㎖, was formed in P. acne at 5 ㎎/㎖, featuring a good antibacterial activation at low concentration. Ethylacetate fractions of 80 ㎕/㎖ from three bacilli formed a clear zone of 30 mm each while chloroform and butanol fractions with the same concentration formed clear zones of 23 ~ 24 ㎜ and 16~18 ㎜, respectively. The antibacterial activation of ethylacetate and chloroform fractions turned out to be better than that of ethanol extracts. In measurement of DPPH scavenging, the ethanol extracts from C. lignim featured 72.55 ± 0.01% at 0.5 ㎎/㎖, chloroform fractions yielded 72.94 ± 0.04% at 0.25 ㎎/㎖, ethylacetate fractions 72.16 ± 0.01% at 0.25 ㎎/㎖, and butanol fractions 70.98 ± 0.01% at 1.0 ㎎/㎖, presenting similar depletion of BHT 0.1 ㎎/㎖ which was employed as a substance for positive control. From the clinical test, 21 female testers who had acnes, papules and pustules of higher than grade 2 of KAGS at either side of cheeks and on the forehead. Decrease of acnes and in inflammation was shown at the first week since use of 3% toner in 2 testers. From the 3rd week onwards, acnes, papules, pustules and nodules disappeared almost completely. Itching started to get away from the 1st week after use and, 3 weeks after use, there was no more symptoms like cramp, itch, soreness and heat on skin, an effective proof of material for cosmetics. Inflammation and acnes disappeared from the 2nd week after use by 2 testers and 17 testers. Although improvement of acne was slow with 15% pack compared to 3% toner, its moisturizing effect was fairly high. Besides, no troubles such as edema, erythema or allergy were observed during the use of 3% toner and 15% pack and prepared from C. sappan. It may be thus concluded that ethanol extract from C. sappan as well as ethylacetate and chloroform fractions can be effectively used as natural cosmetic materials for improving aging skin and treating acnes thanks to their excellent safety, stability, usability and effectiveness. 여드름(acne vulgaris)은 피지선의 과각화,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의 집락화 등의 원인으로 사춘기에 발생하고 예전에는 대수롭지 않은 피부 이상으로 여겼지만, 오늘날에는 통증, 구진, 농포, 흉터 등을 동반하기 때문에 성격변화, 자아존중감 상실 그리고 심리적 부담감을 초래하여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여드름 치료에 사용하는 항생제의 내성과 남용, P. acnes가 생성하는 biofilm으로 인해서 치료와 피부관리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여드름 피부개선에 사용할 수 있는 천연화장품의 소재 개발을 위하여 소목(Caesalpinia sappan)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인체폐쇄첩포 시험과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여 안전성을 검사하고, 3% 화장수와 15% 팩에서 UV와 온도에 따른 안정성 검사와 관능검사를 통해 사용성을 평가하였다. 유효성 검색을 위해 피부상재균주인 S. aureus와 S. epidermidis 그리고 P. acnes에서 항균활성 및 여드름의 염증생성에 관여하는 DPPH의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화장수와 팩을 제조하여 KAGS 등급Ⅱ 이상의 여드름 피부 여성 4명과 17명에게 3주간 사용시켜 4명에서는 매주 1회씩 개선 정도 확인 및 사진촬영하고, 17명에서는 사용 전과 3주 사용 후에 개선효과를 육안적으로 관찰하였다. 안전성과 안정성 그리고 사용성에 관한 자료는 SPSS v. 12.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유효성 검색은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목 에탄올 추출물의 안전성 시험에서 50% 피부섬유아세포 생존율은 5.83 ㎍/㎖, 뇌세포에서는 4.24 ㎍/㎖로 매우 저농도에서 나타났고, 상완부에 48시간 폐쇄첩포했을 때 홍반(-), 알러지(-), 부종(-), 수포(-) 등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화장품으로 사용시에는 인체에 대한 독성은 경미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안정성 시험에서 3% 화장수를 UV 조사, 중온과 저온(40℃, 4℃, -20℃)에서 72시간 동안 보관 하였을 때 이물질 생성, 산패, pH 등의 변화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나, UV조사, 40℃와 -20℃에서 약간의 색도 변화가 있었다. 15% 팩은 20℃에서 72시간 관찰시에 이물질의 형성과 산패 등의 변화가 없었으나, 4℃에서 점도의 변화가 나타났지만 화장품으로 사용시에는 주의하여 보관하거나 제형을 변화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사용성 평가에서 3% 화장수 사용 직후 ‘퍼짐성’과 ‘발림성’은 50% 이상이 ‘좋다’, ‘색상’과 ‘흡수도’에서 ‘보통’ 이상이었고, 15% 팩에서는 ‘색상’, ‘발림성’, 팩 도포 후 ‘느낌’과 ‘제거 용이성’, ‘보습력’ 등에 대해서 ‘좋다’로 평가되었다. 유효성 시험에서는 S. aureus와 S. epidermidis 균주에 대한 소목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활성은 5 ㎎/㎖에서 18.0 ㎜로 CLM과 GM보다 더 큰 크기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고, P, acne 균주에서는 양성대조 물질인 CLM은 30 ㎕/㎖ (49 ㎜) 보다 약간 작은 크기인 24.0 ㎜ clear zone을 80 ㎕/㎖에서 형성함으로서 저농도에서 좋은 항균활성이 관찰되었다. 3가지 균주에서 80 ㎕/㎖의 ethylacetate 분획물은 각각 30 ㎜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고, 동일한 농도의 chloroform 분획물과 butanol 분획물은 23 ~ 24 ㎜와 16 ~ 18 ㎜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으며, ethylacetate 분획물과 chloroform 분획물은 에탄올 추출물보다 더 큰 clear zone을 생성함으로써 좋은 항균활성이 나타났다. DPPH 소거능 측정에서 소목 에탄올 추출물은 50% DPPH 소거능이 0.04 ㎎/㎖에서 나타났고, chloroform 분획물은 0.06 ㎎/㎖, ethylacetate 분획물은 0.055 ㎕/㎖, butanol 분획물은 0.032 ㎕/㎖에서 50% 소거율을 나타냈다. 소목 에탄올 추출물, chloroform, ethylacetate 분획물들을 서로 비교했을 때 0.25 ㎎/㎖ 이상에서 양성대조물질인 BHT 0.1 ㎎/㎖와 비슷한 소거능이 관찰되었으며, BHT는 0.1 ㎎/㎖에서 71.14 ± 0.01%의 소거율을 나타냈다. 임상시험에서 여성 피시험자 21명은 화장수와 팩 사용 이전에는 KAGS 등급 Ⅱ 이상으로 면포, 구진, 농포, 염증, 결절이 볼 좌우와 이마 부위에 있었다. 2명의 3% 토너 사용 여성 피시험자는 화장수 사용 1주 후부터 면포와 염증이 현저히 감소되었고, 사용 3주 후에는 면포, 구진, 농포, 결절 등이 거의 사라졌다. 또한 피부의 가려움증은 사용 1주 후부터 없어지기 시작하여 사용 후 3주 후에는 피부의 당김, 가려움증, 따가움, 작열감 같은 증상이 관찰되지 않았고, 17명의 3주간 3% 화장수 사용 여성 피시험자에서도 면포, 구진, 농포, 결절 등의 개선이 나타남으로써 여드름피부개선에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소재로서 좋은 유효성이 검증되었다. 팩을 사용한 2명에서는 사용 2주 후부터 염증과 면포가 감소되었고, 화장수보다는 여드름 개선정도가 늦지만 피부의 보습효과는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소목 에탄올 추출물, ethylacetate 분획물, chloroform 분획물은 안전성과 안정성, 사용성, 유효성이 우수함으로써 여드름 피부개선 및 노화피부에 유용한 화장품 소재로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