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진료 지속성이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료패널(2012-2013)을 중심으로

        김건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령화와 만성질환의 증가로 의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만성질환관리제와 고혈압과 당뇨병에 대한 외래진료비 할인 등을 통하여 의료소비자의 의료서비스 이용을 적정수준으로 관리하고,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정책을 수행하여 왔다. 외국 주요국가와 비교 시 우리나라의 의료이용횟수와 입원 이후 재원 기간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의료이용 단계에서 문지기(gate-keeping)을 수행하는 제도적 기제가 미흡한 반면, 일차의료 단계에서도 다양한 전문의 중심의 의료공급체계와 의료선택권이 부여되어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동안 진료 지속성을 높이기 위한 시도와 함께 주치의제 도입에 대한 찬반 논쟁이 진행중이며, 의료계에서는 여전히 반대하는 입장이 상당한 수준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진료 지속성과 관련하여 상용치료원 보유에 관한 연구 및 진료 지속성 지수 측정을 기반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2012~2013년의 한국 의료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만 19세 이상 환자중 상용치료원과 외래진료 지속성 지수를 통하여 진료 지속성을 파악하였으며, 진료 지속성이 입원 여부, 입원횟수 및 의료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상용치료원 보유현황을 확인하고, 상용치료원과 외래진료 지속성 지수를 활용한 진료 지속성을 독립변수로 두고 입원 여부, 입원횟수 및 의료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상용치료원과 외래진료 지속성으로 측정한 진료 지속성은 연령이 높을수록, 의료급여자일수록, 만성질환 수 및 중증도가 증가할수록, 복약순응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용치료원 및 외래 진료지속성 지수로 측정한 진료 지속성이 높을수록 의료이용(입원여부, 입원횟수)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설문조사 기반의 상용치료원과 지수 측정방식의 외래 진료지속성은 상당 부분 동일한 방향으로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의원급 의료기관을 기준으로 상용치료원을 선정시 더 유사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의원급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상용치료원 보유하는 경우 입원 여부 및 입원횟수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크게 나타났다. 의료비의 경우 상용치료원을 보유하거나 외래진료 지속성 지수가 높을수록 의료비를 절감시키는 결과는 통계적 유의성이 낮았다. 한국 의료패널 조사에서의 상용치료원 보유 정보와 환자의 외래진료 정보를 활용하여 측정된 외래진료 지속성 지수에 따른 결과가 상당 부분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특히, 의원급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상용치료원 보유는 통계적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외래진료에 있어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중요하며, 지역사회 의료체계의 근간이 되는 의원급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진료 지속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이 환자의 의료이용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차의료에서 진료 지속성을 높이는 제도는 입원으로 발전하거나 입원의 질을 개선할 가능성이 크며, 특히, 고령층에서 만성질환 보유 환자군은 정책 수용성이 크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진료 지속성과 복약 순응도를 높이는 교육 시스템 개선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전문의 개원이 많고 대형병원 진료가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의료체계상 의원급 의료기관을 상용치료원으로 설정하거나 지역내 잘 아는 의원급 의료기관중 몇 개 기관을 대상으로 그룹화하여 도입하는 제도 설계가 필요하다. 향후 보건의료 정책설계 시 본인부담금 인하와 같은 가격정책의 활용과 함께 주치의제와 같이 진료 지속성을 높일 수 있는 제도 설계가 필요하며, 본 연구가 논의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increase in medical expenses in Korea is recognized as an issue of national interest, and attempts to appropriately control medical use, which have been surveyed at a fairly high level among OECE countries, are continuously being raised. This study is based on the measurement of the effect of usual source of care or continuity of care for patients over 19 years of age, using data from 2012 to 2013 among Korean health panel data. Continuity of care is recognized as being a cornerston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healthcare in the way health care delivery is organized. Continuity of care was measured using the Sequential Continuity Index(SECON), which reflects the sequential aspect of provider continuity. In logit regression models,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increased continuity of care using USC(Usual source of care) and SECON(Sequential continuity) were older age, higher level fo education, disabled, more chronic disease, higher medication compliance. Using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I found that having an usual source of care or higher level of continuity of care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lower level of hospitalizations. Association between higher continuity of care and lower rate of medical expenditu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covariates (demographics, types of hospital visits, Charlson's Comorbidity Index, medication compliance, unmet medical care), having an usual source of care tended to decrease the likelihood and the prevalence of hospitalizations,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level of continuity of care measured by SECON (0.75 or higher) tended to reduce the likelihood and the prevalence of hospitalizations significantly, while, having an usual source of care and greater continuity of care were not each associated with a lower rate of medical costs. This analysis based on the continuity of care using Korea Health Panel indicates that continuous care on the patient-doctor relationship is crucial in terms of enhancing the efficiency and quality of ca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ystem to enhance the continuity of care through non-price policies along with price policies, and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evidence for further discussions. Understanding the individual type of continuity of care to primary care will be useful for developing healthcare programs in terms of achieving the appropriate utilization.

      • 풍력발전시스템에 작용하는 극한하중 산정 및 블레이드 강성의 민감도 해석에 관한 연구

        김건훈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풍력발전시스템의 대형화는 운전 하중의 급격한 증가를 초래하기 때문에, 대형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해야 하는 기술적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운전 하중의 급격한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 풍력발전시스템 설계 및 개발과 관련한 핵심기술 중의 하나이다. 풍력발전시스템의 운전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블레이드, 타워 등을 유연하게 설계하고 있으며, 특히 주요 하중 발생원인 블레이드를 유연하게 만들고 있다. 그러나, 유연한 블레이드가 전체 풍력시스템의 하중 변화에 대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블레이드의 강성 분포 변화가 실제로 운전되는 풍력시스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해, 3가지의 블레이드 강성 분포를 갖는 풍력시스템에 대해 극한 하중과 블레이드 강성에 대한 극한하중의 민감도를 해석 하였다. 극한 하중의 해석을 위해 총 158가지의 하중 조건을 새롭게 설계 하였고, 이는 하중설계 시의 설계지침으로 이용 될 수 있다. 새롭게 설계된 하중 조건에 대해서 블레이드 강성 변화에 따른 극한 하중의 해석 및 분석결과, 유연한 블레이드는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극한 하중의 크기는 감소 시키지만, 허브, 타워 및 요우베어링 등 다른 부분에서의 운전 하중과 극한 하중의 크기는, 오히려 증가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블레이드 강성변화에 대한 극한 하중 민감도 분석으로, 강성과 극한 하중과의 상관관계를 알 수 있게 되었으며, 극한 하중 분포도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극한 하중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통해, 극한 하중에 가장 민감한 설계 조건과 민감하지 않은 설계 조건을 도출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을 통해, 블레이드 강성 변화와 극한 하중간의 관계를 규명하였고, 국내의 취약한 풍력발전시스템 설계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

      •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통한 최소촉진법이 중도장애 학생의 자동판매기 관리기술에 미치는 효과

        김건훈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도장애학생의 독립적인 생활준비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능적인 교수들에 대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면서 교육에 대한 관심이 물리적 배치에서 교육과정의 질과 교수방법으로 변화되고 지역사회에서 취업 가능한 직종을 개발하고 직무를 분석하여 실제고용으로 이어지는 교육성과중심에 기초한 직업교육의 틀로 변화하고 있다. 현행 장애인 복지법 38조에서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기타 공공단체는 소관 공공시설 내에 자동판매기의 설치를 허가 또는 위탁할 때 장애인의 신청이 있는 경우 우선적으로 지정 또는 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을 규정하는 법률에 근거하여 취업 상 극히 불리한 처지에 놓여있고, 어려운 직업적 특성을 지닌 중도 정신지체학생들에게 새로운 직종을 통해 직업재활을 하고 독립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최소촉진법을 병행한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통해 성공적인 자신의 모습을 관찰하여 숙달되지 않은 기술의 빈도를 높이거나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도록 중재함으로써 자동판매기 관리기술 수행율이 증가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3명의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에 재학중인 중도정신지체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간 중다 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통한 최소촉진법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중재는 자판기 관리기술 16단계를 수행하는 자신의 모습을 담은 자료를 관찰한 후, 교내자판기를 실제로 독립적으로 관리하면서 정반응을 일으키지 못했을 때 언어적·신체적 최소촉진을 통해 문제해결을 돕고, 이를 기록한 자료를 수집하는 것으로 이루어졌으며, 중재 종료 2주후에도 습득된 직무수행이 유지되는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디오 자기모델링 교수를 통한 최소촉진법은 중도정신지체학생의 독립적인 자판기 관리기술 수행율의 증가를 보였다. 둘째, 비디오 자기모델링 교수를 통한 최소촉진법에 의해 습득한 중도정신지체학생의 자판기 관리기술은 2주 후에도 3명의 대상학생 모두에게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의 비디오모델링 교수를 통한 최소촉진법은 중도정신지체학생 세 명의 자판기 관리기술을 증가시키고,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히 비디오를 시청하고 학생들이 과제를 수행하는 방식을 넘어 최소촉진법과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일련의 복잡한 과제들을 시각적으로 단순화하여 여러 가지 기술을 습득하게 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비디오 자기모델링과 최소촉진법을 이용한 교수방법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다양한 실제적인 직업기술을 습득하는데 사용되는 실험적인 연구들이 더욱 필요하다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at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observe self-image to raise unskilled technique and use the technique of video self modeling that contributes to acquiring new skills, moreover, and to know an implementation of management skill through the system of the least prompt that provides the least verbal and physical stimulation without reaction in task solution. This study is conducted with three students with sever disabilities in Mental Disabilities Special Collage. The effect of the system of least prompt through video modeling using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mong students is analyzed. The intervention i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at after observing self-image of implementing 16 stages of management skill for a vending machine when the reaction on independent management for the vending machine placed in university is not exposed, make students with disabilities understand through the system of least prompt and acquired job performance was observed to ensure that it is maintained after 2weeks from termination of interven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the system of least prompt through video modeling teaching raises implementation ratio of independent management skill for the vending machine. Second, all of three students continuously maintain management skill acquired by the system of least prompt through video modeling teaching after 2 weeks. Consequently, the system of least prompt through video modeling teaching raises management skill of three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for the vending machine and is effective to maintain management skill. In this study it is verified that the system of least prompt aligned with video modeling teaching and task implantation visually makes tasks simple that provides an effectiveness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acquire a variety of skills beyond simply watching video and implementing tasks. The teaching method using the system of least prompt and video modeling will be in need more experimental stud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acquire a variety of realistic job skills in local society.

      • 리스크접근 방법의 ISO 9001(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이 품질성과 개선에 미치는 실증적 연구

        김건훈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이 품질 성과 개선에 미치는 효과는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구체적인 인증 전, 후의 정성적 및 정량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미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의 인증이 품질 성과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모형을 설계하기 위하여󰡒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 전, 후에 있어 품질 성과는 개선 될 것이다󰡓라고 가정하였다. 연구 모형으로 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 전, 후의 중소 제조업체의 품질 성과 개선을 평가하기 위하여 리스크 관리 기반의 품질 마인드 변화, 성과지표를 활용한 리스크 관리 기반의 품질경영시스템 운영 상태, 예방조치 중심의 품질 문제 해결 능력, 지속적 개선 활동을 통한 품질 향상 상태, 매출액 대비 품질 외부 실패 비용 등 총 5개 평가 항목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이 중소 제조업체의 품질 성과 개선에 미친 영향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중소 제조업체의 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도입 동기 및 목적에 대하여 설문 조사 결과로는 “조직의 내부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도입하게 되었다󰡓가 제일 높았으며, “품질 리스크 개선을 위하여 도입하게 되었다”가 두 번째로 높게 평가되었다. 특히 기업의 외적 요인인 “영업 실적 개선”보다 내적 요인인 “품질 리스크 개선이나 기업 체질 개선“의 목적으로 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을 평가하는 인증기관 심사 서비스 만족도 조사 결과 각 항목별로 대체로 만족하고 있다. 이는 전문 지식과 기본 소양을 갖춘 심사원이 중소 제조업체의 리스크 개선을 위한 심사를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다수 인증 기업들은 차기 심사에도 금번 심사원들이 지속적으로 심사를 진행하기를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인증기관의 행정 서비스 만족도 분석 결과 모든 항목에 대하여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으며 특히 인증 심사 공문 통보 시기 적절성 및 질의 사항 응답도 등은 양호하나 상대적으로 인증기관 직원의 친절도 및 업무 신속성은 낮게 평가됨에 따라 향후 친절성 제고 및 행정 업무 신속도 향상을 위한 내부 직원의 교육 훈련이 필요하다. 셋째, 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통한 품질 개선 성과의 정성적 변화를 5점 리커트 척도로 분석한 결과리스크 관리 기반의 품질 마인드 변화 성과 지표( K.P.I : Key Performance Indicator)를 활용한 리스크 관리 기반의 품질경영시스템 운영 상태  예방 조치 중심의 품질 문제 해결 능력 지속적개선 활동을 통한 품질 향상 등 4가지 항목 모두 인증 전 대비 인증후는 개선됨에 따라 “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인증을통한 품질 개선 성과의 정성적 변화는 향상 될 것이다”라는 가설은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넷째, 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이 중소 제조업체의 품질 성과 개선에 미치는 정량적인 변화를 살펴보면 인증 전, 후의 매출액 대비 품질 외부 실패 비용은 인증 전 1.26%에서 인증 후 0.50%로 60%감소됨에 따라 “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통한 품질 개선 성과의 정량적 변화는 향상될 것”이라는 가설은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 결과 󰡒리스크 접근 방법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 전, 후에 있어 정성적 및 정량적 품질 성과는 모두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 국회의원 총선거의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 제15대 총선과 제16대 총선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건훈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attempts to detect changes of major characteristics in the general election of Korea. For this aim, three restrictive conditions are given. Firstly the scope of this study are the 15th and the 16th general elections because coming of the formal democracy after collapse of the bureaucratic authoritarianism and transformation of government party Secondly this paper is an empirical study that is based on the positivism. So the statistics data use that of the Gallup Korea and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Thirdly major analysis method of this study utilize Easton's System Model, Therefore we can grasp exact characteristics changes of the general election in Korea. The systematic analysis used in this study is divided into environment, process and result. These are composed of input, conversion and output Environmental part as a input is consisted of election system as structural variable, political and social-economic surrounding and meaning of each election. A part of process as a conversion are consisted of new systematic model and the issue-deployment theories. Resultant part as a output are conisisted of generalization for the result and of the theories of voting behavior. The theory used in this thesis shows that : The election system investigates through a concept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Duverge's Law. The issue-deployment throries focus on issue-premium. The voting-behavior theories think out the rational choice, Hirschman's voice-voting theory and dependence of local development and economic point voting theory which is conposed of retrospective voting and prospective voting. The comparative analysis for the 15th and the 16th general election is as follow: 1. Two general election is enforced under the same systematic condition. In addition, The 15th general election is that means middle-evaluation and direction of the second president election. The major meaning of the 16th general election is evaluation the coalition government between the Millnnium Democratic Party(MDP) and The United Liberal Democrat (ULD). 2. The form of issue-deployment can be sum up attack of the opposite party and defence of ruling party. But, in the 15th general election, a patry acquired issue-premium is the New Korea Party(NKP). In the 16th, only ULD is not gained issue-premium. Also, the civil disobedience called revolution is the most characteristic event in the 16th general election. Particularly, the Supporting rate of voter for the defeat-campaign was an average 70 percent. 3. Two elections of vote-rate is lower than a past elections. This phenomenon is caused by diffused political apathy. The 16th goneral election appears to which competition-degree is high. Result of the 15th election is formed into multiparty system. But the 16th general election is transfigure into bipartisan system. These changes certificate that it can be applied Duverge's Low to the Korean general election, To arrest attention, UDL holds a casting vote as usual. In addition, I think out the voting behavior of Korean in the general election, In the 15th general election, the vote of Taegu citizen is 'voice' that Hirschman said, Nevertheless, new capability can be observed in two elections. When it compares the 16th election with a past elections, Supporting-rate for the MDP is rising little by little in Yongnam.

      • 초음파 속도법에 의한 추정강도의 신뢰성

        김건훈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콘크리트(Concrete)의 강도는 콘크리트의 품질과 특성을 가장 잘 보여주기 때문에 콘크리트 공학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요소 중의 하나로 취급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코어 압축강도 및 초음파 전파속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안전진단시 현장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현장에서 콘크리트 Core 시료를 채취하여 압축강도 및 초음파 전파속도 강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비파괴 시험인 초음파 전파속도법의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콘크리트 강도가 28.8~33.5MPa에서 초음파 전파속도에 의한 추정강도가 0.2~4.5MPa정도의 차이가 발생하여 콘크리트 실제 강도와 5%정도의 차이가 발생하여 초음파 전파속도 강도는 30MPa 정도에서 가장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압축강도가 40MPa이 넘어가면 대부분 10.0MPa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강도가 높을수록 콘크리트 내부에서 초음파 전파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Strength of the concrete has been treated as one of the most influencing elements in Concrete engineering, because it shows the quality and characteristic of the concrete very well. Consequently, in this study, the data that were measured in the field of the safety diagnosis were applied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compressive strength for the core and ultrasonic pulse velocity. By gathering the sample of the concrete cor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ressive strength and ultrasonic pulse velocity, we make sure the reliability of the ultrasonic pulse velocity which is nondestructive test. When the strength of the concrete was 28.8~33.5MPa, the estimated strength by the ultrasonic pulse was occurred approximate 0.2~4.5MPa difference, which was about 5% difference with the real strength of the concrete, so the reliability for the strength of the ultrasonic pulse velocity was the most highest in 30MPa . Besides, in the case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over 40MPa, the difference was over 10.0MPa mostly. It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more strength is higher the ultrasonic pulse velocity in the inside of the concert is decreasing.

      • 경영분석을 활용한 기업 투자 분석의 사례 연구

        김건훈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영분석을 통해 재무제표를 비율 분석 통해 기업의 투자자로서 혹은 채권자로서 최근 3년간의 재무 분석은 필수적인 일이며 합리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본 연구의 구성은 제1장에서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연구의 방법 및 구성을 기술하고, 제2장에서는 경영분석의 정의, 비율 분석의 기초, 재무제표 분석의 한계. 분식회계의 정의에 대해서도 서술해 보았다. 제3장에서는 우리나라 여러 기업들 중에 재무적 구조가 튼튼하다고 판단되는 기업인 ㈜KT&G의 재무제표 분석을 유동성·단기지급능력의 측정, 안정성·장기지급능력의 측정, 수익성 분석, 활동성 분석, 자본금 · 자본잉여금 · 이익잉여금의 변동 및 배당현황 분석, 현금흐름 분석 등에 대하여 분석을 해 보았다. 제4장에서는 ㈜KT&G의 경영분석의 결과 통해 개선할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고 결론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