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포스트 모던 미술에서 작품과 관객의 시간적 관계성에 대한 연구

        김가혜 군산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포스트모던 미술에서 관객에게 제공되는 작품을 체험할 때 발생하는 시간적 관계성에 대한 연구이다. 현대미술 이전과 이후, 그리고 현대미술에서 탈장르에 이르기까지 작품에 사용된 시간 개념은 꾸준히 변화한 반면, 작품과 감상자 간의 시간성을 분석하고 연구한 자료들은 충분하지 않다. 본 연구를 통해 포스트모던 미술에서 관객에게 제공되는 체험의 장단점을 분석해봄으로써 시간성의 본질을 규명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미술은 창작을 통해 감상자로 하여금 미(美)적 체험과 직관(直觀)적 경험을 제공하고, 이러한 체험은 감상자의 삶을 반성하고 주체성을 찾아 갈 수 있는 길을 열어주기도 한다. 현대사회는 과학과 기술의 발달로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고, 그에 따른 인간의 사회 심리적 문제점들을 발생시켰다. 인간들은 정신적, 심미적 가치보다는 물리적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물질의 풍요는 오히려 자기 자신을 잃어버리고 다른 사람만을 쫓아가는 현상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잃어버리는 인간소외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현대사회의 문제로부터 관객을 위한 사유의 시공간을 열어주고 주체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게 변화를 유도하는 예술의 역할이 필요로 하게 된다. 특히 시간은 예술을 접하는 관객에게 제공하는 경험을 위한 선행요소이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현대미술에서 시간의 변화에 대해 먼저 알아볼 필요성이 있다. 전통미술에서부터 초기 모더니즘 미술까지 회화는 정지된 시간으로 시각의 공유만을 의미했고, 관객과 작품은 서로 다른 공간과 시간을 가진다. 그러나 뒤샹의 레디메이드 작품 <샘> 이후, 재료의 다양성과 예술과 예술 이외 분야와의 경계가 무너진 지 50여년이 지난 지금의 미술은 과거와 다른 시간을 의미한다. 20세기 초 아이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의 성과는 시간과 공간의 동시성을 야기 시켰고, 그 영향은 예술분야에서도 시간은 공간으로, 공간은 시간으로 환원되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과학의 발달로 한정된 예술 재료의 한계에서 벗어나 사진, 텔레비전, 비디오 등 다양한 매체가 예술의 재료로 이용되었다. 이때부터 예술에 적극적인 시간성이 도입되기 시작했다. 혹자는 ‘시간의 예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추상표현주의자 잭슨 폴록의 작업 과정에서 그의 행위 자체가 높게 평가되었고, 이는 연극성(演劇性)을 띄는 해프닝, 테크놀로지 시대가 낳은 미디어 아트까지 예술작품은 관객을 포함하기에 이른다. 즉, 포스트모던 이후 미술작품은 관객을 흡수하여 작품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작품과 관객은 같은 시공간을 공유하게 되었다. 이때, 작품과 관객이 공유하는 시공간은 일상적이고, 분할 가능한 과학적 개념에 더욱 가깝다. ‘시간의 예술‘은 상대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물리적 시공간을 반복, 분리, 연장, 삭제 등의 다양한 방식은 관객으로 하여금 지적충격으로 다가갔고, 그로 인한 일상의 환기를 기대하는 측면이 있다. 고대부터 이어져온 철학적 고찰은 신에 가깝게 다가갈 수 있는 본질에 대한 탐구였다면, 근대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은 인간을 인식의 주체로 보기 시작했고, 시간 또한 인간으로부터 독립적인 절대적 개념이 아닌 인식의 선험적 전제 조건으로 내적 형상으로 보았다. 현대미술에서도 가시적인 표상보다는 인간 내면에서 일어나는 변화의 시간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참여 미술 또는 체험 미술은 작품 자체의 완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체험하는 관객에게 작품을 통해 내적 시간의 공간을 열어주고, 철학적 사고로 유도하여 관객이 변화해야만 하나의 작품이 완성 된다. 과학의 발달은 현대미술의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뒤바꿔 놓았고, 종교적·철학적 사고는 일반적인 시간을 인간들이 만들어 놓은 상(像)으로 치부하며, 인간의 내적 변화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시간을 인간 내면의 변화에 따른 흐름으로 보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현대미술의 일각에서는 관객의 참여를 유도하고 관객의 변화까지 하나의 작품으로 성립된다. 수동적인 감상자와는 본질적으로 다르며 직접적인 체험적 미술이라 할 수 있다. 작품으로부터 관객은 자신만의 고유한 체험된 시간을 갖는다. 체험의 시간은 과거의 물리적 시간에서 내적 시간으로 그 변화를 맞이했다. 형상이 없어지고 작가의 철학적 관념이 쌓여가는 미술의 흐름 앞에서 작가의 본질적 추구는 관객의 작품 해석이 아닌 관객의 변화이기에 작품에서 관객이 갖는 주관적인 시간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졌다. 전통적 미술 공간에 시간의 도입은 미술의 확장이자 관객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로, 작품과 관객의 상호 소통적이며 실존 체험의 장을 열었다. 체험은 관객의 현존과 삶의 본질을 자각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다채로워 보이는 현대미술은 시뮬라크르(Simulacra)가 지배하고, 관객의 적극적인 체험을 위해 안내하는 과정은 체계적인 조직을 구성하지만 일방적이거나 사유의 제약을 받는 모순을 가지고 있고 그로인해 미술의 순수성을 잃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문제들을 제기하여 분석하고 연구하며 그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이끌어 냈다. 첫째, 과학·철학·종교의 시간관이 현대미술에 끼친 영향과 현대미술에서 시간성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가? 둘째, 과학의 발달이 가져온 현대사회의 문제점(인간소외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미술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은 무엇이 있는가? 셋째, 포스트모던 미술 작품에서 관객에게 제공되는 시간적 체험은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가? 본 연구를 바탕으로 현대미술에서의 작품이 갖는 시간개념의 원리를 파악하였고, 그 기준을 명확히 함과 동시에 본인의 작업에 끼친 영향에 대해 연구·분석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focuses on the temporal relationship experienced by viewers vis-à-vis post-modern art works. Before and after the emergence of modern art and in the process of genre-deconstruction, the concept of time has come through a lot of changes; nevertheless, the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artworks and viewers has scantly been studied and published by art critics. Mindful of this limitation, this thesis intends to delve into the essentials of the temporal relationship through analysis on merits and demerits of experiences combining viewers and post-modern artworks. Essence of art finds its way to an outlet in created artwork thereby inducing a viewer to engage in esthetic experiences and intuitive immersions, through which the viewer reflects his life and rediscover his identity as a human being. Modern society has been shaped by the rapid develop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Inevitably, the unprecedented social changes have been accompanied with socio-psychological problems. For most humans, material values take precedence over mental and esthetic values; in extremity of such phenomenon humans has lost their identity and got involved in reckless trends pursuing idolized celebrities. The result is widespread human isolation. In this desolate environment of the modern society, art has a unique value since artworks tend to induce viewers to engage in unique experience of entering into a new realm of time and space, awakening their consciousness of independent beings. In this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human, time consciousness is a crucial premise inducing viewers to perceive the essential nature of an artwor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concept of time that have taken place in modern art world. All of us know that paintings—throughout the art history from the traditional art to the early modern art—has had only one dimensional time concept—a time that is fixed at one moment, which was captured and transmitted to the canvas by the artist. Accordingly, when a viewer looks at a painting, the viewer and the painting have different time and space of their own. Since the introduction of <Fountain> in 1917, which is Duchamp’s revolutionary Ready-made artwork, the storytelling of modern art clearly testifies that the unlimited use of materials and the collapse of the border between art and others have also brought about revolutionary changes in the concept of time in modern art. In early 20th century, Einstein’s relativity theory has effectively merged dimensions of time and space, which has affected modern art movements toward converging time to space and vise versa. At the same time, scientific developments have liberated modern art from the constraints of traditional art materials and artists have taken initiative in utilizing various media including photograph, television and video etc. In this movement, time has been introduced to the art world as a decisive matter. Some commentators labeled this trend as 'art of time'. In case of Jackson Pollock, who represented abstract expressionism, his actions were perceived as the essential element of his art. Further, happening art has actively introduced theatrical features to art, and media art has actively incorporated modern technology devises—all of which have a common feature, i.e., inviting viewers into the art world. That is, postmodern art incorporates viewers into the artwork and thus both artworks and viewers jointly own time and space. In this regard, the time and the space jointly owned by the artworks and viewers are closer to the scientific concepts that are ordinary and divisible. The new ‘art of time’ uses various methods of manipulating physical time and space through repetition, division, extension, deletion etc. This unprecedented expression of art has been accepted as intellectual shock by viewers, which have invoked refreshing experience distinct from daily routines. Philosophical conception from the ancient times has focused on the essential nature of human and universe in an effort to get closer to divinity. Kant’s 『Critique on Pure Reason』 had signaled a new age where human is the subject of recognition; and time had been conceived as an internal aspect of a priori premise for recognition rather than an absolute concept independent from human being. Likewise, modern art has been inclined to focus on temporal changes inside human being rather than visible ideas. For instance, participation art or experience art does not end with the completion of an art work but continue to influence viewers through opening space for internal time in the minds of viewers and inducing them to philosophical thinking, which ends when the viewers are changed. In short, the scientific development has reshuffled the temporal and spatial concept of modern art; challenged the traditional concept of time as cherished in religion and philosophy by disclosing its nature as artificially conceived idea; thereby exposed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nal changes of humans. This position intends to capture time as flows in the minds of humans. In some art movements, artworks require viewers’ participation as an essential element to the effect of incorporating the changes of viewers. Viewers in this art are essentially different from passive spectators in that they actively participate in and experience the artwork. The viewers are induced to have their own temporal experiences. Here the experienced time has transformed from physical time to internal time. In modern art, physical forms are replaced with artists’ philosophical concepts; and thus the artists’ essential pursuits do not lie in viewers’ interpretation of artworks but their changes. In this type of art, the success of the art heavily relies on time that is subjectively experienced by viewers. Traditionally art has been confined to atemporal space. Modern art has introduced time to the art world, which is deemed to expand the realm of art world as evidenced by viewers’ positive participation and inter-communication between artworks and viewers. Today the art world is a field where viewers engage in existential experiences. Inevitably, however, there are also downsides of modern art: it is dominated by simulacra and constrained by secularized art organizations enforcing their own patterns in creating and interpreting art works at the expense of freedom and purity of art. This thesis presents three critical issues and endeavors to find solutions through analysis and consideration. The three issues are as follows: First, how has the time concept in science, philosophy and religion affected modern art, and how the time concept has changed in modern art? Second, what roles can modern art play to solve the modern society’s problem(human alienation) caused by scientific developments? Third, how has viewers’ time experience been expressed in modern art? This thesis has exposed the principle of time concept in modern art works and clarified the criteria by delving into the author’s own artworks.

      • 웰다잉 측정도구 개발

        김가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웰다잉은 존엄한 삶의 마무리를 위해 임종기 이전부터 자신의 죽음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삶과 죽음의 질 향상을 위해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웰다잉의 인지행동 수준을 포괄적으로 사정할 수 있는 도구가 미흡하며, 기존 도구는 노인 중심으로 개발되어 청장년층을 포함한 다양한 성인을 대상으로 웰다잉을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죽음과 관련된 우리나라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인지, 행동적 차원에서 성인의 웰다잉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한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웰다잉 측정도구의 개발은 DeVellis (2017)의 도구개발 절차를 따랐다. 선행된 개념분석 연구와 문헌고찰, 기존 도구, 전문가 의견을 참고하여 6점 척도의 예비 문항 36개를 개발하였다. 예비 문항은 전문가 8인에게 내용타당도를 평가받았으며, 그 결과를 반영하여 32개 문항을 도출하였다. I-CVI는 0.88~1.00, S-CVI/Ave는 0.96로 나타나 내용타당도가 검정되었다. 예비조사는 만 19세 이상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와 설문조사를 완료한 6명을 대상으로 인지면담을 수행하였다. 설문소요시간은 평균 5.64±2.72분이었고, 예비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문항 10개를 수정한 후 총 32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본 조사 수행 전 국문학자에게 언어 교열을 받았다. 본 조사에서는 개발된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8월 2일부터 2022년 8월 7일까지 온라인 커뮤니티(지역 기반 인터넷 커뮤니티, 동호회 밴드 및 카페)를 통해 온라인 설문조사로 이루어졌다. 연구참여자는 만 19세 이상 성인 437명이었고, 연령(성인초기, 성인중기, 성인후기)에 따라 할당 후 편의표집하였다. 전체 표본을 두 집단으로 무작위 분할한 후, 집단 A(n=218)의 자료로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를 검정한 후, 교차 확인을 위해 집단 B(n=219)의 자료로 확인적 요인분석, 대조그룹 타당도, 수렴타당도,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Jamovi 2.2.5와 AMOS 23.0 (SPSS Inc., Chicago, USA)를 이용하여 자료분석을 하였다.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19문항의 5 요인(의미찾기, 가족 간 가치공유, 죽음수용, 죽음성찰, 사전의사결정) 구조가 도출되었다. 집단 A에서 전체 문항의 Cronbach's α는 .890이었다. 교차확인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모형 적합도는 χ2=370.694 (p<.001), CMIN/df=2.611, SRMR=.060, RMSEA=.086, TLI=.902, CFI=.918로 나타났으며 도구의 내적 수렴타당도 및 판별타당도가 확보되었다. 한편, 종교가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웰다잉 총점과 각 하위 요인 점수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나 대조그룹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또한, 웰다잉 측정도구(김영미, 2011)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관계(r = .66, p <.001)가 확인되어 도구의 외적 수렴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신뢰도 검정 결과, 집단 B의 자료에서 전체 문항의 Cronbach's α는 .900이었고, 하위 요인의 Cronbach's α 는 .842~.916 으로 나타나 내적 일관성이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도출된 웰다잉 측정도구는 총 19문항으로 의미찾기 5문항, 가족 간 가치공유 4문항, 죽음수용 4문항, 죽음성찰 3문항, 사전의사결정 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 도구는 6점 리커트 척도로 총점의 범위는 19점에서 114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웰다잉의 인지행동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이상 본 연구에서 개발한 웰다잉 측정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도구로 확인되었다. 이 도구는 성인의 웰다잉을 비교적 쉽고 간편하게 사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간호 연구와 실무에서 실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대상자의 삶과 죽음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Well-dying, which means preparing for one’s death before the end of life, is an important proces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death. To date, there are few instruments to assess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levels of well-dying for adults of varying age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omprehensive well-dying scale (WDS) for adults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related to death in South Korea and to test its psychometric properties. We followed the procedures recommended by DeVellis (2017) for scale development. We developed 36 preliminary items on a 6-point Likert scale based on the result of concept analysis, literature reviews, and existing instruments relevant to well-dying. The scale with 32 items was derived after assessing the content validity by eight experts. I-CVI was 0.88-1.00 and S-CVI/Ave was 0.96. As for the pilot test,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with 30 adults and cognitive interviews with six people. The mean time of completing the survey was 5.64±2.72 minutes. A total of 32 items were derived by modifying 10 items after the pilot test. In the main survey, we test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32-item WDS. In August 2022, we recruited a convenience sample of 437 adults aged 19 or older through the online community. Data was collected by online survey. After randomly dividing the total sample into two groups,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were tested with data from group A (n=218),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trasted-group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analyzed with data from group B ( n=219) for testing the cross-validation. We analyzed data using Jamovi 2.2.5 and AMOS 23.0 (SPSS Inc., Chicago, US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item analysis revealed a five-factor solution in the 19 item-WDS: Searching for meaning, sharing values with families, death acceptance, death reflection, and advance decision-making. In group A, the overall scale reliability had a Cronbach's alpha of .890.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odel fit indices of the WDS were good: χ2=370.694 (p<.001), CMIN/df=2.611, SRMR=.060, RMSEA=.086, TLI=.902, CFI=.918. In addition, contrasted-group validity (p<.001) and convergent validity(r=.66, p<.001) were confirmed. In group B, the Cronbach’s alpha was .900 on the overall scale and ranged from .842 to .916 across the sub-factor, indicating very good internal consistency. The final WDS consists of five factors with 19 items: Searching for meaning (5 items), sharing values with family (4 items), death acceptance (4 items), death reflection (3 items), and advance decision-making (3 items). This scale is a 6-point Likert scale, with a total score ranging from 19 to 114. The higher scores indicate higher cognitive and behavioral levels of well-dying. The WDS i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to measure the well-dying of adults. Since this scale could easily and comprehensively assess the well-dying, it could be used in various nursing research and practice settings. Furthermore, it would contribute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death of adults.

      •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소비자 참여형 CSR 사례 연구 : 활명수 생명을 살리는 물 캠페인 중심으로

        김가혜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업의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활동 중에 하나로 자리매김한 CSR 활동은 급변하는 사회 환경에 따라 다양하고 세분화되어 발전하고 있다. 최근에는 소비자의 소통과 참여에 용이한 소셜미디어를 통해 CSR 활동이 커뮤니케이션 되며 ‘소비자 참여형 CSR’ 활동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본 논문은 소비자 참여형 CSR 활동의 대표적인 사례로 동화약품의 활명수가 진행한 ‘생명을 살리는 물’ 캠페인을 분석해보았다. 활명수는 1897년 출시된 이후, 꾸준히 소비자의 사랑을 받아온 장수브랜드로, 보다 젊은 이미지로 커뮤니케이션 하기 위해 소셜미디어의 활용과 더불어 소비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캠페인을 기획하고자 했다. 또한 독립운동자금을 대던 소화제라는 과거의 활동을 재해석 하기 위한 현대적인 CSR 활동을 모색했다. ‘생명을 살리는 물’ 캠페인명은 제품명인 살릴 활(活), 생명 명(命), 물 수(水)에서 딴 것이며, 활명수가 이 시대의 생명을 살리는 물로 거듭나고자 ‘세계 물의 날’을 기념해 유니세프와 함께 아프리카 물부족 국가 어린이에게 깨끗한 물을 전달하는 활동을 기획했다. ‘생명을 살리는 물’ 캠페인은 2013년과 2014년 2년에 걸쳐 총 2회에 걸쳐 유니세프의 디지털 캠페인 브랜드인 ‘WeAction’ 페이스북과 카카오스토리에서 진행되었다. 소비자들이 캠페인 콘텐츠를 보고 ‘좋아요’와 ‘공유하기’를 누르면 일정양의 깨끗한 물이 적립되는 것으로 커뮤니케이션 하였으며 총 10만 건이 넘는 ‘좋아요’ 수치와 27만건 이상의 ‘공유하기’ 수치를 기록하였다. 따라서 ‘생명을 살리는 물’ 캠페인은 활명수라는 제품 본연의 의미를 구현한 캠페인명, ‘세계 물의 날’이라는 모멘텀을 활용한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했으며, 쌍방향 소통이 용이한 소셜미디어를 활용해 소비자들의 많은 공감과 공유를 이끌어낸 ‘소비자 참여형 CSR’이라 평가할 수 있다. 본 사례연구에서 활명수의 ‘생명을 살리는 물’ 캠페인에 대해 CSR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캠페인 실행 동기, 지속성, 차별성, 친밀성, 적합성, 진정성 등 모든 측면에 부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캠페인의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장수 브랜드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전략 제시 (2) CSR 활동을 통한 브랜드 재활성화 (3) 소통과 참여를 통한 스토리텔링. 이러한 분석으로 바탕으로 앞으로의 소비자 참여형 CSR은 CSR의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참여와 소통을 바탕으로 하는 소비자와의 꾸준한 관계 형성에 힘써야 할 것이다.

      • 역사교과와 상업교과의 통합수업이 주는 교육적 효과 : 특성화고 학생들을 중심으로

        김가혜 고려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성격이 전혀 다른 과목으로 분류되는 보통교과의 한국사 과목과 상업교과의 경영리더십 과목을 통합수업으로 구안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해 봄으로써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서울시 돈암동에 위치한 특성화 고등학교 3학년 전교생 132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주제는 가장 격동의 시대라고 말할 수 있는 근현대사의 ‘흥선대원군의 정책’ 부분으로, 학생들이 흥미를 일으킬 수 있는 주제라서 선정하였다. 연구는 학기 초 학생들이 집중하는 시기에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연구 주제는 ‘흥선대원군의 SNDF모델을 적용하여 당시 상황과 사람들의 기대를 통해 흥선대원군의 리더십의 종류를 밝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출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교과와 상업교과의 통합수업을 통해 상업교과에 대한 흥미 및 관심이 전보다 증가하였다. 둘째, 통합수업은 학생들의 역사 수업 참여도를 높였다. 셋째, 통합수업을 통해 역사에 대한 흥미도 불러일으켰다.

      • 밀레니얼 세대의 정체성 현저도가 친환경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차별화/동화 동기와 지각된 과제 난이도를 중심으로

        김가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의 개인적, 사회적 정체성 현저도가 친환경 활동에 대한 행동 의도 및 태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차별화 및 동화 동기의 매개효과와 지각된 난이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개인적 정체성 현저도가 높을수록 차별화 동기가 높아졌으며 이는 곧 친환경 활동에 대한 높은 행동 의도로 이어졌다. 또한, 사회적 정체성 현저도가 높은 경우에는 동화 동기가 높아졌으며 이에 따라 친환경 활동에 대한 높은 행동 의도 및 태도를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밀레니얼 세대의 정체성 현저도, 차별화-동화 동기, 그리고 친환경 활동에 대한 행동 의도 및 태도 관계에 있어 지각된 난이도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개인적 정체성과 차별화 동기, 행동 의도 및 태도의 관계에 있어서는 지각된 난이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사회적 정체성, 동화 동기, 행동 의도 및 태도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종속변인이 행동 의도 변인인 경우 지각된 난이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가 지니는 한계점과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정보거래확률이 내재변동성의 수익률 예측에 미치는 영향 : KOSPI200 주가지수옵션을 사용하여

        김가혜 부산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중에서 정보거래가 옵션과 기초자산의 예측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4년 1월 2일부터 2017년 12월 28일까지 KOSPI200 지수옵션의 일별 10분 간격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연구에서 콜-풋 내재변동성 스프레드와 지수수익률의 예측관계를 확인하였고 이러한 예측관계에 기초자산시장의 정보거래확률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옵션시장의 가격압력을 나타내는 콜-풋 내재변동성 스프레드는 평균적으로 음의 값으로 나타난다. 둘째, 분석기간에서 콜-풋 내재변동성 스프레드는 기초자산인 KOSPI200 주가지수 수익률을 60분 정도 선도하였다. 그리고 콜-풋 내재변동성 스프레드의 변화량은 KOSPI200 주가지수 수익률을 70분 정도 선도하였다. 셋째, 기초자산시장의 정보거래확률이 낮을 때 콜-풋 내재변동성 스프레드의 절대값이 크게 나타나는 경향이다. 넷째, KOSPI200 주가지수 수익률에 대한 콜-풋 내재변동성 스프레드의 예측력은 기초자산 시장의 정보거래확률이 낮을 때 강하게 나타난다.

      • 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유.아동복 매장 VMD현황 비교 연구

        김가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기불황으로 인한 유통환경의 양극화된 변화 중 고급스러움을 지향하는 백화점과 가격소구를 지향하는 할인점의 유,아동복 매장의 차별화되고 효율적인 VMD를 연구함으로써 각 업태간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유통환경과 VMD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경제변화에 따른 유통환경의 변화 및 발달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라 마케팅의 전략중 하나 인 각 업태별 VMD의 기본 요소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유.아동복 시장의 특성을 분석한 후 백화점과 할인점의 유,아동복 매장 VMD 차별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자료는 문헌자료와 선행연구, 백화점과 할인점의 매뉴얼을 토대로 하였고, 연구대상은 애경백화점(수원점)에 입점 하여 있는 국내 유명 유,아동복 브랜드와 이-마트와 홈플러스에 입점 되어 있는 국내 유,아동복 브랜드와 PB브랜드를 중심으로 사례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기가 침체가 지속되면서 사회구성원들의 라이프 스타일이 변화된다. 생활환경이 바뀌면서 저 출산과 같은 사회적 변화가 생기고, 소비환경이 바뀌면서 고가격 지향하는 소비자와 저가격을 지향하는 소비자로 양극화된다. 2. 이러한 저 출산 시대에도 불구하고 유,아동복 시장은 점차 호황을 누리며, 유통환경도 점차 변화된다. 1.에서와 같이 양극화된 소리심리로 인해 고가격대 지향의 백화점과 저가격대 지향의 할인점이 대두된다. 이에 유통업체는 소비심리에 맞춰 마케팅이 차별화하며 그 중 VMD역시 차별화된 전략으로 전개하고 있다. 각 VMD 요소별 올바른 전개를 하여 경쟁력 있는 매장연출을 해야 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동복매장의 경쟁력 있는 VMD 전개 방향을 제안하면 아래와 같다. VMD의 구성요소인 VP, PP, IP에 해당하는 부분을 인지하여 업태의 요소에 맞게 계획 있는 진행을 해야 한다. 매장의 얼굴이라고 볼 수 있는 VP는 정확한 목적이 있는 컨셉을 설정하여 연출함으로써 매장 안으로 고객이 들어올 수 있도록 유도 되어야한다. 백화점의 경우는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시즌 및 브랜드 컨셉에 맞춰 이미지 연출을 하는 것이 좋겠고, 할인점의 경우 이미지성 연출 보다는 상품을 알리고 홍보할 수 있는 상품을 위주로 한 연출을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PP는 브랜드의 주력상품을 연출하여 판매 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다. 백화점의 PP공간은 상품 판매와 직결되는 곳이므로 토털 코디네이트를 하여 구매를 연계시키며, 할인점의 경우도 주변 상품을 이용한 코디네이트 함으로써 상품판매에 연결시킨다. IP는 상품을 행깅 및 스톡(폴디드)하는 공간으로 칼라별, 아이템별, 소재별, 사이즈별 등으로 진열한다. 백화점의 경우 아이템이 다양하기 때문에 칼라별, 아이템별 위주의 진열을 하는 것이 좋겠고, 할인점의 경우 아이템이 다양하지 않기 때문에 칼라별, 사이즈별 위주의 진열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할인점의 경우 가격이 싸다는 것을 중점으로 하기 때문에 물량을 많이 적재하여 풍성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백화점의 경우는 집기의 2/3정도의 상품을 진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이러한 사항을 토대로 매장에 맞는 매뉴얼을 제작하고 계획성 있는 VMD를 전개해야 한다.

      • 복지관 이용 노인의 복합만성질환 양상별 허약과 지각된 건강상태 및 자기관리 행위

        김가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만성질환 노인의 허약 수준을 낮출 수 있는 자기관리 간호중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복지관 이용 노인의 복합만성질환 양상과 질병의 복합양상별 허약과 지각된 건강상태 및 자기관리 행위의 차이 및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4년 8월 25일부터 8월 29일까지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4년도 서울대학교 간호대-의대 공동연구사업 ‘지역사회 노인 건강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종로구 노인 건강 코호트 구축’연구(810-20130491)에서 임의표출한 노인 503명 중 본 연구 대상자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128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자가보고 형식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허약은 Study of Osteoporotic Fractures Index (SOF)와 Comprehensive Frailty Assessment Index (CFAI)로 측정하였다. 지각된 건강상태는 노인이 생각하는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평가하는 한 문항의 질문으로 측정하였고, 자기관리 행위는 국민건강영양조사 및 한국형 노인건강평가도구, 미국 스탠포드 만성질환 자기관리 도구의 일부 문항과 모리스키 약물복용 이행도구로 구성된 자기관리 행위 도구로 측정하였다. 복합만성질환 양상별 결과변수의 차이는 교차분석, t-test, One-way ANOVA test로, 결과변수 간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통해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75.63(±6.02)세였고 여성이 83.6%였으며, 허약노인의 비율은 49.8%였다. 복합만성질환 양상은 순환기계 + 근골격계 질환(42.2%), 순환기계 + 내분비계 질환(39.1%), 순환기계 + 근골격계 + 내분비계 질환(13.3%), 근골격계 + 내분비계 질환 (5.5%)의 순이었다. 복합만성질환 양상별 허약과 지각된 건강상태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복합만성질환 양상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에 대한 자기관리 행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p=.049), 순환기계 질환이 포함되지 않은 복합질환에서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이 가장 낮았다. 그 외 건강생활습관과 건강검진,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약물복용 이행의 차이는 없었다. 허약 수준이 높을수록 지각된 건강상태가 나쁘고(p<.01), 자기관리 행위 중 절주(p=.044), 운동(p=.041)을 적절히 수행하지 못하고 있었다. 허약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요인은 지각된 건강상태와 자기관리 행위(운동, 약물복용 이행)이었다. 다양한 만성질환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음에도 독립생활이 가능한 복지관 이용 노인의 허약 예방 관리를 위해서는 복합만성질환 양상보다 노인 스스로가 지각한 건강상태와 질병에 대한 관점, 허약 수준에 근거한 자기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frailty,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management behaviors of older South Korean adults according to their multimorbidity pattern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arried out at one senior center in South Korea. A total of 128 older adults with complex chronic diseases were enroll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included frailty,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management behaviors (healthy lifestyle, health examination and vaccination, communication with physicians, medication adherence).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75.63 (±6.02) years, and 83.6% of the participants were female and 49.8% were classified as frail. The frequent multiple-disease patterns were cardiovascular + musculoskeletal disease (42.2%), cardiovascular + endocrine disease (39.1%), cardiovascular + endocrine + musculoskeletal disease (13.3%), and musculoskeletal + endocrine disease (5.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ailty,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management behaviors according to the multimorbidity types, except for influenza vaccination (p=.049). The older people in the frail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management behaviors (drinking control, exercise).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frailty,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management behaviors (exercise, medication adherence). Conclusions: To establish effective care for older people with multimorbidity, the healthcare providers in senior centers need to develop a self-management program based on the elders’ perspectives with regard to their chronic disease, perceived health status, and frailty status, not only with regard to the types of chronic illness.

      • 일상 모빌리티와 사회적 자본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대중교통과 보행을 중심으로

        김가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상 모빌리티와 사회적 자본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상 모빌리티는 주요 이동수단인 대중교통과 보행으로 실현되며, 단순한 이동을 넘어 사회적 관계 증진시키고 확장하는데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사회적 자본의 주요 구성요소이자 그 결과인 신뢰와도 연결되며 특히, 사람들 간의 연결을 기반으로 하는 대인신뢰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대중교통 이용과 보행환경 만족도가 대인신뢰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서울시의 전반적인 사회조사 및 교통 관련 자료를 포함한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코로나19 영향을 받기 전인 2019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종속변수는 대인신뢰도, 독립변수는 대중교통 이용 및 보행환경 만족도이며 사회적 자본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소와 네트워크, 호혜성, 규범 등을 통제변수로 구성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대중교통 이용과 보행환경 만족도는 대인신뢰도에 양의 관계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일상 모빌리티의 만족도가 올라갈수록 사회적 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중교통 이용과 보행환경 만족도는 일상 모빌리티가 편리하고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주변 환경과 사회에 대한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게 하며 이는 사회와 주변에 대해 안전감과 신뢰를 느낄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만족도의 증진이 타인을 더 신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준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의 일상 모빌리티가 단순한 물리적 공간 이동을 넘어 사회적 관계 및 신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대중교통과 보행의 사회적 측면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일상 모빌리티 향상에 주요 기초 근거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도시계획 및 교통정책 결정자들은 이를 고려하여 보다 만족도 높은 대중교통 및 보행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mobility and social capital. Daily mobility, primarily realized through public transportation and walking, extends beyond mere movement to influence social relations. It is particularly linked to trust, a key component and outcome of social capital, especially interpersonal trust based on connections between people. The study focuses on Seoul, examining how satisfaction with public transportation use and walking environments affects interpersonal trust. Utilizing the 2019 Seoul Survey data, before the impact of COVID-19, the study employ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interpersonal trust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satisfaction with public transportation and walking environments as independent variables. Socioeconomic factors, networks, reciprocity, and norms were considered as control variabl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higher satisfaction with public transportation and walking environments positively influences interpersonal trust, suggesting that increased satisfaction in daily mobility positively impacts social capital. This study offers new insights into the social aspects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walking, anticipating it to be a foundational basis for future improvements in daily mo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