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 친화적 학교환경 연구

        김가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다문화 친화적 학교환경 연구 김가영 본 연구는 학교환경의 다양한 개념과 의미를 살피고, 다문화교육과의 연계성을 밝혀 다문화교육에서 학교환경의 의미와 다양한 측면의 함의를 찾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환경이 다문화교육에서 차지하는 역할을 새롭게 고찰함과 동시에 도덕교육의 의의까지 살펴 보고자 하였다. 특히 학교환경요인이 다문화교육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영향력을 탐색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에서 다문화교육에서 다문화 친화적 학교환경에 대한 의의를 검증하는 일은 향후 학교차원 또는 교사차원에서 다문화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유의미한 연구자료로 제공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이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환경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다문화 학교환경’ 또는 ‘다문화 교실환경’이라고 명명하였다. 이의 개념적 정의를 밝히고자 접촉이론과 생태주의 교육과정 이론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다문화 학교환경의 구성요소를 알아보고 교육과정상의 의미와 교육적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학교와 교실의 실제적인 현장 자료를 얻기 위해, 현장조사를 통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찰과 면담기법을 사용, 실제 초ㆍ중학교의 다문화 교육환경의 구성과 특징에 대해 다양한 시사점과 교육적 함의점을 얻고자 하였다. 특히 학교 및 교실환경은 크게 물리적환경과 사회ㆍ심리적 환경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두 가지 요소의 내용을 분석하고, 공통점을 찾아 다문화 교육에서의 의미를 이론적 배경과 교육과정 종류, 도덕교육적 함의를 기준으로 논의를 확장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 친화적 학교환경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는데 첫째, 학교의 교육과정 수립 시, 교육과정 전반에서 다문화교육을 위한 내용과 형식을 고려하여야 하고 둘째, 학교환경은 가변적이고 융통성 있는 교실환경과 달리 장기간 조성하기 때문에 지속성이라는 장점을 갖는다는 점이다. 셋째, 학교환경은 무엇보다 학교장의 올바른 다문화적 교육철학과 교육환경에 대한 개선의지가 중요하며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다문화 학교환경을 대부분 공동체적 차원으로 발전시켜 생각해야 한다고 믿고 있다는 것이다. 다문화 친화적 교실환경을 위한 시사점으로는 학생 개개인에 관심을 기울이고, 직접적 교육대상으로 인식하기 위한 환경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또한 학생들의 사회ㆍ심리적 발달단계를 고려한 조화로운 교실구성이 필요하다는 것, 그리고 교사는 주어진 교실환경의 제약 안에서 다문화교육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는 다양한 환경구성과 변화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연구 분야에 대한 표준화된 척도 개발이 어렵고, 이를 통한 학교환경의 구체적 개선이 가능한 일반화된 자료의 수집이나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학교환경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사회과학 조사방법의 접근이 필요하며, 후속연구에서 학교급별ㆍ지역적 표본 확대를 통해 연구범위를 확장시킨다면 학교환경과 교실환경의 개선ㆍ개발을 통한 효율적 다문화교육을 실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다문화교육에서 지향하는 학교와 사회는 민주주의와 같은 보편적인 원리와 부합됨과 동시에 차별이나 편견을 배제하는 다양성을 존중하는 두 가지 모습을 동시에 지니고 있어야 하는데 이를 지지해 주고 뒷받침 해 주는 것은 결국 학교라는 공간의 힘 일 것이다. 다문화적으로 구성되고 다문화적으로 운영되는 다문화 친화적 학교 환경 자체가 학생들을 다문화 사회의 바람직한 구성원으로 성장시키는 교육의 기본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는 점은 앞으로의 다문화교육의 발전방향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화학 보조학습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반응속도실험을 중심으로

        김가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assisted instruction for teaching materials in chemistry laboratory was studied as a model for modified laboratory program for reaction rate on high school chemistry cour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everal assisted instruction program through modification of the reaction rates. We have approached reaction rate from an experimental point of view, describing what happens in the laborator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xperimental method for measuring chemical reaction rates presented in 12th grade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8th grade high school chemical Ⅱ textbooks were classified by the methods of confirming production. To resolve these problems, an improved method for measuring the reaction rates was suggested.

      • 관목 및 초화류 중심의 모듈 기반 식재 설계 기법 연구

        김가영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대의 흐름에 맞춰 경관에 대한 관심 증가와 사회적 요구에 따른 식재 디자인의 경향 또한 달라지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의 식재디자인 흐름에 맞춰 국외에서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모듈 식재(Modular Planting)의 개념을 적용함으로써 식재설계가의 식재설계과정의 표준화 및 효율화를 지원하고, 궁극적으로 모든 수요자가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모듈화 된 식재설계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차적으로 식재모듈기법의 개발은 식재경관의 이해와 기본구조의 정립이 필수적인 바 식재구조가 갖는 수직적 층위구조와 및 수평적 분포양상을 체계화하였다. 따라서 전제적인 사항으로 공간규모의 설정과 이에 따른 적용 가능한 식물의 성상으로 연구의 기본적인 틀을 구축하였다. 공간규모는 최근의 식재 경향에서 추구되고 있는 소규모의 초화류의 다양성이 전제될 수 있도록 4㎡ (2x2 m)로 설정하였고, 식물의 성상은 관목류와 숙근초 및 그라스, 지피식물 등과 같은 초화류를 중심으로 하였다. 수직적 층위는 상층, 중층, 하층, 지피층으로 구분하였고, 이들의 수직적 층위조합을 통해 2층, 3층, 4층의 구조로 모두 11개의 서로 다른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한편 각 층위는 식물 성상의 조합에 의한 수평적 분포양상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수직적 층위와 수평적 분포양상을 기준으로 식재구조의 기본 틀을 구축하고, 보다 구체적인 식물성상의 구조화를 위해 층위 별 식재피도를 기준으로 한 모듈 기반의 식재 설계구조를 개발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유형의 체계화된 식재 구조의 기본 모듈을 제시하였으며, 이들의 현장 적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기본모듈의 각 식물 성상별 식물종의 선택을 통한 식재설계안을 제시하였다. 다만, 식물종의 선택은 가능한 계절적 효과 및 입지조건, 그리고 상호 경쟁상태 등을 충분히 고려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수직적 층위 및 수평적 구성 식물의 비율을 체계화한 식재 구조를 통해 모듈 기반의 식재 설계 가능성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식재 설계 과정과는 다른 새로운 식재 설계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rend of planting designs has changed in accordance with increasing public interest and demand. To keep pace with the trend,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module-based technique for planting design, using a concept of modular planting which has been actively used abroad. It supports the standardization and efficiency of plant design process by applying the concept of modular planting also it provide the client to choose what they want. In this study to develop module-based technique for planting design, it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of planting landscape and setting up the basic planting structure. This being so, planting structure is systematized by vertical layers and horizontal distribution of pla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basic framework of the study is to set the unit area of the planting space and to use plantable plants. The unit area of the planting space is set to four square meters(2x2 m) for the diversity of small and medium sized plants—shrubs, perennials, grass and groundcover—in the recent planting trend. The vertical layers consist of four layers—overstory, midstory, understory and ground layer—and they form groups of two to four, with 11 possible combinations in total. The horizontal distribution can be composed by different vegetation types such as shrubs, perennials, grass and groundcover. In Finally, these basic planting structures include ratio of green coverage of each layer for module-based planting design. Therefore, propose the basic module of various types of planting structures and selected plants from the module. However, the selection of the plant is required to consider the seasonal variation, location condition as well as mutual competition condition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onfirms the possibility of module-based planting design through the vegetation structure. Therefore,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finding the new planting design method that differs from the existing ones.

      •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모바일 학습 콘텐츠 연구 : 챗봇 말하기를 중심으로

        김가영 韓國外國語大學校 KFL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OVID-19 crisis has accelerated the transformation of the educational paradigm, and beyond Blended Learning, which has demonstrated the utility and convenience of mobile media, independent mobile-based learning has become an essential facet, not merely an optional on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it is not an exception. Independent mobile learning designs are necessary, for the nationality and scope of Korean learners are becoming increasingly more diverse, and for as not only learners with specific purposes such as academics and employment, but also potential learners suitable for mobile will continue to increase in the future depending on the impact of the Korean Wave. Accordingly, based on the utility of chatbot-based language learning, where the availability of language learning has been continuously raised, this study intends to design a single Korean Speaking Course for English-speaking learners leveraging a pre-developed chatbot-based application for L2 learners. Thus, this study coul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so far which have only proposed virtual chatbots or designed and performed fragmentary units and a handful of tasks. This study will also be a springboard for proposing the direction of chatbot technology for future language learning. In order to design independent mobile learning which can be applied in practice, this study established the criteria for learning design based upon the principles of mobile speaking education, and examined the educational effects and functions of chatbot technology and social media. After that, designed the learning time,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ing content based on microlearning techniques enhancing learner engagement in mobile learning, NDAE model theory which allows learners to recognize and internalize their own goal expressions and apply them to actual speaking, and functional teaching outlines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arget grammar. In conclusion, suitability of the actual course was judged by means of the analysis table suggested by the previous study. In addition, a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on 64 learners to determin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designed course. As a result, 53 out of 64 learners repeatedly listened to native speaker voices for speaking learning, 52 learners learned to follow along, and 55 outof 64 learners answered very positively in response to the question of whether native speech skills are helpful for speaking learning. This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independent mobile learning. In addition, in the satisfaction question for the quiz format, which is a learning activity within the chatbot-based lesson, the very negative answers were close to 0%, indicating that chatbot-based quiz activities bore a positive impact on the end goal, speaking learning. Through this, chatbots equipped with speech technology for language learning have been shown to be well suited as a learning tool for speech learning. In addition, in the section addressing whether social-media-based role-playing learning has helped them understand real-world situations, 33 answered "strongly yes" and 22 answered "yes," suggesting that 55 out of 64 learners were helped by learning through social media, suggesting that they could overcome the practicality of speaking, which was a limitation of traditional mobile learning. When it comes to questions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study, 28, 36, and 25 respondents respectively responded "strongly yes" to Korean cultural learning, role-playing scenarios, and colloquial expression learning satisfaction, which was found to be helpful for learners through the Korean Speaking Manual, which was written with the goal of "communication skills," to organize role play surrounding grammar and colloquial expressions for actual speaking, as well as to select and arrange th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functional teaching syllabus. As such,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ystematically designed the learning time, learning content, and learning environment for the creation of a single-featured, course, and applied it to the actual learner to the point of review, and revealed the possibility of independent mobile speaking learning.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springboard for the research pertaining to the design of Korean language learning conten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at in the future, various technological developments for language learning and systematic content development from a pedagogical perspective will be actively carried out, and a variety of pioneering models of Korean distance education will be developed worldwide.

      • 전북지역 보육교사의 당류 저감화 인식도에 따른 영양지식, 식행동 및 급식지도와의 관계 연구

        김가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Research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behavior related to sugar, and meal attitude education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reducing sugar intake, targeting Jeonbuk area daycare center teachers, and as well a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developing meal attitude education materials in relation to sugar for improving daycare center teachers’ perception on reducing sugar intake and children’s healthy dietary life management. Research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19 to February 2020, with 330 daycare center teachers in Jeonbuk area as subjects and through a questionnaire methodology. 30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in total, and 296 questionnaires (90%) were used as analysis dat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perception on reducing sugar intake,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behavior related to sugar, and meal attitude education.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SPSS v.25.0 was used. Research Results : Subjects were 296 daycare center teachers in Jeonbuk area in total, 287 (97%) being women and 9 (3%) being men.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reducing sugar intake, it was surveyed that ‘high’ group was 95 subjects (32.1%) out of 296, ‘normal’ group was 127 subjects (42.9%), and ‘low’ group was 74 subjects (25.0%). The average age of subjects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reducing sugar intake of ‘high’ perception of reducing sugar intake group (35.64 ± 8.93) and ‘normal’ group (33.50 ± 8.84)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low’ group (30.00 ± 7.19) (p<0.001). For a marital status of subjects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reducing sugar intake, the number of unmarried was the highest in ‘normal’ group with 73 subjects (57.5%). For married, ‘high’ perception of reducing sugar intake group was the highest being 57 subjects (60.0%),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reducing sugar intake between the unmarried and married (p<0.001). For work experience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reducing sugar intake, ‘high’ group (6.37 ± 5.46 yea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group (4.93 ± 3.47 years) and ‘low’ group (4.10 ± 3.82 years) (p<0.01). In comparison of awareness level of reducing sugar intake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reducing sugar intake, it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order of ‘high’ perception of reducing sugar intake group (4.30 ± 0.29), ‘normal’ group (3.65 ± 0.18), and ‘low’ group (2.91 ± 0.35) (p<0.001). The result of comparison of daycare center teachers’ perception of each group on reducing sugar intake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reducing sugar intake showed in ‘know what reducing sugar intake is’ (p<0.001), ‘has a lot of interest in reducing sugar intake’ (p<0.001). ‘reducing sugar intake is necessary in daycare centers’ meal service’ (p<0.001), ‘reducing sugar intake is necessary in children’s snacks’ (p<0.001), ‘concrete methods for implementing reducement of sugar intake in daycare centers’ meal service are necessary’ (p<0.001), ‘concrete methods for implementing reducement of sugar intake in children’s snacks are necessary’ (p<0.001), ‘must provide snacks that are low in sugar to children’ (p<0.001). ‘am aware that the MFDS(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puts multipronged efforts into reducing sugar intake’ (p<0.001), ‘must restrict the sales of foods high in sugar at facilities for children (e.g. Kids Cafe, Science Museum)’ (p<0.001), ‘nutritional education on reducing sugar intake is necessary for children’ (p<0.001), ‘nutritional education on reducing sugar intake is necessary for parents’ (p<0.001), ‘nutritional education on reducing sugar intake is necessary for daycare center teachers’ (p<0.001), ‘nutritional education on reducing sugar intake is necessary for cooks’ (p<0.001), ‘want to know the recipe for reducing sugar intake’ (p<0.001) questions, it was high in the order of ‘high’, ‘normal’, and ‘low’ group,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Research subject’s nutritional knowledge in relation to sugar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reducing sugar intake was high in the order of ‘high’ group (0.79 ± 0.13), ‘normal’ group (0.74 ± 0.12), ‘low’ group (0.68 ± 0.17),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For nutritional knowledge, the score of ‘high’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ups in the following questions: ‘natural foods such as fruits, honey, sweet potato, pumpkin contains sugar in them’ (p<0.01), ‘sugar in natural food are digested·absorbed faster than sugar in processed food’ (p<0.01), ‘if have a meal rich in fiber, sugar is absorbed slowly, so the blood sugar increases slowly’ (p<0.01), ‘brain uses only glucose as an energy source’ (p<0.05), ‘The main sources of added sugar are sugar, high fructose corn syrup, starch syrup, treacle, honey, syrup, and concentrated fruit juice’ (p<0.05), ‘if eat multi-grain rice instead of white rice, it helps with glucose control’ (p<0.05), ‘Fruit, vegetable juices are low in sugar, so can drink without worrying’ (p<0.05). For ‘excessive intake of sugar can cause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s, and etc.’ (p<0.05), ‘normal’ group was higher than ‘low’ group,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earch subjects’ dietary behavior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reducing sugar intake, ‘high’ perception of reducing sugar intake group (3.34 ± 0.70) and ‘low’ group (2.95 ± 0.79) present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For dietary behavior section, the score of ‘high’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ups in the following questions: ‘try to check nutrition labeling when buying products’ (p<0.001), ‘like cereal, snack, and biscuit’ (p<0.01), ‘try to eat not sweet when eating food’ (p<0.01), ‘often eat candies, chocolates, jellies’ (p<0.05), ‘drink fruit juice more often than real fruit’ (p<0.05), ‘when thirsty, drink carbonated beverages such as Coke or Sprite more often than water’ (p<0.05), ‘eat ice cream often’ (p<0.05). In research subjects’ meal attitude education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reducing sugar intake, the score was high in the order of ‘high’ perception of reducing sugar intake group (4.51 ± 0.43), ‘normal’ group (4.30 ± 0.46), ‘low’ group (4.10 ± 0.53),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p<0.001). In the following questions in meal attitude education in relation to sugar, ‘advise to drink plain milk rather than chocolate or strawberry milk’ (p<0.001), ‘Instruct to drink sweet beverages such as juice or carbonated beverages less’ (p<0.001), ‘Instruct to eat candies, chocolates, jellies less’ (p<0.001), ‘instruct to drink clean water rather than sweet beverages’ (p<0.001), ‘advise to eat fruits rather than fruit juice’ (p<0.001), ‘instruct to brush teeth after having sweet snacks’ (p<0.001), ‘advise to eat fruits rather than confectionaries as a snack’ (p<0.01), the score of ‘high’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ups. In the following questions in general meal attitude education section, ‘explain the importance of meals and nutrition’ (p<0.01), ‘instruct to organize table wares and surroundings after meals’ (p<0.01), ‘instruct to wash and sanitize hands before having meals’ (p<0.05), ‘instruct to brush teeth after having meals’ (p<0.05), ‘instruct to not talk while having food in mouth while eating’ (p<0.05), ‘instruct to have a balanced diet and not pick at food’ (p<0.05), ‘instruct to use utensils properly’ (p<0.05), ‘instruct to refrain from playing around with food or doing other activities besides eating’ (p<0.05), the score of ‘high’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ups. In the correlation of research subjects’ age, work experience, perception of reducing sugar intake, nutritional knowledge in relation to sugar, dietary behavior in relation to sugar, and meal attitude education, the age of daycare center teachers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work experience (r=0.546, p<0.01),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ption of reducing sugar intake (r=0.254, p<0.01) and dietary behavior in relation to sugar (r=0.392, p<0.01), and showed positive correlation yet in low level with nutritional knowledge in relation to sugar (r=0.132, p<0.05) and meal attitude education (r=0.130, p<0.05). The work experience of daycare center teacher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ption of reducing sugar intake (r=0.242, p<0.01), dietary behavior in relation to sugar (r=0.214, p<0.01), and meal attitude education (r=0.125, p<0.05). The perception of reducing sugar intak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utritional knowledge in relation to sugar (r=0.273, p<0.01), dietary behavior in relation to sugar (r=0.191, p<0.01), and meal attitude education (r=0.351, p<0.01). Nutritional knowledge in relation to sugar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eal attitude education (r=0.118, p<0.05). Dietary behavior in relation to sugar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eal attitude education (r=0.174, p<0.01). Conclusion :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daycare center teachers with high perception of reducing sugar intake had high level of nutritional knowledge related to sugar and dietary behavior, and general meal attitude education and meal attitude education activity in relation to sugar were superior. Therefore, an education that can increase the perception of reducing sugar intake and a development of meal attitude education materials in relation to sugar for children’s healthy dietary life management would be necessary.

      • 통합적 요리활동을 통한 다문화 수용성 함양

        김가영 진주교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시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다문화 관련 행사나 교육을 살펴보면 음식과 관련된 내용이 꼭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음식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인간에게 있어 기본적인 욕구라고 할 수 있는 먹거리를 통해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요리활동은 단순히 음식을 만드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아니라, 오감을 활용하여 참여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친숙함과 친밀감,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교육이다. 따라서 생활 속의 친숙한 요소인 음식과 요리활동을 다문화교육과 연계하여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접근한다면 좀 더 이상적인 다문화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어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요리활동은 유아들이 요리재료를 알아보고, 만들어 보고, 변화과정을 관찰하는 등 건강, 언어, 표현, 사회생활 영역을 통합하는 과정 중심의 통합교육으로서 가치가 있는 활동이며, 동시에 유아들이 매우 좋아하고 흥미 있어 하는 활동이다. 본 연구에서 중요한 핵심 요소인 다문화 수용성이란 다문화 사회에서 살아가는 시민으로서 자기와 다른 구성원이나 다른 문화에 대하여 인종, 국가 등과 같은 집단별 편견을 갖지 않고 자신의 문화와 동등하게 서로 인정하고 그들과 공존의 방향으로 조화로운 관계 설정을 위하여 협력하며, 외국인이나 이주민을 대할 때 출신지역이나 경제적 수준에 따라 차등을 두지 않으면서 세계시민의 한 일원으로서 보편적 가치에 입각하여 이를 실천하고자 하는 총체적인 의미의 태도로 정의한다. 다문화수용성은 우리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진전됨에 따라 여러 문화, 종교 및 종족적 기반이 다른 다양한 정체성을 가진 집단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시민으로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덕목과 역량이다. 본 연구는 베트남의 ‘월남쌈’을 통합적 요리활동 주제로 선정하여다문화수용성 함양을 도모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베트남의 대표적인 음식중 하나인 월남쌈은 반짱이라고 불리는 라이스 페이퍼를 미지근한 물에 담갔다가 뺀 후 각종 채소와 과일과 같은 재료를 넣어 싸먹는 음식이다. 월남쌈은 유아들에게 다소 익숙하지 않은 음식이지만 먹는 방법이나 각각의 재료, 다양한 색감 그리고 독특한 베트남의 소스까지 다문화적 요리활동을 통해 충분한 흥미를 유발 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월남쌈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특성을 응용해 언어활동이나 수·과학활동 그리고 표현활동 등과 같은 다양한 교육활동을 함께 연계함으로써 통합적인 교수접근법이 가져올 수 있는 개념의 심화와 확장성 또한 함께 고려 할 수 있다. 통합적 요리활동을 통해 여성가족부의 다문화수용성 측정 요소들인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을 분석하고 관련지어 다문화 요리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하고자 한다. 현재까지 다문화교육과 요리활동에 관한 연구는 다수 존재하나 다문화수용성과 요리활동에 관한 연구 보고는 아직 없으므로 교사들의 다문화 교육현장에서 활용되어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보육교사의 휴게시간 이용 실태와 인식

        김가영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2021년 현재 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의 휴게시간 이용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보육교사에게 주어진 휴게시간 보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휴게시간 이용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휴게시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어린이집 휴게시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G 광역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3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김도안(2019), 박지혜(2020)가 사용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직접 배포와 온라인 전송 방식을 병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IBM SPSS 25.0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 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둘째, 배경 변인에 따른 보육교사의 휴게시간 이용 실태와 휴게시간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 분석을 실시하여 검증 및 피셔 정확 검정(Fisher’s Exact Test)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보육교사들은 대체로 휴게시간을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었다. 여기에는 휴게시간의 법적 보장에 대한 기관의 민감성 부족뿐만 아니라 영유아의 특성, 보조교사, 통합보육, 학부모 등 다양한 원인이 그 배경에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자신이 근무하고 있는 보육 기관이 근로기준법에 명시된 보육교사의 휴게시간 권리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다시 말해, 보육교사들은 자신이 현재 법령으로 보장된 휴게시간을 활용하지 못하는 것은 기관이 이러한 법령이 있는 사실도 모르고 있기 때문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앞서 기술한 노동자의 권리가 손쉽게 부정당하는 보육 교육 현장의 분위기를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향후 휴게시간 보장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에 대해서 대다수 보육교사가 점심시간을 근무 시간에 포함해 조기 퇴근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휴게시간 이용에 대한 실태와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휴게시간 보장 정책과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보육교사에게 휴게시간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휴게시간 보장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 미국 드라마와 영어회화교재에 나타난 동사 get, make, take의 코퍼스 기반 연구

        김가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어회화 교수학습 자료로 많이 활용되는 미국 드라마와 영어회화교재를 비교하여 각각의 특징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어휘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실제 언어 사용에서 높은 빈도로 출현하며 우선순위 학습 대상으로 강조되는 다빈도 동사 get, make, take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각 동사가 나타내는 의미 갈래, 연어 유형, 그리고 탈어휘적 활용을 살펴보았다. 동사별 의미 갈래 분류에는 LDOCE(Longman Dictionary of Contemporary English), 탈어휘동사구문의 활용도 분석에는 구어-COCA(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를 참조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드라마와 교재 모두 get take, make 순으로 다양한 의미 갈래를 나타내었고, get의 의미 갈래는 넓은 범위로 분포했지만, take와 make의 의미는 LDOCE 기준의 활용도 높은 갈래 위주로 분포하였다. 동사별 의미 갈래의 종류와 빈도에 있어서 드라마 간에는 전반적으로 결과가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교재 간에는 차이가 컸다. 연어 종류에 관해서도 드라마와 교재 모두 get의 쓰임이 가장 많았으며, 모든 동사에서 ‘동사+명사’ 유형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만, 그 외의 연어 유형에 관해서 교재는 매우 낮은 비율로 제시하였다. 나아가 드라마와 교재에 제시된 ‘탈어휘동사+명사’ 연어는 대부분 그 조합이 어느 정도 한정된 중 결합 연어로 밝혀졌다. 드라마와 교재가 공통으로 포함하는 탈어휘동사 연어의 종류는 많지 않았고, 일부 교재에서는 특정 동사의 탈어휘적 활용이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이처럼 드라마와 교재 모두 동사를 의미적, 연어적으로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어서 문맥을 통한 어휘 학습의 필요성을 강조된다 하겠다. 나아가 교수학습자료 선정 시 교재는 그 종류에 따라서 동사를 학습하는데 한정된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분석은 코퍼스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하여 교수자의 적극적인 코퍼스 활용이 권장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high-frequency verbs ‘Get’, ‘Make’, and ‘Take’.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verbs in American dramas and English conversation books for adults. A corpus-based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meanings, collocations, and delexicalized usages of each verb. In the process, LDOCE (Longman Dictionary of Contemporary English) and Spoken-COCA(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were employed as references to classify the meanings and to analyze the substantive utilization of delexicalized verb phrases. The major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Both the dramas and the books showed similar patterns with regard to the distribution of meanings. ‘Get’ was presented in the widest range, while ‘Take’ and ‘Make’ were weighted towards the most frequently used meanings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LDOCE’s classification. There were also few tendencies shown in regards of types and frequency of each meanings. Those of distributed meanings were comparable in the use from the dramas, while there were large differences in them from the books. In terms of collocation, ‘Get’ was the most commonly appeared in the dramas and the books, and all three verbs were most frequently conjugated with nouns, while the other types showed very low proportion in the books. Moreover, most of the delexicalized verbs were found to be medium-strength collocations. Varieties as well as types of delexicalized verb phrases in the books misaligned with the ones in the dramas, and some books didn’t present any delexicalized application in certain verbs. Some implications can also be made from the results. The importance of learning vocabulary in context should be emphasized because both the dramas and the books contain verbs with various meanings and collocations. However, it must be noted that some books may not cover all the significant aspects of verbs, and that instructors have to provide additional examples to compensate. Lastly, it is recommended that instructors use corpus tools more actively in order to use teaching materials more efficiently.

      • 판화에 나타난 만화이미지 연구

        김가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쇄 기술의 발달은 판화의 탄생과 변천과도 연관이 깊다. 이는 판화가 순수한 예술적 기능보다는 복제에 의한 대량정보의 전달 측면에서의 발달을 의미한다. 하지만 사진의 발명으로 인해 판화는 독립된 순수예술의 조형언어의 표현으로 들어서게 되면서, 그 안에 있던 풍자적 이미지는 만화라는 대중매체의 양상으로 이어져 오게 된다. 즉, 이러한 판화의 경향 중 하나는 만화적 요소를 가지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본 연구자는 만화가 현대의 대중문화 속에 깊이 침투해 가고 있고 각종 분야에서 점점 적극성을 띠어가는 추세를 보았을 때, 만화에 대한 새롭고 본질적인 이해를 하지 않으면 안 될 시점에 이르렀다고 보았다. 특히 만화 이미지가 순수한 고급예술과는 달리 소위 저급한 문화 유형들과 관계되어 있다는 이유로 만화의 연구에 대한 질적인 수준은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는 듯하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순수예술로서의 판화와 그 속에 나타난 만화의 개념을 정리해보고, 판화에 나타난 만화 이미지의 조형적 특징의 관계에 대해 주목하고자 한다. 연구의 본문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Ⅱ장에서는 판화와 만화의 정의 및 역사적 배경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판화란 ‘판에 의한 그림’을 말하며, 초기의 목적과는 다르게 인쇄술과 사진의 발달로 인해 순수 예술적 가치를 지니게 된다. 만화는 이러한 인쇄에서 판화를 거쳐 발전된 대중매체의 하나로 현대인들에게 가장 친숙한 예술적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Ⅲ장에서는 판화와 만화의 상관관계와 만화 이미지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판화와 만화 이미지는 결코 분리될 수 없는 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만화이미지는 추상성, 풍자성, 언어와 그림의 통합, 시간성, 단순화와 과장성, 환상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만화는 조형성, 창의성, 정서성의 측면에서 예술적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Ⅳ장에서는 판화 속 만화 이미지가 나타난 작가별 작품을 다루었다. 많은 작가들은 회화 작업을 하면서 동시에 판화의 매력을 느껴 작품을 남겼다. Ⅲ장의 만화이미지의 특징을 다시 대중적, 풍자적, 단순화와 과장적, 환상적 이미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현대에 이르러 각 예술 분야가 그러하듯 판화에 있어서도 실험적 작업들로 인해 개념의 모호성과 허용범위에 대한 논란 등으로 다른 예술 작업과의 경계가 흐려지고 있다. 이러한 현대 미술사의 흐름 속에서 순수예술로서의 판화개념을 정리해볼 필요성을 느끼며, 그 속의 만화 또한 고급예술과 저급예술의 경계를 극복하여 새롭게 발전한 다양하고 탈장르적인 새로운 이미지의 관계를 짚어보고자 한다. 판화와 만화는 더 이상 기존의 개념에만 머물러 있어서는 안 되며, 앞으로 이 둘의 영역의 확장은 불가피할 것이라 보여 진다. Development of printing technology is deeply related to the birth and change of a printmaking, too. This means printmaking is a development not in a pure artistic function but rather in the side of delivering mass information by reproduction. However, as a printmaking came into a formative language expression of independent pure art by invention of photograph, satirical image that had existed in it was connected to the aspect of mass media called cartoon. That is, one of such trends in a printmaking is holding the element of cartoon, and the author decided that it is time to attempt a new and essential understanding on a cartoon, now that a cartoon is seeping into the modern popular culture with increasing positivity in every kind of fields. Particularly, it seems the qualitative standard of studying a cartoon has not significantly improved for the reason that a cartoon image is related to so-called low-class culture patterns, differently from pure classic art. In this current, the author aimed to summarize the concepts of a printmaking as pure art and a cartoon shown in it, and pay attention to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cartoon image shown in a printmaking. The body of this study was advanced as the following. In Chapter Ⅱ, the author investigated the definitions of a printmaking and a cartoon and their historical backgrounds. A printmaking means ‘a picture by printing’ and different from the initial purpose, it earns a pure artistic value due to the development of printing and photograph. A cartoon is one of such mass media developed from printing and then a printmaking, drawing attention as the most familiar artistic alternative to modern man. Chapter Ⅲ dealt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printmaking and carto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a cartoon image. It was verified that images of printmaking and cartoon had an absolutely inseparable relationship and a cartoon image had the characteristics of abstraction, satire, unity between language and picture, time, simplification and exaggeration, and fantasy. Besides, a cartoon had an artistic sense in the aspects of molding, creativity and emotion. Chapter Ⅳ dealt with works by artist showing a cartoon image in printmaking. Many artists produced printmaking works feeling its attraction while working on paintings. Characteristics of a cartoon in Chapter Ⅲ were classified again into the public, satirical, simplified and exaggerated, and fantastic images for analysis. In the modern times, like the other fields of art, experimental jobs have made the border with jobs of other arts blurred with ambiguity of concepts, controversy over permissible range, etc. In such current of modern art history, the author feels a need to organize the concept of a printmaking as pure art, and as for the cartoon in it, too, will look into the new relationship of diverse, non-genre new image, newly developed overcoming the border between high and low class art. printmaking and cartoon should not remain at an existing concept, and it is deemed inevitable for both fields to expand hencefor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