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국적 반도체 장비회사 한국인 지사장의 역량에 대한 사례연구

        길성식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It is said that the business environment and the company's technological capabilities play important roles for multinational companies to decide the strategy for the operation of their overseas subsidiaries. This study is derived from the question of why the Korean is selected as a country manager in multinational semiconductor equipment companies in Korea and is an exploratory case-study to identify their strategies and country managers’ competencies that need for strategy implementation. That is, it is to identify and categorize the competencies of the Korean country manager in multinational semiconductor equipment companies as a unique field, which has not been tried in previous studies,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 for strategy implementation. The 5 of competencies of the Korean country managers which explored by interviews with the active country managers and related persons are being categorized, such as excellent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the headquarter and customers respectively; semiconductor equipment expert capabilities; the ability to establish and maintain strategic partnerships with customers by close customer relationship; control power and leadership over Korean employees; and the luck. And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country managers of multinational equipment companies have almost the same competencies to perform similar jobs. Furthermore, in order to categorize the different capabilities of the country manager according to the company's own strategy by the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the size of market demand of multinational semiconductor equipment companies, the researcher classifies technology·market-based type which is composed of high technology & large market; the technology-based type which is composed of high technology & small market; the sales-based type which is composed of low technology & small market; and the market-based type which is composed of low technology and large markets. Then, the researcher categorizes the competency types of the country managers as comprehensive competency EV type; sales competency type TB; comprehensive competency EF type; sales competency MO type respectively. The content to be covered are as follows. Chapter 1 contains the necessity, purpose, issues, its contribution,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Korean semiconductor industry and multinational semiconductor equipment companies to help you understand the research. Chapter 2 covers a literature review to investigate the competency, CEO competency, competency modeling, NCS, fit in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human capital, the structure of the multinational companies and competitive strategies, and the roles of country managers in multinational companies. In Chapter 3, referring to McKinsey's classification, semiconductor equipment companies are classified by the market demand and technical competence, and then, the hypothetical model for the competencies of country managers is proposed according to Kotler's classification. Chapter 4 is a research methodology that covers a qualitative single-case study, researcher preparation, validity, and reliability. In Chapter 5, the results of the study, 18 roles and 5 common competencies of the country managers in multinational semiconductor equipment companies are found. Chapter 6 is a conclusion, as the research model is proposing, that different competencies are identified by different types of strategies that are implementing in the multinational semiconductor companies, implication, and finally its limitations of the research & further research plan are discussed 다국적기업에서 기업환경 및 기업의 기술역량은 해외자회사 운영전략 결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왜 한국에 진출한 다국적 반도체 장비회사의 한국지사장은 한국인인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으며, 반도체 장비회의 전략과 그 전략을 수행하는 한국인 지사장들의 역량에 대한 탐색적 사례연구이다. 전략 수행을 위한 인재의 중요성의 인지를 바탕으로 기존의 연구에서 시도하지 않았던, 특정한 분야 로서의 다국적 반도체 장비회사 지사장의 역량을 살펴보고 그들의 역량을 유형화 하는 것에 본 논문의 목적이다. 현직 지사장 및 관계자들의 면접을 통하여 탐색한 한국인 지사장의 역량은 본사와 고객과의 탁월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반도체 장비 전문가로 서의 능력; 고객과의 친화력을 바탕으로 하는 고객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형성 및 유지 능력; 한국직원에 대한 장악력 및 리더십; 운 과 같은 5가 지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다국적 장비회사의 지사장들은 서로 유사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거의 동일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다. 나아가, 기업의 전략에 따른 지사장의 서로 다른 역량을 유형화하기 위하여 다국적 반도체 장비회사의 기술역량과 시장수요의 크기에 따라 높은 기술, 큰 시장의 기술․시장기반형; 높은 기술, 작은 시장의 기술기반 형; 낮은기술, 작은시장의 영업기반형; 낮은기술, 큰시장의 시장기반형으로 나누어 보았으며, 각 기업유형에 필요한 지사장의 유형을 각각 종합역량 EV형; 영업역량 TB형; 종합역량EF형; 영업역량MO형으로 유형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룰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연구의 필요성, 목적, 문제, 의의 및 연구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한국의 반도체산업과 다국적 반도체 장비회사의 현황 등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다. 제2장에서는 다국적 기업의 지사장의 역할과 역량을 알아보기 위한 문헌연구로서 역량, CEO역량, 역량모델링과 NCS, 조직과 인재의 정합성, 다국적기업의 현지지사의 형태와 경쟁전략 및 그 전략에 따른 지사장의 역할 등을 알아보았다. 제3장에서는 연구모형으로서 M c Kinsey consulting의 유형구분을 인용하여 시장수요와 기술역량에 따라 반도체 장비회사의 기업을 구분하였고, Kotler의 기업유형 분류에 따르는 지사장 역량에 대한 가설을 수립하였다. 제4장은 연구방법론으로서 질적 단일사례연구, 연구자의 준비, 타당성 및 신뢰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5장은 연구의 결과로서 18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지사장의 역할과 5개항목의 공통역량을 도출하였다. 제6장에서는 결론부분으로 연구모형에서 제안하였듯이 다국적 반도체 회사의 유형에 따른 각기 다른 역량을 도출하고, 시사점,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