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경도 장애학생 전이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비교 : 특수교육전문가, 특수교사, 장애학생 부모를 중심으로

        기정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장애아동과 장애청소년의 교육 프로그램은 그들이 최대한 독립적인 생활을 하고, 비장애인과 통합된 환경에서 사회의 구성원으로 가치 있는 역할을 수행하며, 만족한 삶의 질을 가지도록 준비시키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지원이 요구된다. 특히 고등학교 졸업 후 지역사회로의 전이시기는 공교육을 마치고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독립적인 생활과 역할을 수행해야 할 성인생활을 시작하는 시기이므로 더욱 많은 지원과 준비가 필요하다. 이시기의 장애학생의 효과적인 전이를 위한 서비스와 지원에 대한 관심이 최근에 더욱 집중되고 있다. 많은 연구들은 지역사회로의 전이를 위한 지원전략과 전이프로그램의 필수 구성요소를 판별하는데 초점을 두었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계획과 실행을 위한 최상의 실제들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이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개발하고 최상의 실제들을 제시하였으나 타당성과 효과성을 입증하는 연구들이 적다는데 초점을 두고, 최근연구들은 최상의 실제들의 효과성을 판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교육현장에서도 장애학생의 성인기 생활을 준비시키기 위해 전이교육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나 여러 가지 현실적인 제한들로 인하여 아직 체계적인 실행단계에 있다고 할 수 없다. 아직 국내의 연구들이 전이교육에 대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고, 현장과 연계되는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은 더욱 제한적인 상황이다. 더욱이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지원은 현재 상황에서 더욱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들을 위해 선행연구자들이 제시한 전이프로그램의 최상의 실제 구성요소들을 반영한 교육과정과 최상의 실제 구성요소로 고안된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이 전이프로그램의 최상의 실제로 제시한 요소들을 문항으로 작성하여 특수교육 전문가와 특수교육 교사, 경도장애학생 부모를 대상으로 전이교육 프로그램의 최상의 실제 구성요소들에 대한 집단간, 집단내의 중요도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국 대학교의 특수교육학과와 직업재활학과에 소속된 교수와 서울시내 12개 특수학교(정신지체, 정서장애학교)와 9개 일반고등학교(특수학급)의 특수교육 교사와 동학교에 재학중인 경도장애학생의 부모 총 454명을 대상으로 중요도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지는 Morningstar와 동료들(1999)이 제시한 최상의 실제들을 바탕으로 5개 범주의 하위 18항목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범주와 요소에 대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연구문제에 따라 t검증 또는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분석을 위해 Scheffe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특수교육 전문가, 특수교육 교사, 경도장애학생 부모의 전이프로그램 구성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중요도 인식은 특수교육의 전문가의 경우에 개별화되고 포괄적인 전이계획, 학교와 지역사회 통합, 적절한 직업능력 개발을 위한 현장훈련, 둥의 순위였고, 특수교육 교사는 개별화되고 포괄적인 전이계획, 사회성기술 훈련, 사후연구와 프로그램구성 등의 순위로 중요도를 인식하였다. 그리고 장애학생 부모는 사회성기술 훈련, 학교중심 관련서비스, 개별화되고 포괄적인 전이계획 등의 순위로 중요도를 인식하였다. 2. 전이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중요도에 대한 집단간 인식차이를 알아본 결과, 18개 요소 중 8개의 요소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수교육 전문가는 개별화되고 포괄적인 전이계획, 학생참여와 자기결정기술 교수 요소에 대해 다른 두 집단보다 중요도를 높게 인식했고, 특수교육 교사는 졸업 후 성과에 초점을 둔 교육과정, 가족참여, 계획의 유연성 요소에서, 장애학생 부모는 학교의 직업재활 상담가, 학교중심 관련서비스, 학교졸업 후 성인서비스 이용 요소에서 다른 집단보다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였다. 3. 전이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중요도에 대한 범주별 인식차이를 알아본 결과, 5개 범주 중에서 1개의 범주 즉, 가족참여에서 세 집단간 인식차이를 보였다. 장애학생부모가 가족참여에 대해 중요도를 낮게 인식한 반면에 교사와 전문가는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였으며 특히 교사와 가족의 차이가 확연했다. 4. 교사 변인에 따른 구성요소의 중요도 인식차이는 소속, 교사경력, 전이교육연수 유무, 연수내용적용 유무에 따라 알아보았다. 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간에는 특수학급 교사가, 교사경력10년 이하와 11년 이상 두 집단간에는 경력이 10년 이하인 교사가, 전이교육 연수 유무에서는 전이교육을 받은 교사가 프로그램 구성요소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았으며, 전이교육연수내용 적용유무는 연수를 받은 집단이 중요도 인식이 높았다. 5. 가족변인에 따른 중요도 인식차이를 알아본 결과, 부모의 연령과 학력, 가정의 수입, 장애자녀의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의 연령이 40대 이하 일 때, 부모의 학력이 대졸이상일 때, 중요도를 높게 인식했고, 가정의 수입이 낮을 수록 학생참여와 자기결정기술 교수 요소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았다. 장애학생의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가족이 학교졸업 후 성인서비스이용 요소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자녀의 졸업 후 계획은 응답자의 65%가 직업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다고 하였으며, 자녀의 미래에 대해 상담하고 싶은 대상으로는 다른 특수교육 전문가(26.2%)를 가장 선호하였다. 본 연구를 종합해 보면, 전이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중요도에 대해 특수교육 전문가와 특수교육 교사와 경도장애학생 부모는 서로 인식차이를 보였다. 즉, 특수교육 전문가는 선행연구들이 최상의 실제로 제시하고 효과성과 타당성을 입증한 요소들에 대해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였고, 특수교육교사는 현재 우리 교육현장에서 시급히 요구되는 교수와 직접 관련되는 요소들을 높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경도장애학생의 부모들의 인식은 학생의 졸업 후를 고려한 지원의 욕구를 반영하고 있었다. 구성요소에 대한 집단간차이는 8개 요소에서 차이가 났으며, 그중 가족지원망과 가족참여 요소에서 집단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가족이 전이교육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전이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전이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우리나라 전문가와 특수교사와 장애학생 부모의 의견차이를 반영하고, 효과성과 타당성이 입증된 전이프로그램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여 개발 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이론과 실제의 차이를 고려하여 현장적용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학교와 부모의 장애학생교육에 대한 이견(異見)을 고려하여 학교와 가족의 협력체제와 부모욕구가 반영된 전이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he goal of education for the disabled children and young people to achieve maximum independent lives to carry out valuable roles as members of integrated community and be ready for quality of life. Therefore, they need on appropriate support to get jobs and adapt successfully to the community as a citizens. Many studies focus on discernment of supportive strategies and essential components of program for supporting students who transit from school to the community, and present the best practices to plan and carry out effective program. Although researchers have developed many programs and have presented the best practices, they were not proved to be valid and effective. At present, there is no relate transition program and very limited efforts have been made to integrated such program to the fiel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3 groups on the important of components of the best practices presented by former researchers.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454 person: special education professors i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high school teachers on special students, and the parents of mild disability students who go to the same schools. A questionnaire made of 18 item in 5 categories designed by Morningstar et al., (1999)were us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n transition education of the subjects.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or ANOVA and Scheffe test of the follow up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investig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1. On elements of transition program, the special education experts considered the individualized and comprehensive transition planning, integrated school and community, career pathway and contextual learning were importan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ought the individualized and comprehensive transition planning, social skill training, follow-up studies and program evaluation were important. And the parents of disabled students recognized social skill training, school-based related services, individualized and comprehensive transition planning were important. 2.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in 8 elements of 18 ones between groups on the important elements of transition program. The special education experts considered individualized and comprehensive transition planning and student involvement and self-determination were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groups di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ought focus curriculum on postschool outcomes, family network and involvement and flexibility in planning were important and the parents of disabled students recognized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in schools, school-based related services, availability of postschool adult services were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groups did. 3.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in 1 category of 5 ones, family network and involvement, between the 3 groups. The parents of disabled students considered family network and involvement was less important,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s and the experts thought it very important. 4. According to the teacher measure,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in awareness of importance on comprehensive vocational assessment, focus curriculum on postschool outcomes and personnel preparation betwee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classroom teachers. The special classroom teachers recognized them more important tha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d. According to the teacher year, the teachers who have thought under 10 years thought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in school more important than the teachers who have thought over 11 years did.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in identifying and matching environmental supports between the teachers who had taken transition workshop and those who had not. On appling the workshop to his/her work,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in personnel preparation and follow-up studies and program evaluation between the group which had taken workshop and the group which had not. 5. According to the family measure, on the different awareness of importance,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in parent age and education level, income, and gender of disabled child. The parents aged under 40 thought interagency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focus curriculum on postschool outcomes and administrative support and program structures were more important than the parents aged over 50 did. The parents who got college diploma, fathers recognized 4 elements were more important and mothers 11 elements than the parents who got high school diploma did. The less income was, the more important student involvement and self-determination was. According to gender of the disabled student, families of girls thought availability of postschool adult services was more important than families of boys did. On the survey of postschool plan of child, 65% respondents said they will take vocational training program. Over 85% students took programs to prepared for job including part-time jobs, full-time jobs and learning other skills. In conclusi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awareness of important elements of transition program between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of mild disabled students. The special education experts were aware of elements important which were presented as best practices and were proved their effectiveness and validity by the former studie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ought elements important which related to instruction needed urgently in our current educational field. And the parents of mild disabled students recognized postschool supports were important. On the different awareness between 3 groups, especially the special education exper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nsidered family network and involvement was important, on the other hand, families appraised least it.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offer basic data to design education curriculum and develop transition program in the future. To design effective transition program, transition program which is considered different awareness between 3 groups, applied to field possibly and is considered parents' needs should be developed.

      • 풍경구성기법(LMT)의 구조와 해석

        기정희 영남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미술치료에서 LMT를 활용하기 위한 LMT의 기초적 연구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LMT의 이론적 연구를 통하여 LMT의 구조를 해명하고,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LMT의 해석기준을 마련하여 일반인과 정신분열증 환자를 변별하는 진단도구로서의 LMT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LMT의 의의와 독자성은 다음과 같다. LMT는 나카이에 의해 정신분열증 환자를 위한 치료기법으로 창안된 후, 심리치료를 위한 치료기법이자 진단기법으로 자리매김되었다. LMT의 치료적 의미는 LMT를 치료적으로 유효하게 활용하는데 있으며, 이것은 요소(item)의 순차적 제시와 풍경의 구성이라는 상호작용에서 찾아볼 수 있다. LMT에서 구성단계는 치료자와 내담자의 관계 속에서 행해지고, 채색은 내담자와 풍경의 관계 속에서 행해지는 것이며, 완성된 작품을 매개로 하여 자연스런 대화가 가능하게 된다. 바로 이러한 상호작용이 LMT의 가장 큰 특징이다. LMT의 진단적 의미는 LMT를 내담자의 인격특성을 파악하는 사정의 수단으로 사용하는데 있,다. LMT는 진단기법이며 투사기법으로 자유도가 높고 객관성이 낮은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LMT의 독자적인 진단적 가치는 특히 정신분열증의 증세에 대한 판별, LMT을 시행할 수 있는가 아닌가를 판명하는데 있다. 둘째, LMT의 구조적 특징은 테두리 그리기와 10가지 요소의 순차적 제시에 있다. LMT는 치료자가 테두리를 그려준 후, 요소를 순차적으로 제시하고 그것에 대하여 내담자가 풍경을 구성하는 주고받기 속에서 행해지는 것이다. LMT의 테두리에는 내담자의 자유로운 표현을 보호한다는 의미가 함축되어 있음과 동시에 내담자에게 표현을 강요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또 요소의 순차적 제시에도 테두리와 마찬가지로 내담자의 표현을 보호함과 동시에 강요한다는 이중적 특성이 있다. 그리고 요소의 순차적 제시에서 중요한 것은 강을 제1 요소로 설정한 것이며, 강이 제1요소라는 것이 LMT의 핵심이다. 강이 제1요소라는 것은 풍경의 구성을 곤란하게 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설정된 것으로서, 구조적 측면에서 LMT의 진단적ㆍ치료적 유효성을 강조한 것이며, LMT는 요소의 제시순서에 의해 치료적 의미를 가지게 되는 것임을 의미한다. 셋째, LMT 해석에는 참여관찰의 입장과 요소의 상징적 해석 및 구성과정의 해석이라는 세 가지 관점이 있다. 참여관찰의 입장은 LMT를 읽는 가장 기본적인 입장으로서, LMT에서 무엇을 보아야 하는가에 주목한 것이다. 상징적 해석은 Jung의 심리학에 근거하여 LMT의 개개 요소의 상징적 의미를 읽는 것이다. 그러나 주의해야 할 점은 각 요소의 일의적인 상징적 의미에서 단정할 것이 아니라 그 의미를 염두에 두면서도 치료자의 느낌과 내담자의 반응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구성과정의 해석은 LMT에서 각 요소들의 결합관계, 즉 LMT에서 요소들의 순차적 제시에 따라 풍경이 구성되는 과정에 주목하여 내담자의 심성과 지향을 읽는 것이다. 그러나 LMT의 해석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개개 작품을 침착하게 바라보는 것에서 시작하는 것이다. 이것은 참여관찰하면서 치료자가 느끼는 것, 내담자의 반응, 현실정보 등을 염두에 두어야 함을 의미한다. 넷째, LMT 해석지표는 통합성과 현실지각력 검증 및 정서상태의 파악에 초점을 맞추어, 전체지표 9개와 10가지 요소의 지표 89개, 부가요소 8개 지표라는 106개로 설정되었고, 채점기준이 마련되었다. 이 106개의 해석지표를 검증한 결과 LMT는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보되어 일반인과 정신분열증 환자를 변별하는 진단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채점자간 일치도에서는 LMT의 신뢰도가 비교적 높은 수준에서 입증되었고, 일반인과 정신분열증 환자에 대한 LMT의 판별가능성에서는 10가지 요소 가운데 9가지 요소에서 매우 높은 판별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이런 결과에서 본 연구에서는 LMT는 일반인과 정신분열증 환자를 구분하는 변별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is thesis is a basic study of LMT for the practical use of LMT in art therapy.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nquire into the practical use of LMT as a diagnostic tool to discriminate between the normal person and the schizophrenic patient, by going through the structure of LMT using the theoretic studies on LMT, and then by completing the interpretive criteria for LMT by way of the practical studies on LMT. The results are explained below. Firstly, the significance and peculiarity of LMT are as follows. LMT is created as a therapeutic technique for the schizophrenic patients by Nakai Hisao. It is used as a diagnostic technique for psychological treatment. The therapeutic significance of LMT is evident in the interaction of the presentation of each of the items in regular sequence and in the composition of landscape. The compositional stage in LMT is carried out in the correlation of the therapist and the client, the coloring is carried out in the correlation of the therapist and the landscape pictures, and then by way of the completed picture, natural communication can be possible. This interaction is the most evident quality of LMT. The diagnostic significance of LMT is to use LMT as a tool for assessing the personality of the clients. LMT is a diagnostic technique and also a projective technique with a high degree of freedom, and with low objectivity. The diagnostic peculiarity of LMT is in the discrimination of the schizophrenic symptoms, and especially in the judgement of whether-or-not of LMT carrying-out. Secondly, the structural quality of LMT is in the border line and the sequential presentation of 10 items. The therapist pictures a border line, and presents each item in regular sequence, and then LMT is carried out in the course of interaction in which the client composes a landscape in responding to the ten items. The border line of LMT implies the protection for the client's free expression, and also it has a strength which forces the client to expression. The presentation of the items in regular sequence also has dual qualities; the protection for the client's free expression and the enforcement of expression. The important thing in the presentation of the items in regular sequence is that the river is the first item, in other words, the river is the core of LMT. This means that the deliberate setting of the river as the first item is for the difficulties in the landscape composition. In view of the structural aspect of LMT, it emphasizes the diagnosticㆍtherapeutic efficiency of LMT, and by the presenting order of the items, LMT gets therapeutic significance. Thirdly, in the interpretation of LMT, there are three kinds of viewpoints. i.e. the position of participant observation, the symbolic interpretation of the items,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compositional process. The position of participant observation is the most basic viewpoint of all, and it is focused on what we should see in LMT. The symbolic interpretation is to interpret the symbolic meaning of each item on the basis of C. G. Jung's psychology. In this viewpoint, we should not interpret conclusively each item by its own symbolic meaning. Bearing the symbolic meaning in mind, both the feeling of the therapist and the response of the client should be considered. The interpretation of the compositional process is to interpret the dis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client, focused on the process under which the landscapes are composed, according to the combining relation of each item, that is, the sequential presentation of the items. Above all,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interpretation of LMT is to watch each landscape calmly. It is a starting point in the interpretation of LMT. This means that in carrying out the participant observation, the therapist's feelings, and the response of the client, the actual information should be considered. Finally, the interpretation index of LMT is set into 106 indexes, which are 9 whole indexes, 89 indexes of the 10 items, and 8 indexes of additional items, focused on the grasp of emotional condition and the verification of perceptivity for the actual and the integration. The scoring criteria is made up. In view of the verification results for the 106 indexes, it is clear that LMT attains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hus can be used practically as a diagnostic tool to discriminate between the normal person and the schizophrenic patient. In the consistency between graders, the reliability of LMT is confirmed in a comparatively high level. In the possibility of discriminating between the normal person and the schizophrenic patient, it is shown that 9 out of 10 items have much higher discriminative capacity. Therefore, it is clear that LMT attains reliability and validity by which LMT can be used as a practical discriminative tool between the normal person and the schizophrenic pat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