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90년대 한국 무대에서 셰익스피어의 『햄릿』수용에 대한 연구 : 한국화를 중심으로

        권혜진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Shakespeare's Hamlet has been accepted on the Korean stage. In the stage history of Hamlet in Korea the 1990s is the time the play was vigorously adapted in the Korean style. In this study I am going to make preliminary examination of the two performance of Hamlet, The Problematic Man, and the so-called Hamlet in Cheonmachong (a tomb with a painting with a flying horse) which are the two examples of Koreanized Hamlet. Both of the works were directed by Yoontaek Lee. The Problematic Man, Yeonsan is an adaptation of Hamlet in three respects. First, this is convinced by the fact that the dramatis personae of The Problematic Man, Yeonsan corresponds to those of Hamlet. The Problematic Man, Yeonsan shows the oedipus complex in a different way from that of Hamlet. Unlike Hamlet, Yeonsan misses his mother who was tragically dethroned and executed. This suppressed love of the mother along with his inferiority complex triggers revenge on those who are involved in the death of the queen. Yoontaek Lee also employs Korean performing arts such as dancing and music to deliver the play. Hamlet in Cheonmachong performed in 1996 by Yoontaek Lee keeps much of the play intact. The producer's attempt at Koreanization is seen in several scenes rather than in plot or story. While Hamlet meets his father's ghost, Hamlet is visited by the ghost in Hamlet in Cheonmachong. The Koreanized play starts with p'ansori (a traditional Korean narrative song) in Act 5 Scene 1. This song, a dirge sung by the pallbearers, communicates the subject of death. In conclusion Yoontaek Lee attempts the Koreanization of Hamlet in two ways. First, he adapts Hamlet to Korean narrative with the indigenous setting and dramatis personae. This can be called the Koreanization of the content. Second, the Koreanization of Hamlet is made in terms of delivery. The play is addressed by Korean music and dance. This aspect is called the Koreanization of the form.

      • 돼지를 소재로 한 도자 상품 디자인 연구 : 키덜트 성향의 브랜드 개발을 중심으로

        권혜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s customers don't choose products only with a simple guide of product characteristics or handy usage. We are experiencing an Era of Experience Economy that people value on a products' unique value, life-style, and a total experience. Customers' decision making guide is becoming more complicated than 'Affordable, Good, Expensive, and Bad.' They value more and more on a new guide that if the product offers more glamorous life to a customers and if the product offers a new amusing new concept to a customer, etc. So any product without such a new value of human emotion and experience, People want to get new value from a product more and more and this means that just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product is not enough for them and they want their emotional needs to be fulfilled with the product design. This trend requires product to have a flexible adjustment on customers needs and, as a result, many new concept and idea of borderless product has to be developed to avoid being outdated. This trend also affected even on the ceramic ware market that is comparably limited in terms of product variety. A Flood of Plastic products that are not so heavy and frazil had become a strong application in the market and this material has been a strong competitive edge as plastic has such flexibility and effectiveness. However, at the same time, this material has caused generic and low qualitied products due to the mass-production. Also, there is another bif trend of environment consciousness and this trend gradually force the market not to use such a low quality and anti-environmental plastic products. Basically, in the current situation that clean and environment friendly product is welcomed, the active development of the modern ceramic ware is strongly required. Ceramic is a material that is not so easy to handle, but, by the variety of usage and technology, this material really can offer a deep beauty and healthy modern life. And also this material could have a strong competitive edge by increasing the product's emotional value and rarity compare to plastic products. I made my study as followings based upon such background. First,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 studied about the meaning of 'Kidult' that currently has a wide emotional intercourse with customers. Also, I studied about the effect of the 'Kidult' on the general consumption as well as variety of example of high-end 'Kidult' products. I addition to these, I studied the 'Kidult' expression on the modern art field. Second, I utilized an animal, Pig's image to develop a product design that has a 'Kidult' characteristics. I focused on a clear product differentiation by using the 'Pig' image as a unique character for the product range. Also, I tried this pig image to be a strong method that will allow an emotional intercourse between product and customers. Third, I focused on a product consistency such as a 'Pig' Image that will allow a group of products to have a power to be perceived as a brand in the market. Here I brought a way of developing a brand, direction and strategy. Forth, I made various ceramic ware products that have many different function and meaning based on this direction. I tried to bring these products to be the first theme for the brands. As a way of producing, I used gesso injection technique to have a consistent shape for each product. I also use the 'Solid Injection Technique' and 'Drain Injection Technique' in accordance with the product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Articles that I used high temperature paint, I poured the mud mixed with 0.3~10% of Gray, Orange, Yellow, Green, Cobalt, blue, Black etc. and then cut or tore off. Occasionally I used 0.3~2% of chloridize cobalt , 3% of oatmeal. Basically, I used white body color and to make the white color to be nice, I used silk foundation and fine ceramic which has stronger floodlighting. In general, in terms of glaze oil, I used deeping technique on transparent glaze and instead of using colored glaze, I used restoration and oxidizing technique. Such way was done in order to demonstrate a wide variety of delicate patterned and colored features even from the same body shape. In terms of the plastery, I made the first plastery at 850˚c of the ultimate temperature in 0.2m³of the electric kiln for 7 hours. And,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restoration plastery, I made the second plastery at 1,250˚c of the ultimate temperature in 1m³of gas kiln for 13 hours. And in the case of oxidizing plastery, I made it at 1250˚c of the ultimate temperature in 0.2m³of the electric kiln for 10hours. Occasionally, I made the third plastery for the golden decoration and decoration at 800˚c of the ultimate temperature in 0.2m³of electric kiln for 6 hours and 30 minutes. 'Kidult' is a cultural code that has a strong characteristic in modern society. And also, this is an aspect that flows on the overall market place based on the emotional intercourse. However, we seldom find this 'Kidult' culture in the field of ceramic ware. My purpose for this study is to show this vacancy of the 'Kidult' culture in the ceramic ware could be another opportunity that the market could generate. Through this research, I learned that there is a strong need of being able to meet the customers fast moving requirement of emotional expression in ceramic ware market. Also, I learned that each step of creating any ceramic ware has its own meaning. I strongly believe that an ceramic ware artists must have astrong pride for their own art-piece that they poured such spirit on. I tried to express and present a range of differentiated product could become a strategical brand building in the ceramic ware market. 오늘날 소비자들은 더 이상 제품의 특성이나 사용 편익만으로 제품을 선택하지 않는다. 즉 제품이 제공하는 독특한 가치체계와 생활양식 그리고 제품을 사용하면서 얻는 총체적인 경험을 더 중요하게 추구하는 경험경제의 시대를 맞이하게 된 것이다. 소비자의 상품 선택은 제품이 비싸거나 싸다는 식의 일원적 판단에서 벗어나고 있다. 그 상품을 사용함으로 생활 속에서 긍정적인 감성 충족을 얻거나 흥미진진한 신 개념을 접할 수 있어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요소가 있는지 등의 추상적인 가치가 상품선택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사람들은 상품에서 점점 더 새로운 가치를 부여받기 원한다. 이는 기존의 관심이 대부분 기능면에 치우쳐있던 것에서 점차 차원을 높여 감성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즉 디자인적 감성에 자신의 감정을 이입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이는 일정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상품개발에 있어 유연한 대처가 필요하게 되었고 필연적으로 영역의 한계에 대한 도전과 유행에 뒤쳐지지 않는 상품개발을 위해 속도 빠른 전개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로인해 다소 경직되고 한정적인 상품 개발이 대부분이었던 도자 시장은 상대적으로 유연한 대처와 발전이 이루어지는 상품에 조금씩 자리를 내주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무겁고 깨지기 쉬워서 다루기에 조심스러운 느낌의 도자의 단점을 극복한 플라스틱 제품들은 거의 모든 영역에서 사용될 정도로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공정상 쉽고 빠른 제작 때문에 소비자의 수요에 그때그때 대처 가능한 탄력성 높은 효율적인 경쟁력도 갖추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대량생산의 편의성은 특성상 비슷비슷하고 품질도 제각각인 상품의 범람을 야기하게 되었다. 저렴한 원가로 인한 가격의 하락 및 손쉬운 대량생산은 결국 디자인적 가치와 희소성을 없애고 품질이 떨어지는 제품을 무분별하게 양산함으로써 상품의 생명력이 떨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가 점차적으로 심각한 쟁점이 되고 있는 현 사회에서 이러한 질 낮은 상품의 유해성은 사용의 자제를 촉구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점차적으로 깨끗하고 무해한 소재의 사용이 환영받고 있는 사회가 되어가고 있는 만큼 현대적인 도자 상품에 대한 적극적인 개발은 반드시 필요하다. 도자의 소재는 쉽게 다룰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 다양성과 적용에 따라 깊이 있는 미의 추구와 현대인의 생활을 건강하게 꾸려나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상품의 감성적 가치와 디자인의 희소성을 높여 무분별하게 생산되는 플라스틱 상품과의 차별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감정을 표현한 돼지 이미지로 키덜트적인 소비자와 친근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져 소비자와 도자 상품의 거리감을 최대한 좁히고자 함이 동기가 되었다. 이를 통해 시대적 문화가 반영되고 구체적으로 브랜드화되어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도자 상품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는 현대 소비문화 코드(code)의 하나인 ‘키덜트’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와 함께 ‘키덜트’가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소비자와 활발한 감성 교류를 이룬 키덜트 상품 사례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상업적 측면을 뛰어넘어 대중에게 알기 쉬운 예술로써의 접근을 시도한 키덜트적 표현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키덜트 성향을 갖는 구체적 디자인 전개방법으로‘동물’이미지 중 ‘돼지’를 선택하였다. 이는 캐릭터 상품에 대한 호응도가 높은 키덜트 층 소비자에게 효율적인 감성언어로 작용하며 돼지를 통해 제작자의 자아를 대변하고 이미지 자체에 특별한 성격을 부여해 독창적 캐릭터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감성적 전달이 부족한 기존 상품과 차별성을 주고 소비자와의 감성 교류가 더 쉽고 빠르게 전개되도록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일관성 있는 주제를 가지고 제작된 작품이 문화가 반영된 영향력 있는 상품이 되고 일관성 있는 발전이 가능하도록 브랜드 개발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구체적인 브랜드의 설정 및 방향과 전략을 제시해 보았다. 또한 다양한 기능과 의미가 담긴 상품을 구성하여 브랜드를 위한 첫 번째 테마의 상품군으로 제시하였다. 제작 방법으로는 모든 작품의 상품화를 위해 동일한 형태의 반복성형이 가능하도록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주입 성형기법을 사용하였다. 작품의 성격에 따라 고형 주입성형방법과 배출 주입성형방법을 사용하였다. 현대 요화의 고화도 안료를 사용한 작품의 경우 0.5~10%의 분량으로 흙물에 섞어 석고틀에 부은 후 오려내거나 발라주었다. 경우에 따라 염화코발트를 0.3~2%, 오트밀을 1~5%사용하여 표현하였다. 기본적으로 백색의 태토를 주로 하였고 이를 위해 백색도와 투광성이 뛰어난 실크백자토와 파인세라믹을 사용하였다. 유약은 전체적으로 투명유로 담금시유를 하였고, 색유를 사용하는 대신 환원염과 산화염 두 가지 방식으로 소성하여 같은 디자인이라도 다양하게 느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소성의 경우 0.2m³전기가마에서 마침온도 850˚C로 7시간동안 1차 소성하였고 2차는 환원염 소성의 경우 1m³가스가마에서 마침온도 1250˚C로 13시간동안, 산화염 소성의 경우 0.2m³전기가마에서 마침온도 1250˚C로 10시간 동안 소성하였다. 경우에 따라 금장식과 상표부착을 위한 전사를 하였으며 0.2m³전기가마에서 마침온도 800˚C로 6시간30분 동안 3차 소성하였다. ‘키덜트(kidult)’는 현대사회에서 실질적 소비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부각되어진 감성문화이다. 키덜트의 반영은 소비와 직결되는 부분이 큰 만큼 사회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양상이기도 하다. 반면에 도자 분야에서는 적극적 표현을 요구하는 강도 높은 문화의 반영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아 활성화되지 않은 분야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이와 같은 상황이 오히려 현재의 도자시장에 새로운 상품의 출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경험을 통해 본 연구자는 소비자의 ‘상품’에 대한 인식의 변화, 즉 소비를 통한 ‘자아’의 표현 욕구에 도자 분야도 발맞추어 발전해 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았다. 이와 동시에 도자분야는 작품이 완성되기까지 진행되는 단계마다의 공정과정이 고유한 가치를 지녔음을 깨닫게 되었고 과정이 반영된 도자 상품은 그 내면에 정신을 담아내고 자부심을 고취시킬 수 있음을 알았다. 본 연구자는 연구내용을 토대로 차별화된 도자 브랜드의 전략과 상품의 개발을 시도하였고 이는 앞으로 정체성 있는 구체적인 도자 상품의 개발로 심화 발전시켜 나가는데 원동력이 되고자 한다.

      • 크라우드펀딩의 후원자 수와 목표금액이 펀딩성공률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제품 카테고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권혜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T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인터넷과 SNS가 보편화됨에 따라 온라인상에서 자금수요자와 투자자 간에 자유롭게 거래가 가능한 환경이 조성되었다. 크라우드펀딩(Crowdfunding)은 SNS를 통해 자금조달을 목적으로 프로젝트를 홍보하여 불특정 다수로부터 자금공급 여부에 대한 집단지성을 이끌어 내고, 온라인 중개 플랫폼을 통해 소액의 사업자금을 유치한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방식의 자금조달에 어려움이 있었던 벤처기업이나 소자본 창업가들과 같은 기업가들은 온라인 플랫폼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과거보다 수월하게 자금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킥스타터(Kickstarter) 사이트에서 데이터를 확보하여 펀딩성공률(overfunding)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 요인을 분석하였다. 킥스타터는 All or Nothing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모금기간과 목표금액을 설정하고 목표한 금액에 도달하지 못하면 프로젝트가 취소된다. 수많은 프로젝트가 실시간으로 등록되는 상황 속에서 이러한 운영방식은 투자자 입장에서 모금에 성공하여 실현가능성이 높은 프로젝트를 선택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이에 따라 학문적 및 실무적 관점에서 크라우드펀딩 프로젝트의 펀딩성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개별 요인들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의 성공요인을 탐색적으로 분석해 펀딩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2020년 3월 16일과 3월 22일, 6일 간격을 두고 두 차례 이루어졌으며, 통계프로그램인 R을 통하여 해외 킥스타터 웹사이트에 게시된 프로젝트 중 모금 가능한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남은 기간이 임박한 순으로 정렬하여 정보들을 크롤링하였다. 데이터 수집을 두 차례 진행하여 변화율도 함께 수집하였다. 먼저 목표금액, 후원자 수, 후원자 증가율, 후원자 1인당 펀딩금액 및 Comment 수가 펀딩성공률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후원자 수, 후원자 1인당 펀딩금액이 높을수록, 목표금액은 낮게 설정할수록, 후원자 증가율은 모금초반에 후원자 수가 많을수록 펀딩성공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개별 제품 카테고리가 펀딩성공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Fashion, Illustration, Music, Publishing을 제외한 모든 카테고리가 펀딩성공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후원자 수와 제품 카테고리의 상호작용을 살펴보기 위해 분석한 결과, 단독으로 분석했을 때 유의하지 않았던 Fashion과 Music이 후원자 수와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펀딩성공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제품 카테고리에서 특히, Fashion과 Music이 펀딩성공률에 미치는 영향에 후원자의 수가 중요함을 의미한다. 카테고리 별 특성을 파악하여 후원자의 수를 늘리는 것이 펀딩성공률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s the Internet and SNS became common due to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 environment was created in which ventures and funders could communicate freely online. Crowdfunding promotes the project through SNS to attract business funds. As a result, entrepreneurs such as venture companies and small-capital entrepreneurs, who had difficulty raising funds in traditional ways, have been able to fundraising more easily than in the past through crowdfunding, which raises funds to an unspecified individuals through online platforms. For successful financing, the data was obtained through foreign Kickstarter sites to analyze the individual factors affecting the funding success rate. Kickstarter adopts the All or Nothing method, which determines the duration and goal and cancels the project if the total fundraising is not met. And since many projects are registered in real time worldwide, it is not easy for funders to choose a project with high probability of success. Accordingly, various studies are required on factors that positively affect the fundraising success of the crowdfunding project from an academic and practical point of view.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paper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success factors of the crowdfunding platform and analyzed the individual factors affecting the funding success rat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wice, on March 16, 2020 and on March 22, 2020 at a 6 days apart. And through the statistics program R, information was crawled by arranging projects posted on foreign Kickstarter websites in the order of impending fundraising tim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wice to confirm the rate of change. First,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goal, the number of backers, the growth rate of backers, the amount of funding per backers, the remaining time, and the impact of the number of comments on the funding success rate. As a result, the higher the number of backers and the higher the amount of funding per backers, the lower the goal, and the higher the growth rate of backers at the beginning of the fundraising, the more positive funding success rate. Second,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heck the effect of individual product categories on the funding success rate. All categories except Fashion, Illustration, Music and Publishing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funding success rate. Finally, the analysis to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number of backers and the product category showed that Fashion and Music, which were not significant when analyzed alone, had an interaction effect with the number of backers, which had a positive effect on funding success rat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number of backers is important in the product category, especially the effect of Fashion and Music on the funding success rate. This suggests that increasing the number of backer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ategory may help increase the funding success rate.

      • 디즈니 애니메이션 <미녀와 야수>의 음악에 관한 연구 : 모티브 전개 기법과 미키마우징 기법을 중심으로

        권혜진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는 멀티미디어가 중요시되는 시대로 다양한 영상물들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으며, 영상물의 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는 음악 또한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애니메이션 및 애니메이션 음악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친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한 작품을 선정하여 연구한다. 먼저 영상음악의 발달과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변천사를 살펴봄으로써 디즈니 애니메이션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본다. 디즈니 애니메이션 중 애니메이션으로는 처음으로 아카데미 최우수작품상 후보에 오른 작품인 <미녀와 야수(Beauty and the Beast, 1991)>를 선정하며, 스토리 전개에 따른 음악의 구성 방법과 각 세부적인 장면에 따른 미키마우징 기법의 표현에 대해 연구한다. 연구 결과 <미녀와 야수>의 음악의 특징은 음악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극을 이끌어나가는 역할을 하는 뮤지컬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음악의 구성에 있어서는 노래와 배경음악으로 나눌 수 있다. 노래 곡은 가사를 통해 등장인물의 성격이나 생각 또는 상황 등을 나타내며, 노래를 부르는 인물에 따라 선율의 특징, 악기의 사용 등을 달리 한다. 등장인물 또는 상황을 대표하는 음악이 있는 것도 하나의 특징으로, 각각의 등장인물에 맞는 음악의 사용으로 등장인물의 성격을 더욱 부각시킨다. 배경음악이 등장할 때에는 배경음악만을 위한 새로운 음악의 사용보다는 노래에 사용된 테마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조금씩 변형하여 사용한 비중이 훨씬 크다. 이러한 배경음악의 구성방법은 통일감을 주며 음악을 통해 장면의 분위기를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타이틀곡인 <Beauty and the Beast>는 총 세 번의 반복으로 관객들에게 타이틀곡을 확실히 인식시킨다. 또한 등장인물들이 행동에 따른 음악의 연주와 다양한 효과음의 사용 또는 음색을 고려한 악기의 선택으로 미키마우징 기법이 효과적으로 표현된다. 본 연구를 통해 하나의 모티브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하고, 한 작품 내에서 많은 음악을 효과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 수 있다. 또한 미키마우징 기법을 자연스러우면서도 세련되게 표현한 디즈니의 애니메이션 음악의 훌륭함을 확인할 수 있다. In today's society considering the multimedia important, a variety of films can be available easily and then the music showing those content more effectively is also requisite. In this paper, a work of Disney animation giving larg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animation and animated music is selected. Above all, examining the evolu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film music and Disney Animation, the necessity of study on the Disney animation is showed. The work "Beauty and the Beast (Beauty and the Beast, 1991)“ which is nominated as Disney Animation Academy Best Picture at first is selected. Then the method configuring music according to the story history and the representation of Mickey Mousing according to each scene are studied. As a study result, the music in “Beauty and the Beast” acts as the major role at a large proportion of the musical and its configuration is divided as the song and its background music. The lyrics express the nature, idea or situation of the character and the instrument is us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figure singing the melody. Also as a feature, the music representing the character or its situation exists and the nature of the character is shown exactly using music according to each character. At the background music, without using new music for background music, the theme song, or slightly modified version are utilized largely. This configuration method of the background music gives unification and possible prediction the mood of the music scene. The title song for “Beauty and the Beast” appears three times and this gives deep recognition to audiences. Also, the character acts according to the music playing, and uses a variety of sound, or considering the tone of the instrument, the Mickey Mousing is represented effectively. Through this study, one motive is used with large variety on the works and how to organize effectively a lot of the music is known. Also the splendor of the music of Disney's animated Mickey Mousing expressed natural and tastefully is shown.

      • 뮤지컬 '위키드'에 나타난 키치분석

        권혜진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현상의 하나로 우리 일상에서 다양하게 발견되고 있는 키치의 속성을 뮤지컬 ‘위키드’에 접목시켜 분석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문화 영역을 아우르고 있는 키치와 공연예술 분야의 선행연구는 현재 부족하며, 대중의 문화적 취향과 관련이 깊은 뮤지컬 분야의 키치적 관점 분석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연구의 범위는 2003년 초연한 뮤지컬 ‘위키드’이다. 분석기준은 아브라함 몰르의 키치 기본원리와 선행연구를 통한 키치 속성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키치의 기본 개념과 유형분석을 위한 문헌자료로 이론 고찰을 하고, 실증분석은 ‘위키드’와 관련된 시각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분석기준의 외적원리는 부적합성, 축적, 공감각, 중용, 쾌적함으로 하고 내적의미는 중층성, 과시, 유토피아, 유희, 풍자, 일탈, 소속확인, 향수로 나눌 수 있었다. 둘째, 위키드 전체를 이루는 뮤지컬 넘버와 무대를 상황으로 하고, 캐릭터를 꾸며주는 의상, 분장을 인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셋째, 뮤지컬 ‘위키드’에 나타난 키치는 다음과 같다. 의상은 장식과 실루엣을 통해 부적합성이 보여졌고, 메이크업을 통한 인물에서는 풍자성이 두드러졌으며 헤어는 축적된 형태가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동화적 요소를 통한 유희성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넷째, ‘위키드’ 작품의 발전단계를 통해 뮤지컬 ‘위키드’의 대중성과 상품 및 소비로서 나타난 키치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로 뮤지컬 ‘위키드’를 이루고 있는 키치적 특성을 제시하였다. 뮤지컬 ‘위키드’는 앞으로 10여년간 지속될 작품으로 향후 공연 분석의 좋은 사례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각 분야의 창의적 모티브 양성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ttribute of kitsch diversely found in our daily life as one of social phenomena by combining it with the musical 'Wicked'. Previous studies on the field of kitsch and performing arts encompassing most of the cultural domains have been insufficiently conducted at present, and there is a need to analyze the musical field deeply related to the cultural taste of the masses from a perspective of kitsch. The scope of this study was confined to the musical 'Wicked' premiered in 2003. The criterion for analysis was set as the attribute of kitsch through Abraham Moles's basic principle of kitsch and previous studies. In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made a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it through bibliographical data for analysis of the basic concept and type of kitsch and made an empirical analysis of it with the use of visual materials related to the musical 'Wicked'.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the external principle of the criterion for analysis could be divided into incongruity, accumulation, synesthesia, moderation, comfortableness, and the inner meaning could be divided into overlapping, ostentation, utopia, amusement, satire, deviation, conformation of belonging and nostalgia. Second, an attempt was made to set the number and stage of the musical comprising the whole 'Wicked' as a situation and to analyze the costume and makeup embellishing the character. Third, the kitsch found in the musical 'Wicked’was as follows: The costume showed incongruity through decoration and silhouette. And satiricalness made remarkable expression in the character through makeup and hair was of the accumulated form for the most part. And it had much playfulness through the fairy-tale element overall. Fourth, the kitsch found in forms of popularity, product and consumption of the musical 'Wicked' could be found through the developmental stage of the musical work 'Wicked'. This study presented the kitschy characteristic constituting the musical 'Wick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results. The musical 'Wicked' is the work that will last for 10 years or so in the future and can be applied as a good example for analysis of performanc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ful in cultivating the creative motive of each field.

      • 혼밥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직장인을 중심으로

        권혜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들의 혼밥 경험을 이해하고 혼밥 유지 과정을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주일에 전체 식사의 70% 이상을 혼밥 하고 있으면서 5년이상 혼밥을 유지하고 있는 직장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질적 연구 방법 중 Strauss &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혼밥족들은 무엇을 경험하고 어떻게 혼밥을 유지하게 되었는가?’이다. 근거이론 방법에 따른 자료 분석 결과 개방 코딩에서 88개의 개념과 35개의 하위범주, 15개의 범위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 결과 혼밥족들이 혼밥을 유지하는 과정에서 인과적 조건은 ‘조율을 시도하지 않음’이었고, 혼밥족은 ‘효율 우선의 욕구를 좇음’이라는 중심현상을 경험하고 있었다. 혼밥을 유지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 ‘치열한 경쟁 분위기’, ‘조직문화의 약화’, ‘개인주의 문화의 확산’으로 나타났고 중심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중재적 조건은 ‘개인의 성격적 특성과 정서경험’, ‘조직문화 없는 직무특성’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대한 참여자의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내적갈등을 수용하기’, ‘자율적으로 행동하기’, ‘매체를 통해 관계 찾기’, ‘피상적 관계 거리두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참여자들은 ‘탐색의 시간을 향유함’, ‘자기돌봄에 충실함’, ‘고독한 편리주의자가 됨’, ‘균형의 필요를 알아차림’의 결과를 경험하고 있었다. 혼밥족들이 혼밥을 유지하는 과정은 ‘저울질단계’, ‘갈등단계’, ‘조정단계’, ‘균형단계’로 나타났고, 혼밥족의 혼밥 유지 과정의 핵심 범주는 ‘효율 우선을 따라 ‘자신’에게 충실하며 ‘함께’의 중요성을 알아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직장인들의 생생한 혼밥 경험을 통해 혼밥 유지에 영향을 준 사회문화적 변인과 심리적 요인을 밝혀서 혼밥 현상을 정확히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사회가 다문화 관점을 수용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 활옷의 역사와 조형성 연구

        권혜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통 혼례복이자 자수 복식인 활옷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그 역사성과 조형성을 고찰한 것이다. 『가례도감의궤』,『국혼정례』,『상방정례』,『궁중 발기』등의 궁중 혼례관련 문헌 기록을 통해 궁중 예복 중 활옷의 기원으로 여겨지는 장삼과 노의를 비교 고찰하였다. 궁중 혼례에 착용되었던 두 복식 모두 대홍색이며 비슷한 격의 옷감을 사용했기 때문에 장식기법에서 격의 차이를 나타내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노의는 금원문으로 장식되었음을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나, 장삼은 특별한 장식에 대한 기록을 찾을 수 없었다. 다만 조선 말기 『궁중 발기』의 기록에 ‘직금 홍장삼’ , ‘다홍별문갑사수천만세부금홍장삼’ 등의 명칭이 있어 조선말기 궁중홍장삼이 직금이나 금박으로 장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궁박물관 소장 활옷 수본 중 1837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측되는 ‘홍장삼 수초 저동궁’이라는 묵서가 적힌 수본이 있어 궁중홍장삼을 자수로 장식하였던 것을 알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유학자들이 쓴 예서와 편지글 등에서는 궁중의 홍장삼을 섭성(攝盛)하여 민간 혼례복으로 사용하였던 것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그 명칭 또한 홍장삼으로 기록하고 있다. 특히 민간의 홍장삼에는 연꽃과 동자 무늬 등을 수놓았다는 기록이 있어 홍장삼이 자수 혼례복인 활옷임을 알 수 있는 확실한 증거가 된다. 자수로 장식된 민간홍장삼의 기록이 18세기 이후에 나타나며 궁중홍장삼 수본 또한 19세기 초에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홍장삼이 자수로 장식되기 시작했던 시기를 기록이 나타난 18세기 이후로 볼 수 있으나, 고대 복식에서부터 조선시대 활옷에 까지 이어지는 우리 민족의 자수복식의 역사와 전통 자수 공예의 역량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자수로 장식된 혼례복은 기록 보다 훨씬 이전부터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문헌 기록에 나타난 활옷의 어원을 살펴보았다. 활옷과 가장 비슷한 한자어 복식 명칭인 ‘豁衣’와 ‘割衣’는 궁중 혼례복으로 착용되었던 복식이 아니었으며 색상 또한 아청색이기 때문에 활옷의 기원으로 볼 수 없는 복식으로 판단되었다. ‘할옷’·‘슈할옷’ ‘활옷’이라는 명칭은 근대 한글 소설이나 한글 잡지 기사 등 한글로 표기된 기록에 찾아볼 수 있었다. 비록 활옷이라는 명칭이 홍장삼의 기록보다 시기적으로 늦게 나타나지만 기록이 나타난 시기에 이미 활옷이 ‘화려한 복식’ 혹은 ‘혼례복’의 대명사처럼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아, 민간에서는 활옷이라는 명칭을 근대 이전부터 사용했었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즉 조선시대 왕실과 양반 계층에서는 한자어 명칭인 홍장삼이란 명칭을 사용하였고 민간에서는 ‘큰옷’이라는 의미의 활옷이라는 순우리말 명칭을 주로 사용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조선 왕실의 몰락과 신분계층의 혼란 이후로 홍장삼이란 한자어 명칭은 사라지고 활옷이라는 순 우리말 명칭이 현재 전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근대 이후 혼례사진에서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큰머리 장식에 활옷차림의 신부의 모습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민간에서도 이러한 왕실혼례복 차림이 가능했던 것은 조선시대 세물전(貰物廛)과 수모(手母)를 중심으로 혼례복 일습(一襲)을 빌려주었던 대의(貸衣)풍속과 궁중 혼례복을 민간에서도 입을 수 있는 섭성의 풍속 때문이었다. 이상의 조선시대 궁중 혼례복과 민간 혼례복의 고찰을 통해 전통 혼례복인 활옷이 궁중홍장삼에서 기원한 복식임을 밝힐 수 있다. 활옷의 유형은 크게 궁중 활옷과 민간 활옷으로 구분할 수 있다. 궁중 활옷은 장식적 특성에 따라 다시 금박과 자수 장식이 혼합된 형태인 복온공주 활옷 유형과 길상무늬를 가득 수놓은 창덕궁 활옷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활옷 수본에 나타난 무늬 변화 과정을 통해 복온공주 활옷 유형에서 창덕궁 활옷 유형으로 변화 해가는 궁중 활옷의 변천 과정을 유추할 수 있다. 그 밖의 국내 소장 활옷 유물들은 출처가 확실치 않아 궁중과 민간 유물의 확실한 구분이 어렵다. 현재 활옷의 전형으로 생각되는 궁중 활옷인 창덕궁 활옷을 기준으로 민간 활옷을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 첫 번째 유형은 궁중 활옷의 조형성을 그대로 모방하여 민간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활옷 유물이다. 비교적 궁중 활옷의 전형을 따르면서도 민간의 정서에 맞는 길상 무늬가 삽입되어 나타나며, 궁중 활옷에서 보이는 세련된 도안과 충전구도에서 오는 경직감이 사라지고 자연스러운 구성을 보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두 번째 민간 활옷의 유형은 시기가 많이 올라가지 않는 근대 이후의 활옷으로 전형적인 활옷 양식에서 벗어난 소박한 민간 활옷 형태로 모란을 중심으로 작은 새 한 쌍이 날아드는 회화적 도안이 특징이다. 자수의 색상이나 기법, 사실적 도상 등에서 근대 이후 일본자수의 영향이 일부 발견되기도 했지만 양식적 틀을 따르지 않고 민간 고유의 정서와 미감을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9세기 말부터20세기 초에 걸쳐 서양의 수집가들에 의해 수집되어 국외로 유출된 해외박물관 소장 활옷 유물 중에는 복온공주 유물 유형이 일부 있었으며 창덕궁 활옷과 비슷한 조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유물들이 상당 수 소장되어 있어 혼란기에 해외로 유출된 궁중활옷 유물들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자수복식인 활옷의 특별한 구조적 형태는 활옷을 장식하는 자수무늬의 변화에 따라 생겨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섬세하고 작은 도안으로 이루어진 복온공주 활옷 유형에서 길상문으로 가득 충전된 창덕궁 활옷 유형으로 변화되면서 무거워진 자수의 무게를 버티고 아름다운 자수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여러 겹으로 배접한 한지를 심지로 사용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에 따라 활옷의 제작 방법과 실루엣이 변화하였고 현재의 독특한 구성을 가지게 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활옷의 색상인 홍색은 전통적으로 벽사와 길상의 색상이자 가장 아름다운 색으로 동아시아 신부복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색이다. 음양의 조화를 상징하는 활옷의 홍색 겉감과 청색 안감의 배색은 ‘청실홍실’로 대표되는 전통 혼례의 색채 우의(寓意)를 반영하고 있다. 그 외에도 황, 홍, 청의 삼원색으로 이루어진 색동은 예복의 화려함을 꾸며주고 백색 한삼과 동정은 의례복의 정갈함과 정숙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풀이되었다. 활옷의 표면을 장식하는 자수 무늬는 조선시대 혼인을 통해 여성의 삶을 규정하는 온갖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다. 신랑 신부가 자식을 많이 낳아 행복한 가족을 이루고 오랫동안 해로하며 복을 누리며 살기를 바라는 인간 본연의 소망들을 아름다운 무늬에 담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궁중과 민간에서 선호했던 무늬에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되어 계층에 따라 혼인을 통해 기원하는 소망이 달랐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shows the history 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walot, which is the traditional wedding robe with embroidery. The Jangsam and Noui are considered to be the origins of Hwalot among various court ceremonial robes. The literatures on the royal court wedding show that both dresses were worn at the court marriage ceremonies and used as similar classes of red-colored fabric. Thus, it is supposed that the difference in classes must have been indicated through decoration techniques. It is recorded that the Noui was decorated with gold foil or golden weaves. However, there is no record that the Jangsam has any kinds of decoration. The record of the decoration of the Jangsam can only be found in the 『Balgi』(documents of the royal wedding ceremony). This makes it possible to assume that Jangsams were decorated with golden foil or golden weaves. There is an embroidery design pattern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that is written, ‘The design pattern of embroidery of red Jangsam on 저동palace. It proves that the royal Red Jangsam were decorated with embroidery. Yeseo(禮書) or letters written by Confucian scholars record that Red Jangsam were used as the wedding robe of civilians through Supseong(攝盛)(a custom that allowed the royal wedding garments to be worn by civilians). Particularly, there are records saying that Red Jangsam were embroidered with patterns of lotus flowers and young boys(童子), which proves that Red Jangsam is a wedding robe with embroidery. Records on Red Jangsam decorated with embroidery appeared after the 18th century. The embroidery design pattern of the court Red Jangsam was created at early 19th century. Thus,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the embroidery decoration of Red Jangsam started after the 18th century. However, considering the history of embroidered costumes and traditional embroidery craft of Korea, it can be assumed that the embroidered wedding robe must have existed even before what was recorded. Furthermore, the study of the possible origins of the word of Hwalot, ‘Hwalui(豁衣)’ and ‘Halui(割衣)’, shows that although they have very similar pronunciations to Hwalot, they were not worn as the royal wedding robes and they were also bluish in color. Therefore, this indicates that they cannot be the origin of Hwalot. The name 'Halot(할옷)', 'Su-Halot(슈할옷)', ‘Hwalot(활옷)’ are found in documents written in the Korean alphabet, Hangeul, such as novels in early 19th century or modern magazine articles in the early 20th century. Thus, the name Hwalot is considered as a pure Korean word meaning ‘big clothes’, and not as a Sino-Korean. In the days when these records were found, the name Hwalot was already used as a synonym for extravagant dress or wedding robe, which indicates that the word Hwalot must have been used among civilians even before that recorded time. It can be assumed that the royal families and the noblemen of the Joseon Dynasty must have used the word Red Jangsam, which is a Sino-Korean word, while the civilians used the word Hwalot, which is a pure Korean word. In wedding pictures taken after the early 20th century, all the brides, regardless of their social status, wore Hwalot with big hair wigs decorated with ornaments. The royal wedding robe was worn among civilians thanks to the custom of Supseong(攝盛) and a system that lent a full suit of wedding robes from the renter´s store and the bridesmaid(手母 or 首母) in the Joseon Dynasty. To conclude, the Hwalot, a traditional wedding robe, is a costume that generated from the royal Red Jangsam. Hwalot types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he royal court Hwalot and the civilian Hwalot. The royal court Hwalot can again be classified into the Princess Bokon’s Hwalot type that has mixture of gold foil and embroidery decoration and the robe type of the Hwalot at Changdeok Palace that is fully embroidered with lucky signs. By looking at the changing pattern designs shown in the embroidery design patterns of Hwalot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the transition from the Princess Bokon’s robe type to the robe type of the Hwalot at Changdeok Palace can be inferred. Most Hwalots in Korea do not have clear sources, thus it is difficult to identify whether they are from the royals or the civilians. The civilian Hwalot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types. The first type of Hwalot looks as if it is manufactured by civilians by imitat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walot at Changdeok Palace. This follows the patterns found in the royal Hwalot while it also has lucky sign patterns that meet the sentiment of civilians. Moreover, it does not have the sophisticated design as well as the stiffness that comes from the royal Hwalot, but displays a natural design. The second type is the one found after the modern period, which is not too long ago. It has escaped from the typical Hwalot style of lucky style patterns and displays a simple design of small birds flying towards a peony. Some influence of the modern Japanese embroidery can be found in the color and techniques but it is deemed that they are not following the conventional style of the royal Hwalot but exhibiting the natural sentiment and beauty of the civilians. Hwalot relics at overseas museums were collected by the western collectors in the periods of the latter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Among them, there were a few Hwalots with the same style as the Princess Bokok’s Hwalot and a lot of Hwalot relics that exhibited the similar formative characteristics as the ones at Changdeok Palace.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sume that they are the royal Hwalot remains taken to overseas during the period of chaos. Analysis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walot indicates that the special structural style of Hwalot came from the changes in embroidery patterns of Hwalot. Through its transformation from the Hwalot type of Princess Bokon’s, which is composed of delicate and fine patterns, to the Hwalot type at Changdeok Palace, which is fully filled with lucky sign patterns. It seems that Hwalot started to interline several layers of Korean rice paper in order to support the heavy weight of embroidery and to display the embroidery patterns more effectively. With this,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silhouette of Hwalot are also thought to have changed into its special composition found in these days. Red color used in Hwalot is the traditional color representing the protection of the evil spirits(辟邪) and the auspicious sign(吉祥). It is also known to be the most beautiful color, commonly used in bridal dress of the East Asian region. Red outer fabric and blue inner fabric of Hwalot symbolizes the harmony of yin and yang. The sleeves with stripes of three colors - yellow, red and green - makes the robe even more extravagant, and the white-colored wristband and collar stripe signify the cleanliness and virtue of the ceremonial robe. Embroidery patterns that decorate the surface of Hwalot have various connotations that define the life of a woman after marriage in the Joseon Dynasty. These beautiful patterns carry the natural hope of human beings. They wish the bride and groom to have many children, to become a happy family, to grow old together, and to enjoy all the blessings of the world. Patterns that were preferred at the royals show some differences with those favored by the civilians. The beauty of Hwalot costume has only been evaluated in fragments to establish a classified structure on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Hwalot.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research results as it emphasizes on certain periods due to the analysis of Hwalot relics that only concentrate o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 이상규 작곡 가야금 독주와 관현악을 위한 수상곡 “고엽(枯葉)”의 분석 : 독주가야금 선율을 중심으로

        권혜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상규가 작곡한 가야금독주와 관현악을 위한 수상곡 “고엽(枯葉)”을 분석한 결과 악장별 구성은 다음과 같다. “고엽”은 총 208마디, 전체 3악장으로 구성되어있고 조성에 따라 4부분, Tempo와 조성의 변화에 따라 6부분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선율분석에 따라서는 총 10부분으로 나눌 수 있었다. 각 부분의 악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Ⅰ악장, ♩= ca40 (좀 느리게), 박자는 4/4, 조성은 E♭로 되어있고, 선율 구분에 따라 4부분으로 나누어진다. 1악장의 전체적인 음 진행은 B♭→ E♭→ G→ B♭ 음 중심으로 이루어져있다. 2. 제 Ⅱ악장, ♩= ca60 (보통 속도로), 박자는 4/4, 조성은 E♭, A♭ 로 되어있고, 선율 구분에 따라 2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가야금의 새로운 주법으로 훑는 주법이 사용되었다. 음 진행은 1악장과 같은 음 진행과 이를 바탕으로 B♭→ E♭→C(G)→ B♭음으로의 진행, 혹은 F→ E♭ → G→ B♭→ C음으로의 진행과 같이 구성음을 추가하거나 변형하였다. 관현악에서 현의 색감을 특징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옥타브 이상의 음들을 자유롭게 배치하였으며, 꾸밈음과 전성을 사용하여 음색의 변화를 주고 있다. 3. 제 Ⅲ악장, ♩.= ca45 (빠르게) 박자는 6/8 조성은 E♭ → ♩.= ca65 박자는 6/8 조성은 E♭과 ♩= ca45~(사라지듯이) 박자는 2/4, 3/4 조성은 E♭으로 되어있고, 선율구분에 따라 4부분으로 나눈다. 전체적인 음 진행은 G-C-E♭-C-G의 주요 선율을 사용 한다. 이상규 작곡 가야금 독주와 관현악을 위한 수상곡 “고엽(枯葉)”은 표제음악으로 가을빛 진한 찬란한 단풍에서 낙엽 되어 바람에 날리는 모습을 형상화하여 작곡된 곡이다. This paper analyzes "KOYUB", the water music for Gayageum solo and orchestra composed by Lee Sang gyu. The composition of each movement is as followed. "KOYUB" consists of 208 phrases or three movements in total and can be divided into six parts by tempo and four parts by tonalities. Following are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1. The First Movement shows the tempo of ♩= ca40 (Andantino), common Time 4/4, tonality of E♭, and it is divided into four parts by melody. The overall melodic flow of the first movement is mainly constructed by B♭→E♭→G→B♭. 2. The Second Movement shows the tempo of ♩= ca60 (Moderato), common time 4/4, tonality of E♭ and A♭, and it is divided into two parts by melody. This movement also uses threshing as a new style of rendition for Gayageum. The melodic progress is based on the progress that is similar to the progress in the first movement. It also displays some variations in the progress by addition of constructing note such as B♭→E♭→C(G)→B♭ or F→E♭→G→B♭→C. To express the string instruments' characteristic sense of notes, this movement includes notes that are above the octave range and present variety in melody by using ornament and bouncing. 3. The Third Movement shows the tempo of ♩.= ca45 (Allegro) with six-eighth time 6/8 and tonality of E♭, the tempo of ♩.= ca65 with 6/8 and E♭, and ♩= ca45~(perdendosi) with time of 2/4, 3/4 and tonality of E♭. This movement is divided into four parts by melody. The overall melodic progress is G→C→E♭→C→G. The water music for Gayageum and orchestra "KOYUB" composed by Lee Sang gyu is a programme music which describes the scene of leaves turning colors from the glorious autumn leaves into the dried leaves blown away by dreary wind.

      •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에 대한 내재적 동기와 조직환경요인의 예측 :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권혜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competition among the companies is accelerated in corporate environment and technology is rapidly developed. Meanwhile, companies must newness differentiated from competitive companies so as not to be backward in this period. In this situation, continuous innovation is necessary for future's competitiveness so as that companies can secure competitiveness and they must deal with changes effectively and actively. Recently, creativity is emphasized as an important factor in corporate administration so as to deal with rapid changes of administrative environment and realize corporate competitive advantage. Creativity is an ability to produce new and useful ideas and companies are requested to develop and cultivate manpower with excellent creativity. According to the precedent research, there are positive effects while intrinsic motivations display creativity. intrinsic motivation are helpful for higher job satisfaction, cognitive efforts and effective information treatment. Furthermore, the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so much. Finally, employees can perform works sincerely as a member of company and improve job performance requesting continuous efforts. Although members' revelation of creativity is importantly related to corporate outcome for companies, there are few studies on creativity. And, existing studies are mainly limited to studies related to creativity concept, so studies on the relationship with factors influenced to creativity are very insufficient and studies reveal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are necessary. For the situation included to organizational individual, it's necessary to focus on characteristic factors of organizational environment including individual according to the precedent research influenced individual creativity. An analysis on the factors influencing creativity from the organizational level has an important meaning as much as creativity of individual level. According to the rapidly environmental changes, companies make a lot of efforts for developing members' creativity. It's necessary to analyze factors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which make an effect on the creativity development of members so that creativity can show outcomes of corporate administration innovation and improvement ultimately. Creativity makes a direct effect on job performance sometimes, but makes an indirect effect on job performance sometimes under the medium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result of precedent research that creativity makes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result of research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makes an effect on job performance, it can be inferred that creativity can make an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Therefore, this research intends to the relationship among the examine corporate members' intrinsic motivation, organizational support(organizational encouragement, supervisory encouragement, work group encouragement)and creativ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performance based on the precedent researches, verify if creativity mediates the relationship among the intrinsic motivation, organizational support(organizational encouragement, supervisory encouragement, work group encour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performance and draw implications for the relationship among the intrinsic motivation, organizational support(organizational encouragement, supervisory encouragement, work group encouragement) and creativity, job perform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achieve these objective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Does creativity have mediated effects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2. Does creativity have mediated effects between organizational support(organizational encouragement, supervisory encouragement, work group encour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3. Does creativity have mediated effects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job performance? 4. Does creativity have mediated effects between organizational support(organizational encouragement, supervisory encouragement, work group encouragement) and job performance? To conduct this research, intrinsic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support(organizational encouragement, supervisory encouragement, work group encouragement) were designa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as dependent variables and creativity as what plays a mediated role. To mee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survey was conducted to organizational members of D Company and questionnaires of 82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First of all,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data obtained by survey and correlativ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was analyzed. Based on them, mediated analysis suggested by Baron & Kenny(1986) was applied so as to analyze if creativity has mediated effects among the intrinsic motivation, organizational support(organizational encouragement, supervisory encouragement, work group encour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ve analysis among the corporate members' intrinsic motivation, Organizational support(Organizational encouragement, Supervisory encouragement, Work group encouragement) and creativ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performance was conducted. If examining correlative relationship among the job performance and intrinsic motivation, organizational encouragement, supervisory encouragement, work group encouragement, creativ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all of them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under the significant standard of .01. The variable which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job performance was intrinsic motivation. For the next, there are work group encouragement, creativ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supervisory encouragement, organizational encouragement in order. Next, if examining the correlation amo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rinsic motivation, organizational encouragement, supervisory encouragement, work group encouragement, creativity, there were work group encouragement, creativity, supervisory encouragement, intrinsic motivation, organizational encouragement in order. Second, research was based on the 3-stage proces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so as to confirm if creativity shows mediated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the result, creativity has mediated effects when intrinsic motivation estimated organizational commitment. Creativity played a completely mediated role while intrinsic motivation estimate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3-stage mediated analysis of Baron and Kenny(1986), pervious method, was used samely so as to confirm if creativity shows mediated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the result, creativity has mediated effects while organizational support estimated organizational commitment. Firstly, there was partial mediated effects of creativity while organizational encouragement estimate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supervisory encouragement estimated organizational commitment, creativity showed mediated effects. While work group encouragement estimated organizational commitment, creativity showed partial mediated effects. Fourth, research was based on the 3-stage process of Baron and Kenny(1986) so as to confirm if creativity has mediated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job performance. As the result, creativity had mediated effects while intrinsic motivation estimated job performance. intrinsic motivation significantly estimated job performance and intrinsic motivation significantly estimated creativity. intrinsic motivation' expectation for job performance was reduced when inserting creativity, so creativity played a mediated role. Finally, research was based on the 3-stage process of Baron and Kenny(1986) so as to confirm if creativity has mediated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performance. As the result, creativity had mediated effects while organizational support estimated job performance. Through the above results, creativity's mediated effects could be verified when intrinsic motivation, organizational support(organizational encouragement, supervisory encouragement, work group encouragement) estimate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Therefore, organizational executives's encouragement and continuous consideration are necessary so that they can display sufficient capabilities in the environment inducing members' intrinsic motivation and perform tasks successfully for committing organization and improving job performance. In addition, for creative idea or performance, proper compensation by its fair and systematic judge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encouraging creativity must be made. Based on this research, following researche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is for 82 members in D Company, so there is a difficulty in generalizing research results. Therefore, in following researches, the specimen must be expanded to organizational members working in other companies and secure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Especially, differentiated researches must be conducted by stereotyping targets into characteristics such as detailed job, etc. Second, all of testing tools for measuring intrinsic motivation, organizational support, creativ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performance in this research were estimated by materials the subject responded by self-report. Therefore, collected materials depend on subjects' subjective judgement, so there are basic limitations. Especially, it's necessary to departmentalize job performance more, measure it and objectify the measurement. Following researches must conduct the study on job performance more objectively by utilizing concrete criterions such as evaluation of superiors or colleagues, interview, performance rating, etc.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s necessary to study on the methods to improve organizational members' intrinsic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encouragement, supervisory encouragement, work group encouragement in the future. And,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coaching programs which emphasize the importance continuously are necessary so that organizational members can display creativity well with supports. 오늘날의 기업환경에서 기업 간 경쟁은 가속화되고, 기술이 빠른 속도로 발달하면서 기업은 경쟁사와 차별화된 새로움을 보여주어야 도태되지 않는 시대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도록 끊임없는 혁신이 필요하며, 변화에 효과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한다. 최근 급격한 경영 환경의 변화에 대처하고 기업의 경쟁우위를 실현하기 위하여 기업경영에서 창의성이 중요 요소로 강조되고 있다. 창의성은 새롭게 무엇인가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을 기반으로 창의적 결과를 도출하는 하나의 연속된 과정으로 정의된다(Amabile, 1988). 전반적으로 모든 영역에서 새롭고, 유용한 아이디어를 생산해내는 능력인 창의성(Kaufman & Baer, 2006)을 갖춘 뛰어난 인재개발 및 육성이 기업 환경에서 특히 요구되고 있다. 최근 국내외 기업들의 경우 새로운 기술의 개발과 혁신의 필요성을 깨닫고 이에 빠르고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창의적 인재를 채용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선행연구(Amabile, 2001)에 의하면 내재적 동기가 창의성을 발휘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내재적 동기는 보다 높은 직무 만족감과 효율적인 정보처리를 하는데 도움을 주며, 더 나아가 창의성 증진에도 상당한 기여를 하여 회사의 구성원으로서 충실히 업무수행을 지속하도록 해주며,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되는 과제수행을 향상시키게 해준다(Weibel, Rost & Osterloh, 2007). 기업환경에서 조직원의 창의성 발현이 기업의 성과에 중요하게 연관되어 있지만 창의성에 관한 연구는 적은 편이고,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창의성의 개념과 관련된 연구들이다(정범구 외, 2003). 따라서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관계와 창의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실제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조직의 개인이 속한 상황은 개인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친다(Amabile, 1988)는 선행연구 결과에 따라 개인이 속한 조직환경적 특성요인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개인 차원뿐만 아니라 조직 차원에서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급변하는 기업 환경에서 기업은 조직구성원의 창의성 개발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조직구성원의 창의성이 기업혁신의 결과로서 성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과 조직환경적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창의성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와 조직몰입을 매개로 하여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창의성이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 조직몰입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고 있으며(Weiner & Vardi, 1980), 조직몰입 수준이 높은 구성원은 높은 직무 만족, 낮은 이직률, 우수한 직무성과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Porter & Steers, Mowday, 1974; Mathieu & Zajac, 1990)가 이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기업 조직원의 내재적 동기, 조직환경요인(조직격려, 상사지원, 팀지원)과 창의성, 조직몰입,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창의성이 내재적 동기, 조직환경요인(조직격려, 상사지원, 팀지원)과 조직몰입, 직무성과 간 관계를 매개하는가를 검증하여 내재적 동기, 조직환경요인(조직격려, 상사지원, 팀지원)과 창의성, 직무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내재적 동기와 조직몰입 사이에서 창의성은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2. 조직환경요인(조직격려, 상사지원, 팀지원)과 조직몰입 사이에서 창의성은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3. 내재적 동기와 직무성과 사이에서 창의성은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4. 조직환경요인(조직격려, 상사지원, 팀지원)과 직무성과 사이에서 창의성은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내재적 동기와 조직환경요인(조직격려, 상사지원, 팀지원)을 독립변인으로 선정하고, 종속변인으로 조직몰입과 직무성과를 두고 창의성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선정한 연구문제에 대하여 D기업 조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응답한 82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먼저 설문을 통해 얻은 데이터로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으며,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내재적 동기, 조직환경요인(조직격려, 상사지원, 팀지원)과 조직몰입, 직무성과와의 사이에서 창의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분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에서 조직원의 내재적 동기, 조직환경요인(조직격려, 상사지원, 팀지원)과 창의성, 조직몰입, 직무성과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직무성과와 내재적 동기, 조직격려, 상사지원, 팀지원, 창의성, 조직몰입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유의수준 .05에서 각 변인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성립되었다. 직무성과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변인은 내재적 동기로, 상관계수는 .66(p < .05)이었다. 다음은 팀지원(r = .60, p < .05), 창의성(r = .56, p < .05), 조직몰입(r = .53, p < .05), 상사지원(r = .50, p < .05), 조직격려(r = .47, p < .05)순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에서 조직원의 직무성과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변인은 내재적 동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조직몰입과 내재적 동기, 조직격려, 상사지원, 팀지원, 창의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팀지원의 상관계수는 .49(p <. 05)로 나타났으며, 창의성(r = .45, p < .05), 상사지원(r = .44, p < .05), 내재적 동기(r = .39, p < .05), 조직격려(r = .32, p < .05)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창의성과 내재적 동기, 조직격려, 상사지원, 팀지원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내재적 동기의 상관계수는 .70(p <. 05)로 나타났으며, 상사지원(r = .46, p < .05), 팀지원(r = .33, p < .05), 조직격려(r = .16, p < .05)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재적 동기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창의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과정에 근거하여 연구를 진행한 결과, 내재적 동기가 조직몰입을 예측하는데 있어 창의성이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내재적 동기 β = .15, p > .05, 창의성 β = .37, p < .01). 셋째, 조직환경요인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창의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앞선 검증단계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분석 방법을 동일하게 사용한 결과, 조직환경요인이 조직몰입을 예측하는 데 있어 창의성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조직격려가 조직몰입을 예측하는데 있어 창의성의 부분매개효과가 존재하였으며(조직격려 β = .26, p < .01, 창의성 β = .39, p < .01), 상사지원이 조직몰입을 예측하는데 있어서도 창의성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고(상사지원 β = .27, p < .01, 창의성 β = .35, p < .01), 팀지원이 조직몰입을 예측하는데 있어 창의성의 부분매개효과가 존재하였다(팀지원 β = .36, p < .01, 창의성 β = .35, p < .01). 넷째, 내재적 동기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창의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과정에 근거하여 연구를 진행한 결과, 내재적 동기가 직무성과를 예측하는 데 있어 창의성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내재적 동기는 직무성과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β = .66, t = 7.91, p < .01), 내재적 동기는 창의성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β = .68, t = 8.31, p < .01). 내재적 동기의 직무성과에 대한 예측력은 창의성을 투입하였을 때 그 예측력이 감소하였으므로(β = .46, t = 4.24, p < .01), 창의성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조직환경요인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창의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과정에 근거하여 연구를 진행한 결과, 조직환경요인이 직무성과를 예측하는 데 있어 창의성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선 조직격려가 직무성과를 예측하는데 있어 창의성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고(조직격려 β = .33, p < .01, 창의성 β = .49, p < .01), 상사지원이 직무성과를 예측하는데 있어서도 창의성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상사지원 β = .29, p < .01, 창의성 β = .47, p < .01). 팀지원이 직무성과를 예측하는데 있어 창의성의 매개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팀지원 β = .44, p < .01, 창의성 β = .45, p < .01). 이상의 결과에서 내재적 동기와 조직환경요인(조직격려, 상사지원, 팀지원)이 조직몰입과 직무성과를 예측하는데 있어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조직원이 조직에 몰입하고 직무성과를 향상하기 위하여 조직원들의 내재적 동기가 유발되는 환경에서 충분한 역량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조직 책임자가 배려하여 조직원들을 격려하고 성공적인 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이 필요하다. 또한 개인의 창의성이 발휘되어 개인의 직무성과 및 기업의 직무성과에도 연결될 수 있도록 조직 차원에서 지원해주기 위한 제도나 조직문화 형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D기업의 조직원 82명을 대상으로 한 결과이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타 기업에 종사하는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표본을 확대하여 일반화 가능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특히 대상을 세부직무 등과 같은 특징을 기준으로 유형화하여 차별적으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내재적 동기, 조직환경요인, 창의성, 조직몰입, 직무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검사 도구들은 모두 연구대상자들이 자기 보고식(self-report)으로 설문지에 응답한 자료를 통해 추정하였다. 따라서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특히 직무성과를 보다 세분화하여 측정하고 이에 대한 측정도 객관화할 필요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상사나 동료의 평가, 인터뷰, 인사고과 등 구체적인 준거 틀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직무성과에 대한 연구를 좀 더 객관적으로 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조직 내에서 조직원의 내재적 동기와 조직격려, 상사지원, 팀지원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기업에서 조직원의 조직몰입과 직무성과를 높일 수 있는 변인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변인들의 직접효과와 매개효과 등의 다각적 분석하여 활용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결과가 조직구성원의 창의성 발휘, 조직몰입을 확보하여 개인의 직무성과와 조직성과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