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및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

        권현주 계명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및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광역시에 소재하는 일반고 1학년 168명, 2학년 212명, 자율고 1학년 169명, 2학년 134명, 특목고 1학년 138명, 2학년 139명의 남, 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심리적 안녕감 척도, 주관적 행복감 척도, 파나스 척도, 청소년 몰입 경험 척도, 삶의 의미 척도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일원배치 분산분석, 독립표본 t-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목고 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및 주관적 행복감은 일반고와 자율고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일한 고등학교 유형 내에서 학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및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일한 고등학교 유형 내에서 성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및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및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를 예측하는데 있어 학교 유형을 고려하여 접근하는 것이 유용함을 시사해 준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bjective happiness of high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168 1st graders and 212 2nd graders of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169 1st graders and 134 2nd graders of autonomous high school students, and 138 1st graders and 139 2nd graders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 students in D city.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Subjective Happiness Scale, the Positive Affectivity and Negative Affectivity Scale, the Flow Scale, and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one-way ANOVA and the independent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subjective happiness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regular high school and autonomous high school student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difference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subjective happiness between grader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ame high schools. Third, the gender difference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subjective happines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ame high schools. The results show that types of school need to be considered in predicting the difference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subjective happiness of high school students.

      •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일부간호사의 태도 조사

        권현주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 의료에서 인체조직의 활용가치와 범위는 엄청나게 크며 그 중요성과 수요는 수명의 연장, 대형사고의 증가 그리고 의학기술의 발전 등으로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인체조직은 인공적으로 만든 어떤 조직보다 치료 효용이 높으며 각종 인체조직 중에서도 뼈, 피부, 인대, 혈관, 연골, 심장판막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직이식 수요의 증가로 필요한 조직은 많으나 국내의 저조한 조직기증으로 조직을 국내에서 공급하지 못하고, 주로 외국에서 수입된 조직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인체조직 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여 간호사의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인체조직기증에 대한 인식과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While modern medical technology helps longer lifes and life qualities of human being, there is increasingly human tissue's loss according to one's aging process. Human tissue transplantation is more and more needed due to accidents or disasters in the course of one's lifetime. In the modern medical system, the practical value and scope of human tissues are tremendously high and wide, and human tissues are in great request in terms of longer life, increase in huge incidents, and medical technology development and the like. Among human tissues, there are main tissues such as born, skin, ligament, blood vessel, cartilage, and valve of the heart. Human tissues are more efficient than any other artificial tissues. As a result, revitalization of human tissue donation can improve people's life quality, who lost their part of body or were injured due to accidents or diseases, through providing them with suitable and safe human tissues. For this, it should be needed, for the human tissues donation culture, to make diverse efforts including relevant lectures, campaigns for citizens' participation, making mimeographs, cooperation with mass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hospital nurses' attitudes concerning human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to find out how to make the attitudes active, and to provide with basic data for current situation about tissues donation and its revitalization. In this study,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364 nurses, selected randomly among nurses working at 'K' hospital, located in Seoul, from on April 2th to April 8th, 2009. The tool of this study was the reorganized questionnaires of the study of Kim Tea-Eun(2004), who reused the questionnaires based on the study of Ju Ae-Eun(1995) regarding nurses' attitudes on Human tissues transplantation.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36 questions as follows: 12 questions about general features, 6 questions about features of human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18 questions about attitudes of human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Cronbach's alpha= .7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th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by SAS(15.0) program. It was cross-analysis and after that, duncan test was carried ou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espondents to the questionnaires were the nurses, aged from 26 to 30(35.7%), unmarried(59.1%), graduate(63.7%), having religion(66.2%). As for their working department, there were orderly surgical ward(25.5%), medical ward(22.5%), and ICU(17.0%). Cremation(80.2%) was the highest record as funeral rites they hope. 2. The average score of the attitudes for human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was 3.71(SD=±0.39), which means they were relatively optimistic. In the items, the highest item was "I think that organ donation is a very important thing for terminal patients"(M=4.32, SD=±0.65), while the lowest one was "I know the procedure for system donation"(M=2.69, SD=±0.94). 3. In the analysis of attitudes by general featur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s for human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ccording to the form of funeral they wish( F=4.69, p<.05), i.e. respondents for the cremation service were more optimistic to the attitudes of human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than the burial service. In the meantim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education level, working position, working department, religion, religion activity level, matrimony, sibling numbers, blood donation experience. 4. As for experience and knowledge concerning human tissues, it was shown that the attitudes regarding human tissues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were relatively optimistic in each case of accessing information about organ or human tissues donation(t=3.71, p=0.00), having an education on organ or human tissues donation(t=2.709, p=0.007), and knowing the fact that organ donation is different from human tissue donation(t=2.65, p=0.01). 5. In the analysis of item of the relevant educa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r=.005(p<.05)) in knowledge about human tissues. In other words, it was shown that respondents who have experienced about education on 'human tissue donation is different from organ donation'(41.1%) had more knowledge about human tissues than the respondents who have no such an experience(25.4%). 6. For other results, in the questionnaires about attitudes of human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of 224 who answered optimistically "Yes, I'm sure" and "I almost agree to it" as for the item of "I intend to donate my tissues if I'm in brain death or die", they showed such tissues to be preferably donated were all tissues(118 persons, 33.6%), heart valves(53, 15.1%), amnion(31, 8.8%), ligament(26, 7.4%) and etc in good order. In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the attitudes are related to information, education, and knowledge on human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In order for nurses who directly care for the sick to revitalize the optimistic attitude regarding human tissue donation, several approaches should be needed. First, it is necessary that relevant courses of study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s of undergraduate school. Second, it is needed that supplementary medical education programs relating to human tissue donation are to be developed and worked. Last, there is need to change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as attracting attention to not only hospital nurses but also the public through multiple publicity of human tissue donation.

      • 서비스현장관리자의 행동특성이 직원의 자기효능감, 창의성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권현주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Service companies are making continuous and lots of efforts to achieve their service goals. In particular, the role of customer contact employee and service managers is emphasized in order to improve service performance centered on service fields.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direction for the rol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ervice managers by researching the effect of the service manag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on the employee's self-efficacy, creativity, and performance on customer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trust.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intend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factors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ervice managers on customer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trust such as employee’s self-efficacy, creativity and performance. Second, it is to verify the effect of employee's self-efficacy and creativity on performance, namely, customer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trus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manag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he employee's performance, the purpose of verifying whether the employee's self-efficacy and creativity have mediating effects. Finally, through the analysis of differences of employees, it is intended to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al operation. The study targets employees at service field who work for service companies in six industries, including hotels, resorts, golf country clubs, airlines, restaurants and aquariums. First,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4 people, including 2 service experts and 2 customer satisfaction personnel for each survey sector, and corrected some of the questions, and then conducted as an online survey in this survey, and some companies distributed questionnaires, and some sectors Was surveyed online through a specialized research company, and a total of 694 copies were answered, and 675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the analysis, only the items that were recognized as appropriate through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SPSS 23.0 and AMOS 22.0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as data analysis tool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one-way batch variance analysis were performed.In addition, the conformity of the structural model was verifi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was verified. In addition,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Research results through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ervice managers had a positive feedback on the employee's self-efficacy and creativity. Amo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struction behavior, democratic behavior, autocratic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Second, it was found that employee's self-efficacy and creativity had a positive feedback on performance. Employees' self-efficacy and creativ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s' customer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trust, which are sub-factors of performan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ervice managers had a positive feedback on employee performance, that is, customer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trust. From the perspective of customer orientation, it was found that amo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struction behavior, democratic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had a significant effect. In terms of organizational trust, it was found that instruction behavior, democratic behavior, and social support behavi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characteristic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manag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he sub-factors of employee performance, customer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trust, self-efficacy and creativity were found to have mediating effects, respectively. Fifth, it was found that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ervice managers had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the employee's gender, age, career, position, job type, and job, a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will provide information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useful for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ervice manager’s behavior and managing service fields by presenting the performance of employees according to service managers. Keywords : Service Manager, Behavior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Creativity, Performance, Customer Orientation, Organizational Trust 서비스기업들은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지속적이고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특히, 서비스현장을 중심으로 서비스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서비스현장관리자와 고객접점 직원의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비스현장관리자의 행동특성이 직원의 자기효능감, 창의성 및 성과 즉, 고객지향성과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서비스현장관리자의 역할과 행동특성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5가지로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기업에 종사하는 서비스현장관리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행동특성 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둘째, 서비스현장관리자의 행동특성 요인이 직원의 자기효능감과 창의성 및 성과, 즉 고객지향성과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다. 셋째, 직원의 자기효능감과 창의성이 성과 즉, 고객지향성,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다. 넷째, 서비스현장관리자의 행동특성과 직원의 성과 간의 관계에서 직원의 자기효능감과 창의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직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차이 분석을 통해 조직운영의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호텔, 리조트, 골프장, 항공, 외식, 아쿠아리움 등 6개 업종의 서비스기업에 근무하는 전국의 서비스현장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서비스전문가 2인 및 설문조사 업종별 CS담당 각 2인 등 총 14명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일부 문항을 서비스현장에 맞게 수정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온라인설문과 설문지를 배포하는 방식을 병행하여 조사하였으며, 일부 업종은 전문 리서치업체를 통하여 온라인설문으로 조사하여 총 675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 검사를 거쳐 적합하게 나온 문항만을 최종 분석에서 활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23.0와 AMO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상관분석,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통해 구조모형의 적합도 검증과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소벨 테스트(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실증연구를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현장관리자의 행동특성은 직원의 자기효능감과 창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특성 중 지시적 행동, 민주적 행동, 권위적 행동, 사회적 행동, 혁신적 행동은 직원의 자기효능감과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나, 긍정적 보상행동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직원의 자기효능감과 창의성은 성과, 즉 고객지향성과 조직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각각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서비스현장관리자의 행동특성은 직원의 성과, 즉 고객지향성과 조직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특성 중 지시적 행동, 민주적 행동, 혁신적 행동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권위적 행동과 긍정적 보상행동은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서비스현장관리자의 행동특성과 직원의 성과, 즉 고객지향성과 조직신뢰 간의 관계에 있어 직원의 자기효능감과 창의성이 각각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민주적 행동과 혁신적 행동에 대해 영향을 나타냈다. 다섯째, 서비스현장관리자의 행동특성은 직원의 성별, 연령, 경력, 직급, 근무업종, 직무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서비스현장관리자의 역할을 코치, 촉진자, 비전 제시자 등 스포츠 현장의 지도자의 역할에서 도출하여 지시적 행동, 민주적 행동, 권위적 행동, 사회적 행동, 긍정적 보상행동, 혁신적 행동 등 여섯 가지 특성을 제시하며 현장관리자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둘째, 서비스현장관리자의 행동특성이 직원의 자기효능감과 창의성, 그리고 성과 즉 고객지향성과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긍정적 보상행동은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긍정적 보상행동이 강조되고 있지만, 서비스현장에서 큰 영향이 없다는 것을 인지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셋째, 직원의 성과, 즉 고객지향성과 조직신뢰에 있어 직원의 자기효능감과 창의성이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음을 파악함으로써 서비스현장에서 자기효능감과 창의성의 중요성에 대하여 재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넷째, 서비스직원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서비스현장관리자의 효과적인 행동특성을 직원의 개인역량, 즉, 자기효능감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제시하여 현장관리자에게 효과적인 행동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을 통해 도출된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의 서비스현장관리자는 행동특성의 요인을 이해하고 직원의 성과를 위하여 각각의 행동특성의 효과적인 발휘를 위한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직원의 자기효능감과 창의성이 직원의 성과를 높이는 중요한 동기가 됨을 인식하고, 자기효능감과 창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직원이 성취경험의 기회를 가질 수 있는 방향으로의 조직운영이 필요하다. 셋째, 서비스현장관리자의 행동특성은 직원의 자기효능감과 창의성, 그리고 성과, 즉 고객지향성과 조직신뢰에 영향을 미치므로 서비스현장관리자와 직원과의 효과적인 소통과 상호관계를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 서비스현장관리자의 행동특성에서 직원의 고객지향성과 조직신뢰에 이르는 과정을 실증적 연구를 통해 밝힘으로써, 고객지향적이며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서비스기업과 현장의 조직운영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패션브랜드 웹사이트 이용특성과 속성 중요도에 관한 연구

        권현주 慶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users'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of attributes in fashion brand websites. This study was conducted 1) to survey the present state of managing in fashion brand websites on webmasters, 2) to analyze the utilization of fashion brand websites according to 6C(Commerce, Customizing, Contents, Community, Connection, Communication), and 3) to survey user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of attributes in the fashion brand websites on consumers. To survey the present state of management in fashion brand websites on webmaster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investigate establishment, renewal, e-CRM, server operation, troubles to website operation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webmasters. The utilization of fashion brand websites was analyzed according to 6C categories.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six categories of Website evaluation criteria were defined as 6C: commerce, customizing, contents, community, connection, communication. Using this criteria, websites in 105 fashion brands were evaluated to analyze the utilization by content analysis method. The survey of users'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of attributes in fashion brand websites was conducted on consumers. A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two groups, fashion specialists and general consumers. On-line and off-line survey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A total of 1026 usable questionnaires were submitted for data analysis using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t-test, ANOVA, Scheffe′ test, χ^(2)-test,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with utilizing SPSS 10.0 package. The respondents were connected with fashion brand websites via the portal sites. The main purpose of using websites was a search information for new products. The satisfaction of fashion brand websites significantly affected on revisiting intention. Analyzing the importance of attributes in fashion brand websites, website attributes were categorized as 6C. The purpose of searching fashion brand websites were categorized into information oriented type and service oriented type. Information oriented type evaluated more importantly contents attribute. Service oriented type evaluated more importantly community and communication attribut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rs'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of attributes in fashion brand websites between fashion specialists and general consumers. The fashion specialists evaluated more important attributes of commerce, contents, connection, communication than general consumers. And the general consumers group evaluated more important attribute of community than fashion specialists group. And each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income, employment status, expenses for fashion a month and residence.

      • 천로역정에 나타난 구원의 의미 연구

        권현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17세기 영문학의 걸작으로 손꼽히는 번연의 『천로역정』은 인간의 영혼 구원의 과정을 주인공의 순례의 여정에 빗대어 보여주고 있으며, 주인공이 여행길에 만나는 여러 사람들은 각각 선과 악을 대표하는 인물들로서 이들이 빚어내는 이야기들을 통해 인간사가 선과 악의 대립과 투쟁 속에서 이루어짐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알레고리 작품이다. 이 논문에서는 번연의 『천로역정』에 많은 영향을 끼친 구원의 의미를 성경에 비추어 살펴본 후에, 성경의 구원관이 이 작품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알레고리와 관련지어 연구하고자 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번연의 생애를 자세하게 살펴봄으로써 어떻게 그의 작품에 그토록 깊이 신앙이 녹아들게 되었는지를 알아본다. 당시 영국은 개신교 운동의 문제로 인해서 1642년부터 내란이 지속되었다. 이러한 혼란의 시대를 살면서 번연은 가정적으로도 많은 고통과 갈등을 겪은 것으로 보인다. 번연이 성장한 후 개신교를 접하면서 그는 어두운 영혼에 밝은 빛이 드리워지는 체험을 하게 되고 오랜 방황에 종지부를 찍게 된다. 두 번째, 성경에 나타난 구원의 의미를 살펴본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칼빈주의(Calvinism)에 입각한 조직신학(Systematic Theology)을 중심으로 구원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세 번째, 『천로역정』에 나타난 주인공 ‘크리스천(Christian)’의 순례의 여정을 살펴보고, 이것이 알레고리 기법을 사용하여 성경적 구원관을 표현하고 있는 방식을 연구한다.

      • 하나후다와 화투에 투영된 문화기호의 구조적 연구

        권현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화투(花鬪)의 외래 놀이문화로서의 성립과정을 밝히고, 성립 초기의 외래적 문화기호를 확인한 뒤, 이미 국민적 놀이문화로 자리매김한 화투의 문화기호가 한국화한 양상을 밝힘으로써 이미 한국 문화가 된 화투의 위상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화투의 도안물 뿐만 아니라 한국에 유입된 일본 하나후다(花札)의 도안물 형성 과정과 유입 과정, 그리고 전파 과정 전반에 관하여도 면밀히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서론에서 제기한 각 문제점들에 대하여 고찰한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화투가 현재 한국의 놀이에서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는지와 화투를 둘러싼 문제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민속학계에서는 화투를 민속놀이로 분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국민의 정서에는 ‘화투’라고 하면 아직 저급한 놀이라는 인식이 남아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지금껏 화투만의 문제라고 여겨왔던 것이 실제로는 격변하는 시대상의 반영과 많아진 여가에 비해 적절한 놀이의 부재 등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난 것이 아닌가 한다. 둘째, 화투와 도안물이 유사한 하나후다는 일본에서 처음 만들어진 것인지, 또 다른 놀이의 영향을 받은 것은 없는가를 고찰하고자 하나후다와 화투의 도안물에 대한 계보를 추적하여 비교분석해 본 결과, 하나후다의 원류(源流)는 남유럽산 Carta이다. 15C경 일본에 유입된 남유럽산 Carta는 실내에서 이루어지는 일본의 고유놀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뒤, 덴쇼가루타(天正carta)와 운슨가루타(umsumcarta)라는 일본에서 처음 만들어진 유럽 스타일의 도박계통 가루타로 계승된다. ‘내기’ 성향이 강한 속성 때문에 일본 내에서 수차례 단속의 대상이 되었던 유럽 스타일의 가루타는 에도막부(江&#25144;幕府)가 도박금지령을 내릴 때마다 이를 피하는 수단으로써 도안의 형태를 여러 차례 변형시키게 된다. 그런데 당시의 단속은 지역에 국한되었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다양한 문양의 수많은 지방 후다(札)가 양산된다. 그러나 이때까지만 해도 다양한 문양이 시도되었어도 유럽 스타일의 도안 형태에서 그다지 벗어나지 않았다. 하지만 단속이 전국에 걸쳐 수차례 시행되고 처벌도 점점 강화되자 도안물은 완전 변형을 모색하기에 이른다. 원류인 유럽산 가루타와 분별하기 힘들 정도로 형태의 변형을 이루어 일본화된 것이다. 다양한 문양을 만들어내며 양산되던 도박계통의 지방 후다 중 일부는 당시 단속에서 제외되었던 교육계통의 가루타 형태를 모방하기 시작한다. 그 중의 하나가 1818년에서 1843년 사이에 교토(京都)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하나후다이다. 당시 ‘화조류(花鳥類)’의 자연물을 도안하여 짝 맞추기를 하던 교육계통의 가루타인 '가쵸에아와세가루타(花鳥&#32117;&#20250;わせかるた)’의 형태를 도입한 하나후다는 12세트 48장의 월별구성에 이 소재(素材)를 사용하여 유럽산 가루타에서의 숫자 기능을 대신한다. 하나후다의 도안 형성에 영향을 미친 '가쵸에아와세가루타는 조선통신사(朝鮮通信士, 1607-1811) 등과 같은 문화사절단의 교류 시, 조선에서 유행하던 수투의 ‘화조도(花鳥圖)’가 일본에 전래되어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처럼 일본화를 이룬 하나후다 도안물의 문화 성향을 살피고자 일본의 고전시가집인 &#985172;만요슈(万葉集)&#985173;에 실린 시가 4,516수와 &#985172;팔대집(八代集)&#985173;에 실린 시가 9,502수, 총 14,018수의 시가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하나후다 도안물의 문화 성향은 일본의 전통정서가 담긴 것임을 알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럽산 가루타가 일본에서 놀이되는 400여 년 동안 끊임없이 이루어졌던 도박금지령은 유럽산 가루타의 도안을 변형시키는 데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덴쇼가루타에서 계승된 지방 후다의 일종인 하나후다가 전통문화기호 형태를 띠게 된 것도 바로 일본 정부의 단속 때문이다. 여기에서 단속이라는 사회적 요인이 유럽산 가루타의 도안물을 일본화하는데 크게 작용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셋째, 일본 것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하는 화투는 현재까지도 한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놀이를 즐기는 반면, 하나후다는 일본에서 대중성을 거의 상실하였다. 이렇게 된 주요인을 살피면 일본 정부 차원의 정책을 꼽을 수 있다. 유입 당시에는 고급품이었는데 서민들에게까지 확산되며 도박으로 사용하는 일이 늘어났다. 그러자 메이지(明治) 신정부가 미풍양속(美風良俗)을 유지한다는 구실 아래 단속령과 함께 막중한 세금 및 부과금을 부과하며, 도박계통 가루타는 저급하다는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홍보하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하나후다는 저급한 놀이 도구의 상징물이 되어 결국 쇠퇴하게 된다. 또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정책적으로 파친코, 트럼프, 타로(tarrots) 등과 같은 서양 오락도구의 수입을 장려하였기 때문에 당시 유입된 서양의 오락도구는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놀이가 확산되면서 기존의 실내 놀이를 대체하기에 이른다. 비록 대중성은 잃었지만 현재까지도 다른 지방 후다와 함께 명맥은 유지되고 있다. 반면 교토에서 만들어지긴 했지만 전국적으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던 하나후다는 조선통신사(朝鮮通信士)나 보부상(褓負商) 등과 같은 자연스러운 문화 교류의 형태로 19C 말 한국에 유입되어 화투가 되었다. 유입된 초기에는 놀이를 즐기던 사람은 일부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던 것이 20C 초 근대적 생산 시스템과 전국적인 유통망을 갖춘 일본의 한 회사에 의하여 한국에 대량으로 수출되기 시작하였다. 여러 형태의 지방 후다 중에서 하나후다가 유입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생산 시스템과 유통망을 갖추고 대량 수출한 회사가 바로 그 기반을 교토에 두고 있던 하나후다 가루타 업자이었기 때문이다. 이 회사는 현재도 놀이도구 전문업체로 유지하고 있다. 도박계통으로 분류되는 일본의 하나후다와 달리 화투는 유입당시부터 일반 서민들이 즐기던 오락이었다. 한국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국가차원의 도박단속령이 있었지만 화투의 존폐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화투가 국민오락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거치는 동안 하나후다에서와 같이 도안물의 형태에는 그다지 큰 변화가 없었다. 그래서 현재 화투는 하나후다의 복제판(複製版)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그러나 화투에서는 도안의 형태에 많은 변화를 추구하며 자생력(自生力)을 갖춘 하나후다와 달리 도안물의 형태에는 그다지 큰 변화가 없었으나 120여 년 동안 놀이되면서 도안물 해석에 차이를 갖게 된다. 이외에도 화투는 놀이 방식에 변화를 추구하며 자생력을 길러 왔다. 놀이방식에 다양한 변형을 준 요소는 사회를 대변하는 ‘풍자’이다. 넷째, 한국에서 화투가 110~120여년 놀이되는 동안 사회·문화적으로 아무런 변화가 없었는가 하는 것이다. 이에 하나후다와 화투 도안물에 표현된 문화 성향을 검토한 결과 두 놀이도구의 도안물은 각기 등장물과 상징물로 대변되며 해석에 차이를 보였다. 이에 두 놀이도구의 도안물에 대하여 문화기호를 중심으로 구조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옐름슬레브((L. Hjelmslev)의 언어텍스트 단계와 그레마스((A. J. Greimas)의 의미생성 경로과정을 거쳐 하나후다와 화투 두 도안물의 의미 작용(signification)을 구조적으로 분석한 결과 표면적인 특징은 유사하지만 고스톱과 같이 놀이 방식에 변형을 이루며 발전해 온 화투의 도안물은 하나후다의 도안물에서 표현하는 전통문화의 기호가 아닌 놀이문화로서의 의미를 지닌 생성물(生成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후다 도안물의 문화(文化) 성향(性向)과 다르게 발전한 화투의 도안물은 하나후다와 다른 해석(interpretation)을 하며 ‘풍자’가 놀이 기능을 극대화할 때 그 모티브가 되었다. 이리하여 등장물과 상징물로 대변되며 문화 성향에 상이성(相異性)을 보이는 두 도안물의 기호물군(configurartion of code)은 문화기호의 특성에 따라 일본의 하나후다는 ‘전통문화(傳統文化) 기호(code)’에서, 한국의 화투는 ‘놀이문화(遊戱文化) 기호(code)’에서 표출된 의미표상체(意味表象&#20307;)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전통적 형식의 자유로운 수용과 문화적 유사성은 민속놀이의 특징적 현상이며, 현대 사회의 놀이문화 특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화투는 한국의 민속놀이로서 그 나름의 가치가 있는 것이고 그 가치는 인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화투 기호물의 자생적(自生的) 위치를 찾아내어 화투의 독자성을 확립하는데 노력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가 화투의 건전한 놀이 문화 형성과 화투놀이의 진작(振作) 그리고 화투의 예술적인 가치의 동반 발전을 도모하는 학제적 연구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협력병기(CS)를 이용한 유방암 환자의 생존요인 분석 : 중앙암등록본부 자료 중심으로

        권현주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생존 및 생존 기간 중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부위특이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자료로 국립암센터 중앙암등록본부(2010~2017)의 협력병기(Collaborative Stage; CS)자료에 통계청 사망데이터를 연계하여 총 14,900건의 유방암 환자데이터를 활용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데이터 조작, 변수변환 및 생성은 SAS 9.4로 실행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PSS 26.0으로 빈도분석, 검정, 단변량과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단변량과 다변량 콕스비례위험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생존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전 단계로 변수진단을 위해 WOE(Weight of Evidence)와 IV(Information Value)를 추정하였다. IV가 70 이상인 변수들이 생존 여부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변수로 진단되었다. IV가 70 이상인 변수 중 종양 크기 범주에 따른 IV 변화를 확인하였다. 유방암 생존 여부에 따른 카이제곱 독립성 검정(test) 결과 연령은 ‘40대’와 ‘70대 이상’에서 생존자의 비율에 큰 차이가 있었고, 분화도는 ‘고분화도’와 ‘저분화도’환자군에서 생존자의 비율에 유의한 큰 차이가 있었다(p<0.001). 원발부위에서는 ‘유두·유륜’ 부위 환자군의 생존자의 비율은 89.1%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종양이 퍼진 정도에서 ‘국소성’환자군 생존자의 비율은 94.3%로 높았고, ‘지역성’환자군은 61.2%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양성반응 국소림프절의 개수는 ‘50개 이상’환자군에서 65.9%의 생존자의 비율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종양 크기에 따른 생존자의 비율은 ‘상세불명’환자군이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70 mm 이상’환자군에서 66.4%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AJCC-7th Stage에서는 ‘Stage I’환자군 생존자의 비율은 98.7%였고, ‘Stage IV’환자군은 32.2%로 유의하게 차이가 컸다(p<0.001). SEER Stage에서 원격전이 생존자의 비율은 32.5%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삼중음성(TN)’환자군 생존자의 비율은 85.4%이고, ‘비삼중음성(NTN)’환자군 생존자의 비율은 92.4%로 ‘삼중음성’환자군이 유의하게 낮았다(p<0.001). 부위특이 요인의 에스트로겐(SSF01) 및 프로게스테론 수용체(SSF02) 검사에서 ‘음성’환자군인 경우 생존자의 비율이 각각 86.8%, 87.8%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지역 림프 노드의 면역조직화학검사(SSF04)에서 종양이 ‘양성’환자군인 경우 98.3%로 생존자의 비율이 유의하게 가장 높았다(p<0.001). 노팅엄 또는 블럼-리차드슨 점수(SSF07)의 생존자의 비율은 ‘저등급’환자군이 97.9%로 가장 높았고, ‘기타’환자군이 85.5%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001). HER2 면역조직화학 검사(SSF08)에 따른 생존자의 비율은‘Score 1+’환자군이 93.4%로 가장 높았고, ‘검사를 안 한 경우’가 79.5%로 유의하게 가장 낮았다(p<0.001). HER2 검사 해석(SSF09)에서 생존자의 비율은 ‘경계성’94.0%, ‘음성/정상범위’92.5%,‘양성/증가’90.7%, ‘기타’ 86.1%의 순으로 낮아졌다(p<0.001). ER, PR, HER2 연합검사(SSF16)에서 ‘이중음성(DN)’ 94.8%, ‘삼중양성(TP)’ 93.1%, ‘단일음성(SN)’ 89.1%, ‘상세 불명’ 86.1%, ‘삼중음성(TN)’ 85.4%의 순으로 생존자의 비율이 낮아졌다(p<0.001). 동측 양성 액와 림프절 개수 평가 방법(SSF19)에서는 ‘음성’의 경우 96.9%, ‘림프 양성/세침흡인검사/핵생검’을 시행한 경우 60.0%의 생존자의 비율로 큰 차이를 보였다(p<0.001). 전이 존재 결정 방법(SSF20)은 ‘전이 없음’이 94.2%로 가장 높았고, ‘기타(신체검사 또는 방사선, 절개 생검, 절제 생검)’의 경우는 32.4%의 가장 낮은 생존자의 비율을 보였다(p<0.001). 수술 전 치료 시행 결과(SSF21)에서는 ‘수술 전 치료를 안 한 경우’(91.9%)보다 ‘수술 전 치료 반응이 있는 경우’(84.5%)가 생존자의 비율이 낮았다(p<0.001). 생존 여부(surviva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로지스틱 단변량 회귀분석 결과는 연령, 원발부위, 원격전이, 종양 퍼진 정도, 국소림프절 침범, 국소림프절 진단 관련 사항의 결정 방법, 양성반응 국소림프절 개수, 검사한 국소림프절의 총 개수, 종양의 크기, AJCC-7 Stage, 부위특이 요인 SSF01∼SSF16, SSF19∼SSF21, SSF24, 삼중음성 여부, 생존 개월이 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연령, 원발부위, 종양이 퍼진 정도, 양성반응 국소림프절 개수, 종양의 크기, AJCC-7th Stage, 부위특이 요인 SSF07, SSF09, SSF15, 삼중음성 여부, 생존 개월이 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Cox-비례위험모형 다변량 분석 결과는 연령, 원격전이 여부, 종양 퍼진 정도, 국소림프절 진단 관련 사항 결정 방법, 양성반응 국소림프절 개수, 종양의 크기, AJCC-7th Stage, 부위특이 요인 SSF07, SSF09, SSF16, SSF21이 생존 기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연구는 AJCC-6th Stage, AJCC-7th Stage, SEER summary stage의 세 가지 병기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협력 병기를 활용한 유방암 환자의 생존 위험요인에 대한 분석하였다. 빅데이터를 이용한 유방암 생존율 분석으로 국가 유방암 정책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