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병입수돗물 중 미량유해물질 거동에 관한 연구

        권혁 인하대학교 공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내 특·광역시 및 수자원 공사는 국민의 수돗물에 대한 불신 해소 방안의 하나로 수돗물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병에 병입하여 각자의 브랜드로 공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존기간(90일) 및 보존온도(25℃, 50℃)에 따른 병입수돗물 중 미량유해물질 농도변화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PET병에서 알데하이드물질의 용출 가능성을 검토하고, 정수장의 처리공정 조사를 통하여 미량유해물질의 오염경로를 고찰하였다. 조사대상 7개 정수장에서 생산되는 병입수돗물의 미량유해물질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시간에 따라 검출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트리할로메탄(trihalomethanes, THMs)의 경우 7개 조사시료 모두 보존기간 60일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미량유해물질은 50℃ 보존시료가 조사대상 물질 전 항목에서 25℃ 보다 고농도로 검출되었으며, 농도의 변화폭도 컸다. 알데하이드물질은 유리병보다 PET병에서 높게 검출되어 PET병으로부터 용출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50℃ 병입수돗물에서 최대검출농도가(폼알데하이드 11.2 μg/L, 아세트알데하이드 1059.1 μg/L), 25℃(폼알데하이드 7.3 μg/L, 아세트알데하이드 211.6 μg/L)보다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고도정수처리공정을 도입한 정수장 중 병입 전처리 과정으로 활성탄 여과공정이 없는 정수장에서는 오존소독부산물인 폼알데하이드 및 고농도의 염소소독부산물이 검출되어 전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병입수돗물의 미량유해물질 농도는 먹는물 수질기준의 1/5 ~ 1/10범위로 먹는물로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었으나, 저온에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THMs 및 아세트알데하이드는 병입 후 25℃에서 15일 정도 보관 시 최대 농도로 검출되므로, 병입 후 어느 정도 경과한 후 음용하는 것이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Korean metropolitan cities and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are trying producing bottled tap water with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bottles to improve public acceptance of tap water. In this study, the changes of trace hazardous compounds in bottled tap water were stuided under long storage period at two different temperatures 25℃ and 50℃. In addition, leachability of aldehydes from PET bottles were tested. Finally, the contamination pathway of trace hazardous compounds were evaluated by comparing the water qualities of water from treatment plants adopting different treatment processes. Behaviors of trace hazardous compounds (THC) were analyzed for samples from 7 water treatment plants for 90 days. It was observed that none of the samples exceeded the water quality standards for drinking water. In general, the concentrations of THC detected decreased with time. However, concentration of trihalomethanes (THMs) increased gradually up to 60 days for all 7 sample. The samples stored at 50℃ had higher concentrations than samples stored at 25℃ for all THC detected, and the changes in concentration were more remarkable. The samples stored in PET bottles showed higher aldehydes concentrations that those stored in glass bottles, indicating that aldehydes were leached from PET bottles. The maximum concentrations of aldehydes in samples stored at 50℃ (formaldehyde 11.2 μg/L, acetaldehyde 1059.1 μg/L) were higher than those at 25℃ (formaldehyde 7.3 μg/L, acetaldehyde 211.6 μg/L). Formaldehyde, an ozonation by-product, and chlorination by-products were detected in the samples taken from the water treatment plants without activated carbon filtration as pretreatment, indicating that the pretreatment prior to bottling is necessary. Results indicated that the THC concentrations detected were 1/10 to 1/5 of the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s, and thus, there will be no problems to use bottles tap water as drinking water. However, it is advised to store the bottled water at low temperature. Also, as concentrations of THMs and acetaldehydes reached maximum values after 15 days of storage at 25℃, it would be safe to use bottled tap water after certain period of storage.

      • 신호시제논리를 활용한 GPS 신호의 명세 및 모니터링

        권혁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마트 폰에는 신호를 수집하는 많은 센서들이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위성항법장치라고 불리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이다. 이 센서를 통해서 스마트 폰 소지자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고 있는 스마트 폰 기반의 위치 기반 서비스들로는 자녀안심, 가족안심, 친구찾기, 긴급호출 등이 있다. 스마트 폰뿐만 아니라 전용 단말기를 활용한 교과부의 u-안심서비스 및 애완동물을 위한 T-Pet 서비스 등이 있다. 이들 상용화 서비스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고 있으나, 보다 더 수준 높은 서비스를 위해서는 위치만이 아닌 위치들의 연속, 즉 위치 시퀀스를 다룰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위치만이 아닌, 위치 시퀀스를 다루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호 시제 논리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 서비스를 명세하였다. GPS 센서는 스마트 폰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도 값의 신호와 경도 값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집한다. 신호 값이 다르면 다른 위치를 의미하기 때문에, 서비스를 명세할 때에는 신호 값을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시간의 경과에 따른 신호 값의 변화를 명세할 수 있어야 한다. 신호 시제 논리는 신호 값과 시간의 경과를 모두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위치 정보 서비스의 명세에 유용했다. 둘째, 신호 시제 논리와 같은 정형 명세는 일반인이 사용하기가 어렵다. 일반인들이 친근하고도 쉽게 서비스를 명세할 수 있도록 GUI 기반의 명세 지원 도구를 개발하였다. 사용자가 마우스로 화면을 클릭하면, 도구 자체가 화면 내용을 신호 시제 논리로 변환해 주기 때문에 신호 시제 논리를 몰라도 서비스를 명세할 수 있었다. 셋째, GPS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신호를 수집하는 클라이언트, 수집된 신호를 전송받는 서버, 그리고 서버에 저장된 신호들이 명세를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 결정 프로시져로 구성된다. GPS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수집된 신호가 명세를 만족하는지를 자동으로 판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범주는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세부적으로는 정형 명세 및 검증의 범주에 속한다. 적용 대상은 GPS 센서로 수집되는 신호이다. 신호 시제 논리로 신호가 가져야 하는 다양한 속성을 명세하고, 모니터링 기법으로 수집된 신호가 명세를 만족하는지를 검증하였다.

      • Analysis of Thermal Management Characteristics Based on Power Extraction and Cooling Control in Multi-Stack Fuel Cell Systems

        권혁 국립공주대학교 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7631

        양성자 교환막 연료전지(PEMFC)는 친환경적 운전 특성과 우수한 출력 밀도로 인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주목받고 있다. 특히 전력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중·대형 상용차 분야에서 다중 스택 구성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부하 조건에서 스택 간 열 부하가 불균형하게 분포될 경우 효율 저하와 스택 손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효과적인 열 관리를 구현하는 것은 주요 과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렬, 병렬, 그리고 직병렬의 세 가지 냉각 경로를 열 관리 성능과 에너지 소비 특성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병렬 냉각 경로는 냉각수가 두 스택에 동시에 공급됨으로써 스택 간 온도 편차를 최소화하고, 균일한 온도 분포를 유지하는 데 효과적인 결과를 보였다. 직병렬 냉각 경로는 병렬 흐름과 직렬 흐름의 장점을 결합하여 설계하였으며, 분배 밸브를 통해 냉각 유량을 유동적으로 조정하였다. 직렬 냉각 경로는 냉각수가 순차적으로 흐르는 구조로 설계하었으며, 온도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았다. 따라서, 직렬 냉각 경로와 함께 전력 분배 제어 전략을 도입하여 열 관리의 정밀도와 전체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였다. 그 결과, 직렬 냉각과 전력 분배 제어 전략의 결합은 스택 간 온도 편차를 2% 미만으로 유지하여 부하 집중 문제를 효과적으로 완화하였다. 아울러 열 관리 에너지 소비는 최대 23.22%의 차이를 보였고, 스택 간 순에너지 차이는 1.37%로 평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