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Drones whether for industrial or civilian use are widely seen us; they make our lives more convenient and also are used for our entertainment. However, drones are also abused as terror devices that destroy important national facilities and, our lives and wealth. For this reason, the need for vigilance against drone terror, especially concerning that of defending important national military facilities, is severely lacking. Accordingly, this paper analyzes of overseas and domestic drone terror cases and categorizes them as; (1) bomb terrors by unmanned drones, (2) surveillance of important facilities, (3) assassination of VIP, (4) transportation of devices utilized in terrors, (5) network hacking, (6) means of threat, and unauthorized flight within national importance facilities. The stages of anti-drone operation progress in order of detection and recognition, determination, and attack. Concepts of anti-drone terror employment are divided into 6 functions of combat, including those of: information, mobilization, fire power, protection, operation sustainment, and command & control. Furthermore, in this analysis, anti-drone schemes according to drone type are limited to military unit area that is most prone to be be damaged by north Korea and airport area that may lead to most disastrous human casualty and material damage. In conclusion, the research and results displayed above are to assist the ROK Army as well as Inchen and Korea Airports Corporation in accelerating and enhancing the ROK’s anti-drone system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willingness to pay (WTP) by the general publics, assuming that they pay tax or charge for protecting marine environment through developing and supplying the degradable fishing nets. This study employed a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which is an econometrical method. Data that is us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at the national level for CVM via internet survey. Tobit model was applied to WTP estimation, based on the national-internet survey data. The survey was conducted by using both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and open-ended survey. The first bid of double-bound dichotomous choice survey was set to 350 won. If the public accepts WTP of the first bid, the second bid was set to double (700 won). If not, the bid was set to half(175 won) of the first bid. Last, the survey was designed to state a maximum WTP that each individual is willing to pay. As the results of this survey, 21.8 percent of respondents showed WTP at 350 won and 40.7 percent at 700 won. WTP between 1 and 175 won was 1.3 percent. Some 25 percent among them were willing to pay nothing. Variables in the tobit model include marine environment, age,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educational level and personal disposable income. Observing the marginal effects, WTP appeared to decrease by 69.9 with a low level of marine environmental concern, to decrease by 6.0 with age, to increase by 32.9 with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to increase by 21.4 with educational level. Also, the WTP showed an increase by 24.5 with personal income. Using the tobit model, annual average WTP per family for developing and supplying the biodegradable fishing nets was estimated at 5,294 won and national total amount was some 84.2 billion won. This includes both of use and non-use value of biodegradable fishing nets.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fishing technology, such as biodegradable fishing net, may mitigate the marine environment from being damaged and/or destroyed and help marine fisheries resources to be restored. Moreover, the improvement of marine environment can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generating indirect benefits such as ocean/coastal tourism, which is an additional benefit that would be brought by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bio-fishing gears.
Lately, a number of transport policies have been implemented for improved mobility and safety of vulnerable populations. However, as the transport policies have been limited to expanding mobility aids in transportations and passenger facilities, problems in the mobility and traffic safety of vulnerable populations have not been completely solved. In addition, although various laws and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standards for vulnerable populations have been created and enforced, this has happened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s in walking characteristics of vulnerable and non-vulnerable populations. This has resulted in particularly low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road facilities for pedestrians among vulnerable populations. Therefore, it is urgently needed to establish convenient and safe pedestrian environments for vulnerable populations and conduct relevant research. Notably, although Article 17 of the Mobility Enhancement of Vulnerable Populations Act stipulates mobility rights and mobility aids, these have not been effectively enforced. Thus, this study aimed to set optimal pedestrian routes considering walking characteristics of vulnerable populations for improvement in pedestrian aids for vulnerable populations as well as providing information to stakeholder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the vulnerable populations that experience severe inconvenience with walking and the vulnerable populations that use walk aid machines and equipment, which can include the vulnerable population with less severe inconvenience. Specificall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disabled using manual or motorized wheelchairs, those aged 65 or older using motorized scooters, and those currently accompanying a stroller with a child or infant. To consider walking characteristics, walking-related influences were identified and quantified. In addition,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walking characteristics of vulnerable and non-vulnerable populations,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vulnerable and non-vulnerable populations and subtypes for each group for comparative analysis of pedestrian facilities us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derived results, the optimal pedestrian routes were established. First, analysis hierarchical process (AHP)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pedestrian facilities us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Level 2 analysis showed similarities between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hose with children or infants showed some difference from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he results of Level 3 analysis showed some similarities between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with vehicles on driveways, inclined roads, and poorly paved roads the highly ranked inconveniences for both groups. This is suggested to be due to the concerns for the cognitive and response capacity less than the general population, and the safety and drivability in the use of electric scooters or wheelchairs. For those accompanying a stroller with a child or infant, overpasses or underpasses without an elevator was ranked highest, showing the difference from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he results of AHP on non-vulnerable populations showed that experts ranked illegal stopping and parking of vehicles, lack of separation between sidewalk and roadway, and overpasses without elevator highest, and the general population ranked vehicle entering/exiting, illegal stopping and parking of vehicles, and bicycle passing highest. The difference between experts and the general population is suggested to be because experts ranked the inconveniences by considering all pedestrian facility users considering social and economic issues or transport welfare rather than being based on their own inconveniences in use of pedestria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the pedestrian facility on the road between vulnerable populations and non-vulnerable populations, the rankings of the level 2 analysis did not differ by the type of pedestrian, while those of Level 3 did. Specifically, at Level 3, vulnerable populations ranked inconveniences in the order of vehicle entering/exiting, poorly paved pedestrian routes, and steep slope of pedestrian routes, while non-vulnerable populations ranked inconveniences in the order of illegal stopping and parking of vehicles, vehicle entering/exiting, and bicycle passing. Vulnerable populations ranked items related to safety higher than non-vulnerable populations did. This is suggested to be due to the anxiety about threats to safety during walking because of cognitive and response capacity being less than that of the general population.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optimal pedestrian routes based on AHP results. To consider the pedestrian environment taking place differently at each link, the total weight per unit distance was calculated by obtaining the sum of the degree of inconvenience of using road facilities at Level 3 and dividing it by the length of target link. This denoted the total weight of each barrier to use of road facilities for vulnerable populations, with which an optimal pedestrian route algorithm considering walking characteristics by type of vulnerable populations was created. As vulnerable populations were found to walk even mid- to long-distance, a case study was conducted by classifying them into the mid-range and the long-range, and results were validated by comparison with follow-up data. The results of optimal pedestrian route setting for vulnerable populations showed the optimal pedestrian route included detours from the shortest routes. In addition, it also occurred that the shortest route had a shorter distance of route than the optimal route, despite having more links than the optimal route. This is suggested to be due to reflecting walking characteristics of vulnerable populations to improve pedestrian convenience and safety rather than the number of used links or shortest distance. Among vulnerable populations,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showed a number of identical routes, and each showed difference from those accompanying a stroller with a child or infant. This is suggested to reflect that the weight of Level 3 for analysis of pedestrian facility use characteristics was similar between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and somewhat different for those accompanying a stroller with a child or infant. The results of the route analysis in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by type of vulnerable population showed mostly the same routes. It is suggested that, in the cases where the non-identical route was selected, the difference in the route occurred due to the influence of an earlier node during the route detection at the node before route selection when the barrier to mobility on pedestrian facility use by vulnerable populations is considered.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the follow-up data and the results from the algorithm on the optimal pedestrian routes showed identical routes, suggesting the validity of the optimal pedestrian routes algorithm for vulnerable population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when vulnerable populations select pedestrian routes, the variables included in barriers to use of pedestrian facility influence pedestrian route selec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ptimal pedestrian route setting by analyzing pedestrian facility use characteristics of vulnerable populations, and additional research is suggested to be necessary for enhancement of road facility standards suitable for vulnerable population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urrently installed road facilities and the influences on inconveniences that vulnerable populations experience.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additional research be conducted targeting specific vulnerable populations using mobility aids by subcategorizing the populations. 최근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재고와 안전 확보를 위해 다수의 교통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추진 중인 교통정책을 살펴보면 교통수단 및 여객시설 내에서의 이동편의시설 확충에만 국한되어 있어 교통약자의 이동편의와 교통안전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하지 못 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교통약자를 위한 시설의 다양한 기준을 마련하고 있으나 교통약자의 보행특성과 비교통약자의 보행특성의 상이함을 고려하지 않고 법과 설치․관리기준을 제정하여 운영함에 따라 교통약자의 보행관련 도로시설 이용 만족도가 특히 낮은 것을 볼 수 있다. 교통약자 중심의 편리하고 안전한 보행환경 구축 및 관련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더불어,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제17조에는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 및 이동편의시설에 대한 정보제공이 명시되어 있지만 실효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통약자의 보행 편의증진 및 정보제공을 위해 교통약자 보행특성을 고려한 최적 보행경로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보행에 불편을 느끼고 보행 보조기계․기구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로 한정하였다. 이에 따라 수동․전동 휠체어를 이용하는 지체장애인과 전동스쿠터를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고령자, 현재 유모차를 이용하고 영유아를 동반하는 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보행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정량적․정성적인 보행관련 영향요소를 발굴하고 이를 정량화하였다. 또한, 교통약자와 비교통약자의 보행특성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교통약자와 비교통약자로 분류하고 이에 따른 유형을 세분화하여 보행과 관련된 도로시설 이용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교통약자의 최적 보행경로를 구축하였다. 보행관련 도로시설 이용특성 분석을 위해 AHP분석을 실시하였다. 제2계층 분석결과 고령자와 장애인의 경우 분석결과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영유아동반자의 경우 고령자와 장애인과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다. 제3계층 분석결과 고령자나 장애인의 경우 일부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차량진출입, 도로의 기울기나 포장불량이 높은 순위의 불편요소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인에 비해 부족한 인지․반응 능력과 이동 보조장치인 전동스쿠터나 휠체어 이용에 따른 안전과 주행성을 고려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영유아동반자의 경우 승강기가 없는 육교와 지하도가 1순위로 나타나 고령자, 장애인과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교통약자에 대한 AHP 분석결과 전문가의 경우 불법주정차, 보행로 차도 미분리, 승강시설이 없는 육교가 높은 순위를 나타냈고 일반인의 경우 차량진출입, 불법주정차, 자전거 통행이 높은 순위로 나타났다. 전문가의 경우 일반인과 다른 결과를 나타낸 것은 본인의 보행시설 이용불편을 기준으로 불편요소를 선택하기보다 사회․경제적 문제를 발생시키거나 교통복지측면에서의 모든 보행시설 이용자들을 고려하여 불편요소를 선택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교통약자와 비교통약자의 도로 보행시설 이용특성을 비교한 결과 제2계층에서는 보행자 유형에 따라 순위가 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제3계층 비교 결과 교통약자의 경우 차량진출입, 보행로 포장불량, 가파른 보행로 기울기순으로 나타났고 비교통약자의 경우에는 불법주정차, 차량진출입, 자전거통행순으로 나타나 교통약자와 비교통약자간의 보행특성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교통약자의 경우 비교통약자에 비해 안전과 관련된 항목에서 높은 우선순위가 나타나는 특성이 있었다. 이는 비교통약자에 비해 인지․반응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보행할 때 안전에 위협을 주는 요소에 대해 더욱 크게 불안감을 느끼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AHP분석을 바탕으로 최적 보행경로 설정하고자 하였다. 대상범위의 각 링크마다 달리 발생되는 보행환경을 고려하기 위해 각 링크마다 제3계층 도로시설 이용 불편 정도 합을 구하고 이를 대상링크 길이로 나눠줌으로써 단위거리 당 가중치 총합 값을 산출하여 교통약자 도로시설 이용 저항이라 명명하고 이를 활용하여 교통약자 유형별 보행특성을 고려한 최적 보행경로 알고리즘을 구축하였다. 교통약자가 중․장거리도 보행을 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중범위와 소범위로 구분하여 사례연구를 하였으며 추적조사 결과값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교통약자 최적 보행경로 설정 결과 최단경로보다 교통약자 최적 보행경로가 다소 우회하여 경로길이가 증가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또한, 최단경로의 링크 이용 개수가 교통약자 최적 보행경로 보다 많이 이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짧은 경로길이를 가지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이는 보행 이용링크의 개수나 최단거리보다는 보행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교통약자 보행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교통약자 중 고령자와 장애인은 동일한 경로로 다수 나타냈으며 영유아동반자의 경로와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이는 보행관련 도로시설 이용특성 분석을 위한 제3계층의 가중치가 고령자와 장애인은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고 영유아동반자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결과가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순․역방향 교통약자 유형별 경로 분석 결과 대부분 동일한 경로를 나타냈으나 동일하지 않은 경로를 선택한 경우는 경로선택 이전노드에서 경로 탐색 시 교통약자 도로시설 이용 저항이 유사한 경우 이전노드의 영향을 받음으로써 경로의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추적 조사한 결과와 구축한 최적 보행경로의 결과를 비교한 결과 동일한 경로를 나타냄에 따라 교통약자의 최적 보행경로 알고리즘이 유의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교통약자가 보행경로를 선택 시 도로시설 이용 저항에 사용된 영향요소가 보행경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교통약자와 비교통약자의 도로 보행시설 이용특성을 분석하여 최적 보행경로를 설정하는 연구로 향후 현재 설치되어 있는 도로시설과 교통약자들이 불편을 느끼는 영향요소들 간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여 도로시설 설치기준을 교통약자들에 맞게 강화하거나 개선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보조이동기구를 사용하는 교통약자만을 대상으로 하여 세분화된 다양한 교통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역 하천 모니터링을 통한 도암호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 분석
Doam Lake watershed was designated in 2007 as one of the non-point source management areas notifi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due to the problem of turbid water, and was redesignated in 2018 due to concerns about deterioration in water quality. In this study, after the Doam Lake watershed was redesignated as a non-point source management area,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were analyzed though non-rainfall, rainfall, detailed investigation, and snowfall melting monitoring. From June 2019, non-rainfall monitoring was conducted once a month, and rainfall monitoring was conducted a total of 6 times from July to October 2019. Detailed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August 15 (rainfall) and October 18 (non-rainfall), and the snowfall melting monitoring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7 to March 4, 2020, and March 20-23. Afterwards, water quality analysis was conducted on Suspended Solids (SS), turbidity, and Total Phosphorus (TP). Water quality analysis data was used to compare concentration during rain and rainfall, to calculate event mean concentration and the mass first flush ratio, and to compare the proportion of the initial pollutant load. In addition, the cause of turbidity in the watershed was analyzed though detail investigation, and turbid water generated by snowfall melting monitoring in winter wa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non-rainfall and rainfall monitor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data during non-rainfall in 2009-2018, the concentration of SS in the Doam Lake watershed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gradually, but it is not suitable for the target concentration of the non-point source management area (SS 5 mg/L). Maximum concentration of SS during the rainfall monitoring was 3,758 mg/L at the 6th monitoring on October 3, 2019, which was about 767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August 2019 non-rainfall monitoring. In addition, during the six rainfall monitoring, the pollution load was most affected by the average rainfall intensity and the maximum rainfall intensity, and all showed mass first flush ratio within 50% of the rainfall section. As a result of detailed investigation, soil runoff from the highland field during rainfall monitoring. During non-rainfall, turbid water was generated in the river construction site. The other site was not generated turbid water. During winter snowfall melting monitoring, the first monitoring result of SS was 33.9 mg/L and the second monitoring result was 81.3 mg/L,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econd monitoring was up to 30 times higher than that of normal season in February 2020.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the Doam Lake watershed requires management measures to prevent soil runoff in the early rainfall. In addition, measures to prevent soil runoff and intensive management are needed by selecting preferential management areas for high-concentration turbidity areas among fields in highland. 도암호 유역은 흙탕물 발생 문제로 환경부에서 고시한 비점오염원 관리지역 중 하나로 2007년에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으로 지정된 후, 수질악화 우려로 2018년에 재지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암호 유역이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으로 재지정된 이후 비강우 시, 강우 시, 유역 지류 하천조사, 융설 조사를 바탕으로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2019년 6월부터 비강우조사는 월 1회, 강우조사는 7-10월까지 총 6회 실시하였다. 유역 지류 하천조사는 8월 15일(강우)과 10월 18일(비강우), 융설조사는 2020년 2월 27일–3월 4일, 3월 20-23일에 실시하였다. 이후 Suspended Solids(SS), 탁도, Total Phosphorus(TP)에 대해 수질분석을 실시하여 비강우 시와 강우 시의 수질 농도비교, 유량가중평균농도(EMC, Event Mean Concentration)와 초기세척효과(MFFn, Mass First Flush ratio)를 산정하여 각 강우 조사간의 초기 발생한 오염부하의 비율에 대해 비교하였다. 또한 유역 지류 하천조사를 통해 유역의 탁수 발생원인을 분석하였으며, 겨울철 융설로 발생한 탁수를 분석하여 비강우와 강우조사 시 수질과 비교하였다. 2009-2018년의 비강우 시 데이터 분석결과 도암호 유역의 SS의 농도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비점오염원 관리지역 목표 농도(SS 5 mg/L)에도 부합하였다. 강우조사 결과 SS의 최대농도는 2019년 10월 3일 6차 조사에서 3,758 mg/L로 2019년 8월 비강우 조사와 비교했을 때 약 767배 높게 나타났다. 또한 6번의 강우조사 시 오염부하량은 평균강우강도와 최대강우강도에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으며, 강우 구간 50% 이내에서 모두 초기세척효과를 보였다. 유역 지류 하천조사 결과 강우 시 토사가 유출되는 곳은 대부분 고랭지 밭으로 분석되었다. 비강우 시 탁수가 발생된 곳은 하천공사가 시행된 곳을 제외하고 분포하지 않았다. 겨울철 융설 1차 모니터링 결과 SS의 EMC는 33.9 mg/L, 2차 모니터링 결과 81.3 mg/L로, 2차 모니터링의 농도는 2020년 2월 평시보다 최대 30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도암호 유역에서는 강우초기에 토사 유출 방지를 위한 관리대책이 필요하며, 고랭지 밭 중에서도 고농도 탁수 발생지를 우선적 관리지역으로 선정하여 토사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며,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카지노 기업의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기업형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권혁준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3 국내석사
본 연구는 한국관광공사의 자회사인 GKL(Grand Korea Leisure)이 카지노를 운영한지 6년이 경과됨에 따라 카지노산업을 둘러싼 환경이 크게 변화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국내 외국인 전용 카지노를 대표하는 공기업인 GKL의 세븐럭 카지노와 사기업인 파라다이스그룹의 워커힐 카지노의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대내‧외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적절한 경영전략 및 기업의 인적자원 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서 기업 경쟁력 제고에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우선 기존 문헌들을 중심으로 하여 조직문화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한 후 조직몰입과의 관련성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자료 수집을 위하여 국내 외국인 전용 카지노 중 공기업인 GKL의 세븐럭 카지노와 사기업인 파라다이스그룹의 워커힐 카지노의 직원을 대상으로 총 300부(세븐럭 카지노 170부, 워커힐 카지노 13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설문조사 기간은 2012년 2월 6일부터 2월 27일까지 3주간에 걸쳐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281부(회수율 93.7%)이며, 그 가운데 불성실한 응답 30부(폐기율 10.7%)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251부의 표본 자료를 토대로 SPSS 통계패키지 ver.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카지노 기업의 조직문화(관계지향문화, 과업지향문화, 혁신지향문화, 안정지향문화)는 조직몰입(정서적몰입, 지속적몰입, 규범적몰입)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H1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관계지향문화는 조직몰입의 하위 구성개념인 정서적몰입과 지속적몰입, 규범적몰입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혁신지향문화는 정서적몰입과 규범적몰입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안정지향문화는 정서적몰입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카지노 기업의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기업형태(공·사기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H2를 검증하기 위하여 ‘기업형태’ 더미변수를 설정하고 조직문화와 ‘기업형태’ 더미변수의 상호작용항을 구성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카지노 기업의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정서적몰입, 지속적몰입, 규범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기업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아시아 지역의 카지노산업의 성장과 대형화‧복합화의 개발 Paradigm의 변화와 함께 국내 카지노 시장은 향후 5년 이내 인천과 제주에 대규모 복합 카지노 리조트(IR: Integrated Resort) 개발이 예상됨으로써 인적자원의 수급과 이탈에 대한 이슈가 불가피해 보인다. 따라서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을 위한 인적자원관리 차원의 다각적인 조직문화 강화 방안이 필요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국내를 대표하는 두 개의 외국인 전용 카지노를 대상으로 조직문화와 조직몰입 그리고 기업형태에 따른 조절효과 연구를 진행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uggested proper strategy for management and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through an empirical study for knowing effect from organizational culture of Seven Luck Casino of GKL(Grand Korea Leisure) which represent casino that is for foreigner and Walker Hill Casino of Paradise group which is private enterprise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improving business competition, after 6 year from operating casino by GKL of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 in situation which is changing with environment about casino industry. For achieving these purposes, this study considered organizational culture which was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by checking academically, and then reviewed 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e established model for study and research hypothesis, which is based on this. For collecting data of research, we distributed 300 pieces of questionnaires for workers of Seven Luck Casino of GKL which is public enterprise and Walker Hill Casino of Paradise group which is private enterprise(Seven Luck Casino: 170 pieces, Walker Hill Casino: 130 pieces), and period is from February 6, 2012 to February 27, 2012, this research was performed for 3 weeks. Withdrawn questionnaires were 281 pieces(93.7%), and without 30 pieces(rate of discard, 10.7%), we verified hypothesis through frequency analysis, factori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ith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ver. 18.0 which was based on 251 pieces which were data samples. Summary of this study is like this. First, we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verifying hypothesis H1 which shows that considered organizational culture (Group culture, Rational culture, Developmental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from casino company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Consequently, Group culture affects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we can find that Developmental culture affects Affectiv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and, Hierarchical culture affects Affective commitment. This consequence emphasizes making interactive system of business by activating relation of inner teams and departments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and this consequence suggests to establish system for personnel affairs and compensation and to operate this system about members. Next, we perform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y setting dummy variable as 'Form of enterprise' and constructing interaction term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dummy variable as 'Form of enterprise' for verifying hypothesis H2 which shows organizational culture of casino company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form of enterprise(Public/Private enterprise). Consequently, we can't find difference about organizational culture of casino company that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by form of enterprise. This consequence is analyzed by unique structure of business organization and unique operating shape, and organization was constructed with many members from existing casino company through changing job when GKL was established, and settlement of culture of organization isn't established yet. Currently, with growth of casino industry and change of paradigm with development of casino industry's enlargement and complexation from Asia, development of large scale and complex casino resort is predicted in Incheon and Jeju within 5 years, and issue about supply and demand and withdrawal of human resources looks inevitable. Therefore, diversified way of reinforcing organizational culture is needed, and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we performed study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ffect of control from form of enterprise by representative two casinos for only foreigner.
상사의 리더십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권혁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종업원의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으로 리더십, 조직몰입, 정서지능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는가? 둘째,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종업원 정서지능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국내 증권기업 E사에 근무하는 종업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표본분석은 유효한 응답 27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도구는 크게 변혁적 리더십 요인, 조직몰입 요인, 정서 지능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문제의 구체적인 연구내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 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Baron & Kenny의 3단계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으로 리더십, 조직몰입, 정서지능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계속몰입요인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인식 수준을 나타내고 있으며, 정서지능의 모든 요인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인식수준을 나타냈다. 학력에 따른 변혁적 리더십, 조직몰입, 정서지능 요인에 대해서는 인식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 타인정서의 이해 요인에서는 영업직무의 인식수준이 높았다. 둘째,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변혁적 리더십 요인인 카리스마, 개별적 배려, 지적자극요인이 종업원의 조직몰입 요인 정서몰입, 계속몰입, 규범몰입에 모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종업원 정서지능에 따른 조절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종업원의 정서지능차이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업원의 정서지능의 평균을 중심으로 정서지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해서 살펴보면 정서지능이 높은 집단이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에 대해 높은 인식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 조직 몰입, 정서지능 개발을 위한 체계적이고 다각적인 활동을 필요하다. 둘째, 조직몰입 향상을 위하여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발휘될 수 있도록 리더십 개발을 해야 한다. 셋째, 종업원의 정서지능이 향상된다면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인식수준이 높아 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