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사의 특성과 공감유형

        권행운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공감(empathy)은 인간 유대의 본질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실천 행위의 필수적인 요건으로 평가된다. 전 세계적으로 빈곤, 경제적 불평등, 민족 이기주의, 인종차별, 종교적 갈등, 성차별, 경쟁의 심화, 이주의 국제화 등 정치·사회적 문제가 심화되는 상황 속에서 타인의 문제에 공감하며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은 다양한 사회복지 실천상황에 직면하고 있는 사회복지실천의 담지자로서 갖추어야 할 매우 중요한 실천역량 및 자질로 간주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의 공감의 차원과 수준을 파악하고 유형화하여, 사회복지 실천현장에 있는 사회복지사의 공감 유형별 특성과 영향요인을 밝히고, 영향변인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사의 공감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이론적 · 실천적 논의를 제시함에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총 312부의 표본을 확보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사회복지사의 공감 수준을 확인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를 사용하였고, 사회복지사의 대인관계 공감과 사회적 공감 유형을 확인하고자 이단계 군집분석(two step cluster analysis)과 이를 토대로 K군집 분석(K-means Clustering)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공감 유형별 특성을 확인하고자 사회복지사의 일반적 특성변인과 심리·사회적 특성 변인 간 교차분석(Cross tabulation analysis), 카이검정(Pearson Chi-square),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이어 끝으로 공감유형들에 대한 특성변인들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을 최종분석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대인관계 공감은 리커트척도 5점을 기준으로 볼 때 3.91과 사회적 공감은 4.18로 공감 수준은 높으며, 사회적 공감이 대인관계 공감보다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대인관계 공감과 사회적 공감의 차원과 수준에 따라 공감군집 유형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복지사의 공감유형 군집분석결과 규모가 가장 큰 1유형은 대인관계 중 · 사회적 공감 상으로 공감평균집단 명명하였다. 이어 2유형은 대인관계 상 · 사회적 공감 상으로 공감평균 상위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끝으로 3유형은 대인관계 중 · 사회적 공감 중으로 공감평균 이하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공감 유형 간 일반적인 특성 중 종교가 있고, 학력은 석사이상, 사회복지사 자격증 유형(1급) 등이 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학력이 높고 종교가 있는 경우와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소지자가 공감이 높은 군집유형에 속할 확률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복지사의 높은 교육적 특성이 사회복지사의 공감수준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대인관계·사회적 공감 군집유형의 직무관련 특성으로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역할모호성이 낮은 사회복지사가 공감이 양호한 군집에 속한 비율이 높았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동료지지가 대인관계·사회적 공감이 양호한 공감평균 이상 군집 1유형에 속한 비율이 높은 반면, 공감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군집 3유형에서는 동료지지와 상사지지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사회복지사가 공감이 양호한 유형에 속한 확률이 높은 반면, 공감이 상대적으로 낮은 유형에서는 자아존중감이 낮게 나타났다. 여섯째, 옹호의 하위요인인 사례옹호가 높을수록 공감수준이 양호한 군집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사례옹호의 유형 간 비교에서는 모든 유형 간 비교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 사례옹호 수준이 높을수록 공감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2유형과 1유형 순으로 소속할 확률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의 이론적, 실천적 논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론적 논의는 첫째, 사회복지사의 사회적 공감이 대인관계 공감수준보다 일관되게 높은 것은 사회복지사의 가치와 사회복지사의 책무성에 따른 사회복지 교육과 관련이 있다. 둘째, 높은 직무스트레스의 역할갈등은 사회복지사의 공감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평가될 수 있다. 역할갈등은 자신의 직무역할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 않은 상태에서 개인의 능력을 초과하여 불확실하게 제공하는 업무의 부조화로 개인의 마음이 정상상태에서 벗어나 신체, 심리, 정서적인 긴장과 역기능을 유발하는 상태로 업무의 부조화 상태가 지속될 때 사회복지사의 공감역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셋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인 동료지지가 사회복지사의 공감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공감과 사회적 지지와 관계를 살펴보는 연구에서는 공감의 행위들은 조직의 체계 내에서 발생하고, 조직의 협력체계 내에서 동료의 높은 지지는 종사자의 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공감이 높은 유형 간에서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공감이 높은 유형에 이행될 확률이 높았다. 이는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사람이 높은 공감역량을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섯째, 옹호의 하위변인인 사례옹호는 사례옹호가 높을수록 공감수준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공감 유형으로 소속할 확률이 높았다. 이는 사례옹호가 사회복지사에게 있어 ‘주어져 있는’ 고유한 특성으로 공감의 선행변인으로 간주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실천적 수준에서의 논의는 첫째, 연구결과 직무스트레스가 낮고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사회복지사의 대인관계·사회적 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사회복지사의 공감역량을 확대하기 위해서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조직 내의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간구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자아존중감과 옹호수준을 높일 수 있는 사회복지 교육과 실천이 병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빈곤과 불평등, 사회적 권익, 사회적 배제, 사회문제, 인권 관련 교과과목 개설이나 사례옹호나 정책옹호를 높일 수 있는 실습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대인관계 공감과 사회적 공감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주기적인 맞춤형 사회복지사 공감훈련프로그램의 필요하다. 사회복지사의 공감수준은 전체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유형 중 상대적으로 공감이 낮은 유형의 존재하였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의 대인관계 공감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장실무자가 함께 참여하는 인권관련 멘토링 프로그램이나 현장실습, 실습 심화과정, 학기 중이나 방학을 이용한 인턴십 프로그램, 실천현장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학생들이 수업을 통해 직접 해결해 보는 캡스톤디자인 과목 등에서 사회복지사의 대인관계 공감을 높일 수 있는 관련 프로그램 기획하거나 평가해보는 것이 공감증진에 유익할 것으로 평가된다. ABSTRACT Social worker's Characteristics and Empathy Types Kwon, Heang-Wo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Advisor : Professor Kim, Yong-Seok Empathy is considered not only as an essential element of human relationship but also as an indispensable requirement of social welfare practice. In current situation where political and social issues, such as poverty, economic inequality, national selfishness, racial discrimination, religious conflict, gender discrimination, intensification of competition, and globalization of migration, are ever escalated all over the world, the effort to sympathize with and understand others’ problems is regarded as a very important practical capability and quality of responsible social workers facing diverse social welfare practice situations. Therefore, various discussions need to be made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social workers’ empathy capacity and to raise their lev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tial factors of each empathy type of social workers involved in social welfare practices by grasping and stereotyping their empathy dimensions and levels and to suggest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s to develop the empathy capacity of the social workers based on the influential fact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ocial workers who were working in social welfare practice fields in metropolitan areas, and a total of 312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m. As methods of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identify the empathy level of the social workers, and “Two step cluster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ir interpersonal empathy and social empathy types, and “K-means Clustering” was additionally used. In addi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empathy types, “Cross-table Analysi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 factors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 factors of the social workers. “Pearson Chi-square”, and one way Anova were execute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also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 factors on the empathy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5 points Likert scale, the social worker's interpersonal empathy and social empathy were in higher level at 3.91 and 4.18, respectively, which indicates that their level of social empathy is higher than that of interpersonal empathy. Second,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is an empathy cluster type according to the dimension and level of interpersonal empathy and social empathy of the social workers. Type 1, which had the largest size as the result of social workers’ empathy type clustering, was named as empathy average group with intermediate interpersonal empathy and higher social empathy. Type 2 was named as higher empathy average group with higher interpersonal empathy and higher social empathy. Lastly, Type 3 was named as lower empathy average group with intermediate interpersonal empathy and intermediate social empathy. Third, it was verified that,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mpathy types, religion, academic background higher than master’s degree, and social worker certificate (grade 1) had a positive effect on empathy. In addition, the social workers with a religion, higher academic background, and social worker certificate (grade 1) were highly likely to belong to higher empathy group type.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high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empathy level. Fourth, social workers with low role ambiguity, which is a sub-factor of job stress, among the job-related characteristics of interpersonal empathy and social empathy group type of social workers, were highly likely to belong to good empathy group. In addition, peer support, which is a social support, was highly likely to belong to Type 1, which is a higher empathy average group with good interpersonal empathy and social empathy, while in Type 3, a relatively lower empathy average group, the peer support and senior support were relatively lower. Fifth, social workers with high self-esteem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good empathy type, while their self-esteem was low in relatively lower empathy type. Sixth, the higher the case advocacy, the sub-factor of advocacy, the more significant effect the empathy level had on good cluster.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types of case advocacy, there was a significance in all types of comparisons. The higher the case advocacy level, the more likely it was for the empathy level to belong to Type 2 and Type 1 with relatively high level of empath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oretical discussion; First, the fact that social empathy level of social workers is consistently higher than interpersonal empathy level is related to social welfare education about the value and accountability of social workers. Second, the role conflict in high job stress can be considered as a factor that hinders the empathy of social workers. Role conflict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an individual's mind is deviated from normal state and causes physical, psychological, emotional tension and dysfunction due to unbalance of workloads provided inaccurately in excess of the capability of the individual when his job role is not actively conducted. Therefore, if the unbalance of the works continues, it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empathy capacity of social workers. Third, peer support, a sub-factor of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empathy capacity of social workers. In the study tha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social support, it was identified that empathy behaviors occur within organizational systems and high support from peers in the cooperative system of the organiza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mpathy of the employees. Fourth, the self-esteem could find its influence among the types of high level of empathy, and the higher the self-esteem,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its transfer to high empathy type, which indicates that people with high self-esteem are highly likely to have high empathy capacity. Fifth, in case advocacy, the sub-factor of advocacy, the higher case advocacy, the more likely it was for empathy level to belong to relatively good empathy type, which indicates that case advocacy can be regarded as a preceding variable of empathy as a unique characteristic that ‘has been given’ to social workers. In practical discussion;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lower the job stress and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the more positive effect they had on interpersonal and social empathy of social workers. Therefore, in order to expand the empathy capacity of social workers, we need to find a way to reduce job stress of social workers and enhance social support for them within the organizations. Second,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practice that can enhance self-esteem and advocacy level of social workers should be concurrently conducted. To this end, establishment of subjects related to poverty, inequality, social rights, social exclusion, social issues, and human rights as well as practice programs that can enhance case advocacy or policy advocacy are considered necessary. Third, a periodic customized empathy training program for social workers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ir interpersonal and social empathy capacity. The empathy level of social worker was high overall, but there was a type with relatively low level of empathy. Therefore, it is considered useful to plan or evaluate the programs that can enhance the interpersonal empathy of social workers in human rights related mentoring programs or field practice, intensified practice course, internship programs during semesters or vacations, or Capstone design subjects where students can directly solve the tasks, which should be solved in practice fields, in their classes, with the participation of field staff who can improve the interpersonal empathy capacity of social workers. Keywords: Empathy, Empathy of Social Workers, Social empathy, Interpersonal empathy, Empathy type, Empathy types and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