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栗谷의 저술에 나타난 자녀교육관 연구

        권진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우리 고유의 전통가정교육에서 자녀교육의 지혜를 얻고자 율곡의 저술 중 「동거계사(同居戒辭)」, 「격몽요결(擊蒙要訣)」사친장(事親章)·거가장(居家章),「성학집요(聖學輯要)」정가편(正家篇), 「소아수지(小兒須知)」에 나타난 자녀교육관을 자녀교육의 목표·내용·방법으로 분석하고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율곡 이이의 저술에 나타난 자녀교육관은 어떠한가? 1-1 율곡 이이의 저술에 나타난 자녀교육의 목표는 어떠한가? 1-2 율곡 이이의 저술에 나타난 자녀교육의 내용은 어떠한가? 1-3 율곡 이이의 저술에 나타난 자녀교육의 방법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한국학중앙연구원(2006)에서 편찬한 『율곡학연구총서』에 수록된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84)간행 『국역율곡전서』에서 제가(齊家)와 관련한「동거계사(同居戒辭)」,「격몽요결(擊蒙要訣)」사친장(事親章)·거가장(居家章), 「성학집요(聖學輯要)」정가편(正家篇)과 아동교육관이 나타난 「소아수지(小兒須知)」와 율곡의 교육사상과 관련한 저술과 기존의 선행연구물을 보조 자료로 사용하는 문헌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율곡의 저술에 나타난 자녀교육관을 분석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율곡의 저술에 나타난 자녀교육의 목표는 첫째, 가정의 법도를 알고 실천하며, 은혜를 갚고자 하는 마음 기르기 둘째, 사람다운 사람을 기르는 부모됨을 배우고 익히기, 셋째, 분수를 지키기 위하여 마음의 절제력 기르기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목표는 자녀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교육, 사람다운 사람을 기르는 일의 중요성을 인식한 자녀교육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자녀교육의 내용으로는 첫째, 자애와 공경을 바탕으로 한 가정의 법도로 부모와 자녀관계의 도리로서 효, 부부 관계의 도리로서 예, 형제관계에 있어서의 우애, 장유관계로서의 예로 어른을 어른으로 대접하는 예가 나타났으며, 둘째, 사람다운 사람을 기르는 부모됨을 준비하기 위한 내용으로 심신이 건강한 아이를 얻기 위한 부모의 정성과 노력; 태교와 교육자로서의 부모됨의 준비로서 자녀교육의 순서인 입교의 차례, 자녀의 바른 몸가짐과 마음가짐을 향한 부모의 관심으로서 기본생활습관교육이 나타났다. 셋째, 중용의 지혜를 터득하기 위한 절제를 가르치기 위하여 분수를 지키기 위한 마음의 중심잡기와 의롭기 위한 절검을 찾아볼 수 있었다. 인륜에 기초한 가정의 법도를 가르치고자 한 것은 사랑과 공경이 조화로움 속에서 화목한 가족공동체와 더불어 도덕적인 사회공동체를 만들고, 그와 같은 문화 전수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또 사람다운 사람을 기르기 위한 부모됨을 가르치고자 한 것은 교육자로서의 부모역할의 분명한 인식과 더불어 어린 시절부터 부모됨의 준비를 형식적이고 체계적으로 전수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마지막 중용의 지혜를 터득하기 위한 절제의 내용은 자녀에게 마음을 다스리는 일의 중요성을 가르쳐 치우침 없이 분수에 알맞은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조화로운 공동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자질을 키워주는 것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율곡의 저술에 나타난 자녀교육의 방법은 수범교육, 적기·습관화 교육, 지행병진교육 및 표리상응교육, 마지막으로 잘못을 일깨우는 이성적 대화와 행위로써 훈계로 나타났다. 수범교육은 부모의 행실 자체가 교육내용이었고, 본을 보이는 것이 직접적인 교육 방법으로 자녀교육에 있어 부모가 바른 행실의 본보기를 보일 것을 강조하였다. 수범은 부모의 본보기뿐만 아니라 자녀에게 바른 인적환경을 조성해 주는 일의 중요성을 일깨워 부모나 주변 인물이 일상생활에서 생생한 모범적 인간상을 제시하도록 하였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자신을 계속적으로 수양하여 수범하는 부모와 따르는 자녀에게도 자기교정 및 평가로서도 의의를 갖고 있다. 적기·습관화 교육은 아동의 민감한 배움의 ‘때’를 놓치지 않는 적기교육으로서 습관화교육의 실시를 말하며 생애 초기부터 바른 행동에 익숙해지도록 하고, 격언과 지당한 이야기를 주입식으로 반복하는 교육이었다. 적기·습관화교육은 도덕적 사고의 습관화로 아동의 삶에 ‘인(仁)’을 향한 물꼬를 터 인간의 본성을 본연지성에 가깝게 하도록 하기 위한 교육이었다는데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지행병진·표리상응교육은 말과 생각, 행동의 유기적인 통합과 일치, 실행에 중점을 두었다. 지행병진·표리상응교육은 지(知)·덕(德)·체(體), 지(知)·정(情)·의(意)의 조화를 이루는 전인교육이자, 구체적인 생활에서 인간의 조화로운 발달과 통합을 추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배움의 과정에서 자녀의 잘못에 대한 훈계는 분명한 원칙을 기준으로 시행되어야 하며, 가르침과 배움이라는 정서적 교감을 바탕으로 상대방의 인격을 존중하는 이성적 대화와 행위로 이뤄져야 한다고 하였다.

      • 중등 기혼 중년여교사의 다중역할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권진주 경성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ulti-role experience of married middle-aged female teachers in middle school in depth, and in context through vivid testimony of participant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ulti-role experience of married middle-aged female teachers in middle school and to find out the essence of this experience, in the context of lives of married middle-aged female teachers in middle school. This study used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s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s to understand the live experience of an individual. In this study, seven middle school teachers a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 They are married and have their own children. In addition, they are currently working in middle school and have worked for more than 15 years. From December 2018 to February 2019,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ach research participant two or more times, using questionnaires. Each interview took an average of more than 2 hours per session, which was recorded under the consent of all the participants. After the first interview, the second interview was particularly focused on the questions that came up after writing, reading, then analyzing the transcripts of first interview. All seven participants actively responded to this face-to-face interviews. In this study, the recorded data from the interview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based on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then categorized into 25 sub-components. Finally the sub-components were condensed into 5 core compon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Situated structural descriptions were written on the basis of following 5 core components. First, working with passion and calling after being a teacher. Second, struggling and juggling with increased multiple roles after their marriage. Third, overcoming their tired body and mind, and balancing between multiple roles of work and family. Fourth, discovering the meaning of their own family, as well as being rewarded as an experienced teacher. Fifth, Find a growth of oneself and looking forward to the future. This study reports that multi-role of the married middle-aged female teachers in middle school is an experience of process, which goes through phases from ‘hardship’, ‘acceptance’, to ‘progress’. In addition, the multi-role of married middle-aged female teachers in middle school is a relational experience, being a life experience of pivotal role both at workplace and home. Therefore, this study structured this multi-role experience in the context of process over time. Aspects of the change in each process were understood in the relational context:‘married middle-aged female teachers in middle school herself’, ‘her family including husband and childern’, and ‘the society including her school, her family-in-law, her parents and family, and her acquaintance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structure of participants was consistently described and schematized in the context of process and relation. In consequence, essence of married middle-aged female middle school teachers’multi-role experience is established as ‘finding a growth of themselves and looking forward to the fu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helped to understand in-depth how married middle-aged female teachers in middle school had faced with hardships after marriage, and how they found work-and-family balance among multi-roles with support of her their husband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to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 뉴스 기사를 통한 국내 미용성형수술 사망 실태

        권진주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People are very interested in cosmetic plastic surgery. The cosmetic surgery itself is very increased, and the reported side effects are also increased. The exact statistics about side effects of cosmetic surgery in nationwide are unclear. This study was aimed to clarify the present status of deaths associated with cosmetic surgery through domestic newsmedia. The author have searched deaths associated with cosmetic surgery with internet news articles that reported in internet portal site "Naver" (http://www.naver.com) from 1990 to May 2015. Several key words such as side effect of cosmetic surgery, cosmetic death, and so on were used. Total 66 cases were selected during 26 years. Cases showed a tendency of increase for the last 26 years. The number of the female deaths were 52 cases (79%) and male were 7 cases (10%). The greatest number of deaths occurred in 20s (36%, 24 persons) and in Seoul (48%, 52 persons). Deaths associated with liposuction caused the largest number of deaths (34%, 17 persons) among them. The second largest number of deaths was deaths associated with face contouring surgery (17%, 11 persons). In all 66 cases, 34 cases (51%) were reported that the autopsy would be in scheduled, but autopsy-done cases with autopsy results were 12 cases (18%). The main causes of deaths were sepsis, massive hemorrhage and peritonitis, and so on. 31 cases (47%) were occurred in the clinics of plastic surgery. Cases operated by specialists of plastic surgery were only 4 cases. Even, there were three illegal cases (5%). In conclusion, in order to reduce the death or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cosmetic surgery, people should be operated by specialists of plastic surgery, by co-works with anesthesiologist, and in the presence of emergency medical facility. The autopsy would be helpful to solve medical disputes and surgical improvement, so autopsy should be strongly recommended. 미용목적의 성형수술이 점점 증가하고 있고, 부작용 또한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성형수술의 부작용 및 사망에 대한 실태파악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성형수술 사망 실태를 알아보고자 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 1990년부터 2015년 5월까지 뉴스 검색한 결과 총 66명의 사망자가 검색되어 이를 분석하였다. 성형수술 사망은 1990년부터 2015년까지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성형수술 사망자 중 여성이 66명 중 52명(79%)이었고 남성은 7명(10%)이었다. 연령대로는 20대가 24명(36%)으로 가장 많았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전체의 48%( 32명)로 가장 많았다. 수술 종류에 따른 사망자 수는 지방흡입술이 17명(34%)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안면윤곽수술이 11건(17%)를 차지하였다. 성형수술 사망 사례 66건 중 부검을 시행한 경우는 34건(51%)이었고, 부검 결과를 알 수 있었던 것은 12건(18%)에 불과했다. 사망 원인으로는 패혈증, 복막염, 과다출혈의 순이었다. 장소별로는 성형외과가 31건(47%)이었고, 성형외과 전문의가 수술을 집도한 경우는 4건(6%)이었다. 성형수술을 위해 마취약을 주사 후 이상증세가 나타나 사망한 경우가 9건이었고, 수술 중에 이상증세가 나타나 사망한 경우가 14건이었다. 성형수술 관련한 사망 및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성형외과 전문의에게 수술을 받아야하며, 응급시설이 갖춰져 있고 마취 전문의가 상주하고 있는 곳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한다. 아울러 성형수술 사망 사고가 발생한다면 부검을 통해 의료과오가 있는지 밝히는 것이 법정분쟁을 해결하고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아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

        권진주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유아들은 어린 시기부터 서로 다른 사람들의 신체적 능력, 외모, 언어, 성 등에 있어서의 차이를 인식한다. 그리고 사회적 규범과 편견의 영향을 받은 가치관은 이미 어린시기에 형성된다. 따라서, 유아기에 실시되는 반편견 교육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사회적 통합은 장애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것에 있어 보다 효과적이고, 변화에 대해서도 큰 거부감이 생기지 않는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비장애아와 장애아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유아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예비교사들의 인식이 예비교사의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예비교사 변인에 따라 장애아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예비교사 변인에 따라 장애아 반편견 교육 실시방법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예비교사 변인에 따라 장애아 반편견 교육 지도내용별 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4. 예비교사 변인에 따라 장애아 반편견 교육 자료 활용은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 대상인 예비교사 257명은 대학교 및 보육교사교육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공통된 문항을 발췌하였고, 일반적인 편견과 선입견에 관련된 항목을 제외하고 장애인에 관련된 항목만을 선정하여 유아교육기관에 맞게 수정하여 최종 완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장애아 반편견 교육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χ2 검증과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교육기관에 따라 반편견 교육에 대한인지는 3년제, 4년제 학생 모두 강의·세미나로 인하여 월등하게 인지를 하고 있었으나, 보육교사교육원 학생들은 그에 비해 강의·세미나를 접하는 경로가 부족하여 강의·세미나와 주변지인으로 알게 된 경로가 비슷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반편견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특수교육수강 및 실습 경험이 있는 교사가 받지 않은 교사에 비해 장애아 반편견 교육의 인식과 필요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둘째, 반편견 교육의 실시 방법은 교육기관, 학과, 특수교육수강 유무, 교육경험 유무, 실습경험 유무에 상관없이 대그룹 또는 소그룹 형태로 만3세부터 주2회-3회로 연중 실시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반편견 교육의 지도별 중요도에서 4년제 학생들은 장애아에 대해 이해하는 수준이 매우 높았다. 그리고, 장애아 반편견 교육지도 및 실습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비장애아와 장애아를 동일시하여 수업하기를 원하였다. 넷째, 반편견 교육에 대한 자료 활용은 4년제 학생들이 종전 교수·학습계획안 활용 여부, 각종 연수자료 참고여부, 일반 시사 자료집(신문·잡지) 참고 여부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학과학생과 특수교육수강이나 실습을 한 응답자들은 지도 자료집 및 모든 운영방법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반편견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 접근법 등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유아교육기관 예비교사를 위한 국가 차원의 반편견 교육의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반편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유아교육과정에 어떻게 통합하고 어떻게 유아들에게 교육시킬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fants recognize difference in physical ability, appearance, language, and gender from a very young age. Also, values influenced by social norm and prejudice form during their early stages of life. Therefore, social integration achieved through the anti-bias education that takes place in early childhood is effective in forming positive attitude toward disability and helps children to have no repulsion toward chang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eliminate prejudice against non-handicapped and handicapped children, and to identify how awareness of preservice teachers, who can affect children, differ according to the variable of preservice teachers to conduct successful integrated education. The established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Is there difference in awareness toward anti-bias education of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preservice teacher? Research problem 2. Is there difference in implementation methods of anti-bias education of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preservice teacher? Research problem 3. Is there difference in importance by contents of anti-bias education of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preservice teacher? Research problem 4. Is there difference in utilization of anti-bias education materials of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preservice teacher? 257 preservic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college and child care education center.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extracted common items by reviewing precedent studies, and completed the final questionnaire by selecting and modifying items related to the disabled excluding items related to general bias and prejudice to fi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The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zed using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and conducted χ2 test and ANOVA analysis to investigate awareness of preservice teachers toward anti-bias education for disabled. The analysis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awareness towards anti-bias education for disabled by educational institution, students in both 3-year and 4-year colleges had superior understanding by lecture and seminar, but students in training institutes for child care teachers learned through similar routes as lecture, seminar, and acquaintances because they have limited access to lecture or seminar by comparison. Also, most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anti-bias education, and teachers who took special education classes and have practical experience considered awareness and necessity of anti-bias education for disabled importantly compare to the teachers with no experience. Secondly, they responded that conducting anti-bias education 2~3 times a week throughout the year in big group or small group format from 3 years of age regardless of the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department, class status in special education, existence of education experience, and existence of practical experience is most appropriate. Thirdly, for importance by instruction of anti-bias education, students in 4-year college had very high understanding level of disabled children. Also, respondents who had anti-bias education guidance and practical experience for disabled children wanted to run classes by identifying non-handicapped children with handicapped children. Fourthly,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se of data on anti-bias education as lesson plan of previous professors, various training material references, and general news materials(newspaper·magazine) for students in 4-year college. Students i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who took or practiced special education responded that all guide and operating methods are necessary. Empirical studies on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approach for anti-bias education would have to b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curriculum of national anti-bias education would have to be developed for preservice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Also,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anti-bias education program and investigating how it should be integrated into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how it should be educated to children would have to be carried out.

      • 戶籍자료를 통해 본 대한제국기 충청도지역의 주민 실태

        권진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paper examine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real condition of residents in 5 areas of Chungcheon-do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and studied the purposes and meaning based the modern family register data. Chungcheong-do was extremely damaged due to Donghak Peasants Movement because it was its major activities area and ferocious battlefield. And it was badly damaged due to bad harvests, famine, and natural disasters all over the country before and after the Donghak Peasants Movement. Accordingly, the family register survey conducted at the point of time that the central government’s measures were needed has the very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was done right after the social whirl. The census policy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cannot actually grasp census accurately because of the purpose of tax imposition about the state and local finance. ‘The census rules’ and ‘the detailed rules of census’ implemented after the Gabo Reform of 1894 reflected the central government’s effort to improve the tax collection system by comparing the previous systems with them. 5 areas of Chungcheongdo shown in the modern family registers include Boeun-gun in Chungcheongbuk-do, Gongju-gun in Chungcheonnam-do, Yeongi-gun in Chungcheonnam-do, Cheongju-gun in Chungcheongbuk-do, and Seosan-gun in Chungcheonnam-do. The results which analyzed the modern family registers in the five areas are as follow: First, households and the population of Boeun family register, Gongju family register, Yeongi family register, Cheongju family register, and Seosan family register have found to be remarkably reduced than those of 『the total number of census(戶口總數)』 written in the previous period. This implies that there was serious population fluctuation in Chungcheong-do when the modern family registers was made out. And it can be found that there were the local differences in making out family registers. As for the gender ratio of men and women, the gender imbalance is shown except Yeongi that the entry rate of women is high. The gender imbalance like this implies that the entry of women was omitted. The average population per household has found that Cheongju is higher than other areas. This phenomenon’ causes can be found in the entry of the female population and the entry of tools and the employment population. Human organization of dwelling units could be found that heads of family are the best part of the total population and lineal relations hold a large majority except them. This shows the phenomenon that blood relatives were written in the entry of relatives who live together was remarkable. Unusually, the Gongju family register has found that 41.28% of the whole family registers wrote that names and Bon-gwan(family clan in Korea) of fathers, grandfathers, great-grandfathers, great-great-grandfathers were unknown. Men in their forties have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age groups of the heads of family in the 5 areas of Chungcheongdo. When the fact that men in their forties have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age groups of the heads of family in other areas is considered, it is thought that the age groups of heads of family in their forties are the universal phenomenon. The family size of residents in Chungcheong-do is various ranging from single person families to families of nine and above. It has found that families of three to five hold a majority of the family size in each area. families of four and five have the high percentage of the Yeongi family register and the Cheongju family register. These phenomena are thought to be because the number of tools and employment is great rather than many relatives who live together in a household. And it is judged that general family types in Chungcheongdo are the nuclear family type with couples including a head of family in his forties, sons, and daughters as many family types of first and second generation are shown. Occupation of heads of family which can be found in the family registers of the 5 areas in Chungcheong-do is mostly agriculture. However, in case of Boeun, the number of Yangban(nobleman) is higher than that of farmers. It is thought to result from the year that the family register was made out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family register of Boeun was written in the previous period than other family registers. And Seoni-myeon, Boeun-gun, the area that the family register was written is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Gun and there was Eupchi of Boeun-hyeon. The house size can be found that there are overwhelmingly a lot of three rooms. The number of rooms per household in Yeongi and Cheongju is higher than that of Gongju, but the number of rooms per person shows the smaller size as 0.86 and 0.76 room. These phenomena is analyzed to be many persons who live together. And the fact that the number of tools and employment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areas can result from reduction of the number of rooms per person. 본고는 대한제국기 충청도지역의 5개 지역에 대한 근대호적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당시 이 지역의 특징과 주민 실태를 살펴보고, 그에 대한 목적과 의미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충청도지역은 동학농민군의 주요한 활동지역 및 격전지였기 때문에 동학농민운동으로 인한 피해가 극심한 지역이었다. 그리고 동학농민운동 전후로 하여 전국적인 흉년과 기근,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도 상당하였다. 이에 따라 중앙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에서 시행된 호적조사는 사회적 혼란 직후에 시행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조선시대 호구정책은 국가 및 지방재정에 대한 조세부과의 목적이 있었기 때문에 실제적으로는 정확한 호구파악이 불가능하였다. 갑오개혁이후 시행된 ‘호구조사규칙’과 ‘호구조사세칙’은 이전의 제도와 비교하여 징세제도를 개선하려는 중앙정부의 노력이 반영된 것이다. 근대호적에 나타난 충청도 5개 지역은 충청북도 보은군, 충청남도 공주군, 충청남도 연기군, 충청북도 청주군, 충청남도 서산군이다. 이 5개 지역의 근대호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보은호적, 공주호적, 연기호적, 청주호적, 서산호적의 호와 인구수는 모두 이전시기에 작성된 『호구총수』의 호와 인구수보다 현저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근대호적의 작성시기 충청도 지역에서 심각한 인구변동이 있었음을 짐작하게 해주며, 호적작성에 있어서도 지역적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남녀성비를 살펴보면 여성의 기재비율이 높은 연기지역을 제외하고 남녀성비가 불균형을 보인다. 이와 같은 남녀성비의 불균형은 女의 기재가 누락되어 있었다는 점을 시사한다. 1호당 평균인구수를 분석해보면 연기지역과 청주지역에서는 다른 지역보다 높게 나타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여성인구에 기재에서도 원인을 찾을 수 있겠지만, 기구 ․ 고용인구의 기재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가 있다. 가호의 인적구성에 있어서는 전체 인구 중 호주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가장 크고, 호주는 제외하면 직계혈족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동거친속의 기재에 있어서 혈족만 기재하는 현상이 두드러졌음을 나타낸다. 특이하게도 공주호적은 전체호중 41.28%가 父 ․ 祖父 ․ 曾祖父 ․ 外祖父의 성명과 본관이 모두 不知로 기재되어있다. 충청도의 5개 지역의 호주의 연령층은 40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다른 지역에 거주했던 호주의 연령층도 4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볼 때, 40대의 호주의 연령층은 보편적인 현상인 것으로 생각한다. 충청도 지역 주민들의 가족 규모는 1인 가족에서부터 9인 이상의 가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3~5인 가족이 각 지역의 가족규모의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연기호적과 청주호적에서는 4인 가족, 5인 가족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한 호에서 생활하는 동거친속이 많아서라기보다는 기구 ․ 고용의 수가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1세대, 2세대 가족유형이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충청도 지역의 일반적인 가족 유형은 40대 가장의 夫妻와 子, 女가 있는 핵가족형태로 판단된다. 충청도 5개 지역의 호적에서 확인할 수 있는 호주의 직업은 대부분 농업이다. 그러나 보은지역의 경우 양반의 수가 농민의 수보다 더 많은데, 호적이 작성된 연도와 지역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보은호적은 다른 호적에 비해 앞선 시기에 작성되었고, 호적이 작성된 지역인 충청북도 보은군 서니면은 보은군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보은현의 읍치가 있었던 지역이었다. 가옥의 규모는 3칸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연기지역과 청주지역은 공주지역에 비해 1호당 칸수가 높지만 1인당 칸수는 0.86칸, 0.76칸으로 적은 규모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함께 거주한 이들의 수가 많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한 기구 ․ 고용의 수가 타 지역에 비해 많은 것도 1인당 칸수를 줄이는 원인이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근대호적은 조선시대의 호구파악방식과 새로운 호구파악방식이 서로 혼재되어 나타나는 과도기적 모습을 보인다고 할 수 있겠다.

      • 국내 가뭄지수 분류기준의 개선방안 제시

        권진주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가뭄은 불가피성과 반복성을 가진 자연 현상이므로 가뭄 발생 전 사전대비계획과 가뭄발생시 가뭄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그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의 가뭄심도를 평가하여 가뭄상황에 대처하고자 우리나라에 적합한 가뭄 분류기준을 제시하였다. 관측연수 30년 이상의 강우자료를 확보한 61개 지점에 대해 1973년부터 37년 기간의 월강우량 자료를 사용하였고, 현재 국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뭄상황단계를 그대로 적용하여 가뭄 구간을 총 4등급으로 구분하였다. 기존의 주요 가뭄발생현황을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맞는 가뭄심도의 분류기준을 가뭄 발생의 누가확률 98-100%는 예외적인 가뭄, 94-98%는 극심 가뭄, 90-94%는 심한 가뭄, 86-90%는 보통 가뭄으로 구분하였고, 각 지점의 가뭄지수(SPI(3개월), PDSI)를 내림차순으로 작성하여 가뭄심도 분류기준에 맞는 가뭄지수의 정량적 값을 산정하였다. SPI(3)와 PDSI의 가뭄심도 분류 결과와 실제 가뭄을 비교하기 위해 년 단위 비교와 월 단위 비교를 분석한 결과, 년 단위 비교와 SPI의 월 단위 비교는 각 지역의 가뭄지수 평가가 대부분 일치하게 나타났으나 같은 기간의 PDSI의 월 단위 비교는 일치하지 않는 기간도 있었다. 이는 이들 지수의 상호보완에 대한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뷰티 색채학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권진주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aesthetic chromatology papers in a bibliometric manner and examine the current research trends and characteristics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latest aesthetic color trends. For this, a total of 106 master’s and doctoral theses published in the past decade (2010-2019) and 108 research papers listed on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for journals and candidate journals were collected through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www.riss.kr). Then, the productivity was analyzed by each category (e.g., year, sector, research method, author, department, journal), and keyword frequency by year/sector/type was analyzed. Correlations among such keywords were examined through co-word analysis. In terms of the research method, a research plan was diagramed and measured, using ‘KrKwic’ and ‘KrTitle’, and the intellectual structure among the keywords was constructed. Then, correlations among the words derived from paper titles after creating symmetric co-occurrence matrix and assessing their usage frequency were analyzed, using ‘UCINET’,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according to the productivity analysis, a total of 214 papers pertaining to the research topic were published over the past 10 years. In particular, 2018 had the largest number of papers (31 papers, 14.4%) released. In terms of productivity by sector, ‘makeup (81 papers, 37.9%)’ was the highest. In makeup, specifically, it is anticipated that there would be active studies on the influence of color cosmetics. In terms of productivity by research method, ‘survey (88 papers, 41.12%)’ was the highest. In productivity by author, ‘Park Yeon-seon (Hongik University)’ was the largest with 4 papers in total. Fort the past decade, authors have published 1.15 papers each on average. In terms of productivity by department, ‘Hongik University (15 papers, 14.2%)’ and ‘Seokyeong University (14 papers, 13%)’ were the highest in academic papers and journals respectively. In terms of productivity by journal,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s (7 journals, 27%)’ and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4 journals, 20.8%)’ were the highest in ‘hairstyling’ and ‘skin care’ respectively. In makeup,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s (9 journals, 22.5%)’ was analyzed. In nail care, the ‘Journal of the Korea Beauty Art Management Association’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s’ (3 journals each, 18.8%) were examined. In other aesthetic sector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 journals, 40%)’ was considered. Second, according to the keyword analysis, a total of 871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214 papers. According to the keyword analysis by sector, ‘makeup (121 keywords)’ was the highest while ‘other aesthetics (42 keywords)’ was the lowest, showing a nearly 2.9 times difference. In terms of keywords by type, 164 academic papers and 184 journals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keyword frequency (keywords appearing 5 times or more), ‘tint (141 time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personal color (67 times)’, ‘tone (20 times)’, ‘color (17 times)’, ‘skin color (9 times)’ and ‘coloring (8 times)’. In terms of co-occurrence frequency, ‘tint’ and ‘coloring’ were the highest appearing together 7 times. As for keywords which appeared 5 times or more in aesthetics, ‘image (52 time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design (35 times)’, ‘trend (24 times)’, ‘women (20 times)’, ‘cosmetics (19 times)’, ‘fashion (12 times)’ and ‘brand (10 time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co-occurrence frequency, ‘women’, ‘image’, ‘trend’, and ‘design’ were the highest appearing together 6 times. In the keyword frequency in aesthetics, ‘makeup (89 time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personal color (67 times)’, ‘hairstyling (51 times)’, ‘nail art (37 times)’, ‘aesthetics (19 times)’ and ‘skin tone (14 times)’. In terms of the co-occurrence frequency of keywords stated above, ‘aesthetics’ and ‘makeup’ were the highest appearing together 7 times. Based on the said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re were a lot of studies on makeup colors in late 2010. Fort the past decade, the author with the highest productivity released a total of 4 papers. On average, 1.15 papers were published per author. In terms of productivity by institution, ‘Hongik University’ and ‘Seokyeong University’ were the highest. This study investigated aesthetic color study trends through a bibliometric analysis. Since it narrowed the aesthetic field to only five sectors (hairstyling, skin care, makeup, nail care, and other aesthetics), there were limitations in analyzing overall aesthetic color study trends. It is anticipated that there would be more active and diverse studies in aesthetics. 본 연구는 최신 뷰티 색채 트렌드를 분석하기 위하여 뷰티 색채학 논문을 계량서지학적으로 분석하고 연구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간(2010-2019) 발표된 106편의 석, 박사 학위논문과 KCI 등재지와 등재후보지에 실린 108편의 연구논문을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www.riss.kr)를 통해 수집하여 연도별, 분야별, 연구방법별, 제1저자별, 소속기관별, 학술지별로 생산성을 분석하고, 논문의 주제어를 대상으로 연도별, 분야별, 유형별 주제어의 빈도를 분석하였다. 그 후 동시 출현 단어 분석을 진행하여, 함께 연구되고 있는 주제어와 함께 각 주제어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KrKwic’, ‘KrTitle’ 프로그램을 이용해 연구 내용을 도식화ㆍ계량화, 주제어 간의 지적 구조를 구축하고, ‘UCINET’ 프로그램으로 공출현 빈도(co-occurrence) 대칭형 매트릭스를 생성해 논문 서명에서 도출된 단어 및 사용 빈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산성 분석 결과, 연도별 생산성 분석에서는 최근 10년간 발표된 연구논문과 학위논문은 총 214편 중 2018년 31편(14.4%)으로 해당 년도에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야별 생산성 분석에서는 메이크업 81편(37.9%)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메이크업 분야는 색조 화장품의 영향으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방법별 생산성 분석에서는 조사 연구가 88편(41.12%)으로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제1저자별 생산성 분석에서는 홍익대학교의 박연선이 총 4편으로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하였고, 저자들은 10년간 평균 1.15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소속기관별 생산성 분석에서는, 학위논문은 홍익대학교 15편(14.2%), 학술지논문은 서경대학교 14편(1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술지별 생산성 분석에서는, 헤어미용 분야는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7편(27%), 피부미용 분야는 한국색채학회논문집 4편(20.8%), 메이크업 분야는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9편(22.5%), 네일미용 분야는 미용예술경영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각 3편(18.8%), 기타 뷰티분야는 한국미용학회지 2편(40%)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둘째, 주제어 분석 결과, 214편의 논문에서 총 871개의 주제어를 추출하였다. 분야별 주제어 분석에서는 가장 많은 분야가 메이크업 121개, 가장 적은 분야가 기타 뷰티 42개로 약 2.9배의 차이를 보였다. 유형별 주제어 분석에서는, 학위논문은 164개, 학술지논문은 184개로 나타났다. 또한 5번 이상 출현한 핵심 주제어 빈도수를 분석한 결과, 컬러(색채) 141회, 퍼스널 컬러 67회, 색조 20회, 색상 17회, 피부색 9회, 컬러링 8회의 순서로 분석되었으며, 동시 출현 빈도수는 ‘컬러(색채), 컬러링’이 7회로 가장 높았다. 뷰티 분야 관련 5회 이상 출현한 주제어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이미지 52회, 디자인 35회, 트렌드 24회, 여성 20회, 화장품 19회, 패션 12회, 브랜드 10회의 순서였고, 동시 출현 빈도수를 분석한 결과는 ‘여성, 이미지’, ‘트렌드, 디자인’이 6회로 가장 높았다. 뷰티 분야의 핵심 주제어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메이크업 89회, 퍼스널 컬러 67회, 헤어 51회, 네일(아트) 37회, 뷰티 19회, 피부(색) 14회의 순서로 분석되었다. 위의 분석에서 사용된 주제어들의 동시 출현 빈도수를 분석한 결과는 ‘뷰티, 메이크업’이 7회로 가장 많았다. 상기의 내용을 통해 2010년대 후반에 메이크업 색채에 관한 조사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며, 10년 동안 생산성이 가장 높은 연구자는 총 4편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저자 평균 1.15편의 연구가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장 생산성이 높은 기관은 홍익대학교, 서경대학교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계량서지학적 분석 방법을 통해 뷰티 색채학 연구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었으나 뷰티 분야를 헤어미용과 피부미용, 메이크업, 네일미용, 기타 뷰티 5가지로 한정하여 뷰티 색채학 전반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었다. 향후 다양하고 활발한 뷰티 분야의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학선행학습 실태 분석

        권진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학 선행학습에 대한 실태 및 수학 선행학습 수업과 학교 수학수업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생각하는 수학 선행학습의 효과에 대한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수학 선행학습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유용성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교육이 공교육을 보완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육의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1 :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학 선행학습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학 선행학습 수업과 학교 수학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학 선행학습의 효과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이에 본 연구자는 부산광역시 A지역의 6학년 215명 학생(남자:104명, 여자:1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선행학습에 관한 선행연구의 설문지 및 우리나라의 수학교육 현안 조사연구(2011)의 설문지를 근거로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수학 선행학습 실태, 수학 선행학습 수업과 학교 수학 수업에 대한 만족도, 수학 선행학습 효과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반응자들이 주어진 문장에 얼마나 동의하는지를 척도로 표시하도록 하여 특정 주제에 대한 반응자의 태도를 알아보는 평정 척도인 리커트 척도(Likert scale)사용하여 각 비율을 나타내고, 평균을 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설문대상자 215명 중 198명 학생(92.09%)이 선행학습을 경험한 적이 있으며, ‘학원’을 통해 평균 6시간 이상(20.20%)을 학습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이유는 가장 일반적인 사교육 형태가 학원이고 학원의 수업 방법이 선행학습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학생들이 선행학습을 많이 접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수학 선행학습의 참여원인으로는 타인보다 더 높은 ‘수학성적’을 받으려는 학생과 학부모의 ‘무한경쟁의식’과 학교 수학수업에 ‘도움’을 받으려는 심리 등 2가지로 분석된다. 둘째, 학교 수학 수업과 선행학습 수업에 대한 만족도 분석 결과에 의하면 ‘선생님들은 열심히 준비하여 수학수업을 한다’. ‘수학 수업 자료가 충분하다’, ‘수학 숙제의 분량이 적절하다’, ‘수학 시험보는 횟수가 적절하다’, ‘시험문제가 학생들의 수학 실력을 평가하는데 적절하다’, ‘학생들이 수학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수학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등의 항목에서 학교수학 수업에 대해 선행학습 수업보다 긍정의 응답을 많이 하여 대체로 학교에서 수학 수업의 평가방식과 숙제 분량이 선행학습 수업에 비해 더 적절하며, 수업참여도 및 수학적 흥미도 높으며, 학교 수학 교사의 열의가 더 높다고 판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질문이 있을 때 선생님들께 쉽게 물어볼 수 있다’, ‘수학 수업에서 다루는 문제가 다양하다’ 등의 항목에서 선행학습 수업이 학교 수학수업보다 긍정의 응답이 많아 학교의 교육자원이나 교사에 대한 접근성이 선행학습 수업보다 낮다고 판단하고 있다. 셋째, 수학 선행학습의 효과에 대한 인식 분석에서 학생들이 수학 성적이 상관없이 수학 선행학습으로 ‘미리’ 학습하면 학교수업의 이해도가 높아질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궁극적으로 수학선행학습이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또한, 학생들은 선행학습 수업이 학교수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은 적다고 생각하나, ‘좋은 수업 분위기’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관점 차이와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답보다는 부정적인 답을 유도하는 설문지 문항으로 정확한 판단이 어렵다.

      •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학습 지속을 위한 동기부여 콘텐츠 설계 전략 연구Study on Motivational Contents Design Strategies for Continuous Learning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 : Focused on Contents Subscription-based English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 콘텐츠 구독

        권진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Learning motivation is a decisive factor influencing learning immersion, academic achievement, and continuation of learning, and its importance is highlighted more in a smart learning environment that gives learners complete autonomy. In particular, in an individual learning type where there is no instructor nor fellow learners and learners have to continue studying themselves as subscribing to educational contents, the learner's sense of psychological isolation could be easily strengthened, which impedes learning motivation and ultimately this causes side effects such as deviating from learning. This problem occurs more seriously in young learners whos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s lower than that of adults, so the importance of learning motiv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 should be more emphasized. Although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solve the problem of low learning motivation in smart-learning environment, existing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adult learners in universities or corporate e-learning. Moreover, a majority of the past studies suggested the intervention of a person, such as a tutor, as a method of motivational prescription. If not suggesting human intervention, many researches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tutoring system based on advanced technology as an alternativ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trategies for designing motivational contents through system-learning interaction, based on understanding of major traits of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 smart learning environment. Motivational contents defined in this study indicate messages and functions that can systematically stimulate and maintain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without intervention of humans. Its purpose is to support learners to continue learning despite psychologically isolated learning environment. In this study, design‧development research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model research methodology from the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s(Richey & Klein, 2012). In order to derive the initial design strategy, this study conducted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lated to learning motivation, case analysis of English learning apps, and case analysis of 6 different contents subscription-type of elementary English learning programs currently in use. In order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strategies, twice of the expert reviews and practical usability evaluations were conducted. Finally, 5 main motivating factors, 10 strategies, and 24 detailed instructions were developed. The motivational contents design strategy for continuation of learning in a smart learning environment aims for comprehensive implementation of five major learning motivational factors - autonomy, task interest, expectation of success, self-efficacy, and fun of achievement - throughout the entire learning process, however, the strategy emphasizes specific motivational factors based on each different learning stage. For example, in the initial stage of learning, motivation strategies that enhancing autonomy, task interest, and expectation of success are exercised, and self-efficacy and fun of achievement are emphasized more during the learning process. In addition to the final design strategy, this study proposes implementation tactics composed of sensory,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and relational experience factors in order to realize the concreteness of the strategy. At the end of the study, a mock-up user scenario was developed as applying the final design strategy unto a digital English read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in terms of developing a smart learn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ly,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have claimed that the learning motivation theory developed for a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can be equally applied to an e-learning environment. However, unlike e-learning, content subscription-type programs, where there’s no instructors existing, require comprehensive motivational support throughout the entire learning process. Also, the way of implementing the strategy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as if it were an interaction with a person, not with a computer. Secondly, the driving force for continuing one’s learning in spite of the high sense of psychological isolation is the repetition of positive learning experiences. This stud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such learning motivation and suggests ‘providing an optimal experience’ as an actual implementation method. When learners achieve optimal experiences during learning processes repetitively, it ultimately serves as a motivator to make learners want to continue learning. Finally,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ly, this study attempted to categorize smart learning programs according to different levels of learners’ motivation and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studying the ‘individual learning programs based on contents-subscription’ due to its highest potential of causing psychological isol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underlying factors that inhibited the learning motivation of this type of program and attempted to present a practical solution. Secondly, this study, which explores learner motivation in a smart learning environ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contribute to broadening the horizon of the existing studies mainly conducted targeting for adults learners. It can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motivational aspects of young learners’ motivation when studying smart-learning environment. Finally, this study developed a design strategy for practitioners in the edu-tech industry who actually develop smart learning programs, therefore it is expected to have high level of usability in the field. 학습동기는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 그리고 학습 지속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요인으로서 학습자에게 온전한 자율성을 부여하는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더욱더 그 중요성이 부각된다. 특히, 교수자와 동료 학습자가 존재하지 않는 개인학습 유형의 스마트러닝 환경에서는 학습자의 심리적 고립감이 더욱 강화되고 이는 학습동기를 저해해 궁극적으로 학습이탈 및 중단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킨다. 이러한 문제점은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성인에 비해 낮은 저연령 학습자들에게 더욱 심각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스마트러닝을 이용하는 초등학생 학습자들이 지속적인 학습동기를 유지하는 것은 성공적인 학업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온라인 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지원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는 과거에도 이루어졌지만, 주로 대학의 사이버강의 또는 기업 이러닝을 수강하는 성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들이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대다수의 동기처방의 방안은 멘토 또는 튜터와 같은 사람의 개입을 제안하거나, 고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 개발을 대안으로 제기해 스마트러닝 프로그램 개발 현장에 범용적으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인 면대면 교실수업과는 다른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초등학생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람의 개입이 최소화된 시스템-학습자 상호작용을 통한 동기부여 콘텐츠 설계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정의하는 동기부여 콘텐츠란 교수자나 튜터와 같은 사람의 개입이 없이 시스템적으로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유발 및 유지시키기 위한 메시지와 기능을 일컫는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계‧개발연구(Richey & Klein, 2012) 방법 중 모형 연구 방법론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초기 설계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일반적인 학습동기 및 초등학생의 학습동기 특징과 관련된 선행문헌을 검토하고, 콘텐츠 구독형 영어학습앱 중 성공적으로 동기부여 콘텐츠를 운영하는 사례분석과 현재 상용 중인 초등영어 프로그램 6가지의 사례분석을 수행해 설계 전략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개발된 설계 전략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2회에 걸친 전문가 검토 및 실무자의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5가지 주요 동기요인과 10개 전략 및 24개의 상세지침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인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학습 지속을 위한 동기부여 콘텐츠 설계 전략은 주요 학습동기 요인 5가지, ‘자율성’, ‘과제흥미’, ‘성공의 기대감’, ‘자기효능감’, ‘성취의 재미’ 요인을 학습 과정 전반에 걸쳐 종합적으로 구현하는 것을 지향하되, 학습 단계에 따라 특정 동기요인을 강조하는 형식을 띠고 있다. 즉, 학습의 초기 설정 단계에서는 학습자에게 ‘자율성’, ‘과제흥미’, ‘성공의 기대감’과 관련된 동기를 부여하고, 학습 진행 중에는 ‘자기효능감’과 ‘성취의 재미’를 더욱 강조해 학습의 진행 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관련성이 높은 동기 요인들이 구현될 수 있도록 설계 전략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최종 동기부여 콘텐츠 설계 전략과 전략의 구체화 방안으로 제시된 번 슈미트(Bernd H. Schmitt)의 ‘최적의 경험’ 구현 방법을 초등학생 대상의 디지털 영어 도서관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목업(mock-up) 유저 시나리오를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설계 전략의 구현 가능성을 재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러닝 프로그램의 학습동기 강화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한다. 첫째, 다수의 선행연구는 면대면 학습환경에서 개발된 학습동기 이론을 그대로 이러닝 환경에 적용해 해당 학습동기 이론들이 온라인 학습 맥락에서도 동일하게 효과적인 처방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 하지만, 이러닝과 달리 교수자가 없는 환경에서 학습자 주도적으로 학습을 지속해야 하는 콘텐츠 구독형 프로그램에서는 사람의 개입이 전혀 없이 시스템적으로 학습자에게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학습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총체적이고 유기적인 학습동기 지원 전략이 사전에 기획되어야 한다. 기획 과정에서 학습의 시작과 중, 후반 각각의 단계에서 어떤 동기요인이 강조되어야 할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심리적 고립감이 높은 학습환경에서 학습을 지속하도록 만드는 동인은 결국 긍정적인 학습 경험의 반복이다. 본 연구는 이를 구현하는 구체적인 방안으로 감각적, 감성적, 인지적, 행동적, 관계적 경험 측면을 모두 고려한 ‘최적의 경험’을 제시한다. 학습자가 학습 중 좋은 경험을 체험하고, 이러한 좋은 경험이 반복되는 것이 궁극적으로는 학습을 지속하고 싶도록 만드는 동기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마트러닝 프로그램 개발 시 동기적 측면을 지원하기 위한 기획 과정에서 어떻게 하면 사용자에게 긍정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할 것인지를 고려해야 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본 연구는 최초로 학습자의 학습동기 수준에 따른 스마트러닝 프로그램의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심리적 고립감이 가장 문제시되는 학습환경 즉, ‘콘텐츠 구독형 프로그램’을 주목해 해당 학습 유형의 근원적인 학습동기 저해 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문제해결 방안을 도출하였다. 둘째, 초등학생 학습자를 대상으로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학습자 동기를 탐색한 본 연구는 성인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한 기존의 온라인 학습동기에 관한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할 수 있고, 나아가 초등학생 학습자의 온라인 기반 학습환경에서의 동기적 측면에 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한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스마트러닝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에듀테크 업계의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설계 전략을 개발한 바, 현업에서의 유용성과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