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효율적인 창작국악 감상지도를 위한 수업모형의 구성에 관한 연구 : 중학교를 중심으로

        권주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dissertation has studied on the stage teaching model for middle school to improve an effect of education for student's creative Korean classical listening lesson. A creative Korean classical music has merit in important elements of classical music and the introduction of classical musical instruments. Also the creative Korean classical music are composed at present and has a way of sympathizing with students and is evaluated for various and globalized. First, middle school textbook has been investigated and analyzed for effective a creative Korean classical music. The music has been classified with music listening, music analysis and music comparison to lesson object. The listening stage has been classified to 2 stage - the brief listening and the detailed listening - for applying of the existing stage teaching on middle school lesson by ease. Besides the brief listening has been classified to the preparation stage and the first feeling stage. The detailed listening has been classified to the presentation of the lesson direction stage, the execution of the lesson objective stage and the arrangement of the listening stage. Finally, the detailed lesson teaching model has developed by the application of three types based on lesson objective and the stage lesson teaching.

      • 청소년의 미디어 능력 향상을 위한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권주 명지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1823

        본 연구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미디어 교육을 실시한 후 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학생들과 미디어 교육 효과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했다. 미디어 교육은 청소년들이 비평능력을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가는 것이고 이것이 곧 미디어 능력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능력에 대한 개념은 Thoman(1986), Baacke(1997)와 Moser(1999)의 연구에서 규정한 ‘미디어 능력’ 을 원용해 사용했다. 미디어 능력은 미디어 조작능력, 미디어 이용능력, 미디어 비평능력, 미디어 제작능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미디어 이용능력과 미디어 비평능력(이해력, 분석력, 비판력)을 미디어 능력 개념으로 하고 청소년의 미디어 신뢰성과 참여의식을 부연해서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경기도 안양지역 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2005년 7월부터 2006년 8월까지 14개월에 걸쳐 연구주제 설정 및 계획, 사전 평가 및 설문조사, 수업모형 개발, 실험 수업, 사후 평가결과 분석 과정을 거쳐 연구가 진행됐다. 연구결과 미디어 교육을 받은 청소년들은 미디어에 대한 이해력이나 분석력, 비판력, 미디어 선택능력, 미디어 신뢰성, 미디어 참여의식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에서 밝히고자 했던 비평능력(이해력, 분석력, 비판력)이 향상된 청소년의 미디어 선택능력이 높아진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소년들의 미디어 선택능력 향상은 미디어 교육을 통해서 청소년 스스로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높아진 것이어서 교육효과를 입증한 것이다. 그러나 미디어 이용능력은 향상되지 않았다. 이는 청소년들의 미디어 이용능력이 장비를 이용한 훈련 없이 이론적인 교육으로는 향상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청소년들은 교육현장에서 미디어에 대한 이용능력 배양 교육보다는 스스로 터득하는 것이 더욱 효과가 크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다. 청소년들의 미디어 이용능력은 자기 스스로 또는 또래들을 통해 배우고 이용 능력을 배양시켜 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미디어 교육을 통해 청소년들의 미디어에 대한 분석력과 미디어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다른 요인(이해력, 비판력)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미디어 능력 중 비평능력(이해력, 분석력, 비판력)이 미디어 교육을 통해 동시에 향상되는 것이 아니라 우선 분석력이 향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교육이 지속되면 이해력이나 비판력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내용에 대해 충분하게 이해한 뒤 분석력과 비판력 등 능력이 배양된다는 기존의 일반론을 불식(拂拭)시킨 것이다. 특히, 어느 정도 미디어 교육을 더 지속시킬 때 분석력과 비판력 중 어느 요인의 능력이 증가하는 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미디어 능력의 향상이 미디어 교육 내용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청소년들이 접하기 어려운 정치문제나 경제문제에 대한 미디어 교육의 효과는 쉽게 접할 수 있는 사회문제에 대한 미디어 교육 효과보다 더 높았다. 미디어 교육 소재를 어떤 내용으로 하느냐에 따라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사실이다. 미디어 교육을 다양하게 시도해서 얻은 결과로 일반화 시켜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미디어 교육의 일반화는 다양한 계층, 다양한 지역, 다양한 내용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한 뒤 그 결과를 적용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어떤 내용으로 미디어 교육을 실시하느냐에 따라 효과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감안해 더욱 연구할 필요가 있다. 폭력성 인식이 낮을수록 미디어 교육의 효과는 높았다. 이 결과는 미디어의 폭력성이 일반교육 효과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부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폭력성에 대한 인식이 낮다는 것이 꼭 폭력성을 싫어하는 것이라고 완곡하게 설명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청소년들의 폭력성 인식이 낮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폭력과는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있다는 의미이다. 결국 미디어 교육이 청소년들의 폭력성 인식을 낮추는데 어느 정도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미디어 교육이 미디어 능력의 향상뿐만 아니라 일반교육 향상에도 효과가 높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어서 주목된다. 이런 결과가 미디어 교육에 관심을 가진 교사들을 자극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해력, 미디어 선택능력 요인이 미디어 교육의 효과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해력과 미디어 선택능력이 높아진 청소년들이 미디어 교육의 효과에 대한 인식도 높았다. 이 결과는 미디어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미디어 이해력과 미디어 선택능력에 초점을 맞춘 교육이 이뤄져야 함을 나타내고 있다. 미디어 교육은 한국사회에서 그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식의 폭이 확대되고 있고 많은 학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면서도 미디어 교육의 학문적 체계와 교육과정 구성, 교수법 등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인 이론적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미디어 교육은 다른 교과목처럼 어느 한 분야로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범위가 폭넓을 뿐만 아니라 다른 학문영역과도 접하는 부분이 많은 만큼 청소년 분야와 교육 분야, 미디어 분야를 비롯한 관련 학계가 지속적인 연구와 조탁(彫琢)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이런 문제들을 한걸음 발전시키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youth to have media use competence and media criticism competence. However, there are lack of programs that increase those competence of the Korean yout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effects of media education on the youth's media use competence and media criticism competence. Research participant was one high school class at Anyang city, Gyeonggi-do. From July, 2005 to August, 2006 research process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decision and planning of research subject, pre-evaluation and survey, instruction model development, experimental study, and post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increased the competence in understanding, analysis, criticism, media selection, media reliability, and media participation sense. The youth who increased their criticism competence(understanding, analysis, criticism) improved their media selection competence. Such improvement proved the media education program's effects. However, media use competence were not improved. It showed that only theoretical education could not improve the youth's media use competence. Such results indicated that the youth could improve their media use competence when using media. Understanding and criticism competence on media were not improved although media education increased the youth's media criticism competence and media reliabilities. It indicated that media education could not improve all criticism competence at the same time, but improve first analytical competence, then understanding, and finally criticism competence. This information was different from the current information that understanding competence should be developed first and then analytical and criticism competence. Therefore, after media education was provided for a while, a study, which competence could be improved between media analytical competence and criticism competence, are needed. The improvement of media competence were different from the contents of media education. The effects of media education on political and economic problems were higher than those on social and educational problems. It indicated that education effects were different from education contents. So, it meaned that the results of media education on various problems should be generalized. The generalization of media education should be first conducted for people from various social status, region and contents. Media education should be appli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various study results. More research are needed in that the effects of media education are different from media education contents. The lower the youth's recognition on media violence was, the higher the effects of education were. This results expatiated that the media violence influenced on the effects of general education. The facts, which the youth's recognition on media violence was low, means that the youth are not related to the violence. Finally, media education is contributed to reduce the youth's violence. Media education improved not only media competence but also general education. These results stimulate teachers who are interested in media education. This study showed that media understanding and selection competence had the greatest effects on media education. The youth, who improved their media understanding and selection competence, had high recognition on media education. This results indicated that media education focused on media understanding and selection competence to maximize education effects. The needs of media education are expanded in Korea and many scholars are have the subject of growing interests. However, there are lack of theoretical discussion on media education system,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ethods. Unlike other subjects, media education are not restricted to one subjects, but related to other subjects such as politics, economics, society, and culture. Thus, research on the fields of the youth, education and media should be needed.

      • 아동의 도덕성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또래관계의 차이

        권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23

        아동의 도덕성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또래관계의 차이 The Difference of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nd Peer Relationships by Their Level of Morality 교육심리 및 상담전공 권 주 임 지 도 교 수 조 규 판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도덕성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또래관계의 차이를 밝히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도덕성 수준에 따라 학업성취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아동의 도덕성 수준에 따라 또래관계에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 시내에 소재한 두 개의 초등학교5∼6학년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61명의 자료를 제외한 155명의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아동의 도덕성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서울대학교 도덕심리 연구소에서 2004년에 개발한 K-DIT를 사용하였으며, 또래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홍옥순이 개발한 자료를 김태희가 수정한 또래관계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학업성취도는 2012학년도 2학기 중간고사 시험 중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의 T점수의 평균을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아동의 도덕성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또래관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도덕성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 즉 아동의 도덕성 수준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변인으로 도덕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높이기 위한 가정과 학교의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아동의 도덕성 수준에 따른 또래관계에는 차이가 없다. 아동의 도덕성 수준이 높을수록 또래관계가 훨씬 우호적일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도덕성과 또래관계에 관한 더 많은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주요어: 도덕성 수준, 학업성취도, 또래관계

      • 교부들의 노예관 연구 : 노예의 동등성과 해방을 중심으로

        권주 백석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1823

        바울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이다"는 개념으로 사회적인 불평등을 뒤엎고 자유인이나 노예를 하나님 앞에서 한 형제, 자매로 결속시켰다. 교부들은 비록 노예에 대한 동정심도 있고 노예의 동등성을 말하기는 하였지만 시대상황에 따라 노예문제를 교회의 생존문제와 직결하였다. 초기에는 노예해방언급이 제국통치자의 눈에 거슬릴 것이 염려되어고, 4세기 후에는 교회의 협력자인 제국의 안녕에 누가 될 것이 염려되었다. 그래서 교부들은 노예해방의 의지를 자제시키기 위해 노예문제를 신학적으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바실레이우스와 닛사의 그레고리오스로 대변되는 교부들은 노예제도의 부당성을 적극적으로 지적하면서 교회가 노예의 동등성과 해방에 개입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비록 이들의 노력을 노예해방운동이라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노예해방과 관련된 논의의 시작을 이루게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