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국가정체성의 변화와 한·일 관계 : 강제징용 배상 판결 이후 투-트랙 외교 전략의 붕괴

        권예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日本による植民地時代 䍚制徴用に対する判決はなぜ韓日꞊係䖾化の引き金となったのか? 本溿究は、文在寅政嘤と安倍政嘤時代の韓日꞊係を時系列的な流れを通 じて調べることで、㎁家アイデンティティという構成的要因が外交政策形成に及ぼ す影響と䍚制徴用賠償判決が韓日꞊係䖾化のトリガーになった理由について分析する。 分析のため本溿究は、㎁家アイデンティティに対する概念整理と共にジェファ ーソン·ウェント·カチェンシュタインの安保政策決定モデルを理論枠組みとして活用 する。 分析を基に本溿究は、過去史問題を巡る韓日葛藤の核心に㎁家アイデンティティが存在し、日本による植民地時代䍚制徴用賠償判決が安倍政嘤の保守右派的㎁家アイデンティティの歴史修正主義的·磬岷成長主義的性格と正面から衝突し、文在寅-安倍政嘤時期の韓日葛藤のトリガーになったと主張する。韓㎁は日本との꞊係において、日帝䍚占期という共通の歴史的·民族的磬験を通じ て形成された「植民支配被害㎁アイデンティティ」と共に、安保·磬岷·文化·地政㰢的などの脈絡で䡵略的利害꞊係を共有する「同伴者的隣㎁アイデンティティ」を内在化している。 朴槿䕤 大統領退陣運動とともに登場した文在寅政嘤は、植民地支配被害㎁のアイデンティティと同伴者的隣㎁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すべて反映し、ツートラック䡵略を対日外交政策として掲げた。韓日間の歴史問題に了固として対䑴するという基調を維持する一方、日本を近隣でありパートナーと認識し、北朝鮮核·ミサイルなどの安保および磬岷問題に対する㲔質的な協力政策を展開しようとしたものだ。しかし文在寅政嘤のツートラック外交䡵略は2018年10月30日、韓㎁最高裁の日本による植民地時代䍚制徴用に対する判決を基点に崩れることになり、韓日꞊係は急速に䖾化した 本溿究は「認定」と「賠償」を要求した2018年最高裁の䍚制徴用賠償判決および判決後禈措置とこれに対する対䑴としての日本の磬岷制裁措置により日本による植民地時代過去史問題と安保·磬岷問題が結合され、韓㎁の植民地支配被害㎁アイデンティティが䍚化されツートラック外交䡵略が次第に崩壊したことを主張する。このような主張を裏付けるために本溿究は構成主義的見解を適用し、2018年10月日本による植民地時代䍚制徴用に対する判決前後に韓㎁と日本の㎁家アイデンティティおよび外交政策が形成され衝突する過程を分析する。本論文は韓㎁の㎁家アイデンティティの形成および変化に焦点を合わせており、日本の㎁家アイデンティティに꞊する議論は日本の政界に限定する。 これは䍚制徴用賠償判決が韓日꞊係䖾化の引き金になった理由と過去史問題を巡る韓日間葛藤の核心に㎁家アイデンティティがあることを主張しようとする本論文の目的を集中的に遂行するためだ。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사건에 대한 판결은 왜 한·일 관계 악화의 트리거(trigger)가 되었는가? 본 연구는 문재인 정권과 아베(安倍 晋三) 정권 시기(문재인-아베 정권 시기) 한·일 관계를 시계열적 흐름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국가정체성이라는 구성적 요인이 외교정책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강제징용 배상 판결이 한·일 관계 악화의 트리거가 된 이유에 대해 분석한다.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는 국가정체성에 대한 개념 정리와 함께 제퍼슨·웬트·카첸슈타인의 안보정책결정 모델을 이론틀로 활용한다.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과거사 문제를 둘러싼 한·일 갈등의 핵심에 국가정체성이 존재하며,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배상 판결이 아베 정권의 보수 우파적 국가정체성의 역사수정주의적·경제성장주의적 성격과 정면으로 충돌하면서 문재인-아베 정권 시기의 한·일 갈등의 트리거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한국은 일본과의 관계에 있어 일제강점기라는 공통의 역사적·민족적 경험을 통해 형성된 ‘식민지배 피해국 정체성’과 더불어 안보·경제·문화·지정학적 등의 맥락에서 전략적 이해관계를 공유하는 ‘동반자적 이웃국가 정체성’을 내재화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 퇴진 운동과 더불어 등장한 문재인 정권은 식민지배 피해국 정체성과 동반자적 이웃국가 정체성을 모두 반영하여 투- 트랙 외교 전략을 대일 외교정책으로 내세웠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비롯한 한·일 간 역사문제에 단호히 대응한다는 기조를 유지하는 한편, 동반자적 이웃국가 정체성을 통해 일본을 가까운 이웃이자 동반자로 인식하고 북한 핵·미사일 등의 안보 및 경제 문제에 대한 실질적 협력 정책을 펼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문재인 정권의 투-트랙 외교 전략은 2018년 10월 30일 한국 대법원의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사건에 대한 판결을 기점으로 무너지게 되었고, 한·일 관계는 급속도로 악화되었다. 본 연구는 ‘인정’과 ‘배상’을 요구한 2018년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 및 판결 후속 조치와 이에 대한 대응으로써의 일본의 경제 제재 조치로 인해 일제강점기 과거사 문제와 안보·경제 문제가 결합되면서 한국의 식민지배 피해국 정체성이 강화되고 투-트랙 외교 전략이 점차 붕괴되었음을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본 연구는 구성주의적 시각을 적용하여 2018년 10월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사건에 대한 판결을 전후로 한국과 일본의 국가정체성 및 외교정책이 형성되고 충돌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본 논문은 한국의 국가정체성의 형성 및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일본의 국가정체성에 대한 논의는 일본의 정치권에 한정한다. 이는 강제징용 배상 판결이 한·일 관계 악화의 트리거가 된 이유와 과거사 문제를 둘러싼 한·일 간 갈등의 핵심에 국가정체성이 있음을 주장하고자 하는 본 논문의 목적을 집중적으로 수행하기 위함이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why the verdict on the forced labor compensation became a trigger for the deterioration of South Korea-Japan relations. By analyzing the sequential flow of the relationship during the administrations of Moon Jae-in and Abe Shinzo(Moon-Abe administration perio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national identity as a constitutive factor on the formation of diplomatic policies and the reasons why the verdict on forced labor compensation became a trigger for the deterioration of the South Korea-Japan relationship. To conduct this analysis, the study utilizes the conceptual clarification of national identity and Jefferson-Wendt- Katzenstein’s security policy decision model as a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argues that national identity lies at the core of the South Korea-Japan conflict surrounding historical issues, and that the verdict on forced labor compensation clashed directly with the Abe administration’s revisionist and economically driven conservative right-winged national identity, triggering the conflict during the Moon-Abe administration period. In terms of its relationship with Japan, South Korea embodies a “victim of colonial rule identity”, formed through an internally shared historical and ethnic experience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well as an “identity of neighboring partnership country” that shares a strategic interest. The Moon administration, which emerged alongside the movement calling for the resignation of President Park Geun-hye, pursued a two-track diplomatic policy toward Japan, reflecting both the identity of a victim of colonial rule and that of a neighboring partnership country. The Moon administration tried to maintain a firm stance in addressing historical issues such as the issue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while perceiving Japan as a close neighbor and partner and pursuing substantive cooperation regarding security and economic issues such as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and missiles. However, the two-track diplomatic strategy of the Moon administration collapsed on October 30, 2018, with the Supreme Court of Korea’s verdict on the forced labor compensation, leading to a rapid deterioration of the South Korea-Japan relationship. This study argues that the Supreme Court of Korea’s verdict on the forced labor compensation in 2018, demanding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and Japan’s economic sanctions in response to the verdict, has led to the convergence of historical issues and the security and economic issues. This strengthened South Korea’s identity as a victim of colonial rule and led to the gradual collapse of the two-track diplomatic strategy. To support these arguments, this study applies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to analyze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and clash of national identities as well as the diplomatic policies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before and after the verdict on the forced labor compensation in 2018. This study primarily focuses on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South Korea’s national identity with a limited discussions on Japan’s national identity confined to the political sphere.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oncentrate on the role of national identity in the context of the strained South Korea-Japan relationship and the relation to the triggering factors behind the deterioration of bilateral relations.

      • 치매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기능과 정신행동증상 : 돌봄제공자의 치매태도 조절효과 중심으로

        권예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치매는 뇌의 신경세포가 손상되면서 기억, 언어능력, 지남력, 문제해결능력, 판단력 등의 인지기능이 저하되고, 망상과 배회 등의 정신증상과 우울, 불안, 초조 등의 심리적 경험이 동반되는 신경정신계 질환으로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치매환자의 수 또한 증가하고 있다. 치매로 인한 환자와 가족의 고통이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치매에 대한 의료적 치료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심리사회적 개입을 통해 치매환자의 성공적인 적응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적응유연성 모델을 통해 치매환자의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질병관련 위험요인 뿐 아니라 심리사회적 보호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실천적 개입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험요인으로는 치매의 주증상인 인지기능 저하와 주변증상인 정신행동증상을 설정하였고, 보호요인은 치매 말기에도 환자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돌봄제공자의 치매환자에 대한 비편견적, 긍정적 태도로 설정하였다. 치매노인실태조사(2010)의 조사대상자 중 응답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MMSE-DS 점수 9이상인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와 돌봄제공자 374쌍에 대한 설문 결과를 활용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연구 문제는 첫째, 위험요인인 인지기능저하, 정신행동증상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치매환자의 보호요인인 돌봄제공자의 비편견적긍정적 태도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치매환자의 보호요인은 위험요인의 영향을 조절하는가로 설정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저하정도에 따라 삶의 질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삶의 질은 인지기능 저하가 최경증, 경증으로 진행된 치매환자가 비슷한 수준을 가지며, 중증으로 진행되면 삶의 질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정신행동증상의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자의 삶의 질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돌봄제공자가 치매환자에 대해 비편견적 태도를 가질수록 정신행동증상이 치매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감소했다. 넷째, 돌봄제공자가 치매환자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가질수록 정신행동증상이 치매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미미하게 증가되었다. 다섯째 인지기능 저하정도가 치매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돌봄제공자의 치매환자에 대한 비편견적·긍정적 태도에 따라 달라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실천적 의미를 가진다. 첫째, 보호요인을 치매 말기에도 개입이 가능한 환경요인에서 확인하므로 연구의 독창성을 갖는다. 둘째, 위험요인의 주효과가 검증됨에 따라서, 인지기능저하를 늦출 수 있는 활동과 정신행동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돌봄제공자의 적절한 반응에 대한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셋째,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므로 돌봄제공자의 치매환자에 대한 비편견적인 태도 함양을 위한 실천적 개입지점들을 찾을 수 있었다.

      • Polydeoxyribonucleotide(PDRN)과 Macro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MBCP)를 이용한 골재생

        권예진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Deoxyribonucleotide 의 창상 재생에 관한 연구는 이미 활발히 이루어져 있는 것에 비해, 골 조직 재생에 대한 효과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Polydeoxyribonucleotide (PDRN)의 골 결손부 재생의 효과에 대하여 in vivo로 확인해보고자 한다. 웅성 백서(Sprague-Dawley Rat)의 두개골에 8mm trepine bur를 이용하여 골 결손부를 형성하고 아무런 이식을 시행하지 않고 자연 치유를 유도한 군, MBCP+TM 이식군, MBCP+TM + PDRN(ample)이식군, MBCP+TM + PDRN(ointment)이식군으로 나누어 8주 후에 골 형성부위의 조직시편을 이용하여 방사선학적 계측, 조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Micro CT 촬영결과, PDRN을 이식한 군의 신생골 형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통계학적인 분석으로는 각 군별로 일대일 대응 Tukey’s Multiple Comparison Test를 시행한 결과, MBCP vs MBCP+PDRN(ointment)를 제외한 나머지 그룹에서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5) 본 연구를 통해 PDRN은 골 결손부에서 골 재생 촉진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조현 환자의 암묵적 마음이론과 언어기억 간의 관계

        권예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마음이론과 언어능력의 상호 영향을 지지하는 주장들이 제기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두 영역 사이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국내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더욱이 마음이론은 조현환자의 삶의 기능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지 영역으로서 음성증상 치료에서 배제할 수 없는 필수적인 영역이며 언어기억 또한 사회 부적응을 예측하는 주요 인자이다. 따라서 마음이론과 언어기억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것은 조현환자의 기능 향상을 위한 개입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작업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현 환자의 암묵적 마음이론 수행과 언어기억 능력을 평가하고 두 영역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지역사회 건강증진센터를 통해 모집한 조현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암묵적 마음이론 평가(사회적귀인검사선다형), 인지적 마음이론 평가(그림 이야기 과제), 정서인식 평가(한국판 얼굴표정지각과제), 그리고 신경인지 기능 평가(논리기억I, K-AVLT, 숫자, 선로 잇기 A형과 B형, 기호쓰기, 상식)를 실시하였다. 또한 증상 및 일상생활 기능평가를 위해 면담(양성 및 음성 증후군 척도, 삶의 질 척도)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현 환자의 인지적 마음이론과 정서인식 평가에서 암묵적 마음이론 수행과의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암묵적 마음이론은 신경인지 기능 중 언어기억과도 유의미하게 상관이 있었다. 언어기억을 측정하는 검사들 중 K-AVLT에서는 암묵적 마음이론과 상관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논리기억I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언어기억의 손상 및 정상 집단에 따라서 암묵적 마음이론 수행 집단이 유의미하게 구분되지는 않았다. 암묵적 마음이론 수행 정도에 따른 증상과 일상 기능의 차이를 분석하였을 때에도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조현 환자의 암묵적 마음이론과 언어기억 간의 관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Although interaction between theory of mind and verbal ability having been suggested, domestic researches on relations between these two domains are insufficient. Theory of mind belongs to social cognition, which has impact on the social function in schizophrenic people, and is considered as an essential part of treatment for negative symptoms. Verbal memory is also a primary factor for predicting social maladjustment. Hen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ssessing the implicit theory of mind and verbal memory in schizophrenia and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se domains. Fifty-one schizophrenic people recruited from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participated in the implicit theory of mind test(SAT-MC), explicit theory of mind test(Picture Story Task), emotion recognition measure(K-FEIT), neurocognitive tests(Logical Memory I, K-AVLT, Digit Span, TMT-A, TMT-B, Coding, Information), and interviews(PANSS, QOLS) to assess schizophrenic symptoms and everyday life function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implicit theory of mind and explicit theory of mind as well as emotion recognition. Implicit theory of mind also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verbal memory. Logical memory was related with implicit theory of mind, whereas K-AVLT had no relation with. Implicit theory of mind groups, however, were not meaningfully classified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f verbal memory.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schizophrenic symptoms and everyday-life functions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f implicit theory of mind. These results suggests implications about the relation between implicit theory of mind and verbal memory in schizophrenic people.

      • 의료기관의 수술실 CCTV 도입 법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권예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a medical practitioner, the act of transferring one's job to a non-medical person and causing the patient to die caused public resentment and lowered the credibility of the medical practitioner. Cases of non-medical behavior in the operating room have been continuously reported through the media. Therefore, the public has requested CCTV installation in the operating room for the patient's safety. The Medical Service Act on CCTV installation in operating rooms has been proposed and discarded since 2015, but the 21st National Assembly passed it amid a tense confrontation between pros and cons. The installation of CCTVs in operating rooms is unprecedented in the world and is the world's first law enacted. However, the opinions of medical personnel were not sufficiently reflected in the preparation of the law. There was not enough discussion whether medical personnel can prove medical accidents by replacing CCTVs in the operating room.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legislation on CCTV installation in the operating room. It reports a survey of 40 medical personnel and the general public. Also, it suggests a legislative improvement plan. To this end, Chapter 1 presents the background and necessity of the study. Chapter 2 investigates the validity and legislation of CCTV installation in operating rooms of medical institutions. Chapter 3 describes the perception of CCTV legislation in operating rooms of medical institutions. Lastly, Chapter 4 offers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for CCTV legislation in operating rooms of medical institutions. Specifically, looking at the proposal, CCTV in the operating room should be filmed when the patient or guardian consents, regardless of the type of anesthesia. Emergency surgery, high-risk surgery, and training purposes should be included in the legitimate reasons for refusing CCTV filming. Also, High-level surgery by detailed/subsidiary specialists should be a justifiable reason for refusing to shoot. The storage period of CCTV image information shall be extended to two years. Alarm services shall be provided to patients or patient guardians by specifying the purpose and scope of viewing. Camera functions shall be blocked when viewing CCTV image information. The same applies to the reading of the Korea Medical Dispute Mediation Arbitration Agency. An upper limit of the criteria for requesting CCTV image information is prepared. The operating room CCTV is fully supported and installed by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The fine for violating the obligation to take technical measures should be changed to ensure the safety of CCTV video information. In order to settle the CCTV install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expand medical personnel, establish a legal basis for PA nurses, and clarify the concept of patient guardians. In order to maintain CCTV security and prevent infringement accidents, training and programs for video information managers should be developed. Establish access standards for employees of medical institutions. CCTV installation in the operating room will be implemented in 2023 over a two-year grace period. During this period, much preparation is required to install CCTV in the operating room and ensure that the system is stable. If CCTV is used for purposes other than the nature of CCTV installation, frequent lawsuits and disputes will add fatigue to patients and medical personnel. If the bill fails to reflect the current operating room situation and creates a gap, anxiety about personal information will eventually increase amid lack of management and negl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detailed and strict rules by reflecting the opinions of medical personnel and related experts so that both medical personnel and patients do not experience confusion after installing CCTVs in the operating room. 의료인으로서 본인의 직무를 비의료인에게 전가해 환자를 사망에 이르게 하는 행위는 국민적 공분을 일으켰고 의료인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게 했다. 수술실에서 일어나는 비의료 행위에 대한 사건은 언론을 통해 지속적으로 보도되었다. 그리하여 국민은 환자의 안전을 위하여 수술실 내에 CCTV 설치를 요구하였다. 수술실 CCTV 설치에 관한 의료법은 2015년부터 계속 발의되어 폐기되기도 하였지만, 찬성과 반대의 팽팽한 대립 속에 21대 국회에서 통과되었다. 수술실 CCTV 설치는 전 세계 유례없는 법안이며 세계 최초로 제정된 법률이다. 하지만 법률 마련에 의료인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였다. 의료인은 수술실 내 CCTV를 대체하여 의료사고를 증명할 수 있는 논의도 충분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수술실 CCTV 설치 법제를 살펴보고 의료인과 일반인 4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인식도를 조사한 후에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제2장에서는 의료기관 수술실 CCTV 설치 타당성과 법제를 조사하였고 제3장에서는 의료기관 수술실 CCTV 법제에 대해 인식조사를 하였다. 제4장에서는 의료기관 수술실 CCTV 법제의 쟁점 및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술실 CCTV 촬영은 환자 또는 환자 보호자의 동의 시 마취 종류에 상관없이 촬영하며 CCTV 촬영을 거부할 수 있는 정당한 사유에 포함되는 응급수술과 위험도 높은 수술, 전공의 수련목적인 경우에도 촬영하여야 한다. 세부‧분과 전문의의 난이도 높은 수술은 CCTV 촬영을 거부할 수 있는 정당한 사유에 포함 시킨다. CCTV 영상정보는 보관 기간을 2년으로 확대하며 열람목적과 범위를 구체화하여 환자 또는 환자 보호자에게 알람 서비스를 제공하며 CCTV 영상정보 열람 시에는 카메라 기능을 차단하여야 한다.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 열람 시에도 동일하게 적용한다. CCTV 영상정보의 청구 기준의 상한선을 마련한다. 수술실 CCTV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전액 지원하여 설치하며 CCTV 영상정보 안전성 기술적 조치의무 위반 시 과태료 처분으로 변경한다. CCTV 설치제도의 안착을 위하여 의료인력 확충 및 PA 간호사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환자 보호자의 개념을 명확히 해야 한다. CCTV 보안유지와 침해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영상정보 관리자 양성 교육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의료기기업체 직원의 출입 기준을 마련한다. 수술실 CCTV 설치는 2년의 유예기간을 걸쳐 2023년에 시행된다. 이 기간 동안 수술실 CCTV 설치의 목적에 부합되고 제도가 안착할 수 있도록 많은 준비가 필요하다. CCTV 설치의 본질이 아닌 다른 목적으로 CCTV가 이용될 경우 잦은 소송과 시비는 환자에게도 의료인에게도 피로감을 더하게 할 것이다. 법안이 현재 수술실 상황을 반영시키지 못하여 괴리감이 생긴다면 결국 관리 부재와 방치 속에 개인정보에 대한 불안감만 더 커질 것이다. 그러므로 수술실 CCTV 설치 시행 후 의료인, 환자 모두 혼란을 겪지 않도록 관련 전문가뿐 아니라 의료인의 의견을 반영시켜 신중하고 엄격한 규칙 마련이 필요하다.

      • 직업무용수의 위계의식 아비투스와 구별짓기 행동 : Bourdieu의 이론을 중심으로

        권예진 한국체육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Bourdieu의 이론을 통하여 직업무용수에게 체화된 위계의식 아비투스를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직업무용수들의 구별짓기 행동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심층적으로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 연구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직업무용수의 체화된 위계의식 아비투스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둘째, 직업무용수의 체화된 위계의식 아비투스는 어떠한 구별짓기 행동을 만들어내는가? 이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국ㆍ사립 무용단의 솔리스트로 활동한 경험이 있는 직업 무용수 7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2018년 5월부터 8월까지, 이 연구와 관련된 문헌자료 수집과 비참여관찰 및 심층면담 등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무용수의 위계의식 아비투스는 경제, 문화, 사회자본 구성과 비중 등을 통해 나타났다. 직업무용수의 경제자본은 직업무용수 개인이 축적한 경제적 자본보다 그들의 부모가 가진 경제적 능력이 더욱 부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부모에 의해 상속 가능한 경제자본의 형태(자금지원, 주택, 부동산, 자동차 등)가 전체 경제자본의 총량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직업무용수의 문화자본은 대내외적으로 입증가능한 직업무용수 개인의 출신학교와 입상경력, 취득자격증과 개인이 겸비한 언어능력이 무용단내에서 해당 직업무용수의 입지를 견고히 해주는 주요 문화 자본임을 확인하였다. 직업무용수의 사회자본은 무용수 개인이 속한 무용단의 단장이나 감독과의 친분, 출신학교 동문 무용수의 비중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직업무용수와 무용단의 주요의사결정권을 지닌 담당자와의 관계가 주요 무용수로서의 입지를 다지는 데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며, 출신학교 동문 무용수와의 관계는 직업무용수 개인이 무용단에 적응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직업무용수의 구별짓기 행동은 경제ㆍ문화자본의 위계의식 아비투스, 경제ㆍ사회자본의 위계의식 아비투스, 문화ㆍ사회자본의 위계의식 아비투스에 따라 구별짓기 행동이 다르게 나타났다. 경제ㆍ문화자본의 위계의식 아비투스 구별짓기 행동은 직업무용수가 무용이외의 영역에서 경제적 능력을 과시함으로써 타 무용수들보다 경제자본이 높다는 것을 의도적으로 표출하는 부분이며, 이러한 과시는 무용의 장에서 문화자본을 획득하는데 있어 유용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경제자본이 높은 직업무용수는 문화자본(출신학교, 입상, 자격증 등)을 획득하는데 높은 가능성을 지니게 됨은 물론, 이를 통해 인정을 받을 수 있는 경로를 확보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제ㆍ사회자본의 위계의식 아비투스 구별짓기 행동은 직업무용수의 경제, 사회 자본의 총량과 비율에 의해 나타났다, 직업무용수 중 경제, 사회 자본 모두 높게 획득한 직업무용수들이 무용단의 주요담당자들과 높은 친분을 쌓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자본이 경제자본 보다 높은 무용수들은 출신학교 동문 무용수들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문화ㆍ사회자본의 위계의식 아비투스 구별짓기 행동은 문화, 사회 자본을 모두 높게 획득한 직업무용수들이 해당 자본을 통해 무용단내에서 타 무용수들에 비해 위치적 우위를 보이고 있으며, 두 자본 중, 한 자본에만 높은 편중을 보이는 무용수들은 해당 자본을 중심으로 타 무용수들과의 위계를 재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게이미피케이션 이론을 적용한 도시공원의 디자인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및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도보권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권예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theory of Gamification to urban neighborhood parks to analyze what design expressive features it has. Therefore, the preceding research and literature on urban parks and neighborhood parks and the theory of Gamification were first reviewed and applied to the neighborhood parks selected for the study based on these theories. Also, the field photo-taking survey was conducted to better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k. And analysis items c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could be derived. As a specific method of research, First, the concept and type of neighborhood parks and theory of Gamification were identifi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s. Second, I surveyed 20 neighborhood parks within walking distance that can be surveyed smoothly among neighborhood parks within walking distance located in Busan and Ulsan as field surveys. Besides, the analysis items were established after deriv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orm and facility types of neighborhood parks, game mechanics, game dynamics, and player types of neighborhood park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s. Finally, it was applied to the analysis items of the study. Also, individual and integrated analyzes of the neighborhood parks were conducted. Through this, I tried to understand the design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neighborhood parks. Since this study is a new field where much research hasn't carried out at the academic level,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e for further research into the theory of Gamification in urban neighborhood park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aesthetics of the city as a guideline for the design of neighborhood parks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근린공원의 활성화를 위해 게이미피케이션 이론을 적용하여 도시 근린공원이 어떠한 디자인적 표현특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것에 있다. 이에 먼저 도시공원에 해당하는 근린공원에 관련된 이론과 게이미피케이션 이론에 관한 선행 연구 및 문헌에 대해 고찰하고, 이러한 이론을 토대로 연계성 도출을 통한 분석틀을 조사 대상 도시 근린공원들에게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근린공원의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현장 사진 촬영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현장에서 얻은 자료를 분석항목에 대입하여 각 부분에 대한 특성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 첫째,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도시공원의 개념 및 유형을 파악하였고 도시공원에 포함된 근린공원의 형태 및 시설 유형에 대하여 파악하였다. 더불어 게이미피케이션 이론에 해당하는 게임 메카닉, 게임 다이내믹, 플레이어 타입에 대한 이론을 파악하였다. 둘째, 부산광역시 및 울산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는 도보권 근린공원들 중 원활한 조사가 가능한 20개의 근린공원을 조사 대상으로 지정하여 현장 사진 촬영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분석항목 도출을 위해 앞서 진행하였던 선행 문헌고찰을 토대로 근린공원의 형태 및 시설 유형과 게이미피케이션의 메카닉 및 다이내믹 그리고 플레이어 타입의 연계성 도출을 위한 과정을 가진 후, 세부적 분석항목을 정립하였다. 셋째, 최종적으로 근린공원과 게이미피케이션 이론의 연계를 통해 조사 대상 근린공원의 개별, 그리고 전체의 디자인적 표현특성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는 기존의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분야인 새로운 연구이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도시 근린공원에 게이미피케이션 이론에 관한 후속 연구에 본 연구가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더불어 현대사회의 흐름에 걸맞은 융·복합적 측면의 연구를 통하여 도시 발전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와 체육수업기대-가치 및 체육수업만족도의 관계

        권예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와 체육수업기대-가치 및 체육수업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경북지역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4·5·6학년 324명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체육수업기대-가치, 체육수업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06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와 체육수업기대-가치, 체육수업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가 체육수업기대-가치, 체육수업기대-가치가 체육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H1.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는 체육수업기대-가치에 영향을 미친다. H1-1.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지지는 체육수업기대-가치에 영향을 미친다. H1-2.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지지는 체육수업기대-가치에 영향을 미친다. H1-3.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친구지지는 체육수업기대-가치에 영향을 미친다. H2. 체육수업기대-가치는 체육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와 체육수업기대-가치가 체육수업에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체육수업만족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부모, 교사, 친구의 많은 사랑, 칭찬, 격려 등과 같은 긍정적인 애정이 중요하며, 다양한 체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체육수업에 대한 기대와 가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여러 가지 방안을 마련하여 활용하여야 한다.

      • 한국 상담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탐색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권예진 평택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상담이 도입된 지 60여년이 지난 오늘날 상담에 대한 대중의 높은 관심과 사회 공공영역에서 상담의 역할과 비중이 커지 는 가운데, 한국 상담학의 정체성을 총체적으로 조망하고 분석하려는 노력 이 부족했다는 연구자 본인의 비판적 인식에서부터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또한 학술 연구에서 연역적 방식의 연구접근의 한계와 상담학이 사회적· 문화적 영향을 받는 학문인만큼 외부의 인식을 함께 살펴보고 학문의 지 식구조를 귀납적이고 실증적으로 연구하여 학문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 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상담 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탐색하기 위해 학술연구의 지식구조 특성을 파악하 고, 언론 및 정책에서 ‘상담(심리)학’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는데 있 다.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상담학의 선행 연구들의 내적정체성 특징은 어떠한가? (1) 한국 상담학의 학술지 전체 지식구조는 특징은 어떠한가? (2) 한국 상담학의 학술지 하위주제의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한국 상담학의 선행 연구들의 대상별 내적정체성 특징은 어떠한 가? (1) 한국 상담학의 학술지 대상별 연구의 지식구조는 어떻게 변화하였 는가? (2) 한국 상담학의 학술지 대상별 하위주제의 특징은 어떻게 변화하였 는가? 셋째, 한국 상담학의 외적정체성의 특징은 어떠한가? (1) ‘상담(심리)학’에 대한 학회별, 정책연구 및 언론기사의 시기별 지 식구조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2) ‘상담(심리)학’에 대한 학회별, 정책연구 및 언론기사의 시기별 하 위주제의 특징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한국 상담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연구내용에 대한 문헌연구를 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2008년부터 2017년까 지 한국상담학회 학술지 「상담학연구」에 게재된 논문과 한국상담심리학 회 학술지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에 게재된 논문 총 1,879 편을 분석하였다. 또한 2008년부터 2017년까지 한겨레와 경향신문에 ‘심리 상담’으로 검색한 기사 1,302건과 국가정책연구 중 ‘상담(심리)학’ 관련 정 책 총 121건을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의 분석 절차는 다음과 같다. 상담관 련 학술지는 초록에 있는 주요 키워드들을 분석하였고, 언론기사 및 정책 연구는 초록 및 기사를 텍스트 마이닝 절차를 거쳐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를 단어 정제작업을 거친 후 키워드 간 유사도 및 연관성 분석을 통해 연결중심성과 응집성 분석, 워드 클라우드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해 분석한 한국 상담학의 학문적 정체성 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학 학술지 연구 전체의 지식구조 및 하위주제의 특징을 분석 한 결과 한국 상담학은 하나의 학문 영역을 구축하기 위한 제반 기틀 마 련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주로 청소년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우울,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등 문제변인과 개인의 발달적 변인, 사회적 변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이는 상담이 문제해결이 아닌 성장 중심의 발달 적·예방적 상담으로 전환되어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하위주제에서도 내담자의 경험연구나 심리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연구방법에 대한 관 심과 더불어 상담자 발달, 작업동맹 등 상담의 효과를 위한 상담자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한국 상담학의 정체성 확 립을 위한 연구공동체의 관심과 노력이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상담학 연구의 대상별 지적구조를 분석한 결과 2008-2012년보다 2013-2017년에 각 대상의 연구 폭이 넓어지면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발달적·맥락적 연구가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연구주제도 새로운 주제영 역으로 확장되거나 기존의 주제들을 공고히 하는 연구가 우세하여 상담학 의 학문적 기틀을 잡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직도 특정한 주 제 연구에 제한되어 있어 한국적 상담의 지속적인 성찰과 발전이 필요함 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상담(심리)학’과 관련된 학술지, 언론기사, 정책연구의 지적구조를 파악한 결과 상담에 대한 인식이 점차 대중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정책연구는 2008-2012년과 2013-2017년에 공통적으로 청소년에 대한 연구 가 많음을 알 수 있었고, 언론기사에서는 2013-2017년에 관심 영역이 크게 증가하면서 운동선수, 중독, 성소수자 등 다양한 대상에 대한 상담의 필요 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두 학회의 지적구조를 살펴 본 결과 시기별로 연구주제의 차이점과 키워드의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학회별로 관심주제가 다름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학회지 특성상 나타 나는 경향으로 볼 수도 있겠다. 본 연구는 한국 상담학의 정체성을 내부적 관점과 외부적 관점에서 네 트워크 분석 방식을 통해 새롭게 살펴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무엇보 다 학회지별, 각 대상별 지식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고, 각각의 하위주제를 살펴봄으로써 상담 연구의 현재 관심분야와 지향점을 밝힐 수 있었고, 한 국 상담학이 사회현상과 정책연구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상담학의 정체성을 확립 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t has been more than 60 years since counseling was introduced in Korea. Amid growing public interest in counseling, and with growth in the role and importance of counseling in the public domain, this study began with the author's critical view of the lack of effort in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identity of Korean counseling. In addition, it seemed necessary to examine the limitations of deductive approaches in academic research, as well as the external perceptions of counseling, since it is influenced by social and cultural factors. Through inductive and empirical study of the knowledge structure of academic studies, it was deemed necessary, above all,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n counsel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structure in academic research, and explore through media and policy the perception of counseling in order to analyze the academic identity of Korean counseling. The questions being asked, based on th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previous studies,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l identity of Korean counseling?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verall knowledge structure of academic journals on Korean counseling? (2)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topics of Korean counseling?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l identity of prior studies in Korean counseling by subject? (1) How has the knowledge structure of research by subject in Korea academic Journals changed? (2) How have the characteristics of subtopics by subject in Korean counseling changed? Thir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ternal identity of Korean counseling? (1) How has the knowledge structure in counseling (psychology) changed with time due to academic society, policy research, and press articles? (2) How have the characteristics of subtopics changed in counseling (psychology) by academic society and by time period in policy research and press articles? To carry out a study on the academic identity of Korean counseling, a theoretical foundation was prepar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on the subject, and data were collected. By apply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a total of 1,879 papers published from 2008 to 2017 i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were analyzed. Both journals are published by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In addition, 1,302 articles from 2008 to 2017 were searched in Hankyoreh and Kyunghyang Shinmun with the phrase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121 policies related to counseling (psychology) were analyzed from national policy studies. The analysis procedure for the research data is as follows. For journals in counseling, keywords in the abstracts were analyzed. For press articles and policy studies, keywords were extracted using text mining procedures on abstracts and articles. After refining the collect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egree centrality analysis, component analysis, and word-cloud methods through analyzing similarity and associations between keywor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academic identity of Korean counseling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structure and subtopics of the entire research in counseling journals were analyzed. This showed that Korean counseling is making efforts to lay the groundwork for establishing a field of study. The main focus was on youths and college students, and on their problems like depression, self-esteem, social support, etc., as well as personal developmental factors and social factors. This suggests that counseling is becoming growth-oriented, developmental, and preventive, rather than merely focusing on problem resolution. In the subtopics, there was interest in research methods that can reflect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 of the patients. It could also be seen that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study of counselors is improving counseling results through counselor development and work alliance. This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community's attention and effort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n counseling. Second,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each subject in counseling was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s each subject's research scope expanded in 2013–2017 as compared to that in 2008–2012, developmental and contextual studies of lay people became prominent. Most researches expanded into new subject areas or solidified existing topics, which implied that the academic foundation of counseling is being established. However, researches were still limited to certain subjects, and this shows the need for continuous reflection and development in Korean counseling. Third,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cademic journals, press articles, and policy studies related to counseling (psychology) was analyzed. This suggested that awareness regarding counseling was increasing. Policy studies indicated that there were many studies on adolescents in 2008– 2012 and 2013–2017. In press articles, the number of areas of interest increased significantly in 2013–2017, and they mentioned the need for counseling a wide range of people, including athletes, addicts, and sexual minorities. In additi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two academic associations showed differences in research topics and keywords by time period. This may mean different topics of interest for different academic associations, but it can be seen as a tendency due to the nature of academic journa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identity of Korean counseling through network analysis from an internal and external perspective. Above all, it was able to identify the knowledge structure of each academic journal and subject. By looking at each of the subtopics, it was able to identify the current areas of interest and orientation in counseling. Finally, it was able to provide suggestions on how Korean counseling should respond to social phenomena and policy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an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n counseling.

      • 교육대학원 과정과 교수 경험을 통한 예비영어교사의 정체성 발달에 대한

        권예진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n autobiographical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dentity. The study explores how a pre-service English teacher develop her identity as a teach through the coursework and teaching experiences. The research subject,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er, is a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was examined employing narrative inquiry. Narrative inquiry refers to an individual's experience with an epic structure in the form of comparatively long sentences or a story that has been told historically. Within the narrative inquiry, all the educational activities that the researcher targets to study are a series of experiences that are considered a narrative. By employing a self-reflective method of analysis, the researcher who was also the participant presented a more in-depth analysis and gained a deeper understanding of herself.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ree research topics through narrative inquiry: the process of establishing identity through the cours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he experience of teaching. Through this study, I concluded that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eaching experiences helped pre-service English teachers develop expertise. First, with what motive did you enter an education graduate school and what did you experience the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a nonprofessional educator before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 researcher will first have to develop her teaching identity and theoretical knowledge of English education. In order to do this, she will need to go through all the course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will need teaching experience.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graduate school education on the growth of tutoring and after-school teacher identity? It examines the past and the current situation by comparing the teaching methods before and after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rough actual teaching examples and textbook analysis. This is the process of acquiring professional knowledge when developing as a teacher and its essential qualities. This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teacher responsibilit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ird, what are the effects of a graduate education course on the growth of ideal teachers pursued by the researchers and what kind of teachers did it help create? Not only did I develop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as a prospective teacher, but I also had the opportunity to learn teacher-pupil relations. Thus, I can keep in mi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and educator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presents a life story that reflects on both personal and professional key experiences. This provides a chance for researchers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who they are and establish their identity as a preliminary teacher. I strongly hope that what we experience within the course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ill help prospective teachers when they choose their careers in the field of research. Key Words: Narrative, Identity, EFL Pre-teacher, Autobiographic Case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과 교수 경험을 통한 예비영어교사의 정체성 발달에 관한 자전적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의 연구자는 영어교육 전공을 공부하는 학생임과 동시에 연구대상자인 예비영어교사의 중간적 위치를 경험한다. 이러한 경험을 기반으로 정체성이 형성되는 과정을 내러티브 탐구를 통하여 보여주고자 함에 있다. 내러티브 탐구는 비교 장문의 형태로 이루어진 서사 구조를 갖춘 개인의 경험이나 역사적으로 전해 내려온 이야기를 의미한다. 질적 연구의 관점에서 보면, 내러티브는 연대기적 시간의 연결로 이어져 있으며 하나 또는 일련의 사건을 설명하는 발화나 기록된 텍스트를 의미한다. 이에 활용하여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방법이 내러티브 탐구이다. 내러티브 탐구 속에서 본 연구자가 연구하고자 하는 모든 교육 활동은 일련의 경험이고, 이러한 경험은 내러티브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과정과 교수 경험을 통하여 정체성을 확립해 나아가는 과정을 내러티브 탐구를 통하여 세 가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어떤 동기를 가지고 교육대학원에 입학했고 교육대학원에서 어떤 경험을 하게 되었는가? 교육대학원 입학 전 비전문 교육자로서 겪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입학하여 교육대학원 과정과 교수경험을 통해 영어교육의 이론적 지식뿐만 아니라 교사정체성을 키워나가게 된다. 둘째, 교육대학원 과정이 튜터링과 방과 후 교사로서의 정체성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것인가? 교육대학원 입학 전·후의 수업 방식을 비교하며 과거를 분석하고 현재에 보완하는 모습을 실제 수업 사례와 교재분석을 통해 보인다. 이러한 과정은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필요한 자질을 계발해 가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교사가 지녀야 할 책임감과 전문성 발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육대학원 과정을 통해 연구자가 추구하는 이상적 교사로 성장해가는 데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고 어떤 교사로 성장하였는가? 예비교사로서 이론적·실천적 지식을 키웠을 뿐만 아니라 사제관계라는 새로운 인간관계를 배워가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학습자와 교육자 간의 상호관계에 유념하게 된다. 본 연구자는 이번 연구를 진행하면서 개인적·직업적 핵심 경험을 모두 반영하는 이야기를 제시한다. 이는 예비교사로서의 정체성 확립뿐만 아니라 연구자 자신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얻을 기회를 제공한다. 교육대학원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는지 또한, 연구자와 같은 진로를 선택할 예비교사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주제어: 내러티브, 정체성, 예비교사, 자전적 사례연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