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olydeoxyribonucleotide(PDRN)과 Macro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MBCP)를 이용한 골재생

        권예진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Deoxyribonucleotide 의 창상 재생에 관한 연구는 이미 활발히 이루어져 있는 것에 비해, 골 조직 재생에 대한 효과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Polydeoxyribonucleotide (PDRN)의 골 결손부 재생의 효과에 대하여 in vivo로 확인해보고자 한다. 웅성 백서(Sprague-Dawley Rat)의 두개골에 8mm trepine bur를 이용하여 골 결손부를 형성하고 아무런 이식을 시행하지 않고 자연 치유를 유도한 군, MBCP+TM 이식군, MBCP+TM + PDRN(ample)이식군, MBCP+TM + PDRN(ointment)이식군으로 나누어 8주 후에 골 형성부위의 조직시편을 이용하여 방사선학적 계측, 조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Micro CT 촬영결과, PDRN을 이식한 군의 신생골 형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통계학적인 분석으로는 각 군별로 일대일 대응 Tukey’s Multiple Comparison Test를 시행한 결과, MBCP vs MBCP+PDRN(ointment)를 제외한 나머지 그룹에서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5) 본 연구를 통해 PDRN은 골 결손부에서 골 재생 촉진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게이미피케이션 이론을 적용한 도시공원의 디자인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및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도보권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권예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theory of Gamification to urban neighborhood parks to analyze what design expressive features it has. Therefore, the preceding research and literature on urban parks and neighborhood parks and the theory of Gamification were first reviewed and applied to the neighborhood parks selected for the study based on these theories. Also, the field photo-taking survey was conducted to better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k. And analysis items c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could be derived. As a specific method of research, First, the concept and type of neighborhood parks and theory of Gamification were identifi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s. Second, I surveyed 20 neighborhood parks within walking distance that can be surveyed smoothly among neighborhood parks within walking distance located in Busan and Ulsan as field surveys. Besides, the analysis items were established after deriv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orm and facility types of neighborhood parks, game mechanics, game dynamics, and player types of neighborhood park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s. Finally, it was applied to the analysis items of the study. Also, individual and integrated analyzes of the neighborhood parks were conducted. Through this, I tried to understand the design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neighborhood parks. Since this study is a new field where much research hasn't carried out at the academic level,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e for further research into the theory of Gamification in urban neighborhood park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aesthetics of the city as a guideline for the design of neighborhood parks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근린공원의 활성화를 위해 게이미피케이션 이론을 적용하여 도시 근린공원이 어떠한 디자인적 표현특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것에 있다. 이에 먼저 도시공원에 해당하는 근린공원에 관련된 이론과 게이미피케이션 이론에 관한 선행 연구 및 문헌에 대해 고찰하고, 이러한 이론을 토대로 연계성 도출을 통한 분석틀을 조사 대상 도시 근린공원들에게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근린공원의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현장 사진 촬영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현장에서 얻은 자료를 분석항목에 대입하여 각 부분에 대한 특성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 첫째,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도시공원의 개념 및 유형을 파악하였고 도시공원에 포함된 근린공원의 형태 및 시설 유형에 대하여 파악하였다. 더불어 게이미피케이션 이론에 해당하는 게임 메카닉, 게임 다이내믹, 플레이어 타입에 대한 이론을 파악하였다. 둘째, 부산광역시 및 울산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는 도보권 근린공원들 중 원활한 조사가 가능한 20개의 근린공원을 조사 대상으로 지정하여 현장 사진 촬영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분석항목 도출을 위해 앞서 진행하였던 선행 문헌고찰을 토대로 근린공원의 형태 및 시설 유형과 게이미피케이션의 메카닉 및 다이내믹 그리고 플레이어 타입의 연계성 도출을 위한 과정을 가진 후, 세부적 분석항목을 정립하였다. 셋째, 최종적으로 근린공원과 게이미피케이션 이론의 연계를 통해 조사 대상 근린공원의 개별, 그리고 전체의 디자인적 표현특성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는 기존의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분야인 새로운 연구이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도시 근린공원에 게이미피케이션 이론에 관한 후속 연구에 본 연구가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더불어 현대사회의 흐름에 걸맞은 융·복합적 측면의 연구를 통하여 도시 발전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 이상동기범죄의 효과적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경찰관의 인식을 중심으로

        권예진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무차별 흉기난동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이상동기범죄로 인한 사회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범죄는 범행 동기가 명확하지 않고 피해자와도 무관하며, 범행 수법이 잔혹하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범죄의 원인이 외부 요인보다는 내면의 분노 표출에 있다는 점에서 예방이 어려우며, 단순한 법적 대응만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사회적 차원의 접근이 필수적이다. 현재 이상동기범죄와 관련된 논의와 연구는 다양한 학계에서 진행되고 있지만, 경찰관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 실증적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수도권 경찰관 108명을 대상으로 이상동기범죄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법적 대책, 사회적 대책, 통계 구축이라는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다중응답 교차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대책이 제안되었다. 첫째, 법적 대책으로는 재활 프로그램과 심층 치료를 병행하고, 프로그램 효과 분석 및 사법입원제 기준을 설정해야 한다. 둘째, 사회적 대책으로는 예방 조치와 관리 체계를 통합하여 맞춤형 서비스와 체계적 예방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통계 구축 측면에서는 AI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통합 플랫폼을 개발하고, 신뢰성 있는 통계 관리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이와 함께 사회적 대책과 통계 구축에 대하여 추가로 요구될 방안을 제안하였다. 우선 사회적 대책의 경우, CPTED 개념을 적용한 다중이용시설 경비 체계 강화, 민간 경비 인력 활용을 통한 경찰 인력 배치 보완, 정신건강센터 확산 및 범죄 예방 프로그램 운영이 포함된다. 또한, SNS 예고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경찰 조직 내 전문 교육을 강화하고 민·관·경 협력 TF팀을 구성하여 보다 효과적인 대응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통계 구축과 관련해서는 다중이용시설 설문조사와 112 신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일된 분류 기준을 마련하고, AI 기반 자동화 및 데이터 통합 플랫폼을 통해 이상동기범죄의 발생 패턴과 관련 요인을 정교하고 다각적으로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경찰 대응 체계를 개선하고 사회적 대응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한국의 범죄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시민 안전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연구로 평가된다. 이를 통해 이상동기범죄 예방에 대한 학문적 기여뿐만 아니라, 정책적 실효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치매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기능과 정신행동증상 : 돌봄제공자의 치매태도 조절효과 중심으로

        권예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치매는 뇌의 신경세포가 손상되면서 기억, 언어능력, 지남력, 문제해결능력, 판단력 등의 인지기능이 저하되고, 망상과 배회 등의 정신증상과 우울, 불안, 초조 등의 심리적 경험이 동반되는 신경정신계 질환으로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치매환자의 수 또한 증가하고 있다. 치매로 인한 환자와 가족의 고통이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치매에 대한 의료적 치료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심리사회적 개입을 통해 치매환자의 성공적인 적응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적응유연성 모델을 통해 치매환자의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질병관련 위험요인 뿐 아니라 심리사회적 보호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실천적 개입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험요인으로는 치매의 주증상인 인지기능 저하와 주변증상인 정신행동증상을 설정하였고, 보호요인은 치매 말기에도 환자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돌봄제공자의 치매환자에 대한 비편견적, 긍정적 태도로 설정하였다. 치매노인실태조사(2010)의 조사대상자 중 응답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MMSE-DS 점수 9이상인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와 돌봄제공자 374쌍에 대한 설문 결과를 활용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연구 문제는 첫째, 위험요인인 인지기능저하, 정신행동증상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치매환자의 보호요인인 돌봄제공자의 비편견적긍정적 태도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치매환자의 보호요인은 위험요인의 영향을 조절하는가로 설정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저하정도에 따라 삶의 질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삶의 질은 인지기능 저하가 최경증, 경증으로 진행된 치매환자가 비슷한 수준을 가지며, 중증으로 진행되면 삶의 질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정신행동증상의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자의 삶의 질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돌봄제공자가 치매환자에 대해 비편견적 태도를 가질수록 정신행동증상이 치매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감소했다. 넷째, 돌봄제공자가 치매환자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가질수록 정신행동증상이 치매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미미하게 증가되었다. 다섯째 인지기능 저하정도가 치매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돌봄제공자의 치매환자에 대한 비편견적·긍정적 태도에 따라 달라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실천적 의미를 가진다. 첫째, 보호요인을 치매 말기에도 개입이 가능한 환경요인에서 확인하므로 연구의 독창성을 갖는다. 둘째, 위험요인의 주효과가 검증됨에 따라서, 인지기능저하를 늦출 수 있는 활동과 정신행동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돌봄제공자의 적절한 반응에 대한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셋째,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므로 돌봄제공자의 치매환자에 대한 비편견적인 태도 함양을 위한 실천적 개입지점들을 찾을 수 있었다.

      • 한국 상담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탐색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권예진 평택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상담이 도입된 지 60여년이 지난 오늘날 상담에 대한 대중의 높은 관심과 사회 공공영역에서 상담의 역할과 비중이 커지 는 가운데, 한국 상담학의 정체성을 총체적으로 조망하고 분석하려는 노력 이 부족했다는 연구자 본인의 비판적 인식에서부터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또한 학술 연구에서 연역적 방식의 연구접근의 한계와 상담학이 사회적· 문화적 영향을 받는 학문인만큼 외부의 인식을 함께 살펴보고 학문의 지 식구조를 귀납적이고 실증적으로 연구하여 학문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 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상담 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탐색하기 위해 학술연구의 지식구조 특성을 파악하 고, 언론 및 정책에서 ‘상담(심리)학’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는데 있 다.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상담학의 선행 연구들의 내적정체성 특징은 어떠한가? (1) 한국 상담학의 학술지 전체 지식구조는 특징은 어떠한가? (2) 한국 상담학의 학술지 하위주제의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한국 상담학의 선행 연구들의 대상별 내적정체성 특징은 어떠한 가? (1) 한국 상담학의 학술지 대상별 연구의 지식구조는 어떻게 변화하였 는가? (2) 한국 상담학의 학술지 대상별 하위주제의 특징은 어떻게 변화하였 는가? 셋째, 한국 상담학의 외적정체성의 특징은 어떠한가? (1) ‘상담(심리)학’에 대한 학회별, 정책연구 및 언론기사의 시기별 지 식구조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2) ‘상담(심리)학’에 대한 학회별, 정책연구 및 언론기사의 시기별 하 위주제의 특징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한국 상담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연구내용에 대한 문헌연구를 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2008년부터 2017년까 지 한국상담학회 학술지 「상담학연구」에 게재된 논문과 한국상담심리학 회 학술지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에 게재된 논문 총 1,879 편을 분석하였다. 또한 2008년부터 2017년까지 한겨레와 경향신문에 ‘심리 상담’으로 검색한 기사 1,302건과 국가정책연구 중 ‘상담(심리)학’ 관련 정 책 총 121건을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의 분석 절차는 다음과 같다. 상담관 련 학술지는 초록에 있는 주요 키워드들을 분석하였고, 언론기사 및 정책 연구는 초록 및 기사를 텍스트 마이닝 절차를 거쳐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를 단어 정제작업을 거친 후 키워드 간 유사도 및 연관성 분석을 통해 연결중심성과 응집성 분석, 워드 클라우드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해 분석한 한국 상담학의 학문적 정체성 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학 학술지 연구 전체의 지식구조 및 하위주제의 특징을 분석 한 결과 한국 상담학은 하나의 학문 영역을 구축하기 위한 제반 기틀 마 련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주로 청소년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우울,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등 문제변인과 개인의 발달적 변인, 사회적 변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이는 상담이 문제해결이 아닌 성장 중심의 발달 적·예방적 상담으로 전환되어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하위주제에서도 내담자의 경험연구나 심리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연구방법에 대한 관 심과 더불어 상담자 발달, 작업동맹 등 상담의 효과를 위한 상담자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한국 상담학의 정체성 확 립을 위한 연구공동체의 관심과 노력이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상담학 연구의 대상별 지적구조를 분석한 결과 2008-2012년보다 2013-2017년에 각 대상의 연구 폭이 넓어지면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발달적·맥락적 연구가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연구주제도 새로운 주제영 역으로 확장되거나 기존의 주제들을 공고히 하는 연구가 우세하여 상담학 의 학문적 기틀을 잡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직도 특정한 주 제 연구에 제한되어 있어 한국적 상담의 지속적인 성찰과 발전이 필요함 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상담(심리)학’과 관련된 학술지, 언론기사, 정책연구의 지적구조를 파악한 결과 상담에 대한 인식이 점차 대중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정책연구는 2008-2012년과 2013-2017년에 공통적으로 청소년에 대한 연구 가 많음을 알 수 있었고, 언론기사에서는 2013-2017년에 관심 영역이 크게 증가하면서 운동선수, 중독, 성소수자 등 다양한 대상에 대한 상담의 필요 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두 학회의 지적구조를 살펴 본 결과 시기별로 연구주제의 차이점과 키워드의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학회별로 관심주제가 다름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학회지 특성상 나타 나는 경향으로 볼 수도 있겠다. 본 연구는 한국 상담학의 정체성을 내부적 관점과 외부적 관점에서 네 트워크 분석 방식을 통해 새롭게 살펴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무엇보 다 학회지별, 각 대상별 지식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고, 각각의 하위주제를 살펴봄으로써 상담 연구의 현재 관심분야와 지향점을 밝힐 수 있었고, 한 국 상담학이 사회현상과 정책연구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상담학의 정체성을 확립 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t has been more than 60 years since counseling was introduced in Korea. Amid growing public interest in counseling, and with growth in the role and importance of counseling in the public domain, this study began with the author's critical view of the lack of effort in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identity of Korean counseling. In addition, it seemed necessary to examine the limitations of deductive approaches in academic research, as well as the external perceptions of counseling, since it is influenced by social and cultural factors. Through inductive and empirical study of the knowledge structure of academic studies, it was deemed necessary, above all,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n counsel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structure in academic research, and explore through media and policy the perception of counseling in order to analyze the academic identity of Korean counseling. The questions being asked, based on th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previous studies,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l identity of Korean counseling?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verall knowledge structure of academic journals on Korean counseling? (2)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topics of Korean counseling?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l identity of prior studies in Korean counseling by subject? (1) How has the knowledge structure of research by subject in Korea academic Journals changed? (2) How have the characteristics of subtopics by subject in Korean counseling changed? Thir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ternal identity of Korean counseling? (1) How has the knowledge structure in counseling (psychology) changed with time due to academic society, policy research, and press articles? (2) How have the characteristics of subtopics changed in counseling (psychology) by academic society and by time period in policy research and press articles? To carry out a study on the academic identity of Korean counseling, a theoretical foundation was prepar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on the subject, and data were collected. By apply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a total of 1,879 papers published from 2008 to 2017 i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were analyzed. Both journals are published by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In addition, 1,302 articles from 2008 to 2017 were searched in Hankyoreh and Kyunghyang Shinmun with the phrase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121 policies related to counseling (psychology) were analyzed from national policy studies. The analysis procedure for the research data is as follows. For journals in counseling, keywords in the abstracts were analyzed. For press articles and policy studies, keywords were extracted using text mining procedures on abstracts and articles. After refining the collect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egree centrality analysis, component analysis, and word-cloud methods through analyzing similarity and associations between keywor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academic identity of Korean counseling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structure and subtopics of the entire research in counseling journals were analyzed. This showed that Korean counseling is making efforts to lay the groundwork for establishing a field of study. The main focus was on youths and college students, and on their problems like depression, self-esteem, social support, etc., as well as personal developmental factors and social factors. This suggests that counseling is becoming growth-oriented, developmental, and preventive, rather than merely focusing on problem resolution. In the subtopics, there was interest in research methods that can reflect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 of the patients. It could also be seen that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study of counselors is improving counseling results through counselor development and work alliance. This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community's attention and effort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n counseling. Second,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each subject in counseling was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s each subject's research scope expanded in 2013–2017 as compared to that in 2008–2012, developmental and contextual studies of lay people became prominent. Most researches expanded into new subject areas or solidified existing topics, which implied that the academic foundation of counseling is being established. However, researches were still limited to certain subjects, and this shows the need for continuous reflection and development in Korean counseling. Third,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cademic journals, press articles, and policy studies related to counseling (psychology) was analyzed. This suggested that awareness regarding counseling was increasing. Policy studies indicated that there were many studies on adolescents in 2008– 2012 and 2013–2017. In press articles, the number of areas of interest increased significantly in 2013–2017, and they mentioned the need for counseling a wide range of people, including athletes, addicts, and sexual minorities. In additi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two academic associations showed differences in research topics and keywords by time period. This may mean different topics of interest for different academic associations, but it can be seen as a tendency due to the nature of academic journa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identity of Korean counseling through network analysis from an internal and external perspective. Above all, it was able to identify the knowledge structure of each academic journal and subject. By looking at each of the subtopics, it was able to identify the current areas of interest and orientation in counseling. Finally, it was able to provide suggestions on how Korean counseling should respond to social phenomena and policy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an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n counseling.

      • 대인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의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의 조절효과

        권예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인외상 경험한 대학생 중 의도적 반추를 보이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외상 후 성장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있는 대학교에 있는 재학생들 중 초기성인기로 판단된 학생들(18-29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196명(남:22.4%, 여:77.6%)이 조사에 참여하였고, 분석은 SPSS 27.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의도적 반추는 외상 후 성장과 하위변인인 자기지각의 변화, 대인관계 깊이증가, 새로운 가능성 발견, 영적 종교적 신념 증가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두 번째,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는 외상 후 성장, 하위변인 중 영적, 종교적 관심증가를 제외한 변인들과도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도적 반추와 새로운 가능성 발견관계에서 정서적 지지가 높을수록 정서적 지지가 낮은 것에 비해 새로운 가능성 발견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도적 반추와 새로운 가능성 발견관계에서 평가적 지지가 높을수록 평가적 지지가 낮은 것에 비해 새로운 가능성 발견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은 논의에서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and evaluative support in the process of leading to post-traumatic growth in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and who showed deliberate rumination.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tudents (18-29 years old) at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who were considered to be in early adulthood. A total of 196 people (male: 22.4%, female: 77.6%)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7.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eliberate rumin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st-traumatic growth and the sub-variables of change in self-perception, increase in depth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iscovery of new possibilities, and increase in spiritual and religious beliefs. Second, emo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were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variables other than post-traumatic growth and increased spiritual and religious interest among the sub-variables. Third,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 and discovery of new possibilities, the higher the emotional support, the higher the discovery of new possibilities compared to the lower emotional support. Fourth,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 and discovery of new possibilities, the higher the evaluative support, the higher the discovery of new possibilities compared to the lower evaluative support.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he discussion.

      • 의료기관의 수술실 CCTV 도입 법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권예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a medical practitioner, the act of transferring one's job to a non-medical person and causing the patient to die caused public resentment and lowered the credibility of the medical practitioner. Cases of non-medical behavior in the operating room have been continuously reported through the media. Therefore, the public has requested CCTV installation in the operating room for the patient's safety. The Medical Service Act on CCTV installation in operating rooms has been proposed and discarded since 2015, but the 21st National Assembly passed it amid a tense confrontation between pros and cons. The installation of CCTVs in operating rooms is unprecedented in the world and is the world's first law enacted. However, the opinions of medical personnel were not sufficiently reflected in the preparation of the law. There was not enough discussion whether medical personnel can prove medical accidents by replacing CCTVs in the operating room.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legislation on CCTV installation in the operating room. It reports a survey of 40 medical personnel and the general public. Also, it suggests a legislative improvement plan. To this end, Chapter 1 presents the background and necessity of the study. Chapter 2 investigates the validity and legislation of CCTV installation in operating rooms of medical institutions. Chapter 3 describes the perception of CCTV legislation in operating rooms of medical institutions. Lastly, Chapter 4 offers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for CCTV legislation in operating rooms of medical institutions. Specifically, looking at the proposal, CCTV in the operating room should be filmed when the patient or guardian consents, regardless of the type of anesthesia. Emergency surgery, high-risk surgery, and training purposes should be included in the legitimate reasons for refusing CCTV filming. Also, High-level surgery by detailed/subsidiary specialists should be a justifiable reason for refusing to shoot. The storage period of CCTV image information shall be extended to two years. Alarm services shall be provided to patients or patient guardians by specifying the purpose and scope of viewing. Camera functions shall be blocked when viewing CCTV image information. The same applies to the reading of the Korea Medical Dispute Mediation Arbitration Agency. An upper limit of the criteria for requesting CCTV image information is prepared. The operating room CCTV is fully supported and installed by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The fine for violating the obligation to take technical measures should be changed to ensure the safety of CCTV video information. In order to settle the CCTV install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expand medical personnel, establish a legal basis for PA nurses, and clarify the concept of patient guardians. In order to maintain CCTV security and prevent infringement accidents, training and programs for video information managers should be developed. Establish access standards for employees of medical institutions. CCTV installation in the operating room will be implemented in 2023 over a two-year grace period. During this period, much preparation is required to install CCTV in the operating room and ensure that the system is stable. If CCTV is used for purposes other than the nature of CCTV installation, frequent lawsuits and disputes will add fatigue to patients and medical personnel. If the bill fails to reflect the current operating room situation and creates a gap, anxiety about personal information will eventually increase amid lack of management and negl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detailed and strict rules by reflecting the opinions of medical personnel and related experts so that both medical personnel and patients do not experience confusion after installing CCTVs in the operating room. 의료인으로서 본인의 직무를 비의료인에게 전가해 환자를 사망에 이르게 하는 행위는 국민적 공분을 일으켰고 의료인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게 했다. 수술실에서 일어나는 비의료 행위에 대한 사건은 언론을 통해 지속적으로 보도되었다. 그리하여 국민은 환자의 안전을 위하여 수술실 내에 CCTV 설치를 요구하였다. 수술실 CCTV 설치에 관한 의료법은 2015년부터 계속 발의되어 폐기되기도 하였지만, 찬성과 반대의 팽팽한 대립 속에 21대 국회에서 통과되었다. 수술실 CCTV 설치는 전 세계 유례없는 법안이며 세계 최초로 제정된 법률이다. 하지만 법률 마련에 의료인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였다. 의료인은 수술실 내 CCTV를 대체하여 의료사고를 증명할 수 있는 논의도 충분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수술실 CCTV 설치 법제를 살펴보고 의료인과 일반인 4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인식도를 조사한 후에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제2장에서는 의료기관 수술실 CCTV 설치 타당성과 법제를 조사하였고 제3장에서는 의료기관 수술실 CCTV 법제에 대해 인식조사를 하였다. 제4장에서는 의료기관 수술실 CCTV 법제의 쟁점 및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술실 CCTV 촬영은 환자 또는 환자 보호자의 동의 시 마취 종류에 상관없이 촬영하며 CCTV 촬영을 거부할 수 있는 정당한 사유에 포함되는 응급수술과 위험도 높은 수술, 전공의 수련목적인 경우에도 촬영하여야 한다. 세부‧분과 전문의의 난이도 높은 수술은 CCTV 촬영을 거부할 수 있는 정당한 사유에 포함 시킨다. CCTV 영상정보는 보관 기간을 2년으로 확대하며 열람목적과 범위를 구체화하여 환자 또는 환자 보호자에게 알람 서비스를 제공하며 CCTV 영상정보 열람 시에는 카메라 기능을 차단하여야 한다.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 열람 시에도 동일하게 적용한다. CCTV 영상정보의 청구 기준의 상한선을 마련한다. 수술실 CCTV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전액 지원하여 설치하며 CCTV 영상정보 안전성 기술적 조치의무 위반 시 과태료 처분으로 변경한다. CCTV 설치제도의 안착을 위하여 의료인력 확충 및 PA 간호사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환자 보호자의 개념을 명확히 해야 한다. CCTV 보안유지와 침해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영상정보 관리자 양성 교육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의료기기업체 직원의 출입 기준을 마련한다. 수술실 CCTV 설치는 2년의 유예기간을 걸쳐 2023년에 시행된다. 이 기간 동안 수술실 CCTV 설치의 목적에 부합되고 제도가 안착할 수 있도록 많은 준비가 필요하다. CCTV 설치의 본질이 아닌 다른 목적으로 CCTV가 이용될 경우 잦은 소송과 시비는 환자에게도 의료인에게도 피로감을 더하게 할 것이다. 법안이 현재 수술실 상황을 반영시키지 못하여 괴리감이 생긴다면 결국 관리 부재와 방치 속에 개인정보에 대한 불안감만 더 커질 것이다. 그러므로 수술실 CCTV 설치 시행 후 의료인, 환자 모두 혼란을 겪지 않도록 관련 전문가뿐 아니라 의료인의 의견을 반영시켜 신중하고 엄격한 규칙 마련이 필요하다.

      • 조현 환자의 암묵적 마음이론과 언어기억 간의 관계

        권예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마음이론과 언어능력의 상호 영향을 지지하는 주장들이 제기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두 영역 사이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국내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더욱이 마음이론은 조현환자의 삶의 기능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지 영역으로서 음성증상 치료에서 배제할 수 없는 필수적인 영역이며 언어기억 또한 사회 부적응을 예측하는 주요 인자이다. 따라서 마음이론과 언어기억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것은 조현환자의 기능 향상을 위한 개입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작업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현 환자의 암묵적 마음이론 수행과 언어기억 능력을 평가하고 두 영역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지역사회 건강증진센터를 통해 모집한 조현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암묵적 마음이론 평가(사회적귀인검사선다형), 인지적 마음이론 평가(그림 이야기 과제), 정서인식 평가(한국판 얼굴표정지각과제), 그리고 신경인지 기능 평가(논리기억I, K-AVLT, 숫자, 선로 잇기 A형과 B형, 기호쓰기, 상식)를 실시하였다. 또한 증상 및 일상생활 기능평가를 위해 면담(양성 및 음성 증후군 척도, 삶의 질 척도)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현 환자의 인지적 마음이론과 정서인식 평가에서 암묵적 마음이론 수행과의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암묵적 마음이론은 신경인지 기능 중 언어기억과도 유의미하게 상관이 있었다. 언어기억을 측정하는 검사들 중 K-AVLT에서는 암묵적 마음이론과 상관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논리기억I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언어기억의 손상 및 정상 집단에 따라서 암묵적 마음이론 수행 집단이 유의미하게 구분되지는 않았다. 암묵적 마음이론 수행 정도에 따른 증상과 일상 기능의 차이를 분석하였을 때에도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조현 환자의 암묵적 마음이론과 언어기억 간의 관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Although interaction between theory of mind and verbal ability having been suggested, domestic researches on relations between these two domains are insufficient. Theory of mind belongs to social cognition, which has impact on the social function in schizophrenic people, and is considered as an essential part of treatment for negative symptoms. Verbal memory is also a primary factor for predicting social maladjustment. Hen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ssessing the implicit theory of mind and verbal memory in schizophrenia and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se domains. Fifty-one schizophrenic people recruited from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participated in the implicit theory of mind test(SAT-MC), explicit theory of mind test(Picture Story Task), emotion recognition measure(K-FEIT), neurocognitive tests(Logical Memory I, K-AVLT, Digit Span, TMT-A, TMT-B, Coding, Information), and interviews(PANSS, QOLS) to assess schizophrenic symptoms and everyday life function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implicit theory of mind and explicit theory of mind as well as emotion recognition. Implicit theory of mind also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verbal memory. Logical memory was related with implicit theory of mind, whereas K-AVLT had no relation with. Implicit theory of mind groups, however, were not meaningfully classified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f verbal memory.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schizophrenic symptoms and everyday-life functions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f implicit theory of mind. These results suggests implications about the relation between implicit theory of mind and verbal memory in schizophrenic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