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재배 홉의 특성과 홉 품종별 맥주의 양조 특성

        권예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맥주 시장 규모는 전체 주류시장의 39.7%를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다양성을 추구하는 주류 소비패턴 변화로 수제맥주의 인기가 증가하였다. 종가세가 아닌 종량세 전환으로 국산 수제맥주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수제맥주의 원료는 대부분 수입산에 의존하고 있으며, 국산 원료에 대한 정보와 국산 원료를 활용한 수제 맥주 품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재배 홉의 고미성분 및 아로마 성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수입산 원료 대체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국내에서 제조 및 유통이 가능한 국산 맥아와 농촌진흥청 발효가공식품과에서 특허 등록한 양조용 효모 3종, 국내에서 재배된 두 가지 품종의 홉을 활용하여 저온 발효 맥주와 중온 발효 맥주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2021년에 국내에서 재배된 홉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고미성분 함량은 cascade 품종은 알파산 총합 14.54-18.43%, 베타산 총합 10.85-12.46%, saaz 품종의 알파산 총합 6.67-10.41%, 베타산 평균 함량 1.79-2.81%, Centennial 품종 알파산 총합 15.52-19.18%, 베타산 총합 4.74-7.11%로 유럽 홉의 알파산 평균 함량과 베타산 평균 함량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국내 재배 홉의 고미성분 함량은 외국산 홉과 유사한 함량을 보였고, 국내 재배 홉의 고미성분 함량을 제공함으로써 수제맥주 시장에서 국산 홉을 활용한 수제맥주를 제조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국산 원료를 활용한 맥주 제조에 사용된 효모는 Saccharomyces cerevisiae로 발효 경과 측정을 통해 중온 발효를 진행하는 것이 짧은 발효 기간에도 높은 알코올 효율과 적합하다고 판단 된다. Y263 효모의 경우 상업용 효모와 비교하였을 때, 유사한 알코올 함량과 유의적으로 빠른 당 소모를 보였으며, 향기 성분은 홉 유래 풀취 성분은 유의적으로 낮고, 과일향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자혀 분석을 통해 맛 성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 단맛의 스코어가 높게 나타나 기호도에 좋은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 Molecular phylogenetic and population genetic studies of the freshwater fish family Cobitidae (Teleostei: Cypriniformes) in Korea

        권예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미꾸리과 어류(family Cobitidae)는 아시아와 유럽 등지에 서식하는 저서성 담수어류로, 한반도에는 5속 16종 가운데 13종이 고유종으로 비교적 높은 고유성을 가진다. 특히 한반도 미꾸리과 어류에서는 고유종의 분단 분포 양상과 다수의 종간 잡종 사례가 관찰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진화론적 질문들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분자계통 및 집단 유전학적 분석을 통해 이와 같은 한반도에 서식하는 미꾸리과 어류들의 생물지리학적 분화와 잡종 현상을 진화론적 관점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첫 번째, 인위적인 수로 변경에 의해 발생한 점줄종개(Cobitis lutheri)와 줄종개(C. tetralineata)의 잡종 현상과 이에 따른 유전적 변화와 영향을 논의하였다. 섬진강에 서식하는 줄종개는 약 80년전 건설된 인공 수로를 통해 점줄종개의 자연 서식지인 동진강으로 유입되었고, 수로 건설 이후 동진강 본류에서 줄종개와 점줄종개의 잡종 자손이 나타나고 있다. 점줄종개와 줄종개간 잡종 현상에 따른 동진강 점줄종개 집단의 유전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8개의 마이크로새틀라이트 좌위와 3개의 핵 유전자 좌위가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잡종 지대에서 두 종의 유전형은 광범위하게 혼합된 구조를 보였을 뿐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1세대 이후 잡종 자손들이 매우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또한 순종 줄종개가 잡종 지대에서 전체 중 9%를 차지한 반면 순종 점줄종개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줄종개의 순종 개체가 잡종 지대로 계속해서 유입되는 반면 동진강의 점줄종개는 보에 의해 순종 공급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더불어, 두 종간의 교배 실험에서 두 종간 생식적 격리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동진강에 서식하는 순종 점줄종개의 유전자 풀은 지난 80년간의 무작위적인 잡종 교배를 통해 줄종개의 유전자로 대체되어 가고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잡종 지역 내 점줄종개의 유전적 멸종으로 이어질 것이다. 두 번째, 단성 생식 잡종 집단을 형성하는 왕종개(Iksookimia longicorpa)와 기름종개(C. hankugensis) 간 자연 집단 내 유전자 흐름을 연구하였다. 인공 교배 실험을 통해 보고된 생식 모드 가설에 근거하여, 자연상에 존재하는 왕종개와 기름종개 잡종 집단 내에서 3배체 잡종으로부터 순종의 생물형을 가진 개체가 발생한다면 미토콘드리아 이입에 의해 핵 유전자와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간 타입의 불일치가 관찰될 것이다. 가설에 따른 예측을 검증하기 위하여 하나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와 두 개의 핵 유전자 서열을 이용하여 집단 유전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잡종 지대에 자연적으로 분포하는 두 부모종 간 유전자 흐름을 분석한 결과, 핵 유전자 흐름없이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단일방향으로 이입되었다. 각 유전자들의 단상형 패턴을 부모종의 집단에서 검토한 결과, 모든 개체들의 핵 유전자 단상형은 그들의 분류학적 형태 특징과 일치하였으나 일부 지역에서 이들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타입은 형태 특징뿐 아니라 핵 유전자 타입과도 일치하지 않았다. 주목할 점은 기름종개 집단들에서 왕종개 또는 그 근연종들(남방종개 I. hugowolfeldi와 동방종개 I. yongdokensis)과 단계통을 이루는 미토콘드리아 단상형들이 관찰되었고 다양한 유전적 계보가 관찰된 왕종개 집단들은 기름종개와 동서하는 지역에서 기름종개 타입의 미토콘드리아 단상형을 보였다는 것이다. 따라서 잡종을 매개로 한 미토콘드리아 이입은 한반도 내 기름종개와 세 참종개 속 어류들(왕종개, 동방종개, 남방종개)이 동서하는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과거의 지리학적 변화와 종분화 간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고해양지리학적 변화에 의한 한반도 수계의 분단이 한반도 담수어류의 종분화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하나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와 다수의 핵 유전자 좌위 서열을 이용하여 미꾸리과 16종의 진화 역사를 분자 계통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계통수는 핵 유전자 계통수와 유의한 가지 형태를 보였으며, 이는 잡종현상을 통한 유전자 이입의 영향으로 해석할 수 있다. 기조 분류군인 미호종개(Cobitis choii)를 제외하고, 본 연구에서 재구성된 종 계통수는 형태에 따른 최근의 속 분류 체계와 일치하였으며 이 계통수를 바탕으로 한 형질 진화 분석에서 체측 반문 형태, 안면 근육의 해부학적 구조, 안하극의 기능성 유무, 골질반의 유무가 한반도 미꾸리과 속 분류의 중요한 지표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름종개속 어류의 화석 데이터를 통한 분화 연대 측정의 결과, 미꾸리과 내 속간 분화 시기는 약 1300만 년으로 나타났으며 이 속간 분화는 각 속의 서식지 선호도 차이에 따른 적응 진화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종간 분화 시기는 대체로 고황하를 통해 연결되어 있던 한반도의 강들이 해수면 상승에 의해 격리되기 시작한 선신세 후기부터 홍적세 이르는 시기(600-170만 년 전)와 일치하였다. 이러한 종 분화 시기와 수계 단절 시기의 일치는 고지질학적 변화에 따른 수계의 단절이 미꾸리과 어류를 포함한 한반도 담수어류들의 진화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한다. The family Cobitidae is important in the freshwater ichthyofauna of the Korean peninsula, where 13 of 16 species from five genera have been reported as endemic species. Particularly, species of Cobitidae have drawn interest from the evolutionary perspectives for two reasons: (i) the disjunctive distribution ranges of Korean endemic cobitids, which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llopatric speciation, and (ii) the occurrence of interspecific hybridization, for example, which has been observed between Luther spined loach, Cobitis lutheri, and Korean striped spined loach, C. tetralineata, as well as between large speckle spined loach, Iksookimiea longicorpa, and Nakdong spined loach, C. hankugensis. In the present study, I investigated the molecular phylogenetics and population genetics of cobitid species inhabiting the Korean peninsula with regard to their speciation and hybridization. Chapter I presents a genetic consequence of human-induced secondary contact between Cobitis fish species, C. lutheri in the Dongjin River, and C. tetralineata in the Seomjin River. Multilocus genotypic data of eight microsatellites and three nuclear loci revealed an extensively admixed structure in the hybrid zone with a high proportion of various post-F1 hybrids. Pure native C. lutheri was absent in the hybrid zone in contrast to the 9% of pure C. tetralineata because of the dominant influence of continually introducing C. tetralineata on the native C. lutheri which has limited supply of natives to the hybrid zone due to the physical barrier of the low-head dam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gene pool of native C. lutheri is being rapidly replaced by that of continually introducing C. tetralineata, which will ultimately lead to the genomic extinction of natives in this hybrid zone. Chapter II tests the hypothesis that mitochondrial introgression mediated by hybridogenetic hybrids can occur between two parental species, C. hankugensis and I. longicorpa, in natural populations. Gene flow parameters estimated by divergence population genetic analyses indicated that a significant unidirectional introgression of mitochondrial genome exists without any nuclear gene flow between the two parental species inhabiting the naturally existing hybrid zone. Haplotype patterns of one mitochondrial and two nuclear genes showed the occurrence of a mito-nuclear mosaic genome, which is interpreted as being the result of mitochondrial introgression, in the extensive populations of each parental species. Chapter III examines the hypothe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y of river drainages and the divergence history of Korean cobitid species. A species tree based on eight nuclear genes was found to be highly consistent with the taxonomic system of five genera based on morphology and geography except for the basal Cobitis choii among the three genera, Cobitis, Iksookimia, and Kichulchoia. Analyses of morphological characters on the species tree proved that the pattern of lateral body pigmentation, suborbital spines, cheek muscles, and lamina circularis are synapomorphic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genera. The divergence times among the Korean endemic loaches were estimated in a range from the Pliocene to the early Pleistocene (7–2 million years ago), corresponding to the geological timing of the disconnection of the Korean rivers from the paleo-Yellow River and each other as well.

      • 도시화와 서울 목욕문화의 변화 연구

        권예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rbaniz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Seoul’s bath culture. Focusing on bath culture as part of daily life, the study would address the aspects of bath culture as life history. By looking into correlations between social changes based on administrative power around Seoul in the 1960s, 1970s, and 1980s and bath,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daily life of citizens, the study tried to shed clearer light on bath culture in the aspect of life history. The primary historical materials include Dong-A Ilbo, two women's magazines Yeowon and Woman Joongang, Seoul's Statistics Yearbook, and online data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 parts about bath in the 1960s, 1970s, and 1980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Old books and papers were consulted in the analysis of primary historical materials along with some proven Internet sites. The study also analyzed the effects of bath culture during the period on the contemporary Korean people. That is, it examined the patterns of community spirit, which is regarded as part of Korean people's unique sentiment, being displayed, changed, and incorporated with new values. The study was organized in the following chapters: Chapter 1 set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reviewed previous studies. After sorting out previous studies on bath culture, it proposed what should be supplemented in previous studies and introduced specific subjects and methods of the study. Chapter 2 divided the bath culture of Korea before the 1960s into that of premodern times and that of modern times. After reviewing the bath culture of Three Kingdoms, Unified Silla, and Goryeo and the religious, ceremonial, and playful nature of bath, it examined partial bath in Joseon and bath culture as an annual event. It also covered the effects of the hygiene concept, which started during the modern times, and the situations of Japanese imperialism on bath culture. Chapter 3 delved into bath culture in the 1960s, 1970s, and 1980s, focusing on a bunch of elements that influenced bath culture during the period including urbanization, changing dwelling life, Seoul's urban planning, gender difference, Korean people's conscious structure, and changes to the concepts of hygiene and beauty. It also covered correlations between rapidly changing Seoul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and bath culture. Chapter 4 examined two public baths whose construction time matched the periodic scope of the study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bath culture during the period on today's life and its current meanings. After observing the current state of their facilities, the investigator analyzed conversations with their staff members and visitors. Chapter 5 covered the spaces related to public baths like Chapter 4. The investigator explored and analyzed the spaces that lost their functions as baths and were used as regenerative architecture, figuring out their values preserved. Chapter 6 summarized the findings so far and discussed what lacked in the study in addition to future research tasks. 본 연구는 서울 목욕문화를 고찰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일상으로서 목욕의 문화에 주목하여 목욕문화의 생활사적인 측면을 다룰 것이다. 우선 1960-80년대 서울을 중심으로 행정력에 바탕한 사회의 변화와 시민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 목욕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생활사 측면의 목욕문화를 더욱 명확히하고자 했다. 1차사료로서 『동아일보』, 여성잡지 『여원』, 『여성중앙』, 『서울통계연보』, 국가기록원 온라인 공개자료 등에서 1960-80년대의 목욕에 관한 부분을 발췌하여 분석하였다. 1차 사료의 분석에는 기존의 단행본과 논문 및 검증된 인터넷 사이트를 참고하였다. 또한 이 시기의 목욕문화가 현재의 한국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분석을 시도하였다. 즉, 한국인들의 고유한 정서로 여겨지는 공동체 의식이 대중목욕탕 문화 내에서 드러나고 변화하며 새로운 가치와 융합되는 양상을 현재의 사회적 변동과 연계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목욕문화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정리하였고, 선행연구에서 보완해야할 점을 제시하였다. 그것을 바탕으로 본고에서 다룰 구체적인 연구 대상과 방법을 밝혔다. 2장에서는 본격적인 도시화가 이루어지기 이전까지의 한국 목욕문화를 전근대와 근대로 나누어 살펴본다. 삼국과 통일신라 및 고려의 목욕문화와 목욕의 종교성, 의식성, 유희성 등을 검토하고, 조선의 부분욕과 연례행사로의 목욕문화를 살핀다. 또한 근대 시기 싹튼 위생관념과 일본 제국주의 상황이 목욕문화에 끼친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3장에서는 1960-80년대 서울의 목욕문화를 고찰한다. 이 시기의 서울 목욕문화에 영향을 미쳤던 요소로 도시화, 주생활의 변화, 서울시의 도시계획, 성별의 차이, 한국인의 의식구조, 위생과 미용 관념의 변화에 주목하였다. 급변하는 서울과 목욕문화의 상관관계를 언술한다. 4장에서는 과거의 목욕문화가 오늘날 우리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그 현재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3장의 시대 범위와 건축 시기가 일치하는 대중목욕탕 2개를 선정하여 살펴본다. 목욕탕 시설의 현황을 관찰하고, 목욕탕 관계자·방문객과 나눈 대화를 분석하여 현재 사회상의 변화가 목욕문화에 반영되는 양상을 살핀다. 5장에서는 4장과 마찬가지로 대중목욕탕과 관련된 공간을 다룬다. 목욕탕의 기능은 상실했지만, 재생건축으로 활용되는 공간을 답사하고 분석하여 보존된 가치를 고찰한다. 6장에서는 앞의 내용을 요약하고 본고에서 부족했던 점과 추후의 연구과제를 살펴본다.

      • 토양 입경 별 오염 특성이 토양의 정화 효율과 생체접근성에 미치는 영향

        권예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arsenic and heavy metal contaminations in soils by smelting and mining activities have been serious problems in Korea. In contaminated soils, arsenic and heavy metals can be present as various solid-state speciations by various mineral-water interactions, which can affect their mobility and removal efficienci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effect of particle size on arsenic solid-state speciation and bioaccessibility in soils highly contaminated with arsenic from smelting and mining. Soils were partitioned into six particle size fractions (2000-500 ㎛, 500-250 ㎛, 250-150 ㎛, 150-75 ㎛, 75-38 ㎛, <38 ㎛) and arsenic solid-state speciation and bioaccessibility were characterized in each particle size fraction. There are strong correlations between concentrations of arsenic and metals and organic distributions in soils. Arsenic was mainly present as arsenic bound to amorphous and crystalline oxides. Different arsenic speciations present in smelter and mine soils affected the soil washing efficiencies and arsenic bioaccessibilities in soils. In smelter soils, the soil washing efficiencies and bioaccessibilities of arsenic decreased with decreasing soil particle size. On the other hand, in mine soils, the soil washing efficiencies and bioaccessibilities of arsenic increased with decreasing soil particle size. This was attributed to differences in the presence of arsenic in soil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rsenic speciations and distribution of arsenic in different particle size fractions in soils were highly dependent on the arsenic contamination sources, and affected soil remediation and bioaccessibility of arsenic in soils. 국내 제련소와 광산 부근 비소 및 중금속의 오염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오염 토양 중 비소 및 중금속은 오염원과 토양 환경의 특성에 따라 토양 광물과 다양한 반응과 토양 입경에 따라 여러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비소와 중금속의 존재 형태는 토양 정화 시 정화효율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환경 중 이들의 위해성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소와 중금속으로 오염된 제련소와 광산 주변 토양의 입경 별 비소 및 중금속의 오염 특성 및 존재 형태를 평가하고 입경에 따른 비소 및 중금속의 존재 형태가 정화효율과 생체접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토양은 6개의 입경 범위로 나누었으며(2000-500 ㎛, 500-250 ㎛, 250-150 ㎛, 150-75 ㎛, 75-38 ㎛, <38 ㎛) 비소의 존재 형태와 생체접근성을 토양 입경 별로 살펴보았다. 토양 중 비소 및 중금속의 농도는 토양 중 유기물의 분포와 강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며 토양 중 비소의 대부분이 비결정질이나 결정질 산화물에 결합한 형태로 존재하였다. 제련소 토양과 광산 토양의 존재 형태의 차이는 옥살산을 이용한 토양 세척 효율과 생체접근성에서 다른 결과로 나타났다. 제련소 토양의 경우 토양 입경이 감소하면서 비소의 토양 세척 효율과 비소의 생체접근성이 감소하였다. 광산 토양의 경우 토양 입경이 감소하면서 토양 세척 효율과 비소의 생체접근성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토양 중 비소의 존재형태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비소의 오염원에 따라 토양 중 비소의 존재 형태가 달라지며 이러한 비소의 존재 형태가 토양 입경 별 비소의 오염 특성 및 비소의 위해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보여주었다.

      • 21세기 현대 여성적 나르시시즘 현상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검은유리』에 관한 연구

        권예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eople of modern society, who pursue the external illusions and fancy outlooks, are self-centered and are craving for attention: the characteristics of narcissism. Among the narcissists - especially for women - the confusion in the awareness of the role between the past and the modern society brought increase in feminine narcissism, and also in internal anxiety or voidness due to the low self-regard compared to that of their perfect appearance. In order to hide such aspects, they become more conscious to the other people's view to themselves, make false-hooded superiority which in turn results in mental pressure, feeling of inferiority, anxiety, or excessive dependence to others. Therefore, modern women need to break free from their false figures and achieve the true self-realization. Barbel Wardetzki, who have acknowledged such issue, conceptualized feminine narcissism and researched on modern women overcoming the narcissism and thus obtaining the true self-realization. Hereupon, I the researcher choreographed the original dance 『The Dark Window』, based on Barbel Wardetzi's study on modern feminine narcissism, consisting of three chapters. The main idea of this work was to demonstrate contemporary woman finding her true identity through overcoming narcissism. Through this work, women, who have pulled herself away from other's eyes, seeing herself and others with her own eyes and finding her true identity by accepting her actual self, was intended. To do so, this work was pre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me and contents, stage settings for each chapter, the dancer's path and movements, and objet and lightings. First, the work was composed of three chapters with the overall theme of low self-regarded contemporary woman breaking free from her false figure and finding her true self. The first chapter expressed the internal sense of inferiority and insecurity of ego of women from the suppression of social role. The second chapter portrayed the insecure ego creating false ego of superiority, and therefore losing herself and become isolated. The last chapter rendered women wandering between the inferiority and superiority but overcoming from false to the true ego. Second, the stage composition of this work comprised of three sections; the rear, the middle and the front, based on the content of each chapter. The progressiveness of the plot was expressed by moving forward on stage: the insecure ego of chapter one in the rear, the false ego of chapter two in the middle, and the true self of chapter three in the front. Emphasis on a confident and independent woman who overcame the false to the genuine ego was intended by the changes in stage composition that gradually emphasizes the onward movement. Third, the dancer's path and movements were made on the stage area that had been set for each scene but which is gradually expanding. To express the insecure ego by inferiority in chapter one, the gaze of the dancers avoided the frontage and performed low actions at the deepest part of the rear of the stage. In chapter two, the dancers display women feeling inferiority exposing the false image of superiority; gaze still turned away from the front, superiority and inferiority expressed as high and low movements repeatedly. To demonstrate the true identity that overcame the false ego in the chapter three, the frames in the rear and the middle of the stage were pushed away to the side, with dancers moving horizontally. At the last part on the front of the stage, women who have overcome herself were expressed by body and gaze facing the front and walking up firmly. Fourth, the objets of this work were each placed on the three different sections divided by the stage composition and three different lightings were used on each section. The objets were made in shape of stiff rectangle with cold silver color to express the frame demanded by the contemporary society. The lightings were used to highlight the dancers' feelings: yellow to symbolize the insecureness of women with low self-regard in chapter one, green to show the lust of women with false identity, pink to represent the overcome women at peace and viewing the world with their own eyes. In the last part of chapter three, the pink lighting was steadily and strongly given while the lightings of chapter one and two were blinking so that the end of chapter three was contradistinctively emphasized, the meaning of overcoming narcissism effectively conveyed to the audience. Overall, the original dance 『The Dark Window』 was choreographed to express contemporary women overcoming narcissism and achieve true self-realization. I, the researcher, intended to demonstrate about the theme of modern women escaping the other's views and valuing themselves that they see themselves through their own eyes and overcome process of accepting who they are resulting in the metamorphosis to their true self through this work. 외적인 허상과 화려한 겉모습만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은 자기중심적이며 타인의 인정을 갈망하는 나르시시즘에 빠져있다. 이들 중 특히 여성에게 있어 과거와 현대사회의 역할의식의 혼란으로 여성적 나르시시즘의 증대를 가지고 왔으며, 완벽한 겉모습과는 달리 자존감이 낮아 내적으로 불안감과 공허감등을 갖고 있다. 그래서 이를 감추고자 더욱더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고 우월감에 찬 거짓된 모습을 만들어 심리적 압박감을 받고, 이로 인한 열등감과 불안감, 그리고 지나친 의존감등의 장애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현대여성은 거짓된 모습에서 벗어나 스스로 자신의 모습을 깨닫고 진정한 자아성립이 필요하며, 이에 대해 문제를 인식한 배르벨 바르데츠키는 현대 여성적 나르시시즘을 새롭게 개념화하여 현대여성에게 나타나는 심리현상과 근본적인 원인, 그리고 치유하는 것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여성적 나르시시즘 중에서도 현대 여성적 나르시시즘을 연구한 배르벨 바르데츠키의 열등감과 우월감, 의존감의 심리현상을 적용하여 예술적 감성이 담긴 무용창작작품『검은유리』를 안무하였으며, 총 3장으로 구성하였다. 본 작품은 현대여성에게 나타나는 심리현상과 이를 극복하여 진정한 자아를 찾는 것을 주제로 창작되었으며, 작품을 통해 거짓된 모습으로 살아가는 현대여성이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받아들이는 자기수용의 표현방법을 통해 진정한 ‘나’의 모습으로 탈바꿈하는 것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작품을 주제 및 내용, 장면별 무대 구성,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오브제와 조명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본 작품의 주제는 자존감이 낮은 현대여성이 거짓된 모습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아로 극복하는 것으로 내용에 따라 총 3장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본 작품의 1장은 사회적인 역할의 억압으로부터 오는 여성의 내적인 열등감과 불안정한 자아를 표현하였다. 2장은 여성의 불안정한 자아는 우월감에 찬 거짓된 자아를 만들고 이로 인해 자기 자신을 잃어가는 고립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마지막 3장은 열등감과 우월감 사이에서 방황하면서 거짓된 자아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아로 극복하는 여성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둘째, 본 작품의 무대 공간 구성은 내용에 따라 후면부, 중간부, 전면부의 세 구역으로 나누었다. 이렇게 점진적으로 앞으로 나아가는 구성을 바탕으로 1장의 불안정한 자아를 후면부에서, 2장의 거짓된 자아를 중간부에서, 3장의 극복한 진정한 자아를 전면부에서 표현하였다. 이와 같이 점차적으로 앞을 강조하는 무대 구성의 변화를 통해, 거짓된 자아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아로 극복한 당당하고 주체적인 여성의 모습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셋째, 본 작품의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은 각 장면별로 설정된 무대 공간에서 주로 이루어지며, 점점 확장되는 이동경로와 움직임으로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1장에서는 열등감으로 인한 불안정한 자아를 표현하기 위해 시선은 정면을 외면하고 무대의 가장 깊숙한 후면부에서 낮은 동작을 하였고, 2장에서는 열등감을 가진 여성이 우월감이라는 거짓된 모습을 드러내는데, 거짓된 자아를 표현하기 위해 여전히 시선은 정면을 외면하고 무대 중간부에서 우월감을 높은 동작으로 열등감을 낮은 동작으로 반복적으로 움직였다. 3장에서는 자기 자신의 모습으로 극복한 진정한 자아를 표현하기 위해 후면부와 중간부에서 틀을 밀어내고 옆으로 오가는 움직임의 과정을 통해 마지막 전면부에서는 몸과 시선이 모두 정면을 바라보도록 하고 관객을 향해 강하게 걸어 나와 극복된 여성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넷째, 본 작품의 오브제는 무대 공간 구성에 따라 나누어진 세 가지 구역에 각각 하나씩 배치하였고, 조명은 나누어진 각 공간에 다른 의미를 가진 세 가지 색을 사용하였다. 먼저 오브제는 자신의 모습을 감추는 의미와 동시에 현대사회에서 요구하는 틀을 상징하기 위해 차가운 느낌의 실버색과 경직된 직사각형의 틀 모양으로 제작하였고, 이를 통해 감추어져 있던 자신의 모습을 찾기 위해서는 자신의 시선으로 찾아야 한다는 것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조명은 1장에서는 자존감이 낮은 여성의 불안함을 상징하는 노란색을, 2장에서는 거짓된 모습을 가진 여성의 욕망을 상징하는 초록색을, 그리고 3장에서는 자기 자신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극복된 여성의 편안함을 상징하는 분홍색 조명을 사용하여 무용수의 심리상태를 더욱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그리고 3장의 마지막 장면에서는 분홍색 조명을 강하게 비추고 1, 2장의 조명은 번갈아가면서 깜빡거리게 하여, 3장의 마지막이 강조되고 관객에게 나르시시즘의 극복이 효과적으로 전달되게 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무용창작작품『검은유리』는 현대 여성적 나르시시즘의 심리현상과 이를 극복하여 진정한 자아를 찾는 내용을 바탕으로 창작되었다. 작품을 통해 현대여성에게 자기 자신을 스스로 바라보고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받아들이는 자기수용이라는 표현방법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감추어져있던 자신을 발견하고 진정한 ‘나’의 모습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 (A)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of microteaching project : with Reflective Journal

        권예슬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예비교사들의 마이크로티칭 프로젝트 (Microteaching Project)경험에 관한 연구: 성찰일지(Reflective Journal)을 통해 프로젝트 기반학습(Project-based Learning)은 이미 ESL 환경에서 대학생들의 제 2언어 교육뿐 만이 아니라, 사회문화적인 교육을 위해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Kim, 2005). 그렇지만, 한국과 같은 EFL환경에서는 개발된 프로젝트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며, 이마저도 어린 학습자들의 영어교육을 위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Jo & Jeon, 1999; Kim & Yoon, 2004; Chi & Jung, 2004; Choi & Kim, 2006). 따라서, 이 연구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장점들을 고려하여, 문제해결능력(problem-solving skills)을 포함한 실생활에서 사용 가능한 기술들(skills), 언어능력(language skills), 전공관련지식 (subject knowledge), 학습자 자율성(learner autonomy), 동기부여 (motivation) 측면에서 대학 영어교육과 학생들의 마이크로티칭 프로젝트(microteaching project) 경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총 23명의 영어교육과 대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성찰일지와 인터뷰를 통해 마이크로티칭 프로젝트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좀 더 깊은 연구를 위해, 성찰일지는 주제선정, 계획, 마이크로티칭 준비단계인 1단계와 마이크로티칭 실행과 평가 단계인 2단계로 프로젝트 과정을 구분하여 작성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영어교육과 학생들이 마이크로티칭 프로젝트를 진행해가면서 미래에 실제 티칭을 하게 될 때 도움이 될 만한 문제-해결 과정(problem-solving process)을 경험하고, 의사소통 능력(communication skills), 협동 능력 (collaboration skills), 의사 결정능력 (decision-making skills) 등을 사용할 기회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어진 그룹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언어능력을 필요로는 하였으나, 그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그룹 내의 역할 분담은 개인의 역량에 따라 이루어지고, 그 역할을 구분 짓는 자율성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에 대해 긍정적인 의지를 가지지는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렇지만, 대부분이 마이크로티칭 프로젝트에 흥미를 보였으며, 특히 참여자가 임용고시를 준비하거나 혹은 발표자인 경우 더 높은 동기 부여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점은 프로젝트가 학습자의 목표나 목적에 맞게 계획된다면, 학습자들이 좀 더 강한 동기 부여를 가지게 되고 적극적으로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는 것을 확인해주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다양한 각도에서 영어교육과 학생들의 마이크로티칭 프로젝트 경험에 대해 살펴보았고, 이는 궁극적으로 한국 교육자들이 좀 더 발전된 프로젝트 기반 학습 환경을 대학교육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그 틀을 마련해줄 것이다. A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of Microteaching Project: with Reflective Journal Project-based learning has been generally used not only to teach second language, but also to teach social and cultural educations for higher education students in ESL contexts (Kim, 2005). However, many studies have merely discussed the effectiveness of an already developed project program when teaching a second language to young learners in EFL context (Jo & Jeon, 1999; Kim & Yoon, 2004; Choi & Jung, 2004; Choi & Kim, 2006). Given the various benefits of project-based learning, this study focused on what experience undergraduate students acquired through microteaching project, specifically in terms of skills, including problem-solving skills, language skills, subject knowledge, learner autonomy and motivation. Twenty-three undergraduate students from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hav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reflected on their experience of the microteaching project through a semi-structured, reflective journal and an interview. In particular, to deeply investigate their experience, most questions in the reflective journal were divided into phase one and phase two. Phase one was for choosing a topic, planning a structure, and preparing for microteaching, and phase two was for conducting a microteaching lesson and evaluation. As the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undergraduate students who are pre-service teachers had a better chance of utilizing the problem-solving process and often used various skills and/or language skills to accomplish their microteaching project. That is to say that, this microteaching project gives a great opportunity to students to practice finding solutions for future workplace problems and refine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with group members to complete their projects. Also, this study confirmed that if a project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aim or goal of the students, he or she would be more motivated and it will lead an individual autonomously participate in a project. This study looked into undergraduate students’ experience on a microteaching project from various angles and how it can ultimately make a better project-based learning environment in a Korean university context.

      • Microsatellite 표지자를 이용한 편백(Chamaecyparis obtusa) 채종임분의 유전변이

        권예슬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Chamaecyparis obtuse, an evergreen conifer native to Japan, was introduced to Kore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1910-1945) and was planted intensively in the southern provinces and Jeju Island. C. obtuse, known as a forest of healing, is one of the main afforestation tree species in Korea. In this study, the genetic diversity and genetic structure of 286 individual samples from eight seed stands were investigated using 12 microsatellite markers. As the ages of the invested seed stands range from 35 to 60 years, C. obtusa was planted before afforestation began in earnest in the 1970s. In this study, the genetic diversity of the C. obtusa seed stands investigated using the 12 microsatellite loci had a richer genetic diversity compared to other conifer species with similar breeding systems and broad-leaf trees, the diversity investigated with allele measuring at 89% of Japan’s 13 microsatellite loci natural population diversity. In both studies, the seven loci commonly used in seed stands investigated with allele was 70% of the level of Japanese natural populations. It was also similar to the previous Japanese study comparing Japanese natural forests and plantations, whose seed stands seemed to have failed to maintain a genetically rich gene pool in the introduction process. The heterozygosity diversity of Korea’s seed stands (Ho=0.799, He=0.807) showed a slightly high value than the heterozygosity diversity of Japan’s natural populations (Ho=0.7, He=0.78). In three Jeonnam of eight populations, the FISvalue for the genetic structure received positive value significance, but the effects of inbreeding were less in the seed stands because the mean FIS value for the genetic structure in the population was not statistically zero. Since the invested stands represent first generation plantation, even if they had the equilibrium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effective size, inbreeding effect may appear in the next generation of required additional research. However, the genetic differentiation of the seed stands was lower than for other conifer and Cupressaceae species, but consistent with natural population differentiation.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revealed that the first coordinate of the two Jeonbuk populations were completely separate but the second coordinate showed a tendency to cluster geographically. The allelic diversity of C. obtusa seed stands in Korea was lower than that of natural populations in Japan, and genetic differentiation between population with a similar level of natural populations, i.e., differentiation between populations in Japanese plantations and natural forests, were contrasted with their counterparts than what was done in previous studies in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