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 추정과 영향요인 분석 : [1990-2010]

        권영인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paper researched Total Factor Productivity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from 1990 to 2010 using Solow residual. And it found out factors which affects to Total Factor Productivity such as investment in R&D, introduction of technology,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import, the number of application in patent, percentage of attendence in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o on. The result of reserch presented that first, Total Factor Productivity has decreased generally from 1990 to 2010. It means that an efficiency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has dropped a little. Second an analysis on a relationship with each explanation variable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 showed that investment in R&D was the biggest factor and the next were introduction of technology.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the number of application in patent. Percentage of attendence in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the policy of enterprises should follow up on their efforts to research and apply technology of other countries to technology of its own for improvement of competitiveness.

      • 직장-가정 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권영인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55

        관광산업에서 인적자원관리는 그 무엇보다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관광산업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다(윤솔, 2009). 또한 관광객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는 한 가지가 바로 관광종사원이라 할 수 있다(윤솔, 2009). 특히 카지노 종사원은 업무특성상 24시간 운영 방침으로 인한 오전-주간-야간 3교대 근무 시프트와 주말 근무 등의 비 표준화된 근무 시간으로 인해 가족 내에서 맡은바 역할을 충분히 실행하기 쉽지 않은 상황에 놓이는 경우가 많다(황성하, 2015). 이러한 상황 속에서 결과적으로 직장-가정 간 갈등을 야기 시킬 수 있으며 이는 기업의 직무 성과를 창출하기 위하여 개인 생활을 희생해야 하는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조직구성원이 조직에 몰입하고 헌신한다면 직무성과가 개인과 조직 모두에게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타나겠지만, 조직 구성원이 직장과 가정에서 과도한 역할부담과 갈등을 겪게 된다면 에너지 손실과 직무수행 능력의 저하 등의 영향을 받게 되어 직무성과가 저하되고 결근, 근무태만, 이직 등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황성하, 2015). 이러한 조직에 잘 적응하고 조화와 균형을 이루며 살아가기 위해서는 적응능력이 있어야 하는데 자아탄력성(ego-resilience)이 바로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개연성 있는 상황적사건에 대한 풍부한 적응능력이며, 인지, 사회, 개인영역과 관련된 문제해결 및 스트레스에 유연하고 융통성 있게 대처하는 능력을 말한다(Block, 1980). 이에 본 연구는 카지노 종사원의 자아탄력성이 직장 가정갈등과 이직의도에 어떠한 조절 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고 직장 가정갈등에서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카지노 종사원들이 자아탄력성에 대한 관심과 자아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천 소재의 외국인 전용 카지노 P카지노의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21년 1월 11일부터 2월 3일까지 24일간 총 340부를 배부하고 표본 275부를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은 SPSS 23.0(for Windows, NY, IBM Corporation)과 AMOS 23.0으로 구현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갈등, 직장갈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가설 1-1. 가정갈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고, 가설 1-2. 직장갈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과 이직의도의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가설 2-1. 자아탄력성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갈등과 직장갈등의 이직의도의 관계 속에서 자아탄력성에 의해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가정갈등과 이직의도의 관계 속에서 자아탄력성에 의해 조절 될 것이다’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장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은 조절효과를 드러내는 것으로 나타나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또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안을 제시하였다.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e tourism industry has paramount significance and can make or break the tourism industry (Yoon Sol, 2009). In addition,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tourist satisfaction is tourism staff (Yun Sol, 2009). In particular, casino workers are often in a situation where it is not easy to fulfill their roles in the family due to standardized working hours such as morning-day-night shift and weekend work due to the 24-hour operation policy (Hwang Sung-ha, 2015). In this situation, it can result in work-family conflicts, which are perceived as industries that have to sacrifice their personal lives to create job performance for companies. If an organization member is immersed in and committed to the organization, job performance will be desirable for both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but if an organization member suffers from excessive role burden and conflict at work and family, their job performance will be affected by energy loss and poor job performance (Hwang Sung-ha, 2015). In order to adapt and balance these organizations, adaptability is required, and ego-resilience is the ability to adapt to probable situational events in a changing environment,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cognition, society, and individual areas, and to respond flexibly to stress (Block, 1980). In response, this study seeks to find out how casino workers' self-elasticity has a controlling effect on work-family conflicts and turnover intentions, and suggests the need for casino workers to pay attention to ego-resilience and increase ego-resilience as a way to reduce turnover in work-family conflic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employees of P Casino, a casino dedicated to foreigners in Incheon, and a total of 340 copies were distributed for 24 days from January 11 to February 3, 2021, and 275 copi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To analyze the data in this study, the analysis was implemented in SPSS 23.0 (for Windows, NY, IBM Corporation) and AMOS 23.0.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n family conflict, work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 were found to be affected by hypothesis 1-1. Higher family conflict affects turnover intention, and hypothesis 1-2. Higher work conflict affects turnover intention (+). Second, we examine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turnover intention, and show that hypothesis 2-1.Ego-resilience has negative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Third, a review of the effect of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nflict and work conflict showed that ego-resilience will be controlled by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plans were presented.

      • 구원관과 선교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권영인 장로회신학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1855

        ‘구원론이 어떻게 선교관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시작한 본 연구는 통전적 선교관에 대한 이야기로 끝이 났다. “선교의 진정한 평가는 우리가 복음을 선포하고 제자를 양성하고 또한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해방에 참여하는 것을 하느냐 하지 않느냐 보다 역동적이고 포괄적이고 일관성있는 지혜로 이 셋 모두를 통합할 수 있느냐 없느냐에 의해 내려 진다” Orlando E. Costas "The Integrity of Mission" 진희근역, 『통합적 선교신학』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부, 1982), 152쪽. 는 코스타스(O. E. Costas)의 이야기 처럼 포괄적이며 통합적인 선교관이 필요하다. 이 연구를 통해 구원론에 대해서 새롭게 인식하였으며, 개인적인 선교관도 많이 바뀌게 되었다. 먼저 구원론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통전 구원관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되었으며, 통전적이란 것은 지금까지의 구원관을 덮을 수 있는 넓이가 있어야 하며, 선교관 또한 그 넓이와 깊이와 높이가 현재의 모든 논의들을 담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배타적이며, 대립과 갈등을 넘어서 차이들을 지혜롭게 담을 수 있는 그릇이 필요하다. 통전적 선교라는 말을 위해서 원심적 선교라는 단어를 제시하였다. 이 원심적이라는 것은 에큐메니칼과 복음주의로 대표되는 인간화와 복음화의 우선순위 문제나 배타적 선호의 문제를 위한 것이었다. 무엇이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다고 이야기하기 전에, 선교의 중심에 계신 하나님의 선교를 생각해야 한다는 의미였다. 이러한 중심성이 없는 치우침은 어느 쪽으로 부터도 결국에는 환영받지 못할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하나님이 원하시는 방향과는 거리가 있는 선교가 될 것임이 자명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원심성은 모든 선교가 하나님의 선로 모아지는 구심력의 역할도 하게 된다. 그러면 무엇이 하나님의 뜻인가에 대한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를 제시하였다.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는 모호하게 쓰일 수 있는 하나님의 뜻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열쇠를 가지고 있다. 삼위일체란 선교의 주체가 성부 하나님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성자와 성령의 선교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보여질 때 통전적 선교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것을 근거로 한 신학을 우리의 개혁교회가 그 전통으로 이어받고 있으며 이 개혁교회의 전통은 옛 정통주의나 근본주의의 신학이 아니라 이 둘과는 다른 것이기 때문이다. “개혁교회의 신학은 하나님 중심의 신학으로 성서를 중요시 하면서 말씀선포와 역사적 책임이라는 두 개의 중요한 목표를 갖고 있는 신학이다. 따라서 이 책임에 충실한 교회는 개혁교회의 전통을 진정으로 따르는 교회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김명용, 『열린신학 바른 교회론』,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1997), 188-189쪽. 개혁교회의 후예인 우리가 따라야 할 것은 말씀선포와 역사적 책임을 성서에 근거해서 실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성서에 근거한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를 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하나님의 선교라고 하면, 성부 하나님만의 선교로 생각하기 쉬우나, 선교는 성부 하나님만이 행하시는 것이 아니라 함께 파송하시고, 또 파송되어 오시는 성자와 성령의 사역인 것이다. 그러므로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선교의 모습은 세상 교회들의 증거를 통해 드러나게 된다. 한국일. “통전적 선교신학: 복음주의 선교와 에큐메니칼 선교의 대화적 관점”, 16쪽. 개 선교회의들의 무수한 논의들을 통해 나타난 선교관은 본질적으로 조직신학적 구원론의 기반을 통해서 나타난 선교관이었다. 건전한 구원관이 없는 건전한 선교관은 불가능한 것이다. 이 말은 선교관이 형성되는데, 구원관이 선행 되어야 할 조건이며, 선교관은 구원관의 정립을 전제로 한다. 시대를 통해 변해온 구원관의 형태와 내용에 따라 선교회의들의 선교정책들이 논의 되었으며, 선교회의들은 이러한 구원관을 바탕으로 그 색깔을 명확히 했다. 또한 구원관은 시대적 요청에 따른 다양한 상황들을 배경으로 하여 형성되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이로서 시대의 상황은 구원관의 형태를 조성했으며 이러한 구원관의 모습은 선교관의 태반이 되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선교관은 시대를 풍미하는 여러 가지 선교의 형태로 구체화 되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통전적 선교관은 통전적인 구원관을 그 기반으로 함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연구해본 구원론을 통해 바라본 선교관의 모습은 바로 진정한 통전적 선교를 향해서 가는 길목에 있는 선교관이라고 할 수 있다. 아직까지 완성되지 못했지만, 이제 곧 만들어질 선교관이다. 에큐메니칼과 복음주의, 인간화와 복음화, 복음전도와 사회참여, 영혼구원과 사회구원, 해방신학, 생태신학... 이 많은 논의들은 의미 없는 분열의 신학들이 아니라 풍성함을 향해 나가는 다양함의 신학이었다. 이것은 마치 나무가 자라나면서 나이테가 하나씩 더 늘어나듯, 그래서 더 크고 튼튼한 나무로 자라 나듯이 선교에 대한 이해들도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더욱 풍성함으로 연결 될 것이다. 그래서 이 모든 논의들은 통전적 선교관에 수렴되고, 통전적 선교관은 하나님의 신실하시고, 풍성하시고, 인자하시고, 오래 참으시고, 사랑이 많으신 모습에 수렴되어서 선교가 하나님의 풍성하심을 더욱 잘 드러내는 그런 선교로 발전되길 소망한다. 하나님은 그런 선교를 바라신다. 그런 통전적 선교에 봉사하길 원한다. 교회는 이를 봉사하기 위해 존재한다. 통전적 선교의 참 모습은 바로 이것에 봉사하는 것이다.

      • 포용적 리더십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직원몰입의 매개효과와 조직공정성의 조절 효과

        권영인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이 연구는 포용적 리더십과 친사회적 행동간의 영향관계와 직원몰입의 매개효과,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포용적 리더십은 친사회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포용적 리더십은 직원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포용적 리더십은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직원몰입을 매개효과로 가지는가? 포용적 리더십과 친사회적 행동 간에 조직공정성은 조절역할을 하는가? 연구문제 검증을 위한 표본은 국내 기업에서 재직중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2년 4월16일부터 5월12일까지 약 4주간 온라인 및 모바일 설문방식을 통해 수집하였다. 설문조사는 266명이 응답했고, 불성실한 응답없이 266명의 모든 데이터를 통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과정을 거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포용적 리더십은 친사회적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포용적 리더십은 직원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포용적 리더십은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직원몰입을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포용적 리더십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조직공정성이 강화조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리더가 포용적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구성원이 포용성을 가지고 근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둘째, 리더와 구성원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긍정적 관계를 형성해 직원몰입을 이끌어내야 하며 포용적 자세는 기업과 사회 그리고 개인 모두에게 필요한 덕목이자 경쟁력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셋째,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몰입을 향상시키고, 포용적인 행동에 기여하는 바, 조직의 성과 확대로 이어질 것으로 예측되므로 불확실한 시대에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필수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조직공정성 수준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는 구성원들은 친사회적 행동으로서 직무 수행 외 이타적인 행동을 강화시킬 수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조직의 리더는 구성원의 관계형성에 주목하고 리더의 포용적 행동과 조직공정성의 공정함을 강화시키는 요인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prosocial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 engag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fairnes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does inclusive leadership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Second, does inclusive leadership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Third, does inclusive leadership have a mediating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in influencing pro-social behavior? Does organizational fairness play a moderating role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pro-social behavior? Samples for verifying research problems were targeted at office workers in domestic companies, and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and mobile questionnaires for about 4 weeks from April 16 to May 12, 2022. The survey was answered by 266 people, and all data from 266 people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without sincere respons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at went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inclusive leadership had a positive (+)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Second, it was found that inclusive leadership had a positive (+)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Third, inclusive leadership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employee engagement in influencing pro-social behavior. Fourth,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fairness strengthened and controlled the positive (+) effect on inclusive leadership and prosocial behavior.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t is required to support leaders to demonstrate inclusive leadership and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members can work with inclus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form a positive relationship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between leaders and members to induce employee engagement, and it is possible to derive implications that inclusive attitude is a necessary virtue and competitiveness for companies, society, and individual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boss' inclusive leadership is an essential element for sustainable management in an uncertain era because it is expected to improve members' engagement and contribute to inclusive behavior, leading to the expansion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urth, it can be predicted that members who perceive the level of organizational fairness at a high level can strengthen altruistic behavior other than job performance as pro-social behavior. Therefore, organizational leaders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among members and focus on factors that strengthen leaders' inclusive behavior and fairness in organizational fairness.

      • 호텔기업 상사의 직원평가 방식이 공정성,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권영인 극동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국문초록 호텔기업 상사의 직원평가 방식이 공정성,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호텔 기업에서 인사고과의 평가시스템은 부정확한 인사평가와 인사평가 요소의 불공정으로 인한 비효율성이 발생하여 호텔기업의 경쟁력을 저하시키고 있다. 일본과 한국의 주요기업의 82%가 상사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김환일, 2008), 호텔기업에서 실시하고 있는 성과주의 인사제도의 목표는 기업구성원들의 선의의 경쟁과 성과주의 문화를 확산시키는데 있다. 성과중심인사평가는 구성원의 객관적이고 공정한 조직문화 인식을 강화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제도가 될 수 있다(조준상·김보영, 2011). 그러나 단기업적주의와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지 않는 업무의 회피, 환경에 따른 성과의 왜곡 등의 폐해가 클 뿐 아니라, 호텔기업에 직원의 과업특성상 성과 측정이 매우 힘들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호텔에서 성과평가를 보완하거나 대체할 평가방법이 필요하다. 행동중심평가는 직원이 조직목표달성을 위해 활동하는 조직원의 행동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상사의 평가이다(Hartline & Ferrell, 1966;오석윤, 2012). 행동중심평가의 장점은 직원의 행동을 기업의 전략에 맞게 변경하기가 용이하고, 직원 개인의 행동을 관리하기 때문에 직원들의 개인적인 차원을 극복하고, 기업 전체의 관점에서 전략을 구사할 수 있기 때문에 조직에 매우 효과적이다(Anderson & Oliver, 1987). 서비스관련 행동기준에 평가를 연동시키는 것은 직원들을 서비스의 질 개선행동으로 유도하는 효과를 준다고 한다(George, 1990). 이와 유사한 개념인 행위기준평가법(BARS)은 조직 구성원이 실제로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직접 관찰될 수 있는 행동기준을 제시하여 이에 따라 평가하는 평가기법이다(Beatty, Schneier, & Beatty, 1977)으로, 주된 특성은 평가항목의 구분이 행위지표 기준으로 작성되어 있다는 점에 있어, 성과 중심적 관리체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공정성을 예방할 수 있다. 공정성 인지는 조직과 종업원이 계약에 근거하여 교환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중요하며, 개인의 태도와 행동, 조직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인사관리 전반에서 고려해야하는 요소이다. 공정성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다는 연구와, 직무만족이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는 기업의 효율성과 경쟁력을 높인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상사평가의 성과중심평가와 행동중심평가가 직원의 공정성과 직무만족,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제시한다. 첫째, 상사평가의 요인을 분석하여 상사평가의 하위요소를 명확히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호텔직원이 인식하는 상사평가 하위요소인 성과중심평가가 공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셋째, 호텔직원이 인식하는 상사평가 하위요소인 행동중심평가가 공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넷째, 호텔직원이 인식하는 공정성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한다. 다섯째, 호텔직원의 직무만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고찰을 통해 관련 문헌으로부터 상사의 직원평가 방식이 공정성, 직무만족, 직무성과에 대한 개념 및 구성 요인을 정립하고, 변수들 간의 관계를 도출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표본대상은 설문조사 기간 내 서울시 소재 12개의 특 1등급 호텔에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하였고, 회수설문지 중 불성실 응답자 및 부분 미응답자의 설문지를 제외한 유효표본 313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SPSS +/ WIN 18.0과 AMO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등을 수행하였으며, 각 가설에 대한 분석에 선행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의 직원평가방식을 요인 분석한 결과 성과중심평가와 행동중심평가의 2개 요인으로 차원화 되었다. 둘째, 공정성요소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호작용공정성,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의 3개 요인으로 차원화 되었다. 셋째, 직무만족과 직무성과는 단일차원으로 차원화 하여 연구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가설검증 및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과중심평가는 구성원들의 분배공정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동중심평가는 분배공정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공정성은 직무만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보이고 있다. 절차공정성은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은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다. 다섯째, 상사평가(성과중심평가, 행동중심평가)는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에 모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위의 연구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면, 상사평가는 성과중심평가행동과 행동중심평가행동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모두 분배공정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절차공정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친다. 직무만족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이는 상사의 평가가 분배공정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직무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직무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평가가 조직원과 조직에 매우 중요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성과중심평가가 분배공정성에 미치는 경로계수가 행동중심평가가 분배공정성에 미치는 경로계수보다 크게 나타남에 따라, 호텔직원에 대한 상사평가 방법 중에 행동중심평가가 훨씬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호텔평가에서 사용 중인 성과중심평가보다 행동중심평가가 보다 평가방법으로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호텔인사평가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해 행동중심평가를 제시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이는 호텔산업의 효율적인 인사평가활동이 실현 될 수 있도록 하였다.

      • IPA 기법 기반 그린리모델링 중점 강화 업무 도출에 관한 연구

        권영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최근 국제적인 주요 논점으로 지구환경문제가 부각되면서 온실가스 배출 및 화석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각국에서는 제도적인 유도장치를 마련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국내의 경우 에너지 사용량의 25.2%를 차지하는 건축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26.9%로 설정하는 등 에너지 저감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건설 산업에서의 에너지 저감과 노후 건축물의 증가를 해결하기 위한 기존 건축물의 그린리모델링이 각광받고 있는 상황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그린리모델링의 잠재적인 시장은 약 68조원대로 평가하고 있으며,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을 약 20% 이상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전망되는 등 그린리모델링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에 발맞춰 국가적 차원에서 그린리모델링을 장려하고 가이드라인 및 지침을 수립하기 위해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린리모델링 시범사업은 국토교통부와 한국시설안전공단에서 녹색성장의 일환으로 공공건물에 대한 시범사업을 통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그린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그린리모델링의 업무 및 프로세스 정립과 관련한 연구는 초기 단계의 연구로 그린리모델링 사업에 직접 적용 가능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고, 가이드라인 및 지침 수립 또한 미흡하기 때문에 그린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인 접근이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린리모델링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하여 그린리모델링 프로세스 및 업무를 도출하고 IPA기법을 활용하여 중점 강화 업무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그린리모델링 업무 및 중점 강화 업무는 향후 그린리모델링 사업 진행 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중점 강화 업무의 우선적이고 전략적인 강화를 통해 궁극적으로 그린리모델링 시장의 활성화에 대비한 역량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issue of global environmental is emerged to reduce CO2 emission and energy usage. And the world are devoted a variety of efforts. Especially Korea set the specific goal to reduce CO2 emission by 26.9% in construction industry. Accordingly, Greenremodeling is an alternative to reduce CO2 emission, energy usage and solve old buildings in Korea. According to the data of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potential market of Greenremodeling is determined about 68trillion and expected to improve energy performance of buildings about more than 20%. Therefore the need of Greenremodeling has been increasing. Because of this, Korea government is encouraging Greenremodeling and progressing the pilot project to establish the guideline and instruction. The pilot project of Greenremodeling is being promoted in earnest part of the green growth through public buildings by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Korea Infrastructure Safety and Technology Corporation. The study on establishing process, tasks of Greenremodeling is insufficient whereas There are a variety efforts to stimulate Greenremodeling. And Greenremodeling guidelines and instructions are also insufficient. So the vitalization of Greenremodeling is difficul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ducting Greenremodeling proccess and tasks using IPA method to vitalize Greenremodeling. From now on, It is conducted in Greenremodeling business and expected to contribute Greenremodeling market.

      • 지방사립전문대학의 설립배경과 발전과정에 관한 고찰 : 충북 제천 대원과학대학을 중심으로

        권영인 세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sidered of establishment and developing process of local private college, especially Daewon Science College in Chechon city, Chungchong north province. The major research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situation of the local society acted greatly in the establishment of Daewon Science College. Second, when we investigate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number of department for major and of students, it seems to be such the process of internal pain as the reduction of the regular member for entrance of this college. Third, the course of study in Daewon Science College was adopted to accorrding to the change of technology and society in the part of specialization for college. Fourth,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of students have been maintained with the effort of school so that it is high. Fifth, Daewon Science College made 'college development plan' almost every year it had being the opening of the college. Also, such plans has being a purpose and cause by the time. 본 연구에서는 지방사립전문대학의 설립 및 발전과정에 대해 충북 제천의 대원과학대학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원과학대학의 설립과정에는 지역사회의 교육적 여건이 크게 작용하였다. 둘째, 학과 수 및 학생수의 변천과정을 보면 2005년의 모집정원의 축소 등으로 내부적인 진통을 겪고 있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셋째, 학교의 교육과정은 전문대학 특성화라는 측면에서 기술의 변화와 사회적 변동에 부응하고자 하였다. 넷째, 학생들의 취업률은 학교의 노력으로 높게 유지되고 있다. 다섯째, 대원과학대학은 개교이래 거의 매년 대학발전계획을 수립하여 왔다. 시기별로 이러한 계획에는 다른 계기가 작용하고 있다. 이제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지금까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원과학대학이 가지고 있는 지방전문대학으로서 입지적 조건과 학령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노동시장의 변화, 공업계에 대한 기피현상으로 어려움에 봉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결국 이러한 시점에서 대원과학대학은 경쟁력의 확보를 위해 무엇인가 변화를 위해 역량을 결집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