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혈액투석용 도관을 이용한 복막투석 카테터 삽입법

        권수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Objective: The blind insertion method using a Tenckhoff trocar is used to initiate peritoneal dialysis (PD). However, there is always the possibility of technical failure due to preperitoneal insertion or intraperitoneal organ injury, such as, bowel perforation or intraabdominal bleeding, which make nephrologists reluctant to perform the insertion. To perform PD catheter insertion successfully by nephrologists, we developed a technique, using hemodialysis (HD) catheter and compared this to the classic method. Design: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Patients and Methods: A double lumen HD catheter was inserted using a modified Seldinger technique for the intraperitoneal infusion of 2 liters of dialysis solution, and a PD catheter was inserted through the tract, which was formed by the HD catheter. The Tenckhoff trocar was not used. This method was applied from 2008 to 2009 to patients to initiate PD (Group 1, n= 32).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lassic technique, which was performed from 2006 to 2007 (Group 2, n= 30). Results: There was no serious complication in group 1, but in group 2 there were 2 cases of insertion failure into the peritoneal cavity, 1 case of bowel perforation, and 2 cases of severe hematoma in the rectus muscle and pelvic cavity due to inferior epigastric artery rupture. Furthermore, group 1 showed a significantly shorter dialysate infusion time (14.3 ± 2.2 min vs 28.5 ± 3.1 min, p<0.001) and total operation time (81.9 ± 13.4 min vs. 106.8 ± 7.8 min, p<0.001). Other early complications were similar in the two groups. In group 1, the primary success rate was 100%, as compared with 86.7% in group 2. One month after PD catheter insertion, 1 patient transferred to HD due to omental wrapping in group 1. Thus, secondary success rates were 96.9% in group 1 and 86.7% in group 2. Conclusion: The devised technique appears to offer a higher success rate of PD catheter insertion with fewer major complications and a shorter operation time than the classic method.

      •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Workplace Violence on Health According to Employment Types Among Korean Employees

        권수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사회의 다양한 직업군이 고객응대업무를 실시하고 있고, 고객과의 접촉 기회가 늘어나면서 기업이 요구하는 감정표현 규칙에 따라 근로자의 감정이 관리 및 통제되는 감정노동이 발생하거나, 고객에 의한 폭언 및 폭력과 같은 문제가 증가하고 있다. 여러 연구를 통하여 감정노동과 작업장 폭력이 다양한 건강문제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감정노동과 작업장 폭력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으로 나누어 살펴보기 위해 직업성 근골격계질환(WMSD)과 업무관련 우울감을 결과변수로 선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감정노동자 보호법’으로 알려진 개정 산업안전보건법 제26조의2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한국 임금근로자를 성별과 고용형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현행법의 가장 큰 한계점은 많은 감정노동자가 간접고용 근로자임에도 불구하고, 원청업체의 사업주가 자발적으로 간접고용 노동자를 고객에 의한 폭언 및 폭력으로부터 보호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 이상, 원청업체는 이들을 보호할 의무가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감정노동 및 작업장 폭력의 분포를 성별과 고용형태에 따라 비교하고, 감정노동 및 작업장 폭력과 직업성 근골격계질환 또는 업무관련 우울감과의 연관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결과변수에 대한 노출변수와 고용형태와의 상호작용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산업안전보건연구원으로부터 제5차 근로환경조사 (2017) 원시자료를 제공받아 분석한 단면연구로서, 제5차 근로환경조사의 조사대상자 50,205명 중 임금근로자 29,171명을 연구대상자로 분석하였다. 주요 노출변수 중 감정노동은 직장동료가 아닌 사람들을 직접 상대하면서 감정을 숨기고 일을 하는 경우, 또는 화가 난 고객을 다루는 경우로 정의하였고, 작업장 폭력은 업무 수행 중에 신체적 폭력, 성희롱, 왕따/괴롭힘, 언어폭력, 원하지 않는 성적 관심, 위협, 모욕적 행동 중 하나라도 경험한 경우로 정의했으며, 고객에 의한 작업장 폭력과 동료에 의한 작업장 폭력으로 나누었다. 결과변수 중 직업성 근골격계질환은 업무상 관련이 있는 요통, 상지의 근육통, 하지의 근육통 중 하나라도 경험한 경우로 정의했고, 업무관련 우울감은 업무상 관련이 있는 우울감을 경험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고용형태는 크게 직접고용과 간접고용으로 나눈 후, 각 그룹을 종사상 지위, 계약기간 유무, 단기근로 여부, 근로지속가능 여부와 같은 4가지 문항을 이용하여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나누었다. 성별과 고용형태에 따라 변수들의 분포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진행하였고,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직업관련 변수를 보정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노출변수와 결과변수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상호작용항을 추가하여 노출변수가 결과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고용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에는 가중치를 적용하였으며, R 3.6.1과 SPSS 25.0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고용형태 중에서 간접고용 근로자가 직접고용 근로자에 비해 감정노동과 고객에 의한 작업장 폭력, 동료에 의한 작업장 폭력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열악한 근무 환경에 놓여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정노동은 여성만이 업무관련 우울감(OR: 1.74, 95% CI: 1.10-2.74)과 정적 연관성이 있었으나, 고객에 의한 작업장 폭력은 남녀 모두 직업성 근골격계질환(남-OR: 2.27, 95% CI: 1.80-2.86; 여-OR: 2.73, 95% CI: 2.14-3.47) 및 업무관련 우울감(남-OR: 3.69, 95% CI: 2.17-6.28; 여-OR: 3.86, 95% CI: 2.00-7.45)과 정적 연관성이 있었고, 동료에 의한 작업장 폭력도 남녀 모두 직업성 근골격계질환(남-OR: 2.70, 95% CI: 2.04-3.57; 여-OR: 3.46, 95% CI: 2.27-5.29) 및 업무관련 우울감(남-OR: 8.32, 95% CI: 5.17-13.39; 여-OR: 5.27, 95% CI: 2.46-11.29)과 정적 연관성이 있었다. 남녀 모두 직업성 근골격계질환에 대해 감정노동과 인간공학적 유해인자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했는데, 비감정노동자이면서 인간공학적 유해인자에 높은 수준으로 노출될 때 직업성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이 높게 나타났다. 두 가지 작업장 폭력과 고용형태는 여성에서만 두 결과변수에 대해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특히 간접고용 근로자이면서 동료에 의한 작업장 폭력을 경험했을 때 직업성 근골격계질환 및 업무관련 우울감이 발생할 위험이 상당히 높았고, 간접고용 근로자이면서 고객에 의한 작업장 폭력을 경험했을 때 업무관련 우울감의 발생 위험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작업장 폭력이 남녀 모두에서 직업성 근골격계질환, 업무관련 우울감과 연관성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감정노동은 여성에서 업무관련 우울감과 연관성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한국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직업성 근골격계질환 또는 업무관련 우울감의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두 가지 작업장 폭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여성 임금근로자의 업무관련 우울감을 예방하기 위하여 감정노동을 함께 관리해야 한다. 여성 임금근로자에서 작업장 폭력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고용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므로, 작업장 폭력의 중재를 고용형태별로 특화된 방식으로 진행할 것을 제안한다. 특히 간접고용 근로자를 ‘직장 내 괴롭힘’으로도 불리는 동료에 의한 작업장 폭력으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가장 중요한 보건학적 의의는 ‘고객의 폭언 등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조치’를 다루고 있는 개정 산업안전보건법 제26조의2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행법의 사각지대에 있는 간접고용 근로자를 고객에 의한 폭언과 폭력으로부터 제대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원청업체의 책임 의무를 강화하는 산업안전보건법 제29조를 고객응대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장에도 적용하여 원청업체가 간접고용 근로자에 대한 보호의 책임을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Introduction: Various occupations in the modern society conduct customer service, and workers have more opportunities for contact with customers to provide services. However, this situation result in emotional labor in which workers’ emotions are managed and controlled according to the emotional expression rules required by companies, or problems such as physical violence or verbal abuse caused by customers. Through many studies, emotional labor and workplace violence are known to cause various health problems. In this study,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 and work-related depression were selected as outcome variable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workplace violence on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Also, this study analyzed Korean employees by gender and employment types in order to explore the direction to improve Article 26-2 of the revised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ISHA) known as the ‘Emotional Laborers Protection Act’. The biggest limitation of the current law is that even though many of the emotional laborers are indirect employment workers, the parent company has no obligation to protect them unless the employer of the parent company voluntarily makes efforts to protect the indirect employe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stribution of emotional labor and workplace violence according to gender and employment types, to verify the association between two exposure variables and two outcome variables, and to identify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exposure variables and employment types on outcome variables. Methods: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tudy that analyzed the raw data of the fif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5th KWCS) from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and of the 50,205 survey subjects in the 5th KWCS, 29,171 employees were analyzed. Among the main exposure variables, emotional labor was defined as hiding their own emotions and dealing directly with people who are not coworkers, or dealing with angry customers. Workplace violence was defined as cases that workers had suffered any one among ‘physical violence, sexual harassment, bullying, verbal abuse, unwanted sexual interest, threat, and insulting behavior’ while working. Workplace violence was divided into ‘workplace violence by customers’ and ‘workplace violence by coworkers’. Among the outcome variables, WMSD was defined as cases that workers had experienced any one among ‘work-related backache, work-related muscular pains in upper limbs(shoulders, neck, arms, elbows, wrists, hands), and work-related muscular pains in lower limbs(hips, legs, knees, feet)’ over the last 12 months. Work-related depression was defined as cases that workers had experienced work-related depression over the past 12 months. Employment types were largely divided into direct and indirect employment, and then each group was divided into standard and nonstandard employment using four questions: status of workers, contract period, whether work was short term work or not, and whether work was sustainable or unsustainable.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and employment types. Sociodemographic and occupational variables were adjusted, and survey logistic regression applying weight was conducted to verify associations between exposure and outcome variables. In addition, interaction terms were added to logistic regression in order to identify whether the effects of exposure variables on outcome variables differ by employment types. Standardized weights were applied to all analyses. R 3.6.1 and SPSS 25.0 were used for all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Among the employment types, indirect employment workers showed higher proportions of emotional labor, ‘workplace violence by customers’, and ‘workplace violence by coworkers’ than direct employment workers, and were in poor working conditions. Emotional labor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work-related depression(OR: 1.74, 95% CI: 1.10-2.74) only in females, but ‘workplace violence by customer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WMSD(male-OR: 2.27, 95% CI: 1.80-2.86; female- OR: 2.73, 95% CI: 2.14-3.47) and work-related depression(male-OR: 3.69, 95% CI: 2.17-6.28; female-OR: 3.86, 95% CI: 2.00-7.45), and ‘workplace violence by coworkers’ wa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WMSD(male-OR: 2.70, 95% CI: 2.04-3.57; female- OR: 3.46, 95% CI: 2.27-5.29) and work-related depression(male-OR: 8.32, 95% CI: 5.17-13.39; female-OR: 5.27, 95% CI: 2.46-11.29). Both males and females ha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ergonomic risk factors on WMSD. The risk of WMSD was high when non-emotional laborers exposed to high levels of ergonomic risk factors. Two types of workplace violence and employment types ha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n two outcome variables only in females. In particular, female employees with indirect employment and ‘workplace violence by coworkers’ were at the greatest risk of suffering WMSD and work-related depression, and female employees with indirect employment and 'workplace violence by customers' also had high risk of work-related depressio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workplace violence was associated with WMSD and work-related depression in both genders, and emotional labor was associated with work-related depression in females. In order to develop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s of WMSD and work-related depression for Korean employees, two types of workplace violence need to be considered. Also, emotional labor should be managed to prevent female employees’ work-related depression. In females, since the effects of workplace violence on health differed according to employment types, it is suggested that interventions of workplace violence be conducted in a specialized way for each employment type.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rotect indirect employment workers from ‘workplace violence by coworkers’, also called ‘workplace harassment’. The most important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Article 26-2 of the revised ISHA, which deals with ‘preventive measures against health problems caused by verbal abuse or assault etc. by customers’. Therefore, in order to properly protect indirect employment workers who are out of the law’s boundary from ‘workplace violence by customers’, Article 29 of ISHA should also be applied to workplaces that use customer-facing workers who are regulated by Article 26-2 of ISHA, so that parent companies can be held accountable for the protection of indirect employment workers.

      • 대학생이 지각한 창의적 가정환경과 학교환경이 학습민첩성과 대학적응에 미치는 영향

        권수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the school environment, learning agility, and university coordination. To this end, we set up and confirm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impact of a creative home environment on learning agility and college adjustment? Second, what is the impact of a creative school environment on learning agility and college adjustment?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45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core variables were measured by creative home environment test (Lee Ka-hyung, Lee Kyung-hwa, 2019),, creative school environment test(Lee, Kyung. Hwa., Yang, Hye. Jin., & Lee, Ga. Hyung.), , learning agility (Lim Chang-hyun, Eui-young, Lee Hyo-sung (2017), and university adjustment scale(Im Chang-hyun, Wee Young-eun, Lee Hyo-seon, 2017). The inspection period for data collection was from May 1 to May 14, 2021, and 345 of the 360 copies of the data were used, excluding 15 people who were dishonest or inappropriate for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25.0 and AMOS 25.0.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reative home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static impact on college students' learning agility and college adaptation, and creative school environment correlates college students' learning agility with college adaptation. As a result, the hypothesis was adopted that the creative family environment recognized by college students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learning agility and university adaptation. Second, the hypothesis is that the creative school environment recognized by college students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learning agility and inter-university adaptation. Therefore, it is hoped that education and systems will be establish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take measures to create a creative home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agility and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college education, and to develop and develop a creative school environment for university students to adapt to the new school environment and realize their potential.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창의적 가정환경과 학교환경, 학습민첩성, 대학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대학생의 학습민첩성과 대학적응력에 어떤 변인이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가를 확인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첫째, 창의적 가정환경이 학습민첩성과 대학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창의적 학교환경이 학습민첩성과 대학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권 대학에 재학 중인 34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변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창의적 가정환경검사(이가형, 이경화, 2019), 창의적 학교환경 검사(Lee 외, 2021), 학습민첩성 측정도구(임창현, 위영은, 이효선, 2017), 대학적응 척도(정은이, 박용한, 2006)를 사용하였다. 데이터 수집을 하기 위해 검사를 실시한 기간은 2021년 5월 1일부터 5월 14일까지였고, 360부의 데이터 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연구대상에 적합하지 않은 15명을 제외한 총 345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와 AMOS 25.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분석은 기술통계량, 왜도와 첨도, 신뢰도를 산출하였으며, 상관관계,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창의적 가정환경은 대학생의 학습민첩성과 대학적응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적 학교환경 또한 대학생의 학습민첩성과 대학적응에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첫째 대학생이 인지한 창의적 가정환경은 학습민첩성과 대학적응력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둘째, 대학생이 인지한 창의적 학교환경은 학습민첩성과 대학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이 채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학습민첩성과 대학적응에 창의적 가정환경과 학교환경이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앞으로 이제 창의적 가정환경을 특징을 이해하고, 창의적 가정환경의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방안들을 마련하는 교육과 제도들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대학교육에서는 대학생의 학습민첩성 역량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대학생들이 새로운 학교환경에 적응하여 학생들의 잠재성을 발휘하기 위한 창의적 학교환경을 개발하고 발전시키려는 대학 차원에서의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Program annotation : J. S. Bach violin sonata No. 1 in a minor BMV 1001 adagio, fuga ; L. v. Beethoven sonata for piano and violin in a major Op. 12 No. 2 ; S Prokofiev violin concerto No. 1 in D major Op. 19

        권수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analyzes J.S.Bach violin sonata No.1 in g minor BWV 1001 (Adagio, Fuga), L.v.Beethoven sonata for piano and violin in A Major op.12 No.2, S.Prokofiev violin concerto No.1 in D Major. op 19, focusing on the composers’ lives and historical circumstances along with major musical features of each work. J.S.Bach violin sonata No.1 in g minor BWV 1001 Adagio part is composed of rather short 22 measures, polyphonic notes and monophonic notes in good harmony within the piece. The fuga part, relatively longer than the adagio part, is a work of intellectual structure and grandeur. L.v.Beethoven sonata for piano and violin in A Major Op.12 No.2 was the first to be composed among the three works of op.12, based on the traditional classic form of Haydn and Mozart. The first movement, a typical sonata form, has fast and lively features. In the second movement violin and piano repeat the theme after each other. The third movement is composed in Rondo, with the rhythm having reminiscent of Minuet, lively and fresh overall. S.Prokofiev violin concerto No.1 in D Major Op.19 is a special piece. This piece consist of Romantic melody and technical virtuosity. The piece requires rich reverberation through broad range along with sentimental expression of the performer. The uniformity between the solist and the orchestra is well found in the work. 본 논문은 본인의 석사과정 졸업 연주 프로그램인 J.S.Bach violin sonata No.1 in g minor BWV 1001 (Adagio, Fuga), L.v.Beethoven sonata for piano and violin in A Major Op.12 No.2, S.Prokofiev violin concerto No.1 in D Major Op.19에 대한 각 작품의 작곡가와 그 곡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J.S.Bach violin sonata No.1 in g minor BWV 1001는 Adagio, Fuga, siciliano, presto 총 4개의 악장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본인의 졸업연주에서는 Adagio와 Fuga를 연주하였다. L.v.Beethoven sonata for piano and violin in A Major Op.12 No.2는 베토벤이 평생에 걸쳐 작곡한 바이올린 소나타 10곡 가운데 작품12로 작곡된 곡 중에 하나이다. 제2번 소나타는 작품12에 포함된 3곡의 소나타 중 가장 먼저 작곡된 것으로 되어있다. 작품12의 소나타는 1797년 작곡되어 1799년에 출판되었으며 베토벤 스승의 한 사람이었던 살리에리(Antonio salieri)에게 헌정되었다. S.Prokofiev violin concerto No.1 in D Major Op.19는 1915-1917년 작곡 되었으며 1923년 파리에서 초연된 작품이다. 페테르부르크 음악원의 코한스키(P.Kochanski)는 프로코피에프의 재능을 높이 평가하며 바이올린 협주곡의 많은 과제를 처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이 곡은 느리게-빠르게- 느리게의 3개의 악장으로 구성된다.

      •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결정수준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권수현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에 있어 개인적 특성요인에 해당하는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결정수준의 차별적인 적용으로 진로결정과 관련한 과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지 여부에 대한 자신감을 나타내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대학생들에게 적합한 진로발달을 위한 교육이나 상담을 제공하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 학년별 영향의 차이를 보는 연구문제를 통하여 실제 진로상담에서 학년별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진로결정수준과 계획된 우연기술 간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추가적인 영향은 어떠한가?’,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진로결정수준과 계획된 우연기술 간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추가적인 영향이 각 학년별로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서울과 수도권, 충남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03명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을 통해 각각의 변인들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여 기초통계분석과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계획된 우연기술이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서는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결정수준의 거의 모든 하위 항목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계획된 우연기술의 하위요인인 유연성에서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목표선택과 미래계획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결정수준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다음과 같다. 1단계에서 진로결정수준 변인을 투입하였을 때,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예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진로결정수준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대해 설명력을 가지며, 2단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을 투입한 결과 진로결정수준을 설명하는 변량을 통제한 이후에, 계획된 우연기술의 투입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대한 설명력이 훨씬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학년 별 차이를 보았을 때에는 1학년의 경우에는 진로결정수준의 설명력이 낮았으나 2단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 투입 시에는 설명력이 증가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2학년의 경우에는 진로결정수준 자체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대한 설명력도 상당하며 계획된 우연기술의 설명력이 동반하여서도 매우 상승하며 차이도 큰 모습을 보여주었다. 3학년의 경우에는 진로결정수준이 유의미하지 않게 설명력이 낮았고, 계획된 우연기술이 추가된 설명력은 유의하게 높아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4학년의 경우에는 진로결정수준의 설명력이 낮고 계획된 우연기술의 설명력도 가장 낮으면서 그 차이도 다른 학년에 비해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진로에 대한 인식이 현재 자신의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불안감이나 확신보다는 과거부터 지금까지 미래를 위해 준비하고 노력해왔던 본인의 능력을 핵심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진로결정수준, 계획된 우연기술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 이러한 영향력을 밝히려는 노력을 하였으며, 특히 계획된 우연기술의 효과적인 사용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년별 차이를 검증함으로써 실제 진로 상담에서 학년별 특성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연구대상의 전공이 세분화되지 못해 이에 따른 차이를 고려해야 함을 제시하며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주제어: 계획된우연기술, 진로결정자기효능감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relationship among Planned Happenstance Skills,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of undergraduates. In addition, we will provide basic data to provide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 for students, and examine the various implications of career counseling by grade level the research that show the difference of influence by grade. The research questions set ou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 What is the additional effect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Level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on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of undergraduates?', 'What is the additional effect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each grade leve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Level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Based on these research questions,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The research carried out a stratified, cluster and proportional sampling considering the ratio of the region of the university an major of students. Through this process, 303 students from 3 universities were sampled. Research method was a survey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Career Decision level,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3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Seoul, Gyeon-gi do and Chug-nam are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composed of self- report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by basic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Stastic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Career Decision Level,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almost all sub - items of Career Decision Level. On the other hand, flexibility, which is a sub - factor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goal selection and future plans, which are sub - factors of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Second, the influence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Decision Level on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is as follows. In the first step, it was confirmed that the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was predict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when the Career Decision Level variable was input. The degree of Career Decision Level has an explanatory power on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After controlling the variable that explains Career Decision Level as a result of putting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second step, And the explanatory power is much increased. In the case of the first grad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Career Decision Level was low, but the explanatory power was increased in the second stage when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put. In the case of the second grad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was also significant, and it showed a remarkable increase with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the case of the third grad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Career Decision Level was not significant. However, in the case of the fourth grad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Career Decision Level was low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was the lowest, and the difference was not larger than that of the other gr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career is the key to their ability to prepare for the future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rather than anxiety or confidence about their Career Decision Level.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 Level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on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and tried to clarify influence. Especially, it suggested that Planned Happenstance Skills should be used effectively. In addition, by verifying the differences between grades, we provided information that can be utilized according to grade - specific characteristics in actual career counsel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ubject of study can not be divided into sub - categories, so the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and suggest the necessity of follow - up study. Key Words: Planned Happenstance Skills,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 우연과 연상을 이용한 미술활동 연구 : 초등 1, 2학년을 중심으로

        권수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연’은 의도와 인과, 합리와 계획이 결핍하고 있는 중요한 부분을 채울 수 있는 유연한 과정이다. 이러한 우연은 20세기 전반기에 출현한 중요한 미술의 경향인 초현실주의 회화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수용되었던 방법적 개념이다. 이후 그것은 현대 미술 전반에서 보다 순수하고 본질적인 표현 방식으로써 지속적으로 이용되어져 왔다. 그리고 ‘연상’은 우연의 결과에 따른 연속적 발상으로써 우연만큼 예기치 못한 사고와 형상의 유기적 집합체여서 색다른 시각적 경험들을 추동시키는 관념적 과정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1, 2학년 초등 통합 교과 과정 중 ‘즐거운 생활’이 갖는 목표에 우연과 연상 기법을 적용한 미술 활동에 집중한 것이다. 이 연구는 우연을 통해 시행한 교육과정의 결과를 연상을 통해 연결시키는 과정을 미술 활동에 적용시킨 것이다. 본 연구자에게는 우연과 연상을 이용한 표현 기법을 미술 활동에 적용하면 아동의 상상력과 표현력 신장에 매우 효과적일 것이라는 확신이 이 연구를 진작시켰다. 우연과 연상을 이용한 미술학습 활동은 아동으로 하여금 흥미를 갖고 새로운 발상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의도를 거리낌 없이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자연스럽고 수월한 방법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이 연구의 교육적 근거는 이것이 아동의 다양한 사고를 유발하고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아동에게 잠재되어 있는 조형탐색능력을 거부감 없이 키워줄 수 있다는 확신에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우연의 효과를 이용한 학습 활동이 아동의 호기심을 유발한 흥미로운 결과물을 통해 사고를 폭넓게 만들고 이를 새로운 연상 활동으로 한 번 더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 제안의 시작은 아동의 미술 활동에 있어 우연과 연상 방법이 지니는 장점을 바탕으로 다양한 조형 활동을 하도록 하여 사고력과 표현 능력을 확장시키고 정서를 함양하는 데 있으며, 그 다음은 우연과 연상의 개념적 이해를 돕고 우연과 연상 방법의 이론적 배경을 통해 그 의미를 새롭게 도출하고자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아동의 미술 활동에 있어 우연과 연상 방법이 가지는 교육적 의의와 그 가치를 밝혀 이를 아동의 수준에 맞게 적용한 여러 유형의 사례들을 제시함으로써 색다르고 창의적인 자극이 항상 존재할 수 있는 미술 활동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연구의 역량을 모았다.

      • 비평적 읽기와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문학 작품 비교·평가하기’ 실행 연구

        권수현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문학교육에 있어 비평적 읽기와 쓰기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보고 비평적 읽기와 쓰기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방법으로 문학작품 비교·평가하기 활동을 제시하고 실행하여 교육현장에 사례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해, 분석, 해석, 평가의 과정을 비평이라고 하며 이것을 수행하는 능력을 비평적 능력이라 볼 수 있다. 비평적 능력은 교육과정에서도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으며 문학교육의 목표가 된다. 그러나 문학교육을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 받은 5∼6학년의 학습자들 역시 문학작품에 대한 반응은 감상 수준에 머무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초등학교 학습자들에게 비평적 능력을 가르치는 것은 발달단계상 맞지 않으며 문학에 대한 태도와 감상을 가르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여기는 인식에서 기인한다. 학습자에게 문학에 대한 즐거움과 흥미를 키우는 것이 최선의 목표라 생각해 학습자들의 비평적 읽기와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문학교육을 제한한다. 현행 국어과 문학교육과정과 내용 체계에서 비평과 비평 활동을 성취기준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여전히 작품의 내용 확인과 문학 지식 중심으로 교육되고 있다. 비평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은 기존의 연구에서 많이 제시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실천 방안이 부재하거나 수업 이외의 상황을 가정하고 연구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연구의 취지를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비평적 능력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문학토론을 변형한 비교·평가하기 활동을 구안했다. 비교·평가하기 활동은 개인 비교·평가하기, 소집단 비교·평가하기 토론, 대집단 비교·평가하기 토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대상은 강원도 춘천에 위치한 ‘ㅅ’초등학교의 연구자가 담임하고 있는 6학년 학습자 29명을 대상으로 한다. 자료 분석은 대집단 비교·평가하기 토론을 녹음하고 전사한 것, 사전·사후 검사지를 대상으로 비교대집단 비교·분석했다. 이 연구는 2015년 5월부터 10월까지 실시되었다. 문학작품 비교·평가하기 활동은 동시텍스트로 2회기, 동화 텍스트로 3회기로 구성되어 총 5회기의 비교·평가하기 토론과 사전·사후 검사, 사전교육, 활동 안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학습자들의 반응은 정서적 반응, 분석적 반응, 해석적 반응, 평가적 반응을 기준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그리고 이 분석 기준에 포함되지만 학습자들에게서 광범위하게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반응을 추가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삶과 관련짓기 반응, 저항 반응, 대안 제시 반응, 요약하기 반응, 상호텍스트적 반응을 보조적인 분석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문학작품 비교·평가하기 토론 활동을 통해 보여준 학습자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평적 읽기·쓰기 능력의 향상이다. 학습자들은 문학작품을 읽고 점점 분석과 해석, 비평이 다양하고 구체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이해의 빈틈을 토론으로 복원하여 텍스트에 대한 이해 역시 높아졌다. 둘째, 문학작품 비교·평가하기 활동으로 평소 문학작품 읽기를 좋아하지 않았던 학습자도 토론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학습자도 쉽게 문학작품과 토론에 접근했다. ‘비교’란 아주 선명한 기준으로 학습자들은 쉽게 문학작품을 비평적으로 읽어낼 수 있었고 토론에 참여했다. 또한 학습자들은 토론에 참여하고 즐길 수 있게 되었다. 학습자들 스스로 자료를 준비하고 정리하며 협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학습자들의 작품에 대해 공감능력이 향상되었다. 사후 검사에서 향상된 공감능력은 비평적 읽기와 쓰기 능력이 오히려 문학작품에 대한 깊은 공감과 수용을 이끌어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학습자들의 변화 외에도 문학작품 비교·평가하기 활동이 실제 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안에서 문학토론을 가능하게 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특히 5회기의 문학작품 비교·평가하기 활동을 통해 실제 교육과정에서 정리 및 심화활동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보다 나은 비평적 능력 향상을 위한 문학교육을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문학의 여러 장르 중 동화와 동시만을 대상으로 했다. 하지만 연령과 수준에 따라 다양한 장르와 매체로 비교·평가하기 활동을 구성하는 것도 좀 더 생산적인 논의를 보탤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문학작품 비교·평가하기 활동은 교사가 다수의 소집단의 활동의 과정을 살펴보거나 지도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진다. 소집단 비교·평가하기 토론이 대집단 비교·평가하기 토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추진되어야 한다. 셋째, 문학작품 비교·평가하기 활동이 학습자의 비평적 읽기·쓰기 능력 신장에 대한 양적인 측정과 관찰도 모두 가능하다. 합리적이고 실제적인 평가 기준을 통해 나아가 비평적 읽기와 쓰기 능력과 문학능력의 관계 및 상호작용도 자세히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문학작품 비교·평가하기 활동은 교육과정 속에서 교사와 학생 모두 수월하게 비평 활동에 접근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다. 따라서 학습자들의 비평적 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가 종

      • 유기촉매 하의 위치 선택적인 비대칭 알릴 치환 반응을 통한 키랄 피롤 유도체 합성

        권수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stoichiometric and organocatalytic variants of allylic substitutions of Morita-Baylis-Hillman (MBH) acetates via an SN2'-SN2' tandem mechanism have come to light. Different types of nucleophiles such as TsNH₂, phthalimides (N-based nucleophiles), dialkyl malonates, 2-silyloxyfuran (C-based nucleophiles), and phenols (O-based nucleophiles) have been reported in the organocatalytic allylic substitutions of MBH acetates. However,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are no examples stating the use of pyrroles as N-based heterocyclic nucleophiles in the organocatalytic allylic substitutions of MBH acetates, even though pyrroles are important moieties in many natural products, pharmaceuticals, and materials. Here, the first examples of organocatalytic allylic substitutions using pyrroles as N-based heterocyclic nucleophiles for the synthesis of various α-methylene-β-pyrroles esters will be discussed.

      • Microphysical Characteristic Analyses of Precipitation Systems Using Generalized DSD Parameters : 보편 우적크기분포 변수를 이용한 강우 시스템의 미세물리 특성분석

        권수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비슬산 이중편파레이더로 산출된 보편 우적크기분포 변수(generalized DSD parameter)를 이용하여 강우시스템의 미세물리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매개변수는 보편 수 농도(generalized number concentration; N0')와 질량가중 평균 직경(mass-weighted volume diameter; Dm)을 사용하였다. N0'과 Dm을 산출하기 위하여 이중편파레이더 변수와 우적크기분포 매개변수와의 경험적 관계식을 산출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복잡한 산악지형으로 인한 이중편파레이더를 관측 시 지형 및 빔 차폐의 영향을 피하기 위하여 최적다중고도각을 이용한 강우량 추정기법(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ybrid surface rainfall; KHSR)을 개발하였다. 빔 차폐율을 계산하기 위해 수치 표고 자료를 사용하여 레이더 관측 고도각별로 빔 차폐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빔 차폐율이 10% 이상일 경우 빔 차폐가 없는 상층 고도각을 사용하였다. 지형에코지도는 2012년 6월 6일 관측된 20개의 볼륨 관측 자료로부터 산출되었으며, 지형에코지도의 반사도가 20dBZ 이상일 경우 지형에코에 의한 오염으로 판단하여 상층 고도각을 사용하였다. 비강우에코는 교차상관계수와 반사도, 차등반사도, 차등위상차 및 교차상관계수의 텍스처(texture)를 이용하여 판별하였다. KHSR 고도각에서의 ZH와 ZDR로 강우량을 추정하였다. 개발된 KHSR을 이용해 추정된 레이더 강우강도를 동일 고도면 (constant altitude plan position indicator; CAPPI)에서 추정된 강우강도와 비교검증하였다. 검증에는 165개의 기상청 자동기상관측장비를 사용하였다. 레이더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KHSR이 CAPPI보다 편향오차가 작았으며, R(ZH)보다 R(ZH,ZDR)을 사용하였을 때 4% 이상 강우추정오차가 줄었다. 빔차폐에 의한 KHSR과 CAPPI의 강우추정 오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동일 고도에 대한 빔 차폐율(QIBK)을 계산하였다. R(ZH)보다 R(ZH,ZDR)로 추정된 강우량이 빔차폐의 영향을 적게 받았으며,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강우량 추정시 빔 차폐의 영향을 적게 받는 KHSR이 효과적이었다. 미세물리 분석에 사용된 보편 미세물리 변수는 2014년에서 2015년 동안 진천에서 이차원광학우적계(two-dimensional video disdrometer; 2DVD)의 우적크기분포 자료로 도출된 경험적 관계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관측된 우적크기분포 자료의 관측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직경-속도 관계식과 관측된 속도의 차이가 40% 이상인 자료를 제거하고 1분 우적크기분포를 계산하였으며, 연속성 검사를 수행하였다. 품질관리된 우적크기분포 자료는 T-행렬(matrix) 산란모의를 통해 와 을 산출하였으며 보편 우적크기분포 모델의 매개변수인 N0'과 Dm을 3과 4번째 우적크기분포의 적률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ZH로 정규화된 N0'와 Dm은 ZDR과의 다항회귀분석을 통해 미세물리변수 관계식을 산출하였다. 정규표준편차는 logN0'의 경우 0.07-0.11mm, Dm의 경우 0.09-0.20m-3mm-1에 분포하였으며 이는 Gorgucci et al.(2002)에 제안된 값과 비교했을 때 타당한 값이다. 산출된 관계식은 2012년 6월에서 8월동안 비슬산레이더로부터 23km 떨어진 경북대학교에 위치한 2DVD를 이용해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2013년 9월 14일 발생한 중위도 대류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중위도 시스템은 반사도 기반의 대류세포 판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층운형과 리딩에지(leading edge)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층운형 영역에서는 시간에 따라 Dm이 거의 변화가 없이 일정하였으나 리딩에지 영역에서는 logN0'이 0.83m-3mm-1 감소하였고, 1.5mm 이상 큰 의 빈도가 늘어났다. 이는 작은 입자가 감소하고 큰 입자가 증가하며 성장하는 충돌-병합과정에 의한 성장을 의미한다. 적운형 강우 시스템의 미세물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3년 6월에서 8월동안 레이더 강우강도, 적외강조영상 및 일기도 등을 이용하여 네 가지 강우타입으로 분류하였다. 레이더 영상에서 50km 이내의 좁은 면적을 가지는 적운형 강우를 고립형 뇌우, 강우밴드의 방향과 강우의 이동방향이 수직을 이루는 스콜라인, 운정온도가 –50℃ 이하인 면적이 100km 이상 존재하는 구름무리, 장마전선을 동반한 강우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강우의 미세물리 특성분석을 위하여 미세물리변수 추정 관계식으로 산출된 logN0'과 Dm을 사용하였다. 고립형 뇌우는 풍상측, 내륙지역 및 동쪽 해안을 따라 큰 Dm 값이 나타났으며, 고립형 뇌우가 소멸하는 Dm의 동쪽의 logN0'값이 크게 나타났다. Dm은 오후(12-18LST)에 풍상측에서, 늦은 저녁(18-24 LST)에 내륙지역에서 최고값을 가졌다. 스콜라인의 경우 고립형 강우와 같이 높은 산에 의해 풍상측에 큰입자가 나타났으며, 남북방향의 이동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스콜라인의 앞쪽에서 강한 상승기류로 인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강우입자는 멀리 위치하고 큰 입자는 스콜 라인에 가까이 위치하는 강우입자의 크기분류현상이 나타났다. 구름무리는 주로 강수가 발생한 서쪽에서 큰 logN0' 값을 가졌으며, 내륙지역에서 가장 큰 Dm 값을 가졌다. 구름무리는 네 개의 강우시스템 중 가장 큰 일변화를 보였다. 장마에 의한 강우는 구름무리와 비슷하게 서쪽에서 큰 logN0' 값을 가지고, 동쪽으로 갈수록 이 작아졌으며, Dm도 내륙지역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logN0'의 경우 장마는 1.7m-3mm-1, 구름무리는 1.4m-3mm-1에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Dm의 경우 장마는 0.95mm, 구름무리는 1.1mm로 구름무리가 큰 강우 입자를 많이 포함하였다. KHSR 기법을 이용하여 이중편파레이더 자료의 정확도를 개선하였으며 이는 이중편파변수의 빔차폐에 의한 오염을 줄였다. 또한 실시간으로 관측되는 이중편파변수를 사용함으로서 실시간 강우추정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세물리변수 추정 관계식 산출을 통하여 미세물리변수의 강우시스템에 따른 시공간적 분포를 파악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한반도 지역의 미세물리 특성연구의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