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멘토링을 통한 수학학습부진아의 수학학습태도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

        권수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멘토링을 통한 수학학습이 수학학습부진아의 수학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30주 동안 2명의 수학학습부진아를 대상으로 멘토링 수업을 시행하였다. 총 40문항으로 구성된 수학학습태도 검사지, 미완성 문장 채우기, 수업 녹취록 그리고 멘토링 일지 등을 이용하여 멘토링 학습 전, 후 학생들의 수학학습태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에 참여한 2명의 멘티들은 멘토링 학습 전에는 수학학습태도의 5가지 하위 개념(수학적 성향, 흥미, 의욕, 자신감, 태도 및 습관)을 측정한 결과 모두 매우 낮은 수준이거나 부정적이었다. 그러나 멘토링 학습 후 수학학습태도의 5가지 개념들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따라서 멘토링을 통한 수학학습이 수학학습부진아의 수학학습태도에 긍정적인 변화에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mentoring program to the underachiever’s attitude in learning Mathematics. In order to do this research, a mentoring class had been carried out for 30 weeks, with two students who are underachievers in mathematics. It was carried out contrastive analysis on the student’s learning attitude in the math class before and after the mentoring, using a questionnaire of learning attitude in math with 40 questions, filling the blanks in sentence, recording files of class, and mentoring journals. As a result, before taking the mentoring class, students who were participated in the mentoring program were negative and low in five subordinate concepts(learning attitude, such as their tendency, interest, desire, confidence, attitude, and studying habits in math). However, after the mentoring class, the two students were remarkably positively changed in positive way on the five concepts in learning mathematics. Therefore, it is helpful to underachievers in mathematics if the mentoring program is used since it yields a positive impact on the learning attitude.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마찰음과 파찰음에 대한 지각과 산출의 양상 연구 : 북경어권과 광동어권 학습자를 중심으로

        권수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를 공부하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중 마찰음 및 파찰음의 지각과 산출의 오류 양상을 밝히고, 중국인 학습자가 발음한 한국어 어중 마찰음과 파찰음의 음향적 특성을 분석하여 한국어 모어 화자와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한국어의 장애음은 다른 언어들과는 달리 긴장성과 기식성의 유무에 따라 평음-경음-격음으로 나뉘는 특이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장애음 습득에 있어서 큰 어려움으로 다가오며 중국인 학습자 역시 한국어 장애음 습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많은 선행연구에서 언급한 바 있다. 그러나 장애음 중 어두에 위치한 장애음이나 장애음 중 파열음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진 반면 마찰음과 파찰음에 대한 연구는 그렇지 못하였다. 더불어 연구의 방향성에 있어서도 중국인 학습자들의 자음의 지각과 산출에 대한 연구는 있지만 둘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피험자 집단의 선정에 있어서도 대다수의 선행연구에서는 중국의 다양한 방언권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한계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피험 집단의 방언권을 중국어의 표준어로 통용되고 있는 보통화를 쓰는 지역 출신의 피험자와 광동어를 쓰는 지역 출신의 피험자로 구분하여 각 음소에 대해서 각각의 학습자들이 어떻게 지각하고 산출하며 각각의 오류 양상은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는지 파악하고, 음향음성학적 분석을 통해 한국인 모어 화자와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한양대와 건국대에 위치한 국제 어학원에 재학 중인 중국인 초급 및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지각 실험과 산출 실험을 진행하였다. 지각 실험을 분석한 결과, 보통화권 학습자와 광동어권 학습자 모두 청취 부분에 있어서 비슷한 수치의 지각률을 보이고 있었다. 두 집단 모두 평 파찰음에 있어서 가장 낮은 지각률을 보였으며 평음과 경음의 혼동 양상을 공통적으로 보이고 있었다. 산출 실험 분석 결과, 두 집단의 양상에 큰 차이는 없었지만 지각실험 결과에 비해 집단 각 격차는 벌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집단 모두 격 파찰음에 대한 산출률이 한국인 모어 화자의 수준과 비슷할 정도로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중국어의 격 파찰음이 지니고 있는 기식성이 두 중국인 집단의 학습자들에게 익숙한 것이기에 조음 시 정확하게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반면 경 마찰음과 경 파찰음에 대한 산출율이 많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는데 한국어의 경음이 지니고 있는 특징인 긴장성이 중국인 학습자들에게는 산출 시 큰 어려움이라는 점을 판단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인 모어 화자와 각 방언권 출신 중국인 학습자들이 발음한 한국어 어중 마찰음과 파찰음의 음향 음성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산출 실험에서 얻은 각 3개의 집단의 발화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틀문장에서 분석을 목표로 하는 해당 어휘만 따로 추출하여 새로운 단어 파일을 만든 후 Praat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파형, 스펙트로그램, Pitch 곡선을 통해 마찰음의 경우 소음구간, 선행모음 길이, pitch 값(F0) 그리고 파찰음의 경우 폐쇄구간, VOT, pitch 값(F0)를 기준으로 발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마찰음의 경우 소음구간의 길이가 평 마찰음에 비해 경 마찰음이 긴 경향은 세 집단 모두 유지가 되었으나 구간의 편차에 있어서 한국인 모어화자만큼의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선행모음의 길이에 있어서는 한국인 모어화자는 경 마찰음이 평 마찰음의 절반가량의 길이로 차이를 보이나 보통화권 학습자는 오히려 경 마찰음의 선행 모음의 길이가 길었고, 광동어권 학습자의 경우 두 길이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파찰음에 대해서 한국인 모어화자는 경음>격음>평음 순으로 폐쇄구간의 길이가 길었으며 격음>평음>경음 순으로 VOT 값이 나타났다. 보통화 화자와 광동어 화자도 동일한 양상을 보였으나 특히 광동어권 학습자들의 경우 폐쇄구간의 길이의 수치에 격차가 크게 나타나지 않은 것이 관찰되었다. F0 값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는 마찰음의 변별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 화자와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소리의 변별에 있어서 F0 값이 소극적으로 작용된다는 점을 짐작할 수 있었다. 반면 파찰음의 변별을 위해 발성을 달리하는 것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광동어권 학습자의 경우 한국인 모어화자, 보통화권 학습자와는 다른 양상을 나타냈으며 특히 남자 화자에 있어서는 한국어 화자와는 정 반대의 양상을 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중 모음 사이에 위치한 마찰음과 파찰음의 지각과 산출의 오류 양상을 밝히고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산출의 오류 양상에 있어서는 음향음성학적으로 접근하여 그 이유를 밝히고 한국인 모어 화자의 것과 비교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J.Brahms violin sonata No.3 Op.108의 작품분석에 관한 연구

        권수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is an analytic study on Johannes Brahms’ Violin Sonata No. 3 Op. 108. Brahms is an absolute music composer that follows the framework of the Classical era, despite being a composer from the late Romantic period. Brahms was relatively conservative among German Romanticists and, unlike Romanticist composers, insisted on a Classical forms and techniques. For these reasons, Brahms’ music expresses Romantic ideals based on traditional Classical form. Of the twenty-four chamber music pieces left by Brahms, three are violin sonatas. In particular, Sonata No. 3 Op. 108 is considered to be one of his masterpieces, and is the only piece composed in minor, with the solitude and forlornness of his later years. The first movement is in sonata form; the second movement is in ternary form; the third movement is in Scherzo ternary form; and the fourth movement is in rondo sonata form. It mainly shows Classical tendency in form, but pursues diversity within it. Regarding tonality, the first movement is in d minor and the second movement in D Major, both of which are principal keys. The third movement is in f# minor, and the fourth movement returns to the home key of d minor. Brahms preferred to use counterpoint technique, which gives the piece an overall unity in terms of structure. Moreover, it can be seen to break away from regular rhythmic expressions by using syncopation, 2:3 polyrhythm, double rhythms, hemiola rhythms, and cross-rhythms. Regarding chords, Brahms made consecutive use of broken chords, chromatic chords, and secondary dominant chords, allowing for chromatic or enharmonic modulation and to see aspects different from traditional chords. As such, Brahms’ Sonata No. 3 combines a romantic element with a traditional Classical foundation, revealing his musical views. It can be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violin sonata from the Romantic period.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take a more theoretical approach to Sonata No. 3, grasping the composer’s intent and sensitivity, thus giving aid in better understanding the piece and also in playing this work.

      • 영어 듣기학습 지도를 위한 듣기자료대본 사용방안에 관한 연구 : 중학교 초급학습자를 중심으로

        권수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의 영어교육 목표는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특히 강조된 언어기능으로 듣기기능과 말하기기능을 꼽을 수 있다. 이에 우리의 교육현장에서도 듣기 능력과 말하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수방안에 많은 관심이 기울어지고 있다. 이 중에서도 듣기기능은 읽기기능과 함께 이해기능으로 분류되어 말하기, 쓰기의 표현기능보다 먼저 교수하도록 권장되고 있다. 이처럼 여러 가지 측면에서 듣기학습의 중요성은 널리 인식되어있다. 따라서 다양한 듣기학습방법과 적절한 교재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최근에 거론되고 있는 통합적 학습법에서는 듣기와 읽기를 함께 학습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특히 읽기능력이 듣기능력에 비해 뛰어난 우리 나라 학습자들에게 이 방법은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자는 듣기와 읽기의 통합학습의 여러 가지 방안들 중에서, 우리 나라 교육현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테이프자료대본 제시가 중학교 초급학습자들의 듣기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연구를 통해 검증하고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고 한다. 본 실험연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진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8주간 실시되었다. 실험집단에게는 듣기학습에 있어서 듣기자료대본울 제시하고, 통제집단에게는 대본이 없는 자료를 제시하여 듣기학습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듣기자료대본을 활용하여 학습한 실험집단은 대본을 제공받지 못한 통제집단보다 듣기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실험집단의 듣기수준별 상ㆍ하위 집단간의 듣기능력 향상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듣기자료대본 사용은 하위집단 학생에게 더욱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집단간 평가지 유형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여 본 결과 실험집단의 학습자들은 특히 문자유형의 평가지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드러나, 듣기자료대본을 사용하여 학습한 학습자들은 문자형 문제가 제시될 때 높은 점수를 획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학습성향에 따른 듣기자료대본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성향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실험집단의 경우에는 시각적 유형을 가진 학생들이 다른 유형의 학습자들보다 높은 점수를 획득하여, 듣기자료대본은 시각적 유형의 학습자들에게 제시될 때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듣기자료대본의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듣기자료대본은 듣기학습 단계별로 다양하게 제시되어야 하며, 듣기이전단계에서는 역할극, 빨리 읽기, 회상기법 등을 사용하여 학습자에게 배경지식을 제공하고,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되어야 하며, 듣기단계에서는 대본을 통하여 심리적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문자언어와 음성언어를 연결하여 학습할 수 있는 특정정보에 밑줄긋기, 따라읽기 등의 기법을 사용한다. 듣기이후단계에서는 학습한 정보의 이해를 공고히 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기 위한 방안으로 빈칸 채우기, 순서 맞추기 등이 있다. 둘째,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듣기자료대본 제시 시기를 살펴보면, 하위학습자들에게는 듣기이전단계와 듣기단계에서 대본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상위학습자들에게는 듣기이후단계에서 대본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듣기자료대본을 실제 교실상황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듣기단계별 활용방안을 학습자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듣기자료대본을 사용하여 세부사항 듣기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듣기학습의 상ㆍ하향과정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듣기학습에 있어서는 듣기교수만 실시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듣기자료대본 읽기가 듣기능력이 부족한 학습자의 듣기학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통하여 볼 때, 현재 수준별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에서는 하위수준 학습자의 듣기지도의 한 방편으로 듣기자료대본 활용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중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국한해서 단기간 진행되었기 때문에, 이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문제점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영어듣기능력이 좀 더 우수한 학생들의 듣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Nowadays the ultimate goal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is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language skill. However, listening instruction is still a burden to Korean students and teacher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choose an effective method to help students develop their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Recently, integrated teaching of listening and reading is considered an innovative method on listening instruction since integrated learning has gained popularity over the past half-decade. If this method is effective, we can get great ideas on listening instruction. Unfortunately, however, very little empirical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effect of integrating listening and reading instruction method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ading a tapescript through listening activities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listening comprehension in English and find the effective ways to use a tapescrip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listening instruction with tapescripts, but the control groups were not given tapescripts during the 8-week long experiment. The result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velopment in listening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This indicates that reading a tapescript promotes the students' learning.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stening ability development between upper-level students and lower-level students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However, compared with the upper-level students, the lower-level students showed higher development. This implies that reading a tapescript is more helpful to lower-level students. Third, Being investigated the relation with the test type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Especial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uch more improvement when the test options were presented in the written form. Fourt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erceptual style groups. However, the visual-type students improved mos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eaching listening with tapescripts is helpful, especially to lower-level students. Thus, reading a tapescript while listening is recommended in order to help them develop their listening ability. Secondly, they suggest that reading a tapescript is more effective for the visual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I suggest several activities and considerations to use a tapescript effectively in the classroom. First, 'role play', 'speeded reading' and 'recall' techniques are recommended to provide students with background knowledge in pre-listening stage. In while-listening stage, 'underline on specific feature', 'read-along' are suggested to motivate students and facilitate listening comprehension. In post-listening stage, 'clozed test' and 'scrambled sentences' are recommended to check their comprehension. Secondly, when we use a tapescript we have to consider students' language proficiency and their difficulties on listening learning. Besides, we have to find the effective ways to use a tapescript to integrate top-down and bottom-up skills. Further empirical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ading a tapescript on the development of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students' listening comprehension. Moreover, the longitudinal study is needed to investigate a long-term listening instruction effects.

      • 자전적 애니메이션의 상상 경험 서사에 관한 연구

        권수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전적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데 있어서 자신의 이야기를 개인의 이야기, 객관적 사실의 이야기를 넘어 개인의 주관적 시선과 내면의 욕구를 담아낼 수 있는 확장된 스토리로 발전시키기 위한 시도로 서사 구성에 상상력의 적극적인 도입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상상력을 고차원적 인지능력으로 재평가하였던 후설의 상상 개념을 이해하고, 자전적 스토리텔링의 모태가 되는 자서전이 상상의 요소와 결합하여 자전적 소설의 범위로 확장되어 나갔던 배경과 양상을 살펴본다. 그리고 애니메이션 매체가 가진, 현실을 기반으로 하여 상상의 세계를 창조하는 매체의 재현성을 이야기하여 애니메이션이 자전적 스토리텔링의 상상력을 적극적으로 표현해낼 수 있는 적합한 매체임을 강조할 것이다. 상상력과 자전적서사의 확장, 애니메이션의 재현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상상 경험의 서사를 만들어내는 ‘As IF’ 서사 전략을 제시한다. ‘As IF’ 서사전략은 자신의 경험의 본질에 접근하여 그 본질을 공유하는 상상의 경험을 만들고 그것을 자전적 서사로 구성하여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하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자전적 애니메이션은 개인의 경험을 삶의 예술로 승화시킬 수 있는 창조적인 매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마지막 장을 통해 기존에 발표된 자전적 애니메이션 작품들 중에서 상상경험의 서사가 돋보이는 작품을 선택하여 작품에서의 상상경험의 도출과 서사의 구성 및 표현을 분석하였다. 실제 작품의 분석을 통하여 상상경험을 창조하는 자전적 애니메이션이 개인의 경험의 특수성을 강조하고 그러한 특수성이 우리들 각각의 개인성이 아닌 보편성을 통해 공감을 일으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의 ’자전적 애니메이션‘은 자신의 이야기를 상상력을 동원해 창조적으로 승화시킨 작품을 추구한다. 누구나 자신의 이야기를 가지고 있지만 그 누구나가 훌륭한 상상력을 가지고 있지는 않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추구하는 ’자전적 애니메이션‘의 목표는 상상력을 보여주기 위함이 아니라, 작가 스스로가 ’자신의 이야기‘에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여 드러나지 않았던 내적 진실을 탐구하고, 그것을 창의적으로 재현하여 대중과 나누도록 하는 것에 있다. 이를 통해 ’자전적 애니메이션‘이 작가 개인의 자기성찰을 돕고 개인의 이야기를 용기 있게 나누는 것을 통해 개인의 고민과 성찰이 우리들 사이의 틈새를 메워주는 공론으로 발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active introduction of imagination to the composition of the narrative in an attempt to develop one's own story into an expanded story that can capture an individual's subjective gaze and inner desires beyond the story of an individual in producing "autobiographical animation." To this end, we first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imagination of phenomenology, which was reevaluated with high-dimensional cognitive abilities, and look at the background and shape of the autobiographical novel, in which the autobiography combined with the imaginary elements and extended to the scope of the autobiographical novel. And by talking about the representation of the animation media that creates a reality-based world of imagination, animation will emphasize that it is a suitable medium to actively express the imagination of autobiographical storytelling.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imagination, the extension of autobiographical narrative and the reproducibility of animation, this study presents the "As IF" narrative strategy that produces an story of imagined experience. The 'As IF' narrative strategy helps to approach the essence of one's own experience and create an imaginary experience that shares its essence, and to compose it into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to express it in animation. This will allow autobiographical animation to become a creative medium that can sublimate an individual's experience into the art of life. In the last chapter of this study, we analyzed the elicitation of the imaginative experience in the work and the composition and expression of the narrative by selecting a work that excelled from the previously published autobiographical animation works. Through the analysis of real works, we can confirm that autobiographical animation that creates the imaginative experience emphasizes the specificity of individual experience and that such speciality can create empathy through universality rather than individuality of each of us. In this study, "Autobiographical Animation" pursues a piece that uses imagination to creatively sublimate its story. Everyone has his own story, but not everyone has a great imagin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not to show imagination, but to explore internal truths that have not been revealed by the author himself in a different way, and to creatively reproduce and share them with the public. I hope that through 'Autobiographical Animation' helping the writer's personal self-examination and courageously sharing his personal story, personal agony and self-reflection can develop into a public reflective awareness that fills the gap between us.

      • 노인의 사회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권수진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Effects of Social Activity on the Successful Aging of the Senior Kwon, SuJi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DaeJeon University of Korea Directed by Professor Rho, ByengI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The effects of social activity on the successful aging of the senior』 on the subjects aged 65 and older that harness welfare facilities for the senior located in Daejeon Metropolitan. We check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65 questions of measurement tools for successful aging and subcategory of social activities such as economic activities, volunteer activities, religious activities and leisure activities. After this, we surveyed the research through personal interviews and indirect interviews to senior citizens that have already accepted to agree and participate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starting from 9, 10, 2012 to 10. 7.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270 seniors in total, 248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22 neglected since unsincere responses were shown. We chose cross-sectional studies as an analysis operator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to check out compatibility of the operator that prove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Surveys conducted after data coding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In this study, the frequency of the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on the saw as p <0.05, p <0.01, p <0.001. The results shows that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difference from successful aging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eniors, 60-70 have higher level of successful aging when they live with others, have higher living standards, have jobs, have larger amount of spending money, or when they have better health status. Health issue seemed to be the most serious problem senior citizens had faced and therefore showed difference from Previous studies that showed poverty as priority. Second, each sub-area social activities of the senior citizens and successful aging, both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economic activities, volunteer activities, religious activities, and leisure activities, of four sub areas, leisure activities were shown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successful aging. The reason behind the result came out as leisure activity is the time to feel free from all obligations and that there is no pressure or burden to physical or psychological things. Therefore, they can get along with others under same age without any burden.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for the impact of successful aging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enior, the participation of social activities were the most preferred, the form of housing living with inmate in senior years, and the health ranking furthermore as a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successful aging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senior citizens to have better and happier retirements. And the results were the exactly the same results wee have expected and therefore, we can give some results like this. First, in this study, more than 80 seniors showed a relatively lower degree of successful ag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more attention for older senior's successful aging. Since 80 or older are more physically debilitating and have more psychological isolation than 60-70, a little more specific and individualized welfare services are essential. Second, the present study showed a relatively higher degree of successful aging man residing with other people. Therefore, senior people living alone need to have more opportunities to interact with other people. Those who live alone that have no incoming money are suffering with difficulties residing everyday life especially. Senior Living Alone Group Home Islands or visiting nursing services should be expanded and conducted while striving hard for the betterment of happy lives after retirements by releasing difficulties with offering trivial jobs. Government municipalities should develop differentiated welfare service for the seniors and families and communities should conduct senior care services in the local area. Third, this study appeared that better health condition brings a higher degree of successful aging. Therefore, we need to give more concern on improving senior's health condition. To check out life ability and healthy life style of the senior, I recommend regular Physical Fitness Test (ADL / IADL) and health screening to determine the extent of the health of the senior and spread appropriate health programs in order to make them maintain healthy conditions. Also, Cardiovascular Disease has a chronic trait. Therefore, rather than to focus on curing after the onset of treatment, prevention which extends the possible onset should be underlined instead. Fourth, in this study, sub-areas of social activities are related with successful ag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mote social activity of the senior to endow more attention than now. Since leisure activity is the most predictable variable for successful aging, we need to focus on leisure activity in especially. We should develop individualized health-related services for seniors older than 80 and strengthen family ties to reduce the number of senior people residing alone and furthermore should improve differentiated leisure activities fitting for distinctive senior people. In addition, by expanding and conducting senior jobs, social contribution of seniors can uprise. Moreover they should give chances to solve the economic problems from poverty by making senior themselves to acquire their own needs and to increase a sense of accomplishment. Also, seniors who are highly educated should have chances to work as volunteers to introduce and provide cultural manner to young generations under a nuclear f 국 문 초 록 노인의 사회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제 출 자 : 권 수 진 지 도 교 수 : 노 병 일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는 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노인의 사회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노인의 사회활동의 하위영역인 경제활동, 자원봉사활동, 종교활동, 여가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측정도구 65문항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사한 후 연구목적에 동의하고 참여의사를 밝힌 노인들만을 대상으로 대인면접법과 간접면접법을 통해 2012년 9월 10일부터 10월 7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270명의 노인을 면접한 결과 응답이 부실하거나 성실하지 못한 응답을 보인 22부를 제외한 24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횡단적 연구로서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한 연구 모형을 설정하여 모델의 적합성을 검정하는 공변량 구조 분석을 방법을 선택하였다. 설문을 실시한 자료는 코딩작업을 거친 후에 SPSS Program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자료에 대해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검정,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05, p<0.01, p<0.001 수준에서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공적 노화 차이를 분석한 결과 60대나 70대일수록, 다른 사람과 동거를 같이 할수록,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직업이 있을수록, 용돈의 액수가 클수록, 건강이 좋을수록 성공적 노화의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특성 중 노인에게 당면한 심각한 문제가 건강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선행연구에서 경제적 빈곤이 우선순위로 되어있는 것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사회활동의 각 하위영역과 성공적 노화는 모두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 주었다. 경제활동, 자원봉사활동, 종교활동, 여가활동 4가지 하위영역 중에서 성공적 노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영역은 여가활동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이 일상의 모든 의무감으로부터의 자유로움을 향유할 수 있는 시간이므로, 심리적 부담감이 없고 신체적인 활동을 하면서 같은 연령대의 노인들과 친목하고 교류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결과가 나온 것이다. 셋째,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사회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에서 가장 우선순위는 여가활동 참여이고 다음으로 노년기에 동거자가 함께하는 주거형태, 건강 순위로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인 노인에게 사회활동 참여를 유도하여 행복한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었는데, 이와 부합되는 결과가 도출되어,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노인복지를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80대 이상의 노인은 성공적 노화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고령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해 더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 있다. 80대 이상 노인은 신체적으로 더욱 쇠약하고 심리적 고립감과 상실감이 60대나 70대 노인보다 높기 때문에 좀 더 구체적이고 개별화된 복지서비스가 필요한 것으로 보여 진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다른 사람과 같이 살수록 성공적 노화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혼자 사는 노인은 다른 사람과의 교류를 하는 기회를 더 많이 갖게 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수입이 없는 독거노인은 혼자서 일상생활을 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독거노인 그룹 홈 제도나 방문요양서비스를 더욱 확대 ․ 실시하고 소일거리를 제공하여 그들의 어려움을 완화시켜서 행복한 노후생활 향상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정부 ․ 지방자치단체는 제도적으로 차별화 된 노인복지서비스를 개발하고 가족과 지역사회는 근거리에서 노인 돌봄서비스가 실시되어야 하겠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건강이 좋을수록 성공적 노화의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노인의 건강 증진에 더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 있다. 노인의 생활습관과 건강한 생활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정기적인 체력측정(ADL/IADL)과 건강검진을 통하여 노인의 건강 정도를 파악하고, 건강한 신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노인의 특성에 맞는 건강프로그램를 개발하고 보급시켜야 한다. 또한 노인성 질환은 만성적이므로 발병 후 치료에 치중하기 보다는 최대한 발병 시기를 연장시킬 수 있게 예방하는 예방의학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자의 사회활동의 하위영역은 성공적 노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노인의 사회활동 증진에 지금보다 더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 있다. 특히 성공적 노화를 가장 예측하는 변수는 여가활동이므로 여가활동에 특히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 앞으로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수준을 높이기 위해 80대 이상 고령노인들을 위한 개별화된 건강관련서비스를 높이고 가족 간의 유대를 강화시켜 독거노인의 수를 감소시키며 노인 특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