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프랑스 고등학교 한국어 교과서 「Apprenons le coreen!」 A1, A2 분석 : 어휘, 문법, 문화 영역을 중심으로

        권소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nalysis of Korean textbook used in French high school 「Apprenons le coréen!」 A1 and A2 - Focusing on vocabulary, grammar and culture - Kwon, So Young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Major Advisor : Prof. Kang, Seung Ha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ole and function of 「Apprenons le coréen!(한국어를 배웁시다)(hereafter A.L.C.) for develop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of French adolescent beginning learners in Korean by analyzing A.L.C. A1→A2 and A2→B1, which is used in French high school. Korean entered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as a foreign language in France in september 2017, and A.L.C. textbooks are being used to teach and learn Korean in French high school. French ministry of education sets the goal that the proficiency of foreign language should reach B1 level of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heareafter CEFR) when graduating from high school. Therefore, it should be analyzed if contents of A.L.C. are met with standards of French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include language knowledge necessary for Korean beginning learners. It's based on the premise that A.L.C. is used in France, so this study considered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in France, direction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French Korean learners’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CEFR to analyze a localized textbook in France, and investigated the research resul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focusing on vocabulary, grammar and culture to examine if A.L.C. was equipped with major requirements of Korean textbook for beginners. The analysis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vocabulary, grammar and culture, and the procedure of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vocabulary was analysed by two other respects, distribution of parts of speech and word classification by theme. A quantitative statistics was calculated, and the degree of overlapping with the elementary vocabulary list of ‘Standard model of international Korean language education(2nd version)’(hereafter S.K.) was examined. In addition, the vocabulary distribution by theme was investigated based on CEFR and ‘Development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contents(4th version)’. Second, grammar items in A.L.C. were classified based on Korean pedagogical grammar. By comparing with the grammar pattern list of S.K, it makes the level of Grammar in A.L.C. estimated. Third, topics selected for educating Korean culture were reviewed by category and by period. Explanation for describing Korean culture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France to examine if it can develop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from that of Korean culture education fields to examine if it is suitable for beginning level in Korean.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for vocabulary, the quantitative statistics presents A.L.C. has more vocabulary and lower appearance frequency per word. Overlapping vocabulary with the elementary vocabulary list of S.K. is not so much, but reflects well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 of France and an adolescence, which proved in the vocabulary distribution by theme. Second, for grammar analysis, A.L.C. has many grammar items, and the degree of overlapping with the grammar list of S.K. presents that difficulty was set high. In addition, from a pedagogical grammar view for foreigners, grammatical terms and explanation in French facilitate understanding.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training grammar items and structure is much, and the majority of exercises is simple shift exercise without context, and translation-centered mechanical exercise. Third, for culture analysis by category, ‘Ideas’ are presented 43%, which are higher than ‘Behaviors’ and ‘Products’, and by period, traditional culture is presented most. And while the contents of Korean culture are helpful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education, a culture content of an unit is separated from language learning in the same unit. From an intercultural view, direct cross-cultural description is only 4 items, and tasks or activities for developing intercultural competence such as finding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with home country’s culture or exchanging opinions are not provided. Analysis results above draw the conclusion as follows. The direction of A.L.C. writing staff and tha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France, which is ‘develop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by regular schooling’, seem to match. However, learning contents of vocabulary, grammar and culture exhibit the characteristic as the material of grammar translation method. This means A.L.C. did hardly embody its own objective effectively. Based on the conclusion, it is a comprehensive discussion of suggesting for A.L.C. to develop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First, it needs to adjust vocabulary volume and appearance frequency considering learners’ proficiency, and induce to use vocabulary learned, through various tasks and activities. Second, it needs to set a well-defined objective for culture like vocabulary and grammar, which is suitable for learners’ mother tongue and proficiency for systematic culture education. Third, it needs to improve A.L.C. for learners to use 4 language skills in balance, and to develop learning strategies appropriate for themselves. Fourth, it needs to rearrange vocabulary, grammar and culture in the same unit organically on one theme. Fifth, it needs to modify culture items through survey of learners’ needs and to include various tasks and intercultural questions, for cultivating pluricultural and plurilingual users. Key words: Apprenons le coréen!, Korean textbook,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French adolescent learners, vocabulary analysis, grammar analysis, culture analysis 국문 초록 프랑스 고등학교 한국어 교과서 「Apprenons le coréen!」 A1, A2 분석 - 어휘, 문법, 문화 영역을 중심으로 - 연 세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 권 소 영 본 연구는 프랑스 정규 고등학교에서 사용하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과서 「Apprenons le coréen!(한국어를 배웁시다)」(이하 A.L.C.)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초급 단계 프랑스 청소년 학습자의 상호문화적 의사소통 능력을 개발하기 위하여 어떠한 역할과 기능을 하는지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2017년 9월 한국어가 공식 외국어로서 프랑스 정규 교육과정에 진입하였고 프랑스 고등학교에서 A.L.C. 1, 2권으로 수업이 진행 중이다. 프랑스 교육부는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 ‘유럽공통참조기준’(이하 CEFR)의 B1 등급에 해당하는 외국어 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A.L.C. 교과서의 학습 내용이 프랑스 외국어교육의 표준에 부합하고 한국어 초급 학습자에게 요구하는 언어 지식을 충실히 포함하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A.L.C. 교과서는 교재 사용 환경이 프랑스 현지이므로 프랑스에서 이루어진 한국어교육의 역사와 외국어교육의 방향 및 프랑스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프랑스 현지화 교재 분석에 알맞은 기준을 설정하고자 프랑스 외국어교육의 표준인 CEFR을 살펴보고 한국어 초급 교재로서 갖추어야 할 주요 요건들을 구비하였는지 검토하기 위하여 어휘․문법․문화 교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한국어교육 분야의 연구 성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범위는 어휘․문법․문화 영역으로 한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첫째, 실질어휘를 추출하여 어휘량과 빈도 등 정량적 통계를 산출하고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2단계)’(이하 ‘국제통용’) 초급 어휘 목록과의 중복도를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개발(4단계)’의 초급 주제 목록과 CEFR의 의사소통의 주제 목록을 참고한 기준에 따라 어휘의 주제별 분포 양상을 살펴보았다. 둘째, 문법 항목을 한국어 교육문법 체계에 따라 분류하고 ‘국제통용’ 문형 목록과의 중복도를 조사하여 문법 영역의 난이도를 가늠하였다. 또한 문법 항목의 제시 방법과 문법 설명을 위한 기술 내용 및 연습 방법을 분석하였다. 셋째,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해 선정한 소재의 유형별․시대별 분포 양상을 살펴보았고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분야의 요구와 상호문화역량(Intercultural Competence) 개발을 목표로 하는 프랑스 외국어교육의 관점에서 기술 내용을 분석하였다. 위와 같은 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 분석 결과 한국어 초급 교재의 평균에 비해 어휘 수가 많고 낱말의 출현 빈도는 낮았다. ‘국제통용’ 초급 어휘 목록과의 중복도는 비교적 낮았으나 주제별 분류에서는 프랑스 현지의 사회문화적 특성과 청소년기의 특성을 잘 반영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문법 영역은 한국어교육의 표준에 비해 학습량이 많았으며 ‘국제통용’ 문형 목록과의 중복도 조사 결과 난이도가 다소 높게 설정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문법 항목의 제시 및 연습 방법을 살펴본 결과 형태 및 구조의 학습량이 많았고 프랑스어로 설명하여 이해가 용이하도록 한 반면 기계적인 연습 이외에 다양한 과제(task)나 활동(activity)을 포함하지 않았다. 셋째, 문화 항목의 유형별 분류에서는 행위문화, 산물문화에 비해 관념문화를 많이 제시하였고 시대별로는 전통문화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문화 항목의 소재는 상호문화적 의사소통 교육이 가능한 내용을 다수 포함하여 유용하나 해당 단원의 언어 학습과 분리되어 있었다.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볼 때 직접적인 비교문화적 기술은 소수에 불과하였고 자국 문화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거나 의견을 교환하는 등 상호문화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과제 또는 활동을 제공하지 않았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A.L.C. 교과서 개관에 명시한 집필진의 교재 개발 방향과 프랑스 교육부의 외국어교육 정책의 방향은 ‘정규 학교의 외국어교육을 통한 상호문화적 의사소통 능력 개발’로서 일치하는 듯 보였다. 그러나 어휘․문법․문화 영역의 학습 내용은 문법번역식 교재의 특징을 나타내므로 A.L.C. 교과서의 목적과 목표를 효과적으로 구현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위 결론과 같이 A.L.C. 교과서는 프랑스 청소년 학습자의 상호문화적 의사소통 능력을 개발하기 위하여 개선이 필요한 바 본 연구가 밝힌 문제점을 중심으로 개선 방향을 종합적으로 논의하였다. 첫째, 초급 교재의 품사 분포를 고려하여 어휘 수 및 출현 빈도를 조절하고 학습한 어휘를 사용할 수 있는 과제와 활동을 추가하여야 한다. 둘째, 체계적인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하여 문화 영역에서도 학습자 언어권 및 한국어 숙달 단계에 알맞은 명확한 목표 설정이 필요하다. 셋째, 어휘․문법․문화의 모든 영역에서 네 가지 언어 기술(skills)을 균형 있게 사용하고 학습자가 자신에게 알맞은 학습 전략을 개발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단원을 구성하는 어휘․문법․문화 영역이 하나의 주제 아래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다중문화적인 다중언어 사용자를 양성하기 위하여 요구 조사를 통해 문화 항목을 조정하고 상호문화적이고 다양한 질문 및 과제 활동을 포함하여 실제 의사소통을 유도하여야 한다. 핵심어: Apprenons le coréen!, 한국어 교과서, 프랑스 청소년 학습자, 한국어 교재 분석, 어휘 분석, 문법 분석, 문화 분석

      • 장애인의 교육기본권

        권소영 창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장애인의 인간다운 권리 중 하나인 장애인의 교육기본권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장애인의 교육은 언제나 차별적인 요소가 있다. 그래서 교육을 받을 권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장애인의 교육기본권에 대한 성격과 장애인의 교육기본권 보장을 위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을 알아보고, 장애인의 교육 기본권 향상을 위한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헌법 제31조 제1항에서는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 조항에서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라는 부분인데, 여기서 말하는 “능력”이란 단순히 신체적 능력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수학능력을 뜻하는 것이다. ‘균등하게’란 수학능력 이외의 요소 즉, 인종·성·종교·경제력 등의 요소로 인하여 차별을 받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결국 장애인들은 이러한 헌법상의 법규정에 대한 해석을 통해 장애인으로 또한 대한민국 국민의 일원으로 그들 각자의 수학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학능력과 직접 관련이 없는 장애를 이유로 장애인들의 교육받을 권리가 침해되어서는 안 되며, 더 나아가 비장애인과 동등한 교육의 장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장애인들에게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들의 교육차별적 요소는 많이 있어 왔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을 통해 특수교육대상자의 의무교육 연한 확대, 장애 영유아 교육대책 마련, 고등교육 강화, 평생교육 지원, 통합교육 촉진 등 장애인 교육기본권 향상을 위한 하나의 시발점이 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정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장애인의 교육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동시에 관련 교육법들의 수정 보완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는 비단 장애인의 문제만이 아니라 비장애인의 인식 개선 없이는 장애인의 참여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또한 개정 법률의 적극적 홍보 및 장애인식 개선 사업 추진이 필요하고, 특수교육 발전 종합계획의 적극적인 추진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전국 균형적인 특수교육 지원도 필요하다고 본다. 장애는 “차별”이 아니라 “차이”라고 본다. 우리 사회가 얼마나 선진화되고 민주적인 사회인지는 장애인의 교육기본권이 얼마나 잘 보장되고 있는가와 비교될 수 있다고 본다. 앞으로 이러한 장애인의 교육기본권 보장을 위한 실천적 노력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 Fathom을 활용한 수학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 고등학교 수학I의 확률·통계 단원을 중심으로

        권소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latest educational setting, the active use of computer is encouraged to solve the complicated calculations and problems in every domain of mathematics. When students learn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which only traditional way of explanation is given without showing appropriate and concrete examples, the subjects will become meaningless and boring ones where on inquiries and manipulates are don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duce the expense of time for the complicated calculations by using the software in leaning probability and statistics and to arouse the interest in the, by using the various visual aids. Therefore,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or the affective teaching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1. How can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probability and statistics with Fathom be composed of? 2. What is the effect of instructions with Fathom at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class? 2.1 What is the contents of learning activities with Fathom at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2.2 How is the learning comprehension of students in lectures with Fathom at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3. How is the mathematical attitudes of students in lectures with Fathom at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Subjects of this study are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E high school in Seoul. After finishing the experimental instructions, I analyze the questions sheets and formative tests were performed using t-test. Also interviews about mathematical attitude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question 1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irst, the students could understand more easy and effectively though various statistical experiments by the use of Fathom. In the aspect of teaching procedures, teachers could present the aim of teaching with students more clearly. Second, the use of Fathom helps to reduce the boring of the downright calculations because Fathom makes the complicated calculation easy. Also, Fathom can arouse the students' interest and curiosity by presenting visual data. On the basis of these aspects, I make a way to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First, I develop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to make students manipulate some activities using Fathom. Second, I develop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ought the analysis of graphs using Fathom. Third, I develop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to integrate student's knowledges into the their background knowledges. Forth, I develop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which can apply the principles solving relevant exercises. The results of question 2 summarized in the following. Most students have developed in the aspects of manipulation activity, analysis of graphs, formality of mathematical principles and application. Also I could convince that learning comprehension of learners generally has improved through 10 questions of formative test. The results of question 3 summarized in the following. In the aspects of interests, confidence, usefulness, attitudes of learning and using manner of technology, it was helpful. All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e interview said they got a satisfaction doing manipulation activities and analyzing graphs. In conclusion, the class which apply Fathom in the instruction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can be performed effectively in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However, this researches have some shortcomings in that use a particular program and execute for a short time. So it is needed to be amended and complemented through follow-up researches which include a range of more inclusive and deep. 21세기 지식정보화 시대인 지금, 우리 교육은 새로운 교육과정에 따라 ‘가르쳐야 할 것’에 대한 변화와 더불어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하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정보와 지식의 양이 급증하고 정보의 조직과 창출이 중시되는 정보화 사회로의 구조적 변환으로 오늘날 교육에서는 정보화 시대에 걸 맞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보화 사회에서 수집한 자료를 해석하고 추론하는데 가장 필요한 확률과 통계 단원을 학생들이 가장 꺼리는 것은 수학의 실용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단순 공식암기에 의한 계산 풀이 식으로 접근함으로써 학습의욕이 떨어지는 데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수업의 학습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복잡한 계산의 불필요한 시간을 줄이고 여러 가지 시각적 자료를 통하여 확률과 통계 학습에 흥미와 호기심을 길러줄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확률과 통계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가 필요하다고 보고 학생들의 호기심을 충분히 자극할 수 있고 탐구력 및 시각적 직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확률․통계용 프로그램인 Fathom을 활용한 교수․학습자료 개발하였고 개발된 자료를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Fathom을 활용한 수학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Fathom을 활용한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수업의 교수․학습 자료는 어떻게 구 성될 수 있는가? 2. Fathom을 활용하여 개발된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수업의 교수․학습 자료를 학생들에게 적용한 수업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Fathom을 활용한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수업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학습 활동 내용은 어떠한가? 2.2 Fathom을 활용한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수업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학습 이해 정도는 어떠한가? 3. Fathom을 활용한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수업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수학적 태 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문제를 위해 Fathom을 활용할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고 각 교육과정 및 선행연구의 고찰을 바탕으로 총 8차시의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8차시의 교수․학습 자료를 적용한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시 서대문구에 위치하고 있는 인문계 E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 여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수업이 끝난 후에 학생들의 활동내용을 활동지를 활동 분석틀을 통해 분석하였고, 학습자의 학습 이해 정도를 알기위해 형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한 형성평가를 통해 학습 이해 향상정도를 알아보았으며 수학적 태도를 t - 검정을 통해 분석해보았다. 또한 학생 수업에 열심히 참여한 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구체적인 반응을 분석하였다. Fathom을 활용한 수학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의 연구문제 1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athom을 활용한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수업의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방향은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를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형식적인 내용만 다루기보다는 활동적인 수업을 진행하여 학생들의 이해력을 높이고 수학적 태도에도 긍정적인 자세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인식하에 Fathom을 활용한 수학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Fathom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조작활동을 통해 확률과 통계 수업을 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앞서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 통계교육이 형식적인 내용만을 다루고 있음을 지적하며 활동 주의적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그 대안으로 Fathom을 활용한 조작활동을 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둘째, Fathom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그래프 해석을 통한 확률과 통계 수업을 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형식적이거나 산술적으로만 수학을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조작활동을 통해 그래프를 그려보고 그래프를 해석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셋째, 그래프를 해석할 줄 알며 그래프를 통해 수학적 개념이나 원리를 이해하고 자신이 알게 된 점을 형식화하여 기존 지식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넷째, Fathom을 활용하여 학습한 원리와 관련된 연습문제를 풀어보고 적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Fathom을 활용한 수학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의 연구문제 2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athom을 활용한 확률과 통계 수업의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한 실험수업 결과, 학생들의 활동지 분석 결과 학생들은 Fathom을 통하여 조작활동, 그래프 해석, 수학적 원리의 형식화, 적용하기에서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활동 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 이해 향상에서는 학습 내용과 관련된 10문항의 형성평가지를 통해 분석해 본 결과 전반적으로 학습 이해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Fathom을 활용한 수학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의 연구문제 3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의 흥미, 자신감, 유용성, 학습태도, 테크놀로지사용태도면 5개의 항목 모두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4명의 학생들과의 면담 결과 학생들은 흥미와 유용성을 알게 되었고 조작활동을 하고 그래프를 해석함으로 지루하지 않게 수업을 할 수 있어 만족을 얻었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Fathom을 활용한 확률과 통계 수업의 교수․학습 자료를 고등학교 학생에게 적용한 수업은 학습 이해와 수학적 태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자료라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Fathom이라는 특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률과 통계 수업의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는 점과 단기간 동안 실시된 실험으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는 데는 제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것과 같이 고등학교 특정 학년과 특정 영역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좀 더 포괄적이고 깊이 있는 범위에서 Fathom을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활용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앞으로 실제 정규 수업에서 수업할 교사들의 반응을 조사하여 수업의 분량은 적당한지 수정․보완 되어야할 내용을 없는지에 대한 후속연구도 필요하다고 본다.

      • 맞벌이 부부의 근로시간 유형화와 유형별 일·생활 균형 : 근로시간의 양, 근로시간대, 근로시간 유연성을 중심으로

        권소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다차원적인 근로시간의 특성에 기초해 맞벌이 부부의 근로시간을 부부단위로 유형화하고 근로시간 유형과 일·생활 균형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맞벌이 부부는 제한된 시간 자원을 이용하여 일과 가족 사이의 균형을 추구하기 위해서 가족의 상황과 직장의 여건을 고려하여 부부 단위로 근로시간을 조정하고 분배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맞벌이 부부의 근로시간은 부부의 특성과 부부를 둘러싼 가족과 직업 특성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근로시간의 다차원성에 주목하였다. 얼마나 오래 일하는지와 더불어 언제 일하는지, 근로시간을 개인이 통제할 수 있는지는 중요한 근로시간의 특성이다. 즉, 근로시간의 양, 근로시간대, 근로시간 유연성이라는 근로시간의 다차원적 특성들이 부부 단위에서 어떻게 결합되어 있는지 유형화를 통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맞벌이 남편과 부인의 근로시간이 상호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 부부 단위에서 근로시간 특성을 유형화하였다. 또한 맞벌이 부부의 근로시간 유형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어떠한 요인들이 부부의 근로시간 유형분류를 설명하는데 유용한지 파악하고, 근로시간 유형에 따라 남편과 부인이 경험하는 일·생활 균형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한국노동패널 17차년도(2014년) 본조사와 부가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은 부부 모두 경제활동을 하고 있고(임금근로자, 비임금근로자, 무급가족종사자), 만 60세 이하이면서 부부가 동거하고 있으며, 동거하는 미혼 자녀가 있거나 무자녀인 맞벌이 부부 총 1,150쌍이었다.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실시하여 맞벌이 부부의 근로시간을 유형화한 후, 근로시간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요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고, 부부 특성과 직업 특성의 영향력과 근로시간 유형에 따른 일·생활 균형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상의 분석은 잠재계층분석의 3단계 접근법(3-step approach)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맞벌이 남편과 부인의 근로시간의 양, 근로시간대, 근로시간 유연성에 기초해 부부의 근로시간을 유연한 결과, (1) 부부표준시간 유형, (2) 남편장시간유연-부인표준시간 유형, (3) 부부장시간유연 유형, (4) 남편표준시간-부인유연 유형, (5) 남편장시간비표준-부인비유연 유형이라는 5가지 유형이 분류되었다. 구체적으로 각 유형의 특성을 살펴보면, 부부표준시간 유형은 표본의 53.90%로, 맞벌이 부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부부 모두 주당 평균근로시간이 평균 40시간 이상이었지만, 다른 유형에 비해 근로시간이 짧은 편이었으며, 표준시간대에 일하고, 근로시간 유연성이 가장 낮았다. 남편장시간유연-부인표준시간 유형은 표본의 16.26%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남편의 근로시간 유연성이 높았다. 또한 남편의 주당 평균근로시간이 평균 50시간 이상으로 긴 편이었으며, 저녁·야간 시간대와 휴일에 일하는 비율이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부인은 근로시간은 평균 40시간을 약간 넘어 짧은 편이었으며, 비표준시간대 근로 비율과 근로시간 유연성은 낮은 편이었다. 부부장시간유연 유형은 전체의 13.57%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 유형의 부부는 남편과 부인 모두 근로시간 유연성이 높았다. 근로시간 역시 남편과 부인 모두 긴 편이었는데, 남편은 평균 50시간 이상이었고, 부인의 주당 평균근로시간은 평균 50시간을 넘지는 않았지만, 모든 근로시간 유형 중에서 가장 근로시간이 길었다. 비표준시간대 근로 비율도 남편과 부인 모두 높은 편이었다. 남편표준시간-부인유연 유형은 표본의 12.09%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부인의 주당 평균근로시간은 평균 40시간을 약간 넘는 수준으로 다른 유형에 비해 짧지만, 비표준시간대 근로, 높은 근로시간 유연성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남편은 부부표준시간 유형 남편과 근로시간 특성이 유사했다. 부부표준시간 유형 남편보다 비표준시간대 근로 비율은 다소 높았지만, 다른 유형에 비해서는 낮은 편이었다. 근로시간이 평균 50시간 미만으로 짧은 편이었으며, 근로시간 유연성이 낮았다. 남편장시간비표준-부인비유연 유형은 전체의 4.18%를 차지하고 있었다. 남편의 근로시간은 평균 60시간 이상으로 모든 유형 중에서 가장 길었고, 비표준시간대 근로 비율도 가장 높았다. 장시간, 비표준시간대 근로에도 불구하고 근로시간 유연성이 낮은 것도 특징적이었다. 부인은 휴일에 근로할 확률이 높고, 근로시간 유연성이 낮았다. 둘째, 맞벌이 부부 특성과 직업 특성이 근로시간 유형간 차이를 설명하는지 살펴본 결과, 남편과 부인의 종사상 지위가 가장 중요한 설명요인이었다. 부부 모두 임금근로자일 때 부부표준시간 유형과 남편장시간비표준-부인비유연 유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부부 모두 임금근로자라 하더라도 부인이 상용직보다 임시·일용직 임금근로자일 때 부부표준시간 유형에 비해 남편장시간비표준-부인비유연 유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남편이 비임금근로자이고 부인이 임금근로자일 때는 남편장시간유연-부인표준시간 유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남편이 임금근로자이고 부인이 자영업자일 때 남편표준시간-부인유연 유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남편과 부인이 모두 비임금근로자일 때는 부부장시간유연 유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는 비임금근로자와 임금근로자의 시간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구성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비임금근로자의 경우 높은 근로시간 유연성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또 하나 주목해야 할 설명요인은 막내자녀 연령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무자녀나 막내자녀가 만 13세 이상일 때보다 만 6세 이하일 때, 부인의 근로시간 유연성이 낮은 부부표준시간 유형이나 남편장시간유연-부인표준시간 유형에 비해 남편표준시간-부인유연 유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 연구에서 남편표준시간-부인유연 유형은 부인이 종사상 지위가 자영업자일 때 속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는 미취학 자녀를 둔 부인의 경우 자영업을 선택함으로써 높은 근로시간 유연성을 추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남편표준시간-부인유연 유형에 속하는 부인들이 종사상 지위가 자영업자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은 여성들이 일과 생활의 균형을 위해 근로시간 유연성이 높은 직업을 추구하지만, 선택할 수 있는 일자리가 제한적임을 보여주기도 한다. 셋째, 맞벌이 부부의 근로시간 유형에 따라 남편과 부인의 일·생활 균형에도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남편표준시간-부인유연 유형에 속한 부부는 시간 부족과 일·생활 불균형을 낮게 지각하고 있어, 일·생활 균형이 높았다. 이 유형은 남편과 부인 모두의 근로시간이 유형 중에서 짧은 편이고, 부인의 근로시간 유연성이 높았다. 이를 통해 볼 때, 남편과 부인의 짧은 근로시간과 더불어 부인의 높은 근로시간 유연성은 부부의 일과 생활의 균형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맞벌이 남편과 부인의 근로시간의 양, 근로시간대, 근로시간 유연성에 기초해 부부 단위에서 근로시간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유형화 방식으로 포착하였다. 이를 통해, 맞벌이 부부의 근로시간이라는 다차원적 속성을 입체적으로 탐색했다는 의의가 있다. 나아가 근로시간 유형에 따른 일·생활 균형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맞벌이 부부를 위한 가족정책 및 노동정책이 부부의 근로시간 특성의 다양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types of dual-earner couples’ work arrangements with a focus on the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work time such as work hours, schedules, and flexibility.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dual-earner husbands’ and wives’ work arrangements at a couple level. It also sough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work arrangements and work-life balance. The dataset used in the study was Wave 17 (2014) of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KLIPS), a large representative survey conducted yearly since 1998. Wave 17 includes an additional survey on time use and quality of life, which provides information about respondents’ start time and end time of work and work schedule flexibility. In this research, dual-earner couples were operationalized as married couples who lived in the same household, had co-resident unmarried children or no children, and worked as paid workers, self-employed workers, or unpaid family workers. Both partners had to be 60 years old or younger to be included in the subsample, which was 1,150 dual-earner couples. This research used a latent class model to develop a typology of dual-earner couples based on multidimensional working time characteristics and a 3-step approach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explain the differences of each type. It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dual earner couples and work-life balance. This study used five indicators to construct the typology: (a) the hours each partner worked per week on average, (b) the percentage of the hours each partner worked after standard work hours—between 6 p.m. and 6 a.m., (c) whether each partner worked on holidays or not, (d) the level of autonomy that each partner had in determining the number of working hours, and (e) whether each partner could change the start and end time of work. There were several key findings in this study. First, work statu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explained the differences among the various types of work arrangements. Dual-earner couples’ work arrangement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a) Type 1: couples working full-time with standard schedules; (b) Type 2: husbands working long hours with flexibility and wives working full-time, standard schedules; (c) Type 3: both partners working long hours with flexibility; (d) Type 4: husbands working full-time with standard schedules and wives working full-time with flexibility; and (e) Type 5: husbands working long hours with nonstandard schedules and wives with rigid work schedules. Type 1, Couples working full-time with standard schedules (53.90%), represents dual-earner couples who have typical work schedules. Both partners worked for over 40 hours per week, but the average work hours were shorter than other types. They worked standard work schedules and had rigid work time arrangements. When both partners were paid workers, they were more likely to be classified as Type 1. Type 2, Husbands working long hours with flexibility and wives working full-time, standard schedules (16.26%) represents the husband having a very flexible work arrangements. The husbands worked over 50 hours and had a higher probability of working within a nonstandard schedule. The wives’ work time characteristics were similar to those of Type 1. When the husband was a self-employed worker and the wife was a paid worker, they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ype 2. Type 3, Couples working long hours with flexibility (13.57%) is characterized by both partners working long hours with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working nonstandard schedules and having higher levels of working time flexibility. Couple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ype 3 when the husband was a self-employed worker and the wife was an unpaid family worker. Type 4, Husbands working full-time with standard schedules and wives working full-time with flexibility (12.09%), represents wives with high work time flexibility. Wives worked 42.08 hours per week, on average. The proportion of working nonstandard schedules was relatively high. Husbands’ work time characteristics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Type 1. Couple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ype 4 when the husband was a paid worker and the wife was a self-employed worker. Couples also had a higher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ype 4 than Type 1 and Type 2 when couples had children under 6 years old. This shows that wives tended to pursue a work-life balance by becoming self-employed workers. This also indicates that women had limited alternatives when they wanted to have flexible schedule jobs. Type 5, Husbands working long hours with nonstandard schedules and wives with a rigid work schedule (4.18%) was characterized by the husband having the longest working hours per week and the highest probability of working nonstandard schedules. Husbands worked over 60 hours per week with nonstandard schedules. The proportion of working in the evening or at night was nearly 50% and the probability of working on holidays was over .7. Husbands’ work time flexibility was low and the wives also had rigid work schedules. The second key finding is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work-life balance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arrangements of the dual-earner couples. Overall, Type 4 couples reported higher levels of work-life balance. They were less likely to perceive a lack of time and perceived a lower work-life imbalance. This suggests that these couples’ relatively short working hours as well as wives’ flexible work schedules helped them maintain a work-life bala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iversity of dual-earner couples’ work time. It also shows that work time flexibility is a key indicator to classify the typology of work arrangements. By identifying the diverse types of work arrangements among dual-earner couple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customized family and labor policies are imperative to support dual-earner couples’ work-life balance.

      • 시간개념을 적용한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움직임'에 의한 미디어 아트 전시공간 계획을 중심으로

        권소영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간이야말로 음악이나 무용, 또는 영화에서보다도 회화나 조각, 건축 등 공간예술에서 미학적으로 더욱 중요하며 따라서 연구할 가치가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확연하게 시간적인 예술에서의 시간이란 너무나 뻔한 것이기 때문에 그것들은 그저 시간이란 침대 위에 누어있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Etienne Souriau- 시간이란 과연 무엇인가? 존재하는 것인가? 이처럼 시간과 공간의 정의에 대한 인간의 의문만큼 가장 기본적이고 어려운 과제는 없을 것이다. 시간을 건축공간 관점에서 본다면, 공간에서 시간에 대한 연구가 인간과 혹은 공간과의 관계를 떠나서 ‘시간’ 그 자체가 무엇인가를 연구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그러므로 중요한 것은 그것이 인간에게 ‘어떻게 체험되는가’그리고 그것이 공간 내에 ‘어떻게 표현될 수 있는가’ 문제로 전환되어야 하는 것이다. 우리는 또한 공간을 통해 시간을 표현 할 수 있고, 체험할 수도 있다. 실내 공간에 있어서의 공간과 시간, 그리고 인간의 문제는 분리되어 논해질 수 없는 문제라는 인식 하에 출발하고자 한다. 시간이 공간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체험될 수 있으며 그것을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사용되어 질 수 있는가를 연구하고자 한다. 즉, 시간 개념의 특성인‘움직임’을 공간에 도입하고자 한다. 건축공간은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사건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사건들은 물리적인 요소로 구축되어진 단순한 환경으로서의 공간일뿐 아니라 시간의 개념을 동반하는 움직임에 의한 체험이다. 따라서 움직임은 인간을 주체로 하여 시간을 구체화시키는 표현 요소이고 각 순간들이 변화하는 형태, 곧 연속의 통일성으로 인식자에 의해 체험되어 진다. 여기서 고려해야 할 것은 움직임은 신체적 이동 ‘물리적 움직임’ 뿐만 아니라 지각적으로 느끼는 ‘시각적 움직임’의 확장도 포함해야 한다. 공간의 실재적 흐름은 체험자의 움직임에 의해 생겨나지만 시각흐름은 실제적 움직임을 의도할 수 있고 공간의 흐름을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공간예술에서의 시간은 어떻게 연류 되어 있는가를 고찰하고 공간에서의 시간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공간에서의 시간 개념에 주의를 기울여 봄으로서 실내공간 디자인 창작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는데 일조를 가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시간개념을 체험하고 표현하는데 있어서 시간개념의 특성인 ‘움직임’을 공간에 적용해 구체적인 디자인 표현 방법을 모색해 공간의 주체자인 인간과 교감할 수 있는 공간을 계획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설정하고 연구의 방법과 범위를 한정한다. 둘째, 2장에서는 기존의 문헌고찰을 통해 시간의 기본적 의미 관련이론과 공간에서의 시간개념을 살펴본다. 셋째, 3장에서는 공간디자인에 있어서 시간개념을 적용하는데 구체적 접근 방법으로‘움직임’으로서 공간에서 나타난 표현 특성에 대해 사례분석하고 종합하여 미디어 아트 전시공간에 적용가능한 시간 표현특성을 도출한다. 넷째, 4장에서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근거해 실내공간에 있어서 시간개념의 특성인‘움직임’을 적용한 미디어 아트 전시공간을 계획한다. 다섯째, 5장에서는 연구 내용을 종합해 결론을 맺도록 한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디자인에서 시간개념을 ‘움직임’의 특성으로 공간에 적용해 시간을 체험과 표현할 수 있다. 움직임 유형별로는 ① 건축물 자체는 움직이지 않으나 인간의 움직임과 연관되어, 시각적으로 움직임을 연상시키는 ‘상대적 움직임’의 측면, ② 간접적인 방법으로서 움직임의 요소를 잠재하고 있거나 은유적인 방법으로 표현하는 ‘가상적 움직임’의 측면 ③ 건축공간에서 전체 혹은 부분이 실제로 움직이거나 작동, 변화하는 ‘실제적 움직임’을 도입한 측면으로 구분되어 진다. 둘째, 시간개념의 성격에 따라 감상수단으로서의 시간(space-time)과 창작 대상으로서의 시간(Time)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① 감상수단으로서의 시간은 공간을 파악하는데 걸리는 관찰자에 의해 달라지는 주관적 시간으로 시간을 ‘체험’으로서 인식하였다. ② 창작대상으로서의 시간은 관찰자가 움직이지 않더라도 개입되는 시간으로 시간을 ‘표현’요소로 나타냈다. 셋째, 움직임 특성별로는 ① 감상수단으로서의 시간을 적용한 공간은 주로‘상대적 움직임’의 측면으로 시퀀스적인 동선에 의한 연속적인 공간을 표현하였다. ② 창작대상으로서의 시간을 적용한 공간에서는 ‘가상적 움직임’과‘실제적 움직임’의 측면으로 먼저 ‘가상적 움직임’의 측면은 이미지 변화에 의한 비물질적인 표현으로 나타났고 ‘실제적 움직임’의 측면은 기능적인 가변적 공간구성으로 공간을 표현하였다. 넷째, 공간의 사용자인 인간의 참여에 의한 결과로는 ① 감상수단으로서의 시간 적용한 공간은 인간이 직접 움직임으로서 형태나 공간의 다양한 변화를 느끼게 한다. ② 창작대상으로서의 시간 적용한 공간은 인간의 행동을 유발시켜 다양한 경험과 반응을 일으킨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공간에서의 적용될 수 있는 시간개념을 다음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공간에 적용되는 시간개념의 특성인 ‘움직임’을 한가지 일방적인 방법에 의해서 표현하기보다는 혼합된 양상으로 적용해야 더욱더 다양한 공간을 경험할 수 있다고 본다. 둘째, 상대적 움직임은 자유로운 동선을 유도하는 연속적인 표현으로, 조절적 동선개념을 적용하고 실제적 움직임은 형태와 공간 구성요소의 가변성이 있는 기능적 표현으로 가변적 공간 개념에 적용, 가상적 움직임은 영상매체 이미지 변화에 의한 환영적인 비물질적 표현으로 매체적 이미지 개념에 적용한다. 셋째, 구체적인 공간 연출 유형으로는 시퀀스적 공간연출, 디지털 미디어적 공간연출, 변형적 공간연출로 다변적이고 유동적인 공간으로 비 일상적 체험과 동적 시간을 경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절대적이고 정적이었던 공간개념을 시간개념의 특성인 ‘움직임’을 도입하여 상대적이고 동적인 공간으로 변화시킨 것이라 말할 수 있다. 즉 공간의 차원에서 시간이 개입되면서 공간의 의미를 좀더 다양하고 풍부하게 하였고 일상적인 공간체험을 넘어서는 새로운 공간 창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ime is believed important factor on a space design, aesthetics, painting, architecture & sculpture than music, movie and dancing. So it has a enough value to research. Because time in time-concept art is so known thing, so it's same as lying on a bed. What's a time? Is it real? There is nothing to be as a basic & hard subject like " What is a time and space?". When a time be a subject on an architecture space, time researching in space will be meaningness to research a real time except to discover a relationship between a human and a space. so, it should be changed to research a way how it could be exist in human and how it may be shown in a space. we also can represent a time trough a space and we can feel it. Time, space and human in inner space design must be considered as one related subject. The point of this research be focused on these two things. one is "How a time is represented and is felt in a space" and the other is "how designers express a time within their works. As a result, "mobility" that is considered as a characteristic of a time can be applied to a space design. An architecture space be composed with continuous happenings. Such happenings, not only a plain space be constructed by physical forces, but also a mobility experience which be compromised with a time. So the mobility is the element for an active experience that based on a time and it could be experienced by an attendance who may feel continuous harmony. there is one thing that should be considered. A mobility contains a physical movement that be expressed by the movement of an attendance and also contains a time based movement that be fallen by them. The real flows of space be caused by a spectator's moving route. But a timing flows results an actual activity and control the real flows of a space. The goal of my research is to plan a space where human can sympathize with a space trough a movement that be representative of a time's special feature. The followings are the process and the contents in this study. Chapter 1 It is explained the background and subject of this study and it is confined a method and an extent of study. Chapter 2 Examine references and find out the basic thoughts and the time-concept in spaces. Chapter 3 In a space design, actual approach to a mobility space where express a time and found a time-feature in media art exhibition center. Chapter 4 Actual planning a media art mall based on an idea which be as a result of previous study. Chapter 5 Draw a conclusion trough analyzing a previous contents. The followings are some summary of this study. First, the time-concept be applied to the "mobility" of space and it can be sympathize with it. In "mobility" of space, there are several kinds of "mobility" can be defined. ① "Relative-movement", the exhibition mall, itself can not move, but the movement of viewers cause passing a time. ② "virtual activity" express the elements of movement with an indirect method. ③ The real space schedule to move and change itself, so there is "real activity". Second, refer to the time-concept's feature, a time can be analyzed by two different types. One is a time for an observation way. A time be taken for an experience way which is differed from individuals for understanding a space. The other is a time for an creating way. A time be tacked as a expressed element without any movement of viewers. Third, according to the movement feature, two different concepts be applied to plan a space design. One is that a space being applied to observation way express a continuous place where possess a sequence of mobility line in a "relative mobility" The other is that a space being applied to "virtual movement" express a non-material design with variable images. Additionally, a space being applied to "actual movement" express a variable space composition in functional parts. Forth, as a results of a human's participates that is the real basic of a space design art, ① a space which being applied to an observation way, observers can feel a multiple changed of a space and a shape by real active of viewers. And ② a space which being applied to an creating way, it causes a re-action and a reflection of emotion. The followings are results of this study. One, more variable observation be possible when "mobility" which is main subject of this study be launched on a space with variable approach. Two, "Relative movement" makes a un-formal moving line and cause a active observation line. And a "Actual movement" makes a variable space design concept that emphasis on a functional character. "Virtual movement" causes a non-material expression with a variable image of media arts. Three, with the different types-sequential space design, digital-media space design, variety space design, etc-of a space designing, multilateral space can makes possible which viewers can be apart from normal life cycle and they can gain various experience of a dynamic time. Within this study, a space which be believed in statical and absolute meaning is replaced to a actual and relative place. Trough a time-concept in space design, multiple concepts can be applied to a space design and it causes many possibility of a space design art.

      • Presuppositions and the projection problem : 전제와 전제투사

        권소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박사

        RANK : 247631

        문장의 의미는 크게 단언과 비단언의 의미로 나뉜다. 비단언의 의미는 단언의 의미에 비해서 쉽게 이해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비단언의 의미는 ‘함축된 의미’ 혹은 ‘전제’로 이해된다. 전제는 의미론에 있어서의 중요한 주제들 즉 의미론과 화용론의 상대적 위치, 부정의 문제, 자연 언어와 논리 언어의 관계, 동적 의미론의 필요성 등과 관계가 있어,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전제는 두 가지 관점에 의해 정의된다. 하나는 ‘의미론적 전제’로서, 전제를 이해하려면 청자는 그 전제를 포함하는 문장이 어떠한 조건 아래서 참이 되는지 알아야 한다는 관점이다. 다른 하나는 ‘화용론적 전제’로서, 전제를 포함하는 문장과 그 문장이 발언되는 문맥과의 관계를 근거로 전제를 이해하는 관점이다. 전제 이론에 있어 가장 핵심이 되는 주제는 전제의 투사 문제이다. 전제의 투사 문제는 복합문을 구성하는 성분 문장의 전제들이 어떻게 작용해서 복합문의 전제가 결정 되는지에 관한 이론이다. Langendeon and Savin(1971)이 복합문의 전제의 복잡성을 최초로 제시했다. 이러한 전제의 투사 문제를 해결하려는 이론들 또한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화용론적 해결 방안으로서, 복합문이 발언된 문맥의 적합성을 고려해서 투사 문제를 해결한다. 따라서, 문맥과 전제를 포함하는 문장에 대한 조건들이 제시되는데, 예를 들어, Karttunen(1974)은 ‘만족 조건(satisfaction condition)’을, Gazdar(1979)는 ‘일관성 조건(consistency condition)’을 언급한다. 다른 하나는 역동 의미론에 근거한 해결 방안으로서, 대화가 이루어지면서 정보가 계속 들어오는데, 이때 대화 참여자의 공동 영역(common ground)이 수정된다는 개념을 바탕으로 투사 문제를 해결한다. 동적 의미론에 근거한 전제 투사 연구는 최근에 여러 학자에 의해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Heim(1983), van der Sandt(1990,1991), 그리고 Beaver(1992) 등이 있다. 이들 이론들은 어떤 표현의 의미가 그것과 연결되어 있는 전후의 다른 표현들의 의미와 동적으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어 자연 언어 현상 중의 하나인 전제를 우리의 직관에 보다 더 가깝게 설명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학자들의 전제 투사에 관한 화용론적 또한 역동 의미론적 이론들을 제시하고 몇 가지 복합문장을 통해서 이 이론들을 비교, 비판하여 역동 의미론에 근거한 이론들의 이점을 보이고자 한다. The meaning of a sentence is divided into two parts, namely, the asserted meaning and the non-asserted meaning. The non-asserted meaning is not easily captured in a straightforward way, compared to the asserted meaning. This non-asserted meaning is generally named as ‘presupposition’ or ‘implicature’. The presupposition of a sentence also could be termed as the ‘second meaning’ or the ‘hidden meaning’ of the sentence. In other words, the ‘implicated meaning’ of the sentence. Presupposition has been defined in two ways. One is the semantic presupposition which defines presupposition based on the truth-conditional semantics. That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i.e. the asserted and the non-asserted meanings) of a sentence, the hearer must know under what conditions the sentence is true or false. The other is the pragmatic presupposition which defines presupposition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a sentence and the context in which it is uttered. Compared to the presuppositions of simple sentences, the presuppositions of compound sentences are more complicated. Langendeon and Savin (1971) first mentioned this complexity of presuppositions in compound sentences, calling it the “projection problem of presuppositions”. The projection problem deals with the problem of how the presuppositions of a complex expression are determined compositionally as a function from those of its sub-expressions. The theories that have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jection problem are roughly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the pragmatic solution and the other is the dynamic solution. As for the pragmatic solution, various theories have been proposed. These theories consider the presuppositions of compound sentences to decide the felicity of the contexts in which the compound sentences are uttered. For example, Karttunen (1974) explains the presuppositions of compound sentences with the ‘satisfaction condition’ and Gazdar (1979), with the ‘consistency condition’. Compared to this, the dynamic solution, which is based on dynamic semantics, accounts for the projection problem in term of the concept of updating the common ground. The Context Change Potential (CCP) theory of Heim (1983)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dynamic theories of presuppositions and the projection problem. This thesis will compare these two groups of theories of the projection problem, and will show the advantages of the theories based on dynamic seman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