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관련 지식, 감염관리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가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권미경 창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The Effect of Knowledge related to COVID-19,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and Job stress of Nurse in Emergency Department on the Nursing Performance Kwon, Mi-kyung Dept. of Nursing Graduate School, Changshin University (Directed by prof. Je Nam-joo, ph.D., RN)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effects of related knowledge to COVID-19,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nd job stress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due to COVID-19 on nursing performance, to improve emergency department nurses' ability to cope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and to prepare basic data for effective nursing work. This study was collected data from August, 10 until September, 10, 2021, for 165 emergency department nurses in 26 hospitals, which were located in G province and designated as regional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s, and total 150 copies were finally analyzed. This study used various tools. For the first, the tool of knowledge related to COVID-19 developed by Kim Sang-ok (2021), and made a use the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developed by Yoon Sara (2020) as an another equipment. This study also took advantage of the job stress tool developed by Heo Seon (2013), which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model of Jang Hye-min (2018), and the last one developed by Baek Hyeon-ok (2004), which presented nursing performance, but it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later by Kim Yun-hee (200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ucts, age on average was 33.3, and age between 30 and 39(43.3%) was the highest of them in number. 85.3% was female By gender, and the subjects without religion were 75.3%, unmarried 63.3%, and those with cohabitation 71.3%. The average total of job career was 8.12 years, with more than 10 years accounting for 29.3%, and the average emergency department experience was 4.7 years with less than 2 years accounting for 32.7% of the cases. As for the official position, general nurses accounted for 78.0%, and shift workers accounted for 79.3% of the work type. In the infection control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training sessions related to infectious disease was 1~2 times, which was the most at 51.3%, and the number of training sessions to wear protective gear related to infectious diseases was 1~2 times. And subjects who had no experience of caring for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were 58.0%, the subjects who had no experience of caring for patients with confirmed or suspected MERS were the most at 86.7%. 2. The subjects’ related knowledge to COVID-19 averaged 19.0 points (out of 25), and the rate of correct answers was 76% in them.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veraged 48.57 points (out of 52 points), job stress averaged 109.77 points (out of 160 points), and nursing performance averaged 133.06 points (out of 175 points). 3. The study result from analyzing the differneces of age (F=6.95, p=.001), gender (t=-2.98, p=.003), marital status (t=-2.50, p=.013), total experience (F=5.37, p=0.02), experience in emergency department (F=2.81, p=.042) was significant, depending on related knowledge to COVID-19,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job 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here were crucial differences according to work type (t=-3.52, p=.001), and previous nursing experience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t=4.10, p<.001).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t=-2.04, p=.045) and nursing experience for a emerging infectious disease (t=1.98, p=.050).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tress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t= -2.08, p=.039), and nurs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total experience in nursing performance (F=3.65, p=.014), experience in emergency department (F=2.94, p=.035), type of work (t=-3.46, p=.001). Above all, there exists a statistically important difference. 4.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s related knowledge to COVID-19,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job 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nursing job performance related to the knowledge of COVID-19 (r=.18, p=.031),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r=.29, p<.001), job stress (r=.28, p=.001). 5. The variables affecting the subject's nursing performance by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hierarchical selection method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4.37, p<.001).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variable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nursing performance was the type of work (β=.20, p=.031),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8.8% the second place. The more frequently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was done (β=.26, p=.001) and the higher job stress (β=.21, p=.008) had an effect on nursing performance, and the explanation power was 18.4%.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job stress, and non-shift work had an effect on nursing performance. It was thought that various plans to protect them, reduced tasks to efficiently perform and the nursing ability to cope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 should be prepared to improve and reduce the job stress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Key words: Nursing performance, infection control, emergency department, job stress, COVID-19 국 문 요 약 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관련 지식, 감염관리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가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권미경 창신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지도교수: 제남주)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관련 지식, 감염관리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가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신종감염병 대처능력 향상 및 효율적인 간호업무수행을 위해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는 G도 소재의 지역응급의료기관 및 센터로 지정된 병원 26곳의 응급실 간호사 165명을 대상으로 2021년 8월 10일부터 9월 1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150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COVID-19 관련 지식은 김상옥(2021)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감염관리수행은 윤사라(2020)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는 허선(2013)이 개발하고 장혜민(2018)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간호업무수행은 백현옥(2004)이 개발한 도구를 김윤희(2007)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은 평균 33.3세이었고, 30∼39세가 43.3%로 가장 많았다. 성별은 85.3%가 여성이었고, 종교는 없는 대상자가 75.3%, 미혼이 63.3%, 동거인이 있는 대상자가 71.3%로 가장 많았다. 총경력은 평균 8.12년으로 10년 이상인 경우가 29.3%로 가장 많았고, 응급실경력은 평균 4.7년으로 2년 미만인 경우가 32.7%로 가장 많았으며,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78.0%, 근무형태는 교대 근무자가 79.3%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감염관리 특성 중 감염병 관련 교육 횟수는 1∼2회가 51.3%로 가장 많았고, 감염병 관련 보호구 착용 교육 횟수는 1∼2회가 50.7%, 신종감염병 환자를 간호한 경험이 없는 대상자가 58.0%, MERS 확진 및 의심 환자를 간호한 경험이 없는 대상자가 86.7%로 가장 많았다. 2. 대상자의 COVID-19 관련 지식은 평균 19.0점(25점 만점)이었고, 정답률은 76%이었다. 감염관리수행은 평균 48.57점(52점 만점),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109.77점(160점 만점)이었으며, 간호업무수행은 평균 133.06점(175점 만점)이었다. 3.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COVID-19 관련 지식, 감염관리수행, 직무스트레스 및 간호업무수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COVID-19 관련 지식은 연령(F=6.95, p=.001), 성별(t=-2.98, p=.003), 결혼상태(t=-2.50, p=.013), 총경력(F=5.37, p=.002), 응급실경력(F=2.81, p=.042), 근무형태(t=-3.52, p=.001), 이전 신종감염병 간호경험(t=4.10,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감염관리수행은 근무형태(t=-2.04, p=.045), 신종감염병 간호경험(t=1.98, p=.05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직무스트레스는 근무형태에 따라(t=-2.08, p=.039), 간호업무수행은 총경력(F=3.65, p=.014), 응급실경력(F=2.94, p=.035), 근무형태(t=-3.46,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COVID-19 관련 지식, 감염관리수행, 직무스트레스 및 간호업무수행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간호업무수행은 COVID-19 관련 지식(r=.18, p=.031), 감염관리수행(r=.29, p<.001), 직무스트레스(r=.28, p=.001)와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었다. 5. 대상자의 간호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위계적 선택법을 이용한 다중회귀로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4.37, p<.001). 일반적 특성 중 간호업무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근무형태이었으며(β=.20, p=.031), 설명력은 8.8%로 나타났다. 감염관리수행(β=.26, p=.001)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β=.21, p=.008)가 높을수록 간호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쳤으며, 설명력은 18.4%이었다. 본 연구결과 감염관리수행, 직무스트레스, 비교대 근무가 간호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효율적인 간호업무수행과 신종감염병 대처 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주제어 : 간호업무, 감염관리, 응급실, 직무스트레스, COVID-19

      • 안구운동이 경증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

        권미경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안구운동이 경증 치매를 가진 노인의 인지기능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총 30명으로 안구운동을 중재한 실험군 15명과 안구운동을 중재하지 않은 대조군 15명이었다. 중재기간은 4주 간, 주 3일, 하루에 20분 동안 중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18.0 버전을 사용하였으며, 그룹 내 중재 전∙후 비교를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고, 그룹 간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그룹 내 중재 전∙후 비교에서 인지기능 및 균형은 실험군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그룹 간 비교에서 인지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지만(p>0.05), 균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결론적으로 안구운동은 경증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의 유지와 균형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ye movement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in the elderly patients with mild dementia. A total of 30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xperience group 15 subjects with eye movement training and control group 15 subjects without eye movement training). Intervention was performed 20 minutes a day, three times a week for 4 weeks. Data analysi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18.0 version and paired T-test was used for a compariso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each groups and independent T-test was used for a comparison between two groups. The study results were that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e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only in the experience group in the compariso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each groups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gnitive function between the two groups (p>0.05),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alance(p<0.05). In conclusion, eye movement training were effective in maintaining the cognitive function and improving the balance of elderly patients with mild dementia.

      •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문화디지털콘텐츠 특성이 콘텐츠몰입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권미경 서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perties of cultural digital contents on content flow and content loyalty in mobile devices. To this end, this study was broadly divided into content property and flow, content property and loyalty and content flow and loyalt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at effects these factors would have on each other. To achieve the aforementioned objective, the literature study and empirical study were performed in parallel. First, the theoretical basis and research task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study in relation to mobile devices, digital contents, flow and loyalty.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250 men and women.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utilizing SPSS for window 18.0. The properties of digital contents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8 factors through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se 8 digital content property factor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T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se 8 digital content property factors on flow and loyalty, which were the parameter and dependent variable, respectively.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or flow while experiencing digital contents was ‘personality’ while the most important property for making users reuse digital contents was ‘informativeness’. Moreover, it was verified that content flow with such digital content factors was an important factor for increasing the loyalty of digital contents. This study identified and verified the most influential property of digital contents in mobile devices that had continued to evolve in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convergence era. Furthermore, this study also identified the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content properties, content flow and loyalty. This study will make it possible to predict new digital business content models in the Korean digital content industry. Also,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ompetitive cultural digital contents. 본 연구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문화디지털콘텐츠의 특성이 콘텐츠몰입과 콘텐츠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연구를 크게 콘텐츠 특성과 몰입, 콘텐츠 특성과 충성도, 콘텐츠 몰입과 충성도로 구분하고 이들 세 가지 상호작용 요인들이 모두 디지털콘텐츠 몰입과 콘텐츠 충성도에 각각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 디지털콘텐츠, 몰입, 충성도에 관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이론적 기초 및 연구 과제를 수립하였으며, 디지털 콘텐츠의 특성을 찾았다. 이 연구를 위해 남, 여를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for window 18.0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와 신뢰도 분석결과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의 특성을 총 8개 요인으로 차원화 하였으며, 도출된 8개의 디지털 콘텐츠 특성요인을 독립변수로 두고 매개변수인 몰입과 종속변수인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을 통해 이용자가 디지털 콘텐츠를 경험하면서 몰입을 할 수 있는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는‘개인성’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재이용 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디지털 콘텐츠 특성은‘정보성’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 요인들과 콘텐츠 몰입이 디지털 콘텐츠의 충성도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요소임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디지털 융합시대에서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지털콘텐츠의 가장 영향력 있는 특성을 파악하여 검증하고, 디지털 콘텐츠 특성과 콘텐츠 몰입과 충성도 간의 긍정적인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이는 우리나라의 디지털콘텐츠 산업에 있어서 새로운 디지털 비즈니스 콘텐츠 모델을 예측가능하게 하고, 경쟁력 있는 디지털콘텐츠를 분석·설계·개발·구현 하는데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한다.

      • 차이와 차별 : 한국 근현대 사치 소비의 문화사

        권미경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의 약 100년간의 한국 근현대사의 흐름 속에서 진행된 사치 소비의 문화사 구성과 그 의미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식민지, 전쟁, 산업화 등 한국 근현대사의 중요 지점들을 통과하며 형성된 식민성, 근대성, 민족주의, 물질주의, 국가주의, 성차별 등과 연동하며 진행된 사치 소비의 역사와 문화를 제시하는 과정에서 정치성은 이들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작용했다. 소비대중의 사치 소비는 오랜 기간 동안 통제의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이는 차이와 차별로 압축될 수도 있다. 차이에 대한 욕망이 사치 소비의 전개를 이끌었고, 그 반대편에서는 사치 소비를 향한 부정적 담론의 형성과 작용이 국가와 민족이라는 대의적 명분을 바탕으로 한 암묵적인 사회적 규율로 확장됨에 따라, 사회 구성원 간의 상호 간섭과 차별을 양산했기 때문이다. 개인의 일상을 구성하고 삶의 양식을 규정짓는 소비에 권력이 개입함으로써 미시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때 일상의 정치화는 이루어지며, 이는 문화연구의 영역으로 포섭된다. 이로써 본 연구는 문화연구인 동시에 문화의 정치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따라서 문화정치학이라는 연구의 틀에 근거한 해석이 시도됐다. 인류 문화의 보편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는 사치 소비가 근현대 한국의 사회문화적 조건의 토양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전개됐는지, 국가의 통제 및 차별적 비난 담론에 대한 동의, 일탈, 타협의 실천이 구성하고 있는 역학관계를 그려내고자 했다. 사실 급속 경제 성장을 이룬 한국 사회에서 대중의 사치 소비란 최근에 와서야 보편적으로 가능해진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해방 직후 최빈국 중의 하나였던 신생국 한국은 산업화를 거치며 조금씩 생활이 나아지기 시작했으며, 소비사회가 형성되기 시작한 시점은 대체로 1980년대 후반 이후로 파악되기 때문이다. 또한 세계적인 흐름에서는, 오늘날 전 세계의 사치품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서구 명품 산업이 1980년대부터 중산층을 대상으로 한 대중적 판매 전략을 수립 및 시행한 것과도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전의 일제강점기에도, 해방 후의 절대적 빈곤 속에서도, 전쟁 중에도 대중의 사치 소비는 존재했으며, 필수품과 사치품의 구분이 모호한 가운데 소비를 통제하는 국가의 권력 및 비난 담론의 작동을 야기했다. 국가의 사치 소비 통제는 제도적으로는 전통적인 방식인 금지법과 세금 인상을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수입된 고급 소비재가 사치품의 대다수를 구성했기 때문에 사치품의 수입 금지도 중요했다. 일제강점기에 시행된 수입 제한, 수입 사치품 관세 인상, 사치품의 제조와 판매 금지령 등과 같은 통제 조치는 해방 이후의 한국 정부에서도 비슷한 방식으로 이어지다가, 냉전의 종식, 세계화, 신자유주의의 세계적 흐름과 영향 속에서 점차 와해되어 갔다. 특히 IMF 이후 신자유주의가 정부의 경제 노선으로 채택됨에 따라 통제가 아닌 자유, 절약이 아닌 소비에 방점이 찍혔으며, 사치 소비에 대한 규제 또한 사실상 폐기된 것과 다름없다. 그러나 오랜 기간 동안 작용했던 사치 소비에 대한 부정적 낙인과 그 효과는 오늘날까지도 낮은 수준에서 진행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과거에 지속적으로 전개된 제도적 통제와 비난 담론으로 인해 생산된 문화적 부산물로서, 사치 소비에 대한 부정과 선망의 모순적 공존, 사치하는 여성에 대한 차별적 시선과 같은 것이다. 본 연구는 통제와 차별에 대한 대응이라는 역학관계 속에서 근대성, 민족, 애국, 젠더 등과 같은 근현대 한국을 설명하는 데 있어 중요한 문화적 개념들이 역사적으로 사치 소비와 관계를 맺는 과정을 추적했다. 이를 위해 Ⅲ장에서는 근대성의 기표로 소비된 사치품이 등장한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시대적 변화에 따라 확장되는 대중적 사치 소비와 국가의 개입을 순차적으로 기술하고, Ⅳ장에서는 통제에 동원된 사치 비난의 수사학에서 두드러진 정치성, 즉 민족주의 및 국가주의의 작용과 여성에 대한 차별적 시선의 권력 및 이에 대한 동의와 일탈의 상호작용이 만들어 내는 현상을 실제적 사례와 함께 제시했다. 지금까지의 사치 소비 연구의 문화적 해석의 주류가 주로 명품 소비와 관련한 체면의식, 눈치, 집단주의에 따른 몰개성, 과시욕, 신분 상승욕 등과 같은 '한국적' 특징으로 설명되었는데,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와 독재정권을 거치며 형성된 강력한 수직적 통제 문화 속에서 개인의 사적인 영역에 침투한 정치력, 이를 가능하게 만든 한국의 정치경제적 상황, 이로써 근대성, 민족, 애국, 젠더 등의 요소와 결합하게 된 사치 소비에 대한 역사적 맥락에서의 문화적 해석을 시도함으로써 연구의 지평을 시공간적으로 넓힌 데 의의가 있다. 즉 기존의 연구가 사치 소비에 대한 문제화라면, 본 연구는 사치 소비에 대한 문제화에 대한 문제화라고 할 수 있다. 많은 문화권에서 부정적으로 간주된 사치가, 한국 근현대의 경우 어떤 맥락과 의도에서 부정적 자질을 획득했고 동시에 선망의 대상이 되었는지, 그리고 여성이 어떻게 사치 소비의 주체로 형상화되었는지, 그 과정을 복원한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어떠한 방식으로든 사치를 추구하는 인류 보편적 행위는 권력으로 절대 통제될 수 없음을 입증하는 하나의 역사적 사례를 더했다고 할 수 있겠다. 나아가 본 연구는 현시대의 결정적 조건인 소비 자본주의의 풍토에서, 추구해야할 삶의 양식이자 목표가 되어버린 사치 소비라는 긴요한 주제를 통해 근현대 한국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s and effects of luxury consumption in modern Korea(from the 1920s to the present). In presenting a cultural history of luxury consumption that has progressed in conjunction with the ideas such as coloniality, modernity, nationalism, materialism, statism, and sexism, politics was found to be an element pervading all of them. This stems from the fact that the public's luxury consumption had long been the subject of control. We may summarize this as difference and discrimination. The desire to be different has led the development of luxury consumption, while, on the other side, the formation and effect of a negative discourse against luxury consumption have expanded to become an implicit social norm producing mutual interference and discrimination among members of the society. As consumption is a component of an individual's daily life that defines their life style, when power intervenes with it and exercises microscopic influence, daily life becomes politicized, which is a matter belonging in the realm of cultural studies. Thus, while this study is a cultural study, it also focuses on the cultural politics; accordingly, it has attempted an interpretation based on cultural politics as a frame of study. We examine the progression of luxury consumption, a universal phenomenon in human culture, in the context of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of modern Korea, portraying the dynamics between the practices of consent, deviation, and negotiation in response to state control and discriminatory discourse of criticism. In reality, because Korea has achieved rapid economic growth, the public's luxury consumption is a phenomenon that has only recently become universally possible in the Korean society. A newly emerging nation after its liberation from Japan and one of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in the world at the time, Korea passed through a period of developmental dictatorship, the quality of life beginning to improve gradually, and the formation of a consumer society is understood to be, by and large, not until the late 1980s and onwards. In terms of the world situation, we may say that this is also in line with the fact that it was in the 1980s that the Western luxury industry, dominating the world's luxury market today, established and began to implement a mass sales strategy geared toward the middle class. However, even during the previous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during the era of scarcity after liberation, and during the war, luxury consumption has always existed, which led to state power exercising control over it as well as the initiation of a discourse of criticism. The state power's control over luxury consumption was carried out in the traditional form of sumptuary law and tax increase. An import ban on luxury items was also crucial, as imported high-end goods comprised the majority of luxury items. Control measures on luxury consumption enact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such as the regulation on production and sales of luxury items, tariff increase on luxury items, item-specific tax, and import restrictions, continued under the post-liberation Korean government in a similar manner, gradually disintegrating amidst changes in the world situation – the termination of the Cold War, globalization, and neoliberalism – and the ensuing effects. However, the long-standing negative stigma on luxury consumption and the ensuing effect are even today operating at a low level. Examples of this are products of institutional control and the discourse of criticism that were continuously at work in the past: the contradictory coexistence of both repudiation of and desire for luxury consumption as a cultural byproduct and the discriminatory view towards women who indulge in luxury. This study traces the historical relationship – within the dynamics formed by reaction to control and discrimination – between luxury consumption and cultural concepts crucial in explaining modern Korea, such as modernity, nationalism, patriotism, and gender. For this, Chapter III gives a chronological account of popular luxury consumption and the state's intervention that have been developing in accordance with historical changes, starting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when luxury items first emerged as the signifier of modernity, until today. Chapter IV presents, along with actual case examples, the politics prominent in the rhetoric criticizing luxury mobilized for control, i.e., the effect of nationalism and statism and the phenomenon created by interaction between the power of the discriminatory view towards women and consent or deviation in response to it. The majority of cultural interpretations in luxury consumption studies until now are mainly accounted for by "Korean” elements with respect to consumption of luxury products, such as maintaining one's face, being conscious of others' eyes, deindividuation due to groupism, the desire to show off, and the desire for a higher social statu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s,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a cultural interpretation of the political power that has come to penetrate an individual's personal realm and the reaction of the people to it. This attempt has also broadened the scope of study both temporally and spatially. In other words, if existing studies were problematization of luxury consumption, we may say that this study problematizes the problematization of luxury consumption. Luxury consumption has been considered negative in many cultures, and this study focuses on what kind of context and motives, in the case of modern Korean society, were involved in luxury consumption acquiring negative qualities and, at the same time, becoming an object of desire, as well as how women came to be depicted as agents of luxury consumption. We may say that, in doing so, this study has also become a historical example verifying that the universal human behavior of seeking luxury in one form or another can under no circumstances be controlled by power. Furthermore, this study may be used to examine historical changes in modern Korea through the crucial topic of luxury consumption, which has become a style and goal of life to be sought after in a consumer capitalist environment, a critical indicator of the current age.

      • 초등학교 보건교육의 능력기반 교수학습환경 효과분석

        권미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초등학교 보건수업에서 능력기반 교수학습환경이 학습자의 보건 핵심 구성능력 및 포괄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는 ‘초등학교 보건교육의 능력기반 교수학습환경은 초등학생의 보건 핵심 구성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와 ‘초등학교 보건교육의 능력기반 교수학습환경은 초등학생의 보건 포괄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내용 및 절차는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초등학교 보건교육에서 건강문제해결력 형성을 위한 교수학습의 필요성을 밝히고, 이를 도모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으로써 보건교육에 적합한 구성주의 교수학습환경을 구축하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둘째, 체제 접근에 의한 구성주의 교수학습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능력기반 교수학습의 가능성을 검토해본 후, 실제 문제기반학습 전략을 적용한 능력기반 교수학습환경 설계 방안을 모색하고, 최종적으로 능력기반 교수학습환경 모형을 도출하였다. 셋째, 도출한 모형을 토대로 수업을 설계하고,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사전 동질성을 검증한 후, 실험집단은 능력기반 교수학습환경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은 일반 강의식 교수학습을 적용하여 8차시 수업을 진행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on the improvement of learners' health core component competencies and comprehensive competencies in elementary school health class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Is the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health education effective in improving the core health component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s the competency-based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health education effective in improving the health comprehensive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was. Research contents and procedures for solving research problems can be organiz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e necessity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the formation of health problem solving ability in elementary school health education was revealed, and as a specific strategy to promote it,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suitable for health education was explored. Second, after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to build a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a systems approach, a method for designing a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applying actual problem-based learning strategies is sought, and finally,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model was derived. Third, after designing a class based on the derived model and verifying the prior homogeneity of the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the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control group applied general lecture-style instruction the clas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core component competenci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health education was applied and the control group to which general lecture-style classes were applied.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each sub-area of the health core component competenci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comprehensive competencies between groups.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y sub-area of comprehensive competencies, there was a ver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sign and execution ability,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vergence ability. Two conclusions could be drawn based on the study results. First, it can be said that the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in elementary school health education is effective in forming learners' health core component competencies. In particular, it is interpret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health core component competencies is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application of the sub-domain principle. Second, it can be said that the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in elementary school health educa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learners' health comprehensive competencies. Here, it is interpret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comprehensive competencies is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design and execution ability and the convergence ability. From the above, it can be said that the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health education i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learners' health core component competencies and health comprehensive competencies. However, since the experiment period is short-to-mid-term and is a study for a limited number of units and learners, a more mid-to-long-term approach and follow-up studies to verify the effect of applying it to various units and learners are needed. In addition, development and research on unstructured learning tasks that can derive various solutions for learners should be sufficiently conducted.

      • Anthony Browne 그림동화를 활용한 유아음악 감상지도방안 : 만 5세 유아를 중심으로

        권미경 예원예술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에게 효과적인 음악 감상 방법에 대해 모색하던 중 유아들에게 친근하며 유아교육현장과 유아들의 실생활에서 자주 활용되고 있는 Anthony Browne 그림동화를 활용한 음악 감상을 위한 지도방안을 구성하여 현장에 있는 유아교사들에게 바람직한 음악 감상 활동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과 의의가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Anthony Browne 그림동화를 활용한 유아음악 감상지도방안은 무엇인가? 1) Anthony Browne 그림동화를 활용한 유아음악 감상지도방안의 목적과 목표는 무엇으로 설정할 것인가? 2) Anthony Browne 그림동화를 활용한 유아음악 감상지도방안의 내용은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3) Anthony Browne 그림동화를 활용한 유아음악 감상지도방안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떻게 조직할 것인가? 4) Anthony Browne 그림동화를 활용한 유아음악 감상지도방안의 평가는 어떻게 할 것인가? 본 연구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한 준비단계로 써 유아음악 감상지도와 관련하여 유아들과의 효과적인 음악 감상을 위한 지도방안 및 활동방법, 그리고 Anthony Browne 그림동화와 관련한 자료와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기초로 본 지도방안의 목적과 목표를 유아의 생각과 감정을 언어, 몸짓, 표정, 창작활동 등의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 표현하고 더 나아가 유아들로 하여금 음악을 귀 기울여 듣게 하고 음악을 즐기도록 하는데 두었으며, 내용을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한 방법으로는 말 리듬하기, 노래 부르기, 신체 표현하기, 창작하기, 음악 감상하기, 스토리텔링하기 등의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교수-학습방법으로는 교수전략, 활동형태, 교사역할로 나누어 구성하였으며, 평가로는 진단평가, 형성평가, 포트폴리오 작성의 방법으로 제시 하였다. 본 지도방안의 활용을 통해 기대되는 교육적 효과는 비록 타당한 수준의 실험 검증을 거치지는 않았으나 다음과 같이 요약하여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본 지도방안은 음악과 그림동화를 접목하여 유아들이 음악을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단순한 음악 감상 활동에서 벗어나 이야기의 내용을 통합적인 음악활동(노래 부르기, 말 리듬하기, 신체 표현, 악기연주, 음악 창작하기)을 통해 제시하였고, 이로 인해 유아들의 음악성이 향상되고 능동적으로 음악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본 지도방안에서 주로 활용한 방법은 동화의 이야기 즉, 주제에 맞춰 자신의 생각을 신체로 표현하는 신체표현 활동과 말 리듬이나 주제 멜로디에 가사를 창작하여 넣은 창작활동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유아들의 자신감과 표현력, 창의력이 향상 될 것이라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토대로 단순히 배경음악으로 막연하게 듣게 하는 수동적인 음악 감상 활동에서 벗어나 유아들 수준에서 음악을 즐길 뿐만 아니라 음악을 이해하며 지각하고 반응함으로써 심미감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유아와 교사 모두를 위한 더욱 더 효과적인 유아음악 감상지도방안이 모색되기를 기대해 본다.

      •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요양원장의 자기희생적 리더십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권미경 중부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장기요양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조사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서비스 질 사이에서 요양원장의 리더십이 매개변수로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에서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는데 설문기간은 2022년 1월이고, 총 800부를 배포하였으며, 이중 457부가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배포한 설문부수에 비하여 수거된 설문부수가 적은 것은 코로나19로 인하여 설문진행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자료분석은 빈도분석을 통하여 설문에 응답했던 요양보호사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았고, 독립변수에 따라서 t분석과 F검증을 통하여 직무스트레스, 리더십, 그리고 서비스 질의 평균분석을 실행하였다. 또한 리더십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자료의 정규성 검증을 우선 실시하였고, 경로분석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사항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평균비교 결과이다. 61세 이상의 요양보호사가 50 이하의 요양보호사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높았고, 건강하지 못한 요양보호사보다 건강한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근무기간이 4년 초과부터 6년 이하의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사항에 따른 서비스 질의 평균비교 결과이다. 50세 이하의 요양보호사 집단 서비스 질이 61세 이상의 서비스 질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월수입이 251만원 이상 받는 집단이 200만원 이하의 월수입인 집단보다 서비스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한 집단이 건강하지 못한 집단보다 서비스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사항에 따른 장기요양기관장의 리더십 평균비교 결과이다. 50대 이하의 집단이 51세부터 60대 이하의 집단보다 요양원장의 리더십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를 하고 있었고, 251만원 이상의 급여를 받는 집단이, 200만원 이하의 급여를 받는 집단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건강하다고 응답한 집단이 건강하지 못하다고 응답한 집단보다 기관장의 리더십에 대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었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제공되는 서비스 질 사이에서 리더십이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지 분석한 결과이다. 직무스트레스, 서비스 질 그리고 리더십 등 세 개의 잠재변수를 경로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변수와 리더십 변수 사이의 경로계수는 유의하게 도출되었고, 리더십와 서비스 질의 경로계수도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경로계수와 유의를 분석한 결과 요양보호사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서비스 질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이론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보완책이 필요하다. 요양보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는 장기요양 서비스 질에 악영항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기에 그들의 소진을 극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행정체계 개선과 업무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장기요양기관에 입소하는 노인들 대상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 양성과정부터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하여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장기요양기관장의 리더십과 관련된 연구결과이다. 본 연구에서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서비스 질 사이에서 장기요양기관장의 리더십은 매개효과가 존재한다는 것도 검증되어 다시한번 리더십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장기요양기관장의 리더십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인사관리방안에 도움을 주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 주제어 : 요양보호사, 직무스트레스, 서비스 질, 리더십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직무분석

        권미경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anges of nursing service by analyzing the duties and tasks of integrated nursing and caring services units and general units according to the policy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nursing and care services. Questionnaires for the survey and analysis of nursing duties and tasks were developed using existing nursing task analysis tools and DACUM techniques. Using the developed questionnaire, 220 nurses working in one tertiary hospital and two general hospital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provinces were surveyed. Of these, 115 nurses were working in the integrated nursing and caring services unit, 105 were in the general unit,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in September 2018.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14 nursing duties with 135 nursing tasks. The tasks of nursing care by each duty are as follows. The tasks by nursing duty consisted of 17 tasks of Respiratory and Circulation nursing duty, 18 tasks of Medication and Transfusion nursing duty, 16 tasks of Safety nursing duty, 11 tasks of Clinical Assessment and Monitoring nursing duty, 4 tasks of Nutrition nursing duty, 13 tasks of Elimination nursing duty, 6 tasks of Sanitary Health nursing duty, 5 tasks of Exercise and Activity nursing duty, 8 tasks of Comfort Care nursing duty, 6 tasks of Communication nursing duty, 7 tasks Patient Care and Information Management nursing duty, 8 tasks of Medical Facility and Materials Management duty, 4 tasks of Spiritual Support nursing duty and 12 tasks of Administrative and Management nursing duty. The frequency and the average performance(task) time of each nursing practice were surveyed. The scores of 135 nursing tasks were graded on a 1-5 scale and the perceived self - competency was on a scale of 1-4. In both the tertiary hospital and the general hospital,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scores of the nursing duties of the integrated nursing and caring services unit and the general unit. The self competency scores of the nursing duties of the integrated nursing and caring services unit and the general unit of tertiary hospital and general hospitals were the same at 3.4 ± 0.4 and 3.2 ± 0.4 point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orking hours by nursing duty, Safety nursing duty and Sanitary Health nursing duty work were longer in the integrated nursing and caring services unit of tertiary hospital and general hospitals compared to the general unit, and in general unit, Patient Care and Information Management nursing duty were relatively longer than integrated nursing and caring services unit. Direct nursing time and indirect nursing time decreased in the integrated nursing and caring services unit of Tertiary hospital compared to the general unit, and direct nursing time of the nursing staff and night duty nurses who worked less than one year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direct nursing time increas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nursing and caring services policy, and the working conditions of nurses working with new nurses and night workers were improved.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patient care and to reduce the turnover rate of nurses by continuously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nurses by expanding the integrated nursing and caring services uni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analyze job performance of nurses to evaluate policy effects and to draw up and implement countermeasures.

      • 유튜브의 1인 미디어 콘텐츠 특성이 몰입과 만족도,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개인 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권미경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conducted empirical studies on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one-person media content on viewerʼs flow,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on youtube, the most influential media industry platform. The research demonstrated the most influential characteristics of one- person media content, while verifying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one-person media content and the viewerʼs flow,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 particular, the analysis of user experience using the viewerʼs the inherent factors resulted in key characteristics that improved business competitiveness in producing one-person media contents through the verification of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among personal traits (sensation seeking, need for cognition), flow, and satisfaction variables. For this study, 615 men and women who use one-person media content were surveyed on youtube,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The characteristics of one-person media contents were dimensioned into a total of six factors (ʻinteractivityʼ, ʻcreativityʼ, ʻexpertiseʼ, ʻplayfulnessʼ, ʻcustomizationʼ and ʻadvertisingʼ) through factor analysis results and reliability analysis results. A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the six derived one-person media content characteristics affect viewerʼs flow,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and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they affect content flow and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viewerʼs personal trait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one-person media content, ʻcustomizationʼ, ʻinteractivityʼ, ʻadvertisingʼ and ʻplayfulnessʼ shows that they affect viewerʼs flow, while only ʻplayfulnessʼ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atisfaction. It presents that flow in one-person media content has significant effects on both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and satisfaction also has significant effects on continuous usage. In terms of one-person media content flow,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 traits (sensation seeking, need for cognition) was confirmed by six factors: ʻinteractivityʼ, ʻcreativityʼ, ʻexpertiseʼ, ʻplayfulnessʼ, ʻcustomizationʼ and ʻadvertisingʼ the higher the sensation seeking and need for cognition, the smaller the static influence on flow, the less the need for cognition, and the perception of interrelationships. In terms of viewerʼs satisfaction with one-person media content,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personal traits (sensation seeking, need for cognition)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sensation seeking, the smaller the static influence on satisfaction. In addition, five factors (ʻinteractivityʼ, ʻcreativityʼ, ʻplayfulnessʼ, ʻcustomizationʼ and ʻadvertisingʼ), except ʻexpertiseʼ, have no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sensation see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variables.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need for cognition confirmed that ʻplayfulnessʼ, ʻcustomizationʼ and ʻadvertisingʼ had no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need for cogn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variables, ʻinteractivityʼ, ʻcreativityʼ and ʻexpertiseʼ factors that reduce the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as the need for cognition is higher, and need for cognition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variables were verified. Through the moderating effectiveness verification, we found out the factor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low and satisfaction of one-person media content. This research result greatly helps establish a strategy to improve the viewerʼs continuous usage to use the contents when planning, developing, and producing the contents to creators and new creators who want to enter the one-person media content industry. Furthermor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very useful for the nationʼs economic growth engine as it is a major foundation for creating a new business model in the media content industry. 본 연구는 가장 영향력 있는 미디어산업 플랫폼인 유튜브(YouTube)에서 1인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이 시청자의 콘텐츠 몰입과 만족도,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1인 미디어 콘텐츠의 가장 영향력 있는 특성을 밝힘과 동시에, 1인 미디어 콘텐츠 특성과 시청자의 콘텐츠 몰입, 만족도, 지속적 이용의도 간의 긍정적인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특히, 시청자의 내재적 요인을 활용한 이용경험 분석을 통해 개인 성향(감각추구성향, 인지욕구성향)과 몰입·만족도 변인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 검증을 통해 1인 미디어 콘텐츠 제작 시 비즈니스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주요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유튜브에서 1인 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하는 남, 여 6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와 신뢰도 분석결과를 통해 1인 미디어 콘텐츠 특성을 총 6개 요인으로 차원화 하였으며, ‘소통성’, ‘창의성’, ‘전문성’, ‘유희성’, ‘개인성’, ‘광고성’으로 명명하였다. 도출된 6개의 1인 미디어 콘텐츠 특성 요인들이 시청자의 몰입과 만족도, 지속적 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시청자의 개인 성향에 따라 콘텐츠 몰입과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구조방정식 모형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1인 미디어 콘텐츠 특성 중 ‘개인성’, ‘소통성’, ‘광고성’, ‘유희성’은 시청자의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에는 ‘유희성’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미디어 콘텐츠 몰입은 만족도와 지속적 이용의도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 역시 지속적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청자의 1인 미디어 콘텐츠 몰입에 있어 개인 성향(감각추구성향, 인지욕구성향)에 따른 조절효과는 6개 요인인 ‘소통성’, ‘창의성’, ‘전문성’, ‘유희성’, ‘개인성’, ‘광고성’모두 감각추구성향과 인지욕구성향이 높을수록 몰입에 미치는 정적 영향력이 작아짐을 확인하였으며, 몰입 변인 간 관계에서 감각추구성향과 인지욕구성향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시청자의 1인 미디어 콘텐츠 만족도에 있어 개인 성향(감각추구성향, 인지욕구성향)에 따른 조절효과는 6개의 요인 중 ‘전문성’만이 감각추구성향이 높을수록 만족도에 미치는 정적 영향력이 작아짐을 확인하였고, 만족도 변인 간 관계에서 감각추구성향에 따른 조절효과가 검증되었으나, ‘전문성’을 제외한 5개 요인 ‘소통성’, ‘창의성’, ‘유희성’, ‘개인성’, ‘광고성’은 만족도 변인 간 관계에서 감각추구성향에 따른 조절효과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인지욕구성향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에서는 ‘유희성’, ‘개인성’, ‘광고성’이 만족도 변인 간 관계에서 인지욕구성향에 따른 조절효과가 없음을 확인하였고, 인지욕구 성향이 높을수록 만족도에 미치는 정적 영향력이 작아지는 요인인 ‘소통성’, 부적 영향력이 작아지는 요인인 ‘창의성’과 ‘전문성’을 확인하였으며, 만족도 변인 간 관계에서 인지욕구성향에 따른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조절효과검증을 통해 1인 미디어 콘텐츠 몰입과 만족도에 있어서 개인 성향에 따라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1인 창작자 또는 1인 미디어 콘텐츠 산업분야에 진입하고자 하는 신규 제작자에게 콘텐츠 기획·개발·제작 시 어떤 요인에 집중하여야 시청자의 지속적 이용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 전략을 수립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는 미디어 콘텐츠 산업분야의 신 비즈니스 모델창출에 주요한 기반이 되는 연구로서 국가의 경제 성장 동력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