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에 투입된 간호사 피로도 요인 : 메르스 중심으로

        구효훈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제화의 영향으로 신종감염병의 국내 유입 및 확산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신종감염병 관리가 강조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의료기관에서 늘어나는 감염병 환자간호에 투입된 간호사는 증가된 업무와 감염부담 등에 따른 피로감이 가중되고 있다. 간호사의 피로감 증가는 간호의 질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또 다른 손상을 유발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하므로 수준 높은 간호를 위해서는 피로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신종감염병인 MERS를 직접 경험한 간호사 대상으로 MERS 환자 간호 및 업무 당시 간호사의 피로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증가할 신종감염병 간호 업무의 질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N의료원에 근무한 간호사로, 신종감염병 치료를 위해 환자 직접 간호에 투입된 간호사뿐 아니라 환경 관리팀, 발열 관리팀 및 물품·서류 관리팀에 투입된 간호사 중 MERS 투입 이후 이직하거나 휴직중인 간호사를 제외한 총 160명을 대상으로, 2016년 10월 13일부터 2016년 11월 20일까지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정은 Scheffe’s test, Linear regression, 신뢰도 검정은 Cronbach’s α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피로요인 별 평균 정도 분석 결과 가장 피로정도가 높은 요인은 “복잡한 수행 절차 및 인력부족”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가장 높은 항목은 ‘보호복 착용에 답답하여 피로감을 느꼈다’였으며, 가장 낮은 항목은 ‘(MERS 환자 간호 당시) 수면장애를 느꼈다’였다. 두 번째는 피로가 높은 요인은“새로운 역할 및 요구로 인한 어려움” 요인이었는데 이 요인 중 가장 높은 항목은 ‘자주 변경되는 업무 시스템에 피로감을 느꼈다’였으며, 가장 낮은 항목은 ‘환경 정리 업무에 피로감을 느꼈다’였다. 세번째로는 “감염우려 및 과도한 관심으로 인한 부담”요인으로 나타났는데 가장 높은 항목은 ‘감염병 치유 과정에 따라 바꿔진 의료 환경에 대한 부담감에 피로감을 느꼈다’였으며, 가장 낮은 항목은 ‘집중되는 언론의 관심에 피로감을 느꼈다’였 그 다음으로는 “환자 상태 악화 및 지식부족” 요인이었으며 가장 높은 항목은 ‘새로운 장비 도입에 대한 작동에 대한 두려움에 피로감을 느꼈다’였으며, 가장 낮은 항목은 ‘질병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인해 피로감이 증가됨을 느꼈다’였다. 마지막으로 피로정도를 나타낸 요인은 “불확실한 상황에 따른 갈등 및 지원결여”요인으로 피로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의사가 업무 및 책임을 남에게 전가시킬 때 피로감을 느꼈다’였으며, 가장 낮은 항목은 ‘보호자에게 설명하고 안내하면서 피로감을 느꼈다’였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MERS 관련 특성에 따른 신종감염병 간호에 투입된 간호사의 피로정도를 분석한 결과, 복잡한 수행 절차 및 인력부족요인에서 MERS 당시 직접간호, 물품관리, 기타(행정) 업무에 투입된 간호사가 서류작업에 투입된 간호사보다(F=31.05, p<.001), 근무 부서에서는 외래 간호사가 피로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F=3.84, p=.005) 불확실한 상황에 따른 갈등 및 지원결여요인의 차이 검정 결과, MERS 당시 직접 간호에 투입된 간호사가 서류작업에 투입 간호사보다(F=5.93, p<.001), 근무 경력은 5년에서 10년 이하의 간호사가 10년 이상의 간호사보다(F=4.67, p=.004), 근무 형태는 교대근무자가 피로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F=3.01, p=.003). 환자 상태 악화 및 지식부족 요인의 차이 검정 결과, 연령 중 40대 이상의 간호사 보다 20대 간호사(F=3.66, p=00.28), 성별은 남성(t=3.76, p=.002), 학력은 전문대 졸업 간호사(F=3.13 p= .047), 직위는 일반간호사(F=3.13, p=.047), 근무경력은 3년 이하의 간호사(F=3.00, p=.032), MERS 당시 직무는 직접간호 투입 간호사(F=7.47, p<.001)가 피로 정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새로운 역할 및 요구로 인한 어려움 요인의 차이 검정 결과, 연령은 20대 간호사(F=4.65, p=.011), 근무경력이 5년에서 10년 이하의 간호사(F=3.42, p=.019), MERS 당시 직무 중 기타(행정) 업무를 시행한 간호사가 서류 작업 업무를 시행한 간호사(F=6.32, p<.001)보다 피로정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감염우려 및 과도한 관심으로 인한 부담요인의 차이 검정 결과, 연령 중 30대 간호사가 40대 이상의 간호사(F=3.24, p=.042)보다 피로정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3. 피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MERS 투입당시 직무에서 서류 작업 업무 투입된 간호사가 전체 피로요인에 대한 피로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β=-.349, p=.010). 각 하부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근무부서로는 중환자실 근무 간호사가 복잡한 수행절차 및 인력부족요인에 피로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β=.179, p=.020). MERS 당시 직무 중 서류작업 간호사(β=-.334, p=.018)가 다른 직무에 참여한 간호사 보다, 근무형태 중 비교대 근무자(β=-.194, p=.039)가 교대근무자에 비해 불확실한 상황에 따른 갈등 및 지원결여 요인에 의한 피로도가 낮았다. 환자 상태 악화 및 지식부족 요인요인 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력으로 4년제 대학 졸업 간호사(β=-.296, p=.043)가 피로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역할 및 요구로 인한 어려움요인에 평균근무시간이 길었던 간호사(β=.244, p=.002)가 피로가 높았다. 반면 30대 간호사(β=-.190, p=.027)와 MERS 당시 직무에서는 서류작업 업무 간호사(β=-.327, p=.023)가 피로감이 낮았다. 감염우려 및 과도한 관심 부담요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복잡한 업무 수행 절차 및 인력부족과 관련된 피로가 중요하게 나타난 점에서 인력 충당이나 간호업무 절차를 효율적으로 다시 보완하는 과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으며, 신종감염병 간호에 투입된 간호사들의 피로를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업무개선을 해야 할 자료를 제시한 것이라고 사료된다. 이상에서 나타난 피로요인 및 그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참고로 하여 신종감염병 환자 관리에 적절하게 업무절차를 재정립함과 동시에 신종감염병 간호에 투입된 간호사의 피로 감소를 도울 수 있는 중재전략을 마련하여 간호의 질 보장과 위기를 극복하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