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비동맹외교의 정치경제적 분석

        구형환 단국대학교대학원 1988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많은 新生國들이 독립하게 되었다. 그리고 국제정치체제의 양극화가 뚜렷해짐에 따라 新生獨立國과 低開發國家들이 정치적 독립의 유지와 경제발전을 꾀하고 이에 상응하는 국제적 지위의 向上을 위하여 비동맹세력을 형성하였다. 국제정치에서 일차적으로 「양극현상에서의 탈피」를 목적으로 外交政策의 기조로서 中立主義를 표명하면서 非同盟運動을 전개하였다. 이 非同盟諸國들은 反植民主義, 反帝國主義, 反人種差別主義, 平和共存主義를 주창하면서 국제정치무대에서 多數의 힘으로 국제정치질서에 강력하게 도전하면서 또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韓國은 북한에 비해서 非同盟外交의 열세를 인식하고, 뒤늦게 한국이 제3세계의 본질과 영향력을 이해하여 非同盟外交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적극적인 외교적 자세로 非同盟外交를 전개하여 科學·經濟·文化 등 여러 방면에서의 북한보다 우위를 점하게 됨에 따라 非同盟諸國家들이 한국을 인식하는 태도가 달라지게 되었다. 또한 1986년 아시아 경기대회와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함으로써 非同盟外交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현대외교의 목표가 국가안보의 확립과 경제적 번영과 실리의 추구에 있다고 볼 때에 국제정치정세 뿐만 아니라 국제경제동향 역시 중요시 하지 않을 수 없다. 오늘날 국제정치에 있어서 資源民族主義가 대두되고 또한 세계경제 발전의 추세와 혜택에서 소외되어온 弱小國들인 第三世界國家를 비롯한 후진국 및 개발도상국들은 세계경제질서의 새로운 변화인 新國際經濟秩序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한국의 非同盟外交를 分析할 때 종전의 정치·군사적 측면에 국한될 것이 아니라 경제적 측면을 중요시 하는 태도로서 非同盟外交를 이해하고 전개하여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먼저 국제질서의 새로운 유형으로서 非同盟運動의 개념과 변천과정 그리고 현대적 특징을 고찰하고, 한국의 非同盟 外交政策의 전략행태를 논의 하였으며, 이어서 국제정치경제적 환경 속에서의 한국의 대응책을 모색하기 위해서 資源民族主義, 新國際經濟秩序, 그리고 韓國의 經濟外交를 분석하였다. 한국의 비동맹외교에 대한 政策 추진 방향을 제시하고, 앞으로의 非同盟國에 대한 外交的 競合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배려가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첫째, 한국의 非同盟 加入이 현재로서는 가능성이 희박하다 하더라도 非同盟 국가와의 유대를 강화할 수 있는 간접적인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개별적으로 비동맹국가들과 외교관계를 수립·강화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모든 非同盟國과 한국이 77그룹에 속하여 있기 때문에 한국은 유엔통상개발기구(UNCTAD) 회의에서 77그룹을 통해 비동맹국과 접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同會議에서 新國際經濟秩序를 적극적으로 이해하며 참여하여 비동맹국의 호의적인 반응을 위하여 노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식 외교관계가 없는 非同盟國과도 무역, 경제원조, 기술협력, 합작투자 등을 통하여 非公式外交關係로서 민간외교 및 경제외교를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넷째, 非同盟國들 중에서 온건하고 국제무대에서 영향력 있는 국가와 적극 접촉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들을 통하여 韓國問題는 당사자간에 해결하여야 할 문제로서 이미 脫유엔化 하였음을 지적하고 비동맹회의에서 한국문제 취급을 反對하도록 유도하여 한국문제가 비동맹회의에서 논의되는 것을 피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다섯째, 만약 한국문제가 비동맹회의에서 討議될 경우에는 한국이 observer나 guest의 자격으로 토의에 참가하여 한국의 입장을 천명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여섯째, 韓國의 입장에 반대하는 태도를 취하는 國家와도 접촉하여 한국의 입장을 이해시키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일곱째, 비동맹 여러나라와의 民間水準의 교류는 상호 이해와 우호 증진에 크게 이바지함으로 이들 국가들과 문화협정 및 통상협정을 체결하여 보다 적극적인 文化交流와 經濟交流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경제외교가 안보적 시각속에 상당부분 종속되어 추진되었던 전통적인 외교에서 벗어나 안보외교의 승패가 경제외교의 여건 및 과정과 긴밀하게 연결되여 있다고 사실을 인식하여야 한다. 경제외교 대상국의 다변화를 기하여 수입·수출시장의 다변화를 추진하며, 자원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서 정치·외교의 전초적 진출로서 공산권 국가와의 교역의 확대가 요구된다. 또한 앞으로 닥쳐올 줄 모르는 자원난에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도 동시에 탐색되어야 할 것이다. After the Second World War, one of the most impressive changes in international politics involves the progressive expansion of the family of nations. Along with this influx of newly independent nations, the global politics of nations began to bipolarize itself between the pro-American bloc and the pro-Soviet bloc.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newly independent nations and the underdeveloped nations joined to organize the movement of non-alignment with the purposes of consolidating their political independence, of improving their economic condition and developments, and of upgrading their statuses in international politics. The primary concern of non-aligned nations was to break from the rigid bipolarity of international politics; thus, those nations naturally upheld the foreign poicy principle of neutrality, that is, the policy of non-alliance--neither with the United States nor with the Soviet Union. Then, proclaiming their strong supports for the policy attitude of peaceful coexistence, anti-colonialism, anti-imperialism, and anti-racialism, they refused to accept the international political order and wielded considerable influences on a range of wide issues in international politics. Comparing with the successful penetration into the nations of non-alignment movement by North Korea, the South Korea's diplomacy toward those nations had been inferior, and this stemmed from the fact that the foreign policy of South Korea had been heavily dependent upon the Western nations--particularly, the United States. The non-alignment movement had enlarged not only its absolute total number of nations participated but also its influence and significance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is emergence of non-alignment movement forced the foreign policy orientation of South Korea to recognize its existence and importance; thus, the policy attitude toward the non-alignment nations had turned into a positive one in the 1970's. Hence, the perception of non-aligned nations on South Korea has been gradually changed into a favorable direction. Among many other developments,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1986 Asian Games and 1988 Seoul Olympic has provided South Korea with a chance to renew her images and with a gainful opportunity to penetrate into the sphere of non-alignment movement. Considering that the modern diplomacy is aimed at a twofold goal of national security and economic prosperity, the international economic situation has the equal level of importance as the international political situation ha in the global politics of nations. Furthermore, there is an uprising trend in which the nationalism of natural resources carries more and more clout and significance in the society of nations, and those small powers, including the underdeveloped and the developing as well, strongly demand for a new change in the international economic situation, that is quite often described as the notion of new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in international relations. When the diplomatic options of South Korea toward the non-alignment movement is to be scrutinized for a policy consideration, a fruitful analysis should include not only the traditional perspective of political-military relations but also the newly emerging clout of economic perspective in order to promot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rue nature of policy problem. The departure point of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non-alignment movement. Fistly, this research attempts to probe the concept, the transformation process, and the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of non alignment movement in international relations. Secondly, the strategy of South Korea's diplomacy toward the non-aligned nations has been reviewed in comparison with that of North Korea. Thirdly, with the purpose of suggesting the possible counter-measures for South Korea in the changing environment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the nationalism of natural resources, the NIEO (that is, new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and the Korean diplomacy of economics are carefully examined in the present study. Even though that the possibility of Korean admissionin non-alignment movement has only a remote chance, South Korea needs to expand and solidify her relations with the active and influential nations of non-alignment, if not collectively, individually. There are many channels to have contact with those non-aligned nations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For example, in the meeting of UNCTAD, South Korea can raise her understanding of NIEO and search for her role and participation in it. Another policy consideration of importance is concerned with the discussion of Korean Problem in the non-alignment conference. By reminding those nations of the fact that the United Nations had already abandoned its discussion, South Korea should persuade those non-aligned nations that the Korean Problem is strictly an inner matter of inter-Korean relations. By doing so, the South-North division of Korea can overcome an obstacle for a better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f not possible, South Korea should seek a chance to speak for herself, at least as an observer, in the Korean Problem discussion. Even though there are some difficuties in establishing a formal relation with those non-alignment nations, it does not necessarily imply an impossibility. Through other means of contact, such as cultural and economic exchanges, South Korea's relatioship with the non-alignment movement can be really improved in the future. In conclusion, breaking from the conception that the diplomacy of economics is secondary to the diplomacy of national security, the present research empahsizes that the success and failure of diplomacy for national security may be dependent upon the conditions and processes of diplomacy for economics. By diversifying the diplomacy of economics, the potential market for Korea's international trade can be broadened and the required supply of natural resources, which is an absolute must of Korean economy for future development and expansion can be secured in the favorable settings of international politics.

      • 3차 유리 베지에 곡선을 이용한 비대칭 MLA 복제 형상 분석

        구형환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비구면 비대칭 MLA를 UV 임프린팅을 이용하여 복제하면 그 형상은 비구면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3차 유리 베지에 곡선으로 복제된 옵틱의 형상을 Curve Fitting 하여 피팅 오차를 크게 줄였다. RMSE 값으로 그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약 19배 가까이 오차를 줄일 수 있었다. 이어서 Weight와 중간 점에서의 공률인 BCcp 로 설계값과의 차이를 나타내려고 했으나 적합하지 않았다. 그 원인은 분석 범위 내 양 끝 제어점 P0, P3의 X좌표가 다르다면 설계값과 Weight와 BCcp가 같더라도 형상의 차이가 크다. 따라서 X좌표를 3차 유리 베지에 곡선의 제어점 P0의 X값, Y좌표를 P3의 X값으로 하여 P0X-P3X 좌표계를 구현하여 설계 데이터와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설계 데이터와의 차이 역시 RSME 값으로 계산하였고 마치 타원의 형상을 띠고 있었는데, 신뢰 타원을 작도하여 신뢰도를 측정한 결과 90% 이상의 높은 신뢰도를 얻을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본 논문은 비구면 방정식과 동시에 회전 설계된 MLA의 복제 시 수축으로 인한 옵틱 형상을 높은 해상도로 구현할 수 있으며 양 끝 제어점의 X좌표값을 활용하여 설계 데이터와의 비교를 나타낼 수 있는 3차 유리 베지에 곡선으로의 Curve Fitting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