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잉어육과 잉어추출액 중의 영양성분에 관한연구

        구미현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8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designed to elucidate contents of crude protein, calcium, phosphorous, fatty acids, and amino acids in Carp′s muscle and extractive cooking broth of Carps. Quantative changes of nutrients in carp′s broth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boiling time (3.6.9.12 hours.) Th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1. In Case of quantative changes of all nutrients (crude protein, Calcium, phosphorous, fatty acids, amino acids) in carp′s muscle and carp′s broth according to boiling time: All nutrieuts were increased as boiling time. And they marked maximum of 12 hours except Calcium and fatty acid. 2. The amount of unsaturated fatty acids to total fatty acids was larger than that of saturated fatty acids to total fatty acids. And the amount of Oleic acid, Linoleic acid are very larger than any other fatty acids. 3. The major components of essential amino acids were shown to be Valine, Leucine, Lysine, Arginine, and the minor component of essential amino acids were Methionine, Histidine. In nonessential amino acids, the major components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lanine, and minor components were Serine, Proline, Cystine. This above mentioned results suggest that the carp and the carps' broth are good sources as crude protein, fat, phosporous.

      • 다중 셀 환경에서 다중 안테나 빔 포밍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수율

        구미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다중 안테나로부터 빔을 형성하여 데이터를 송, 수신 하는 시스템을 다룬다. 기존에서 보여 주고 있는 빔 포밍 시스템의 논문들에서는 단 일 셀에서 다른 사용자들로부터의 간섭을 최소화 하도록 빔을 형성하여 수신 단의 데이터 수율 성능을 최대화 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하여 왔다. 그러나 실제 환경에서는 co-channel을 사용하는 동일 셀 내의 interuser interference 뿐만 아니라, 다른 셀들로부터 수신 되는 intercell interference가 발생한다. 모든 interference를 고려하여 수신 데이터 수율 성능을 최대로 할 수 있도록 빔을 형성하는 방법들을 본 논문에서 보일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송신 단의 다중 안테나들이 사용자들의 모바일과 기지국 사이 채널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는 정도에 따라 dumb 안테나와 smart 안테나를 갖는 시스템으로 나누어 살펴 본다. Dumb 안테나를 갖는 대표적인 빔 포밍 시스템인 오퍼튜니스틱 빔 포밍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율 성능이 최대가 되도록 데이터를 수신 할 사용자들을 선택하는 스케줄링을 보인다. 두 번째로 smart 안테나를 갖는 빔 포밍 시스템에서는 interference 영향을 고려하여 빔을 형성 시키는 다양한 방법들을 제안하도록 한다. 그리고 그들 사이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알아본다. The sum-rate capacity of multiantenna broadcast channels recently has attracted much research interests. However, the search for efficient practical schemes to achieve it is still on going. Information theory indicates that a flat fading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hannel, typically modeled as a matrix with independent and identically distributed (i.i.d) complex Gaussian entries, provides multiple spatial dimensions for communications and yields a spatial multiplexing gain. By utilizing spatial channel information, the transmitter can employ beamforming techniques to amplify the received signal at an intended user and further minimize the in-cell interference [4], [7]. While information theory tells us that a broadcast MIMO channel can be shared spatially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channel by dirty-paper coding (DPC) techniques, the associated complexity of a DPC codec is problematic for some practical applications. Hence, we focus on beamforming schemes with the linear preprocessing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data as well as a multicell multiuser MIMO system. In this thesis, we consider two beamforming systems according to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at a transmitter. The first, in the multiuser opportunistic beamforming system with dumb antennas, we propose a user selection scheduling method to maximize the sum-rate of downlink. The proposed method does not use SINRs or SNRs directly but use the effective channel gains from feedback SINRs or SNRs. It is possible to select users flexibly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users. We can show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the average sum-rate when users are distributed non-uniformly. The second, in the multiuser MIMO beamforming system with smart antennas we propose several methods for the transmit and receive beamfoming matrix design. The goal is to maximize the sum-rate by designing a transmit and a receive beamformer adequately. By using the perfect CSIT, the multiuser MIMO ZF BF and the iterative multiuser MIMO rate-maximization BF are extended to a multicell system. In multicell environments, in order to cope with the presence of intercell interference the transmit and receive beamformers are obtained by ZF constraint or partial differentiation. We can show the sum-rate gain achieved by the proposed method gets larger when the number of interfering cells increases. And by the proposed methods considering intercell interference compared with BF systems considering incell interferences only, the multicell muliuser MIMO BF system can obtain the improved sum-rate performance .

      • 비정규직 여성노동자의 고용구조와 노동통제 : 백화점 판매직 여성노동자를 중심으로

        구미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basic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ase study of the growth of contingent work and clarify what implications it has for female sales workers in the Korean department store industry. More specifically, the study attempts to adopt the perspective of female contingent workers in order to discuss the employment structure of female department store sales workers, the managerial control of their work behavior, and the strategies taken up by the contingent workforce to cope with the managerial practice. The author interviews a sample of female sales workers whose affiliation is with a department store industry in daejeon, Korea, using two survey formats, I.e., the unstructured one intended for in-depth interview and the standard form of questionnaire schedule used to gain insight in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y sampl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 (1) The reason why female workers make up the majority of the workforce hired by the department store industry relates to the property of "emotion labor" which occupies a visibly high proportion in the labor process of the industry. The quality of emotion labor, such as endurance, caring, softness, and kindness, is an asset required for all the department store workers, but it is often equated with the property of "womanhood". For this reason, the emotion labor of female workers is not properly evaluated as a genuine type of work, but degraded simply as "what any worker can do if she is a woman". The reason why the majority of female department store workers are made up of the "contingent" workforce of the industry primarily comes from the rental sales shop system, which is a characteristic inherent to the "Korean-like" organizational stucture of the industry. The industry has preferred the rental sales shop system to the direct sales shop system beacuse it has had littel accumulated managerial skills but wished to avoid any risky ventures and maintain a stable rate of profit. In other words, the industry has had a great stake at acquiring a perfectly guaranteed rate of profit by charging a high rate of service fees through the contracting out of sales shops to their member firms. As a consequence, individual member shops have had little interests in maintaining the stable pool of regular workforce and had stronger preference on the nonstandard form of employment over which they could have more leverages depending on their sales volumes. (2) The reason why ever-married women are hired as contingent workers in the department store industry is that they decided to work there involuntarily because their education and high age prevented them from working as standard workers in the highly competitive labor market. The majority of female workers work involuntarily in the industry, but it is worth noting the growth of voluntary female contingent workforce despite its currently small size. According to the study, the forces behind voluntary choice of nonstandard employment are female part-time workers, mostly from the single with young ages and high educational backgrounds, and female temporary workers, mostly from the ever married with young ages and high educational backgrounds. For the ever-married, domestic work and the rearing of children are the main reasons why they elect the nonstandard form of employment. The current identification of "voluntarism" with them will be entirely different if they believe the social response to their personal needs will be taken adequately and seriously in the near future. (3) The rental sales shop system, as a critical part of the Korean-like organization structure of the industry, forces the female contingent workers to cooperate with the top-level management not because of the managerial control of their work behavior, but because of their own consideration of benefit maximization. By helping upper-level management achieve their objectives of obtaining profit maximization, each of them wishes to gain personal recognition from the department store direct-line workers and enjoy the privilege of spending everyday life more freely than other colleagues do. The conflicts between top-level management and female contingent workers are not completely solved or reconciled only by the aspects of reconciling the conflicts of pecuniary interests between the two parties of the industry. A variety of work control strategies are adopted around the rental sales shop system in which the two parties come to negotiate their pecuniary interests. The first one is the strategy of bureaucratic control whose meaning is different from the usual sense of the words, at least for two reasons. First, the strategy of control against female workers is implemented on immediate, intimate, and personal basis, not through the official, hierarchical ladder of the managerial-bureaucratic apparatuses. Second, management does not organize technically equivalent job assignments in accordance with the hierarchy principle; rather they strictly distinguish beforehand those for the direct sale shop workers from those for the rental sales shop workers. the second one is the strategy of patriarchal control. By putting stronger emphasis on the household as their primary activity domain, this strategy forces the female workers to endure dual work at home and in the society. The strategy also helps management force them to accept low wages due to the discontinuation of lifetime work career by indoctrinating the idea of quitting jobs after marriage. Moreover, the strategy often creates the distortion of "feminist" culture and checks the development of healthy thinking by the female workers of womanhood and outside-home work. In doing so, the conflict between management and female sales workers are displaced by the conflict between two genders, or the internal conflicts among the contingent, nonstandard workforce of th industry. The third and last strategy is the indoctrination of enterprise spirits, which contributes to the profit maximization of the industry by the female contingent workforce. Above all, sales performance is the criterion that most clearly reveals the individual value of all sales shops and every female contingent worker within each of them. The retraining program, which is recently being more reinforced by the industry, functions as an official pathway through which managerial demands are channeled to the female workers. (4) The female contingent workers reveals roughly three types of responses in coping with the managerial control strategies. The first is that they apparently cooperated with the management and accept their demands. in this case, however, they reveal high devotion to their work but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very low.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production system of the industry is based on the mechanism that creates consent in the midst of free market competition, not on the mechanism that organizes consent through the full integration of the female contingent workforce into the inside of the organization. The second is that given this type of production system, the female contingent workers chart a self-identification program that helps them raise their work identity at the individual sales shops of th industry. At this time, they attempt to give novel meanings to their work assignments and in doing so, accept the image of "professional sale workers" which the management emphasizes in their education program is quite different from the simply old concept of "marketing girls of ladies". The third and final one is that the female contingent workers start with their perceptive complaints in their work process and proceed to protest against the managerial demands. The protest, as used in this context, is distinguished from the general form of industrial protests such as strikes and struggles in the sense that it is carried out routinely and incessantly. The solutions to such grievances are found on an informal, individual basis; and for this reason, it is not easy to capture the true meaning of protest against the managerial demands They ofter engage in a certain action without any careful thinking of it as a type of oppositional actions. Indeed, they wish to gain more freedom from the managerial pressures by violating or avoiding the managerial directives or demands rather than to lessen the pressures coming from the coercive management, which is the direct cause of oppositional actions against them in the industry. Major Terminology: Department Store, Contingent Work, Employment Structure, Labor Control, Emotion Labor, Rental Sales Shop System, Voluntary Contingent Work, Involuntary Contingent Work

      • 코로나19 환자에 대한 영양집중지원 중재효과

        구미현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코로나19 입원환자에 대한 영양중재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중재군 64명, 비교군 64명 등 총 128명이었으며, 2020년 1월1일부터 2021년 9월 30일까지 일 코로나19 전담병원 입원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을 검토함으로써, 일반적 특성, 영양공급 실태, 생화학지표, 임상적결과에 대해 t-test, qui- square, Difference in Differenc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재군의 영양 정상수준은 6.3%였으며, 중재 3일 후 영양공급은 요구량의 88.37% 공급, 단백질 요구량의 79.6%를 공급하였다. 반면, 비교군의 영양 정상수준은 53.1%이었으나, 3일 후 영양공급량과 단백질 공급량이 시작일보다 오히려 감소하였다. 입원 시 측정된 알부민과 총 림프구수,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 수치는 비교군이 높았으나 퇴원 시에는 네 개의 지표 모두 중재군이 더 높았다. 임상적 결과에 있어, 중재군은 비교군보다 재원기간은 길고 사망률은 낮았다. 결론적으로, 중재군은 영양중재를 통해 요구량을 충족하는 영양공급을 받았으며, 생화학적 지표 중 총 림프구수에 있어 더 높은 회복력을 보였으며, 긍정적 임상적 결과를 보여 중재효과를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 환자에 대한 영양중재 관련 반복연구가 수행될 것과 영양중재 효과 파악을 위한 검사항목과 검사주기에 대한 연구, 그리고 신종감염병 입원환자 영양평가 및 영양중재 지침 개발을 위한 연구가 이어질 것을 제언한다. This retrospective descriptive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intensive nutritional support for COVID-19 inpatients. To collect data, the researcher reviewed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the COVID-19 patients admitted from January 1 in 2020 to June 30 in 2021, at a public hospital in Seoul. A total of 128 subjects were included by 64 in the intervention group and 64 in the control group. Variables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nutritional status, nutritional supply, biochemical indicators, and clinical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test, chi-square, and Difference in Difference. As a result, the intervention group included only 6.3% of normal nutrition but supplied 88.37% of the nutritional requirements and 79.6% of the protein requirements by three days of nutritional support. On the other hand, the normal nutritional level of the control group was 53.1%, but the energy supply and protein supply decreased after three days compared to the start day. The albumin, total lymphocyte count, hemoglobin, and hematocrit were higher in the comparison group, but higher in the intervention group when discharged. In terms of clinical results, the intervention group had a more extended hospital stay and a lower mortality rate tha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intervention group received an intensive nutritional supply that met the requirement through nutritional intervention, showed a pattern to recover total lymphocyte count, and showed positive clinical results to prove the intervention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o study repeat nutritional interventions for COVID-19 patients, review test items and test cycle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nutritional interventions, and develop guidelines for nutritional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 택지개발사업 생태계서비스 평가모형 개발 및 적용 : 4개 보금자리주택지구를 사례로

        구미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생태계서비스는 생태계가 잘 유지됨으로써 인간에게 주어지는 다양한 혜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생태계서비스는 인간의 삶이 자연 속에서 조화롭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더 나아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개발로 인해 생태계가 훼손되면 생태계로부터 얻는 혜택이 줄어들면서 인간의 삶의 질도 떨어지게 된다. 생태계의 훼손은 주로 지구단위로 추진되는 개발사업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개발계획의 수립단계에서부터 생태계의 훼손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태계서비스의 관점에서 쾌적한 삶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 중 하나가 주거지역 생태계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인식하여 우리나라는 이미 1977년부터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도입하여 개발에 따른 환경영향을 사전에 예측하고 생태계의 훼손을 낮출 수 있도록 노력하여 왔다. 그러나 환경영향평가제도의 운영만으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제대로 평가하는 데 한계가 있다. 만일 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환경영향평가단계부터 개발대상 주거지역의 생태계서비스를 평가하는 방안을 포함하여 추진한다면 이러한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택지개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생태계서비스의 상태 변화를 예측하고 그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택지개발사업 대상지에 적합한 생태계서비스 평가영역을 도출하고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둘째, 개발 전‧후 생태계서비스의 상태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사례대상지에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생태계서비스 평가가 실효성을 가지도록 환경영향평가와 연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평가모형은 지구개발에 따라 불가피하게 초래될 수 있는 생태계서비스의 하락을 방어하는 소극적 수단이 아니라 생태계서비스의 개선 및 확대를 도모할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이다. 따라서 이러한 평가모형을 잘 활용할 경우 일반지역 생태계의 가치를 창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최근 수도권지역에서 시행되고 있는 보금자리주택지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해당 지구는 개발제한구역 내에 위치하여 자연환경과 도시민의 삶의 질에 대한 고려가 더욱 필요한 지역이므로 그 의미가 크다. 본 평가모형은 개발계획에 대한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평가함에 있어서 네 가지 효용성을 갖는다. 첫째, 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생태계 기능에 대한 평가요소와 평가체계를 개발하여 생태계가 인간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개발사업의 시행으로 인한 생태계서비스 상태변화를 전・후평가함으로써 개발사업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였으며 생태계서비스 증감요인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개발에 따른 생태계서비스 감소분을 감안한 일정수준 이상의 생태계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서 개발 후 평가단계에서는 일률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하지 않고 대상지별 특성을 반영하여 차등기준을 적용할 수 있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모형을 개발사업의 환경영향평가단계에서부터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향후 생태계서비스의 향상을 도모하는 개발사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全)지구적 차원의 생태계서비스 개념을 개발사업이 시행되는 개별 단지규모에 적용하여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실시하였다. 개발사업이 생태계서비스에 미치는 전반적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공급서비스, 조절서비스, 지원서비스, 문화서비스의 모든 유형을 포함하는 종합평가를 시도하였다. 둘째, 개발로 인한 생태계서비스 상태변화를 파악함에 있어 17개 평가항목과 20개 평가지표를 최종 선정하였다. 17개 평가항목은 식량, 생물자원, 기후조절, 서식지제공, 레크리에이션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20개 평가지표는 농산물생산량, 생태1・2등급권역, 탄소저장량, 서식규모의 안정성, 레크리에이션활동공간면적 등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생태계서비스 평가구조는 개발에 따른 상태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개발 전(A)과 개발 후(B) 상태값에 대한 전・후평가방법((B-A)/A)으로 산정하여 평가값이 -1(음)에서 +1(양)까지 값을 가지도록 하였다. 개발 후 생태계서비스가 증가하면 양(+)의 값, 감소하면 음(-)의 값, 그리고 서비스 변화가 없으면 0(제로)값을 나타내도록 하여 개발로 인한 생태계서비스 영향을 예측하고 평가할 수 있게 하였다. 넷째, 평가지표 측정은 개발사업의 환경영향평가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20개 평가지표에 대한 정량화 방법을 설정하여 산출하였다. 택지개발사업 시행 전・후 상태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단지내부 생태계를 평가대상으로 하였다. 공급과 조절서비스는 양적 평가, 지원서비스는 질적 평가를 하였으며, 문화서비스는 인간이 이용 가능한 생태적 공간의 구조분석방법으로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생태계서비스 평가모형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4개 보금자리주택지구-서울서초, 서울내곡, 고양원흥과 하남감일지구-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서울서초지구는 개발 후 생태계서비스가 증가하였고 다른 3개 지구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유형별로 보면 공급서비스는 4개 지구 모두 감소하였고, 문화서비스는 4개 지구 모두 증가하였으며, 조절과 지원서비스는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개발계획에 대한 생태계서비스 평가는 토지이용계획이 중요하였고 개발에 따른 영향은 조절서비스가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계서비스 평가모형을 4개 보금자리주택지구에 적용하여 본 결과 해당 평가모형은 택지개발사업이 생태계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평가함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즉 평가모형은 사례대상지와 개발사업의 특성을 반영하였으며, 개발사업의 전・후 생태계서비스에 미치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이 큰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전체 평가지표의 중요도와 결과에 미치는 영향력 측면에서 식물현존량, 생태1・2등급권역, 탄소저장량, 활엽수・혼효림면적, 그리고 지형보전・복구면적의 5개 지표는 개발계획에서 우선 고려할 지표로 제안하였다. 본 평가모형을 전략환경영향평가,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그리고 환경영향평가제도와 연계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생태계서비스 평가모형은 택지개발사업에 의한 단지규모 개발사업의 생태계서비스를 평가하는 데 의의가 있다. 그동안 전지구적 차원에서 생태계서비스 개념을 정립하고 생태계서비스 평가와 적용 필요성에 대한 연구현황을 살펴보면 국제적으로는 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그 연구가 시작된 상태이다. 그러나 개발사업을 대상으로 평가한 연구사례가 국내외적으로 거의 없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그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다. 또한 개발대상지의 생태계를 평가하였기 때문에 일반지역의 생태계에 대한 평가기법을 통해 상태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전・후평가 결과 서비스 변화정도를 반영하여 대상지별 생태계서비스 감소분을 상쇄할 수 있는 증진방안 수립이 가능하다. 아울러 생태계의 다양한 기능적 측면뿐만 아니라 인간의 이용측면도 함께 고려한 점에서 도시지역의 생태계 보전과 현명한 이용에 대한 판단기준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