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생태여성주의의 기독교사회윤리학적 수용 가능성 모색

        구미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e comtemporary era, the environmental degradation viewed the crisis of bankrupted earth challenges todays theology and ethics to reflect upon the traditional indifference and ignorance of the ecological needs, and reconstruct the new eco-theology and eco-ethics. Additionally, as many feminist scholars and authors said, we can observe that the exploitation of nature and the subjugation of women are interconnected in many ways. Newly emergent ecofeminism that is coming together ecology and feminism seems to be the most fundamental challenge to the modern style of thinking and living. This thesis, in sum, examines how ecofeminism grafts on Christian social ethics. In Chapter 1, the writer presents the issue, aim, research method and trend concerned with this thesis. Chapter 2, considers critically the ideological bases supported modern culture from the ecofeminist perspective, especially rationalism originated from Descartes the father of modern philosophy, technological scientism founded on Bacons project, and capitalism equipped with turbo-engine after the collapse of the East. In Chapter 3, in order to define the Christian responsibility for the ecological crisis, the writer traces to ecological sinfulness in the Christian church history. As a result, it comes true that the traditional Christian theology had a tendency to devaluate the women, body, matter, and this world, while so immersed in the salvation of individual spirit. Christianity, then, commits a sin of omission. Chapter 4, explores of the conceptual and theological ground of ecofeminism. Ecofeminists, focusing on the connections between the domination of women and the domination of nature, commonly complain that the ecological crisis is rooted in the patriarchy. In my view, the radical separatist ecofeminism leads the reversed woman/man dualism. Ecofeminism, therefore, as a alternative vision needs to be developed integrative and transformative feminism. Whereas, ecofeminist theologians tried to overcome the cosmic dualism separated the world from God. They grope for the new understanding about the major theological subjects, for example, world as Gods body, creation from love, God the motherㆍloverㆍfriend, the cosmic Christ, etc. In Chapter 5, in order to search for the basis of Christian ecofeminist ethics, first, the writer reinterprets Christian love(agape) treated as the supreme norm of the traditional Christian ethics to JusticeㆍCareㆍOther esteemㆍCommunion. Next, it is examined whether the Albert Schweitzers notion of Reverence for Life, Martin Bubers I-Thou ethic, and Walter G. Muelders Personalistic Communitarism may appropriate for a integrating framework of ecofeminism and Christian social ethics. And then, the writer proproses the Ethic of Sal-lim as a inclusive framework which means that creates, nurtures, renews, restores, heals, saves whole life in the created world. In conclusion, Chapter 6,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is thesis, furthermore, points out the limits of the methodology of this thesis and suggesting some future prospects and tasks. 21세기를 눈 앞에 둔 시점에서 지구 파산의 위기라고까지 표현되는 생태위기는 오늘의 신학과 윤리에 커다란 도전이 되고 있다. 그간의 신학은 자연세계를 하나님의 은혜의 범주에서 제외시키고 구원사의 맥락에서 배제시키며 오로지 인간의 지배와 정복의 대상으로 간주함으로써, 사실상 자연 착취의 면허증을 내주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기독교윤리 역시 하나님ㆍ나ㆍ이웃이라는 삼중적 관계만을 관심의 대상으로 삼았지, 생명권 전체를 포괄하지 못하는 편협함을 드러냈다. 따라서 기독교윤리가 사회적 적합성을 갖기 위해서는 생태계 보전이라는 책임의 문제를 등한시할 수가 없다. 생태학(ecology)은 이제 일시적인 유행이 아니라, 우리의 사유방식과 행동양식에 있어서 총체적인 변혁을 요구하는 당위의 학문으로 받아들여진다. 한편 생태여성주의는 이러한 생태학적 요구와, 여성 억압을 종식시키려는 여성주의(feminism)의 목표를 하나로 결합시켜 현재의 가부장적 사회구조에 대한 근본적인 도전을 꾀하고 있다. 이러한 생태여성주의의 통찰은 그간 육체 경시, 세계 부정, 여성 혐오로 일관해온 기독교신학이 생태학적으로 재활용되는데 길잡이가 될뿐더러, 기독교윤리의 최고 규범인 사랑을 생태학적 맥락에 적용시키고 포괄적인 공동체윤리를 형성함에 있어 중요한 시각을 제공해준다. 요컨대 본 논문은 생태여성주의가 기독교 사회윤리학적으로 어떻게 접맥될 수 있을지를 고찰해 본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서 먼저 제Ⅰ장에서는 본 논문의 문제제기와 목적을 밝히고, 방법, 동향, 범위 및 방향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제Ⅱ장에서는 현대 문명을 떠받치고 있는 이데올로기적 기반을 비판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현대 문명의 역사는 데카르트의 주/객 도식에 입각한 합리주의 철학과 베이컨이 기초를 놓은 과학기술주의, 또 아담 스미스의 자유주의 시장경제론이 만나 조우한 역사로, 철저히 자연 착취적이고, 여성 억압적인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제Ⅲ장은 생태위기에 대한 기독교의 책임을 검토하면서, 기독교 사상사에 나타난 영적 모티브와 생태학적 모티브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체로 기독교 신학은 영적인 동기에 치중하여 영혼구원에 힘쓰는 한편, 세상과 육체와 여성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농후하였으므로, 이것이 서구적 자연관에 미친 영향을 고려할 때, 기독교는 직무태만죄 혹은 생략죄를 저질렀음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Ⅳ장에서는 생태여성주의의 사상적ㆍ신학적 토대를 탐구하였다. 여성억압과 자연억압이 상호연관되어 있다는 관찰에 입각하여 가부장제가 생태위기의 근원이라고 고발하는 생태여성주의적 분석은,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자칫 본질주의로 흐르는 경향이 있는데, 그것이 새롭게 역전된 남/녀 이원론에 빠지지 않으려면 통합적이고 변혁적인 여성주의로 나아가야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런 연후에 하나님과 세계를 분리시켜온 우주적 이원론을 극복하기 위한 생태여성신학자들의 노력을 살펴봄으로써, 세계, 창조, 하나님, 예수 그리스도 등 주요 신학적 주제들에 대한 새로운 이해들을 탐구하였다. 제Ⅴ장에서는 기독교 생태여성윤리의 기초를 다지기 위하여, 우선 전통 기독교윤리의 사랑의 규범을 생태학적 맥락에서 정의ㆍ돌봄ㆍ존중ㆍ사귐 등으로 다양하게 재해석해보는 작업을 수행하였고, 다음으로는 생태여성주의와 기독교사회윤리를 연결하는 틀로서 알버트 슈바이처의 생명 경외 윤리와 마르틴 부버의 나-너 윤리, 그리고 월터 뮬더의 인격적 공동체 윤리를 살펴본 뒤, 포괄적ㆍ통합적 틀로 살림의 윤리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제Ⅵ장에서는 본 논문의 전체 내용을 개괄적으로 요약하고, 그 한계점과 앞으로의 전망을 제시하였다.

      • 조선시대 문인화에 나타나는 꽃의 의미에 관한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구미정 수원대학교 미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꽃은 아름다운 것이다. 東西古今을 막론하고 인류는 꽃을 美意識을 드러내는 대표적인 標本으로 삼았다. 따라서 인류는 꽃을 생활공간으로 끌고 들어와 변치 않게 만들어두고 생활을 더욱 풍요롭게 하여 정서를 고양시키도록 만들었다. 꽃이 인간이 느끼는 美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繪畵의 중요한 소재로 사용된 것은 당연한 현상일 것이다. 우리나라의 繪畵는 豊饒와 多産을 기리는 성격을 띠고 있는 선사시대의 암각화에서 그 기원을 알 수 있다. 최초의 꽃그림으로는 5세기 덕흥리 고분벽화에서 그려진 연못풍경을 시작으로 5세기말 쌍영총에서 꽃병에 꽂힌 꽃그림이 발견되며 많은 고분에서 연꽃그림을 발견할 수 있게 되었고 고려시대에 이르러서는 송나라와의 빈번한 회화교류로 사대부화가 전해지기 시작하여 사군자화가 발전하였으며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중국의 새로운 화풍을 받아들여지면서 자신의 畵風을 이루고 畵壇을 앞장서 이끌고 간 사대부 문인들과 각종 감상화를 제작한 圖畵署 畵員들이 다양한 素材의 꽃그림을 남기게 된다. 이같은 조선시대 문인화는 물상의 관찰에서부터 생각해 볼 수가 있다. 이는 작화시에 선택된 자연의 소재마다의 形의 특성이 畵로 환원되어 작가의 神性에 따라 線條의 완급을 調律하는 영역이 되고 畵는 다시 작가들의 심성과 조화를 이뤄 그 시대적, 사회적 상황에 따라 상징적 의미를 부여받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문인화에 나타나는 꽃을 素材로 한 대표적인 名畵들을 찾아보고 그 名畵에 나타나는 화제를 통해 문인화에 나타나는 꽃의 의미와 상징성을 비교 연구하여 본인의 작품에 올바른 形似의 연구와 心想的 의미를 부여하는데 기초로 삼고자 한다. A flower is beautiful. It is a representative specimen of conscience of beauty in all times and countries. So, mankind took in flowers to living space and made them unchangeable, with life more enriched and emotion enhanced. It is a natural phenomenon for a human being to take a flower as an important material in a painting to express the emotion of beauty. The paintings of Korea originated from the paintings craved in the rocks in the prehistoric age. The first painting of a flower was that of a pond scenery of a mural paintings in a tumulus in Dukheung-Li in the 5th century. There was also a painting of flowers in a vase in a double peaked royal tomb in the late 5th century and there were many paintings of lutus flowers in many ancient tombs. In Korea dynasty, paintings of the four gracious plants(plum, orchid, chrysanthemum and bamboo) was developed as the gentry's paintings was introduced in Korea dynasty through frequent interchanges of paintings with Song dynasty. In Chosun dynasty, the new styles of paintings in China was introduced and the paintings of various kinds of flowers were painted. The painters were the gentry who led the painting groups having their own painting styles and the painting members of governmental painting office who produced the paintings for appreciation. We need to notice the literary artist's style paintings with the observation of materials. The figure features of each chosen natural material when painting pictures were restored to the paintings and became the areas of controlling the tempo of lines according to the painters' talents. The paintings made harmony with characters of the painters and had symbolic meanings according to the periodical and social situation. With this consideration, this paper has a purpose that searches for the representative famous paintings of flowers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paintings, compares and studies the meaning & symbolism of the flowers in literary artist's style paintings with the painting materials of the famous paintings and takes it as a basis to study the right figures of my own works and grant the meaning of mental image to them.

      • '지식의 깊이(DOK)'에 따른 수행평가 문항과 성취기준의 정합성 분석

        구미정 경인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Alignment Analysis between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based on DOK Koo, Mi Jeong Major in Educational Method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lignment based on Depth Of Knowledge(DOK, a cognitive level analysis tool) between󰡐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09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of third~sixth grade korean language on teacher's guide’. To achieve the purpose, alignment analysis tools were developed and analysis committee was organized. The committee was composed of five reviewers and one evaluation expert. Reviewers were trained to identify the DOK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items. Then reviewers analyzed the cognitive level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based on DOK. Based on the results, they judged the alignment between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result of analyzing the alignment betwee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09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of third~sixth grade korean language on teacher's guide, the degree of DOK alignment was 󰡐yes' (yes represents 50% or higher at or above). Second, four reviewers of the committee were interviewed to find the factors related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rom the interview, it is found that there are assessment characteristics-related factors and teacher-related factors that influenced high-level-alignment between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Third, in order for performance assessment to be matched with achievement standards in relation to DOK, several options are proposed. there are alignment training for teachers, essential achievement standards, various performance assessment materials. This study provides a method for cognitive level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based on DOK and suggests that performance assessment is an assessment type that can be developed as an item that is highly compatible with achievement standard that require high cognitive thinking level. Key words: Achievement Standards,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Depth Of Knowledge, Alignment ‘지식의 깊이(DOK)’에 따른 수행평가 문항과 성취기준의 정합성 분석 구 미 정 교육방법전공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년 4월 교육부가 수행평가 위주의 과정 중심 평가를 강화하도록 함으로써 수행평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수행평가가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교육내용(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잘 반영하고 있는가는 평가의 질 확보와 관련한 매우 중요한 내용이다. 연구자들은 국가 수준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그에 따라 개발되는 평가 도구 사이의 밀접한 관련성을 ‘정합성(alignment)’이라고 명명하고 이와 관련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지식의 깊이(Depth Of Knowledge: DOK, 인지적 복잡성)’를 활용하여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3~6학년 교사용 지도서의 수행평가 예시 문항의 인지 수준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둘 사이의 정합성을 판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정합성 판정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정합성 높은 수행평가 시행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OK에 따라 3~6학년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의 수행평가 예시 문항과 관련 성취기준의 정합성을 판정한 결과, 성취기준과 정합한 문항의 비율이 84.6%로 높은 수준으로 ‘정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석위원들과의 면담을 통해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수행평가 예시 문항의 정합성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평가 특성 요인과 교사 요인을 도출하였다. 평가 특성 요인으로 수행평가가 고등 사고능력을 발휘하도록 요구하는 평가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는 점 등과 교사 요인으로 성취기준을 평가의 공식적인 근거로 사용하고자 한다는 점 등이 있었다. 셋째,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정합성 높은 수행평가의 시행을 위해서 의미가 불분명하거나 모호한 성취기준들을 본질적 학습 요소가 반영된 성취기준으로 간소화해야 한다. 그리고 교사를 대상으로 한 정합성 분석 연수가 실시되어야 하며,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정합성 높은 수행평가 예시 자료집이 다양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은 수행평가가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정합성 높은 평가 문항으로 개발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평가 유형임을 알 수 있었다는 점이다. 또,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수행평가 문항에 대하여 학생의 사고력과 인지 수준 측면에서 깊이 있게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정합성 분석에 사용된 수행평가 문항은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평가 예시 문항이다. 학교 현장에서의 실제적인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수행평가의 정합성 판정을 위해서는 실제 교사가 직접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는 수행평가 자료를 이용하여 정합성을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 교육과정, 수업, 평가 사이의 정합성에 관한 연구가 전체 과목, 전체 학년을 대상으로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핵심어 : 지식의 깊이(DOK), 수행평가, 교육과정 성취기준, 정합성

      • 상담자가 지각하는 유능한 전문상담사에 대한 인식탐색 : 개념도 연구법을 활용하여

        구미정 부경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confirm the perception of competent professional counselors perceived by beginner counselors and experienced counselors. For this purpose, the concept mapping method was used to visually confirm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f a specific phenomenon by classifying concepts into meaningful categories, a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what kind of counselor is a competent professional counselor perceived by beginner and skilled counselors, and second, how the dimension, cluster, and importance affect perception of beginner and skilled counselor. To study the concept map, a semantic sentence was derived based on the interview contents of 16 beginner counselors and 16 skilled counselors, and it was produced as a statement card, and then the 16 counselor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similarity, and the structured work was performed to name the classified categories.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each statement to a competent professional counselor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competent professional counselors is perceived in two dimensions, such as focusing on 'Professional Qualities' vs 'Human Qualities' and 'Counselor's Self-Development' vs 'Client Problem Solving'. Second,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of statements on the map as a result of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of categories chosen by study participants, four clusters of competent professional counselors were divided. Third, as a result of each statement's assessment of a competent professional counselor, an average of 3.97 was given across four clusters. This study collects the concepts of competent professional counselors reported through empirical studies and uses concept diagram methods that us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competent professional counselors actually perceived by counselors in a phenomenological way. At the same time, quantitative analysis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s the perception of competent professional counselors in their experience as level, group, and importance, and identifies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beginner and skilled counselors.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unselor's education program in the future, and can also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adoption of components when developing questionnaire scale. 본 연구의 목적은 초심 상담자와 숙련된 상담자들이 지각하는 유능한 전문상담사에 대한 인식을 경험적으로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 참여자가 직접 의미 있는 범주로 개념들을 분류함으로써 특정 현상에 대하여 참여자들의 인식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개념도(Concept Mapping)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심상담자와 숙련상담자가 지각하는 유능한 전문상담사는 어떤 상담사인가, 둘째, 초심상담자와 숙련상담자의 인식에 차원, 군집, 중요도는 어떠한가이다. 개념도 연구를 위해 초심상담자와 숙련 상담자 16인의 인터뷰내용을 바탕으로 의미문장을 도출하고 이를 진술문 카드로 제작하여 다시 상담자 16인에게 유사성에 따라 분류하게 하고 분류된 범주를 명명하는 구조화 작업을 하였다. 또한 유능한 전문상담사에 대한 각 진술문의 중요도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상담자의 전문적 자질 (Professional Qualities)대 인간적 자질(Human Qualities)'차원과 ‘상담자의 자기 성장에 초점(Counselor's Self-Generation Focused)대 '내담자의 문제 해결에 초점(Client Problem-Solving Focused)'차원과 같이 2개의 차원으로 유능한 전문상담사에 대한 인식을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계적 군집분석 결과와 연구 참여자들이 선택한 범주의 수 및 다차원 척도 분석 결과로서 지도상의 진술문들의 분포를 고려하였을 때 유능한 전문상담사에 대한 4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각 진술문들이 유능한 전문상담사에 대해 평정한 결과 4개의 군집에 걸쳐 평균 3.97의 평정치가 부여되었다. 본 연구는 경험적 연구들을 통해 보고되어온 유능한 전문상담사에 대한 개념들을 종합하고 질적인 방법과 양적인 방법을 함께 사용하는 개념도 방법을 활용함으로서 실제로 상담자가 지각하는 유능한 전문상담사에 대한 인식을 현상학적으로 탐색하였다. 동시에 양적 분석을 통해 그 경험에 녹아 있는 유능한 전문상담사에 대한 인식을 차원과 군집, 중요도로 확인하고 초심상담자와 숙련상담자의 인식 차이를 확인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상담자의 인식탐색으로 추후 상담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함으로써 실무자들의 필요에 맞는 교육을 제공할 수 있으며, 척도 개발 시 구성 요소를 채택하는데 참고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Neplanocin A 유도체의 S-Adenosylhomocysteine hydrolase에 대한 저해 효과와 그 작용 기전에 관한 연구

        구미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S-adenosylhomocysteine hydrolase는 adenosylhomocysteine을 adenosine과 homocysteine으로 가수분해시키는 효소이다. 이 효소는 대부분의 바이러스가 복제하는데 있어서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효소로서, viral mRNA의 전사에 필수적인 viral mRNA의 5´-terminal capped methylated structure의 형성에 관여한다. 따라서 이 효소의 저해제는 강력하고 광범위한 항바이러스 작용을 갖는다. 지금까지 개발된 많은 저해제들 중 아데노신 유도체인 neplanocin A가 매우 우수한 저해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neplanocin A는 효소와 공유결합력이 약하여 온화한 조건에서도 효소의 기능이 다시 돌아오는 가역반응이 일어남이 보고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neplanocin A의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합성된 여러 neplanocin A 유도체들의 저해 활성 정도와 그 반응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효소의 활성은 adenosine과 homocysteine으로부터 효소의 작용으로 합성되는 adenosylhomocysteine의 양을 측정하여 확인하였으며 효소를 저해제와 반응시킨 후 생성되는 adenosylhomocysteine의 양의 변화로 저해제의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생성된 adenosylhomocysteine은 HPLC를 이용하여 258 nm에서 분석하였다. Neplanocin A의 cyclopentene ring의 5′위치에 halogen이 치환된 경우, 치환된 halogen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저해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Neplanocin A의 hydroxymethyl moiety를 제거한 경우는 저해 효과가 감소하였으며, cyclopentene ring의 double band를 없애고 cyclopropane을 도입한 경우도 저해 효과의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neplanocin A의 구조 중 hydroxymethyl moiety와 cyclopentene ring의 double band가 S-adenosylhomocysteine hydrolase에 대한 neplanocin A의 저해작용에 있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에 사용한 저해제 중 neplanocin A의 cyclopentene ring의 5′위치에 F가 치환된 LJ-276(IC_50=0.48 μM)이 가장 큰 효과를 보였다. LJ-276은 SAH hydrolase를 농도와 반응시간에 의존적으로 저해하였으며, 저해 작용은 비가역적이었다. 또한 효소를 저해하는 과정에서 조효소인 NAD+ 중 일부(35.8%)만을 NADH로 환원시켜 대부분(91.7%)을 NADH로 환원시키는 neplanocin A와 차이를 보였다. 효소의 활성을 완전히 저해시키면서도 NAD+의 일부만을 NADH로 환원시키는 것으로 보아 LJ-276은 효소를 저해하는 데 조효소의 환원작용 외 다른 작용 기전을 가지고 있음이 측정된다. ^19F NMR 실험에서 LJ-276이 효소와 반응 할 때 fluoride(F^-)가 유리되었는데 이 결과로 LJ-276이 조효소를 환원시키는 작용 외에 F^-가 유리되면서 효소와 공유결합을 형성하여 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기전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S-adenosylhomocysteine(SAH) hydrolase catalyzes the reversible hydrolysis of adenosylhomocysteine(AdoHcy) to adenosine(Ado) and homocysteine(Hcy). Because of its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biological methylation reactions, it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target of antiviral agents. Neplanocin A is the most potent SAH hydrolase inhibitor among the inhibitors known, but its inhibitory activity is reversible. In this study,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several analogues of neplanocin A(Group I, Group II, Group III) were assayed against recombinant human placental SAH hydrolase. The activity of the SAH hydrolase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formation of AdoHcy from Ado and Hcy. AdoHcy was analyzed by HPLC using C_18 reverse-phase column. The peak of AdoHcy was monitored at 258 nm. The inhibitory effects of SAH hydrolase inhibitors depended on the sizes of the halogens substituted at C5' position of cyclopentene ring of neplanocin A and were shown to be in the order of I<Cl<Br<F. Hydroxymethyl moiety of neplanocin A was important part in the inhibition of SAH hydrolase. LJ-276 was the most potent inhibitor among the evaluated inhibitors. Incubation of SAH hydrolase with LJ-276 resulted in concentration and time-dependent inactivation of enzyme. LJ-276 caused partial conversion(35.8%) of the enzyme from its E-NAD^+ to E-NADH form during the inactivation process. Whereas neplanocin A caused almost complete conversion(91.7%). In this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nactivation of SAH hydrolase by neplanocin A involves a type I mechanism(cofactor depletion) and LJ-276 had another mechnism except cofactor depletion. LJ-276 released fluoride ion on inactivation of enzyme. This result suggested that LJ-276 inactivated the SAH hydrolase by covalent binding to the enzyme active si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