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혼합된 전이금속 칼코젠 화합물의 합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

        곽현정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새로운 사성분계 화합물인 K0.5Ta1-xTixPS5(x≒0.46)를 Ta, Ti, P, S 그리고 KCl을 이용하여 flux법으로 650℃에서 가열하여 합성하였으며, 그 구조는 단결정 X-선 회절법으로 결정하였다. 다면체모양의 검정색을 띄고 있고 공기 중에서 안정한 경향을 띤다. 이 화합물은 알려진 A0.42TaPS5 (A = K, Rb)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하나의 단위세포(단위세포의 크기 a = 9.7006(3) Å, b = 14.3279(5) Å, c = 21.3275(8) Å)에 16개의 형식단위를 갖는 사방정계 Fddd 공간군으로 결정화한다. K0.5Ta1-xTixPS5(x≒0.46)는 변을 공유하고 있는 [MS6]팔면체로 이루어진 이량체 [M2S10](M = 54 % of Ta, 46 % of Ti)unit으로 형성된다. 이 화합물의 2차원적 층상구조는 기본구조인 [M2S10](M = 54 % of Ta; 46 % of Ti)unit가 사면체인 [PS4]로 연결되어 있다. 2차원 layer는 c 축으로 층층이 쌓여 van der Waals gap 을 가지는 3차원 구조를 이룬다. K+ 양이온은 음이온 layer와 정전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이 빈 공간을 채운다. 이 화합물의 전형적인 charge balance는 [K¬+]0.5[Ta5+]0.56[Ti4+]0.46[P5+][S2-]5로 표현할 수 있다. 새로운 3차원 삼성분계 칼코게나이드, Cu5Ti7S16는 알칼리 금속 할라이드와 각 구성성분의 반응을 통해 합성하였고, 단결정 X-선 회절법에 의해 결정구조를 해석하였다. 이 단결정은 판 모양의 검정색 이고 상온에서 안정하다. 이 화합물은 스피넬구조를 갖는 CuTi2S4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하나의 단위세포의 크기 a = 7.0222(5) Å, b = 7.0222(6) Å, c = 34.8239(7) Å, γ = 120.00°, V = 1487.13(16) Å3 에 두 개의 형식단위를 갖는 삼방정계 공간군 R3(ㅡ)m으로 결정화 되었다. 이 단결정은 입방 조밀 충전을 하고 있다. 칼코젠 음이온은 각각의 금속 양이온과 다면체로 결합하고 있는데, Cu는 S와 사면체 또는 팔면체 배위를 하고 있고, Ti은 S와 팔면체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Cu-S와 Ti-S결합에 의해 3차원 그물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결합길이는 Cu-S = 2.4134 Å, Ti-S = 2.2372 ~ 2.2748 Å 이다. 이 화합물의 전형적인 charge balance는 쉽게 나타내기 어려우며 근사적으로 [Cu+]5[Ti(4-x)+]7[S2-]16로 표현할 수 있다

      • 생조기와 냉동조기를 이용한 저염굴비 제조 시 건조온도에 따른 품질 특성

        곽현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생조기와 냉동조기를 이용하여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굴비에 비해 저염인 굴비를 제조하고자 열풍건조를 이용하여 굴비를 제조하였으며, 냉동 보관에 의한 물리적 손실을 규명하고자 생조기와 냉동조기를 이용하여 굴비 제조 시 건조 온도에 따른 굴비의 품질 변화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생조기와 냉동조기를 이용하여 자연건조를 이용한 굴비의 수분 함량은 각각 43.09±0.49, 41.59±0.05%로 생조기에 비해 냉동조기로 만든 굴비의 최종 수분함량이 더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도는 건조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건조 90일에 생조기 2673.95 kg/cm2, 냉동조기 2713.59 kg/cm2로 나타났다. 생조기와 냉동조기를 이용한 굴비의 산도는 각각 1.54±0.04, 1.80±0.05%로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높아졌으며, 냉동조기의 산도의 값이 생조기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다. 생조기의 VBN 함량은 5.20±0.02 mg/100g에서 21.08±0.51 mg/100g까지 증가하였고, 냉동조기는 생조기의 VBN 함량보다 약간 더 높은 5.83±0.01 mg/100g에서 23.4±1.13 mg/100g까지 증가하였다. 생조기의 TBARS가는 0.37±0.01 mg/kg에서 1.78±0.05 mg/kg로 증가하였고 냉동조기는 0.43±0.02 mg/kg에서 2.33±0.16 mg/kg으로 생조기에 비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자연건조 이용 시 생조기로 제조한 굴비의 염도는 23.23±0.63%로 나타났으며,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생조기를 이용한 굴비의 경우 72.96 mg/100g, 냉동조기를 이용한 굴비의 경우 80.33 mg/100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열풍건조를 이용하여 굴비 제조 시 건조기간에 따른 수분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였고, 수분이 감소함에 따라 경도는 건조 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열풍건조 기간에 따라 산도는 증가하고 pH는 감소하였으며, 생조기의 초기 휘발성 염기 질소 함량은 5.15 mg/100g에서 30℃ 열풍건조 15일째 18.37 mg/100g을 나타내었고, 냉동조기는 20.84 mg/100g로 생조기의 값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35℃ 열풍건조로 제조한 생조기와 냉동조기의 휘발성 염기 질소 함량은 각각 18.52, 20.55 mg/100g를 나타내었다. 35℃의 열풍건조를 이용하여 제조한 굴비의 TBARS가는 생조기와 냉동조기를 이용한 최종 제품의 TBARS가는 1.63±0.12 mg/kg와 1.81±0.02 mg/kg로 각각 나타났다. 생조기와 냉동조기의 염도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면서 건조기간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며, 35℃ 열풍건조를 이용한 최종 굴비제품의 염도는 18.37±0.31%, 19.45±0.46%를 나타내었다. 생조기와 냉동조기의 해동 후 즉, 염장 전의 총균수는 생조기와 냉동조기 각각의 경우 4.27 × 104 과 4.32 × 104 CFU/g로 각각 나타났다. 자연 건조한 굴비의 경우 생조기와 냉동조기 모두 염장 전보다 5.40 × 105, 4.83 × 105 CFU/g로 보다 높은 총균수를 나타내었다. 생조기와 냉동조기를 이용하여 굴비 제조 중 근육조직의 형태적 변화를 보기위해 근육의 표본조직을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근원섬유가 발달되어 있으며 섬유속 사이에는 미토콘드리아와 근소포체로 추측되는 구조물이 충진 되어 있었다. 냉동조기의 경우 냉동저장 중 근원섬유단백질의 변성과 근세포에 다수의 미세한 빙결정의 생성으로 이화학적 특성이나 물리적 특성에도 영향을 미치며, 이는 굴비 최종 제품의 맛이나 조직감 등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된다. 자연건조와 열풍건조에 의해 제조된 최종 굴비제품을 이용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외관의 경우 자연건조와 35℃ 열풍건조를 이용한 조기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40℃ 열풍건조 처리구는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35℃ 건조온도를 이용하여 제조한 굴비 제품의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 및 TBARS가가 자연건조에 비해 덜 산패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관능검사 결과 자연건조를 이용하여 제조한 굴비와 35℃ 건조온도를 이용하여 제조한 굴비 처리구가 전체적 기호도에서 높은 값을 받아 열풍건조 이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자연건조를 이용하여 제조한 굴비와 대등하거나 더욱 품질이 우수한 제품일 것이라 생각되며, 자연건조 기간을 단축하여 신속하게 저염 굴비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그로 인해 저염식을 원하는 현대인의 소비추세에 맞추어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높여 소비 촉진 및 국민건강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유리조형의 “색(色)과 음(音)” 이미지에 대한 연구

        곽현정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Over the historic era, a number of the people agree that the responsibility and duty of artist is to sublimate human's inner world  in art. The Sound that is shapeless and colorless come to human's inner world with beautiful melody and harmony, and create the new world, rhythm and impression. On the other hand, Although painting and sculpture have no any sounding factor,  those make its appreciator the rhythm in his own way, and sometimes allow for appreciator to be a composer, musician and conductor in their inner world and come to make the Aura that they are freely able to swim in sounding ocean. This study represent the inner emotion of relative existence coming from human relationship by anthromorphizing an musical instrument named as Cello, and describe and summarize this writer's inner world by modeling impressed image among human relationship with sound and color in. This work, we study the auditory rhythm of visual object model through the [Cello+People] expressed with each color, the helpful expression to make each appreciator feel with their own sound, and we tried to expand the expression area in work through repeating and reiterating form, changing the form and changing the way to express. In this chapter Ⅱ of this paper, while studying the formal characteristic of this work, Firstly, we will review the structual recognition of material usage through the visual movement shown from futurism Boccioni and Naum Gabo' work and the formative symbol with comparison to my work, additionally the rhythm of structural form and color represented in work of Neo-plasticisme Mondrian and Kandinsky. Secondly, we will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or and sound of the wave in terms of scientific evidence and synesthetic expression and research the relation between their musical thought and visual art through the artist who formalize the color and sound of wave. It is hopeful that this beautiful color and ringing sound intended in this work occur visual rhythm and deliver deep impression to appreciator. we are pleased for my paper to provide a opportunity to help and proceed for future work.

      • 웹기반 탐구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양식과 스캐폴딩 유형이 학업성취도와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곽현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웹기반 탐구학습 환경에서 학업성취도와 과학탐구능력을 증진하는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적합한 스캐폴딩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기반 탐구학습 환경에서 사전성적의 영향을 통제했을 때, 학습자 학습양식과 스캐폴딩 유형 간 학업성취도에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가? 둘째, 웹기반 탐구학습 환경에서 사전성적의 영향을 통제했을 때, 학습자 학습양식과 스캐폴딩 유형 간 과학탐구능력에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해, 학습자의 학습양식을 심층형과 표면형으로, 스캐폴딩 유형을 설명제공형과 단서제공형으로 구분하고, 중학교 3학년 9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양식 검사를 실시한 후, 학습양식과 스캐폴딩 유형에 따라 네 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학업성취도와 과학탐구능력 검사 결과는 사전성적을 공변인으로 하여 이원공분산분석(two-way 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탐구능력에서 심층형 학습자는 단서제공형 스캐폴딩이 제공될 때 높은 점수를 보였고, 표면형 학습자는 설명제공형 스캐폴딩이 제공될 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러나 학업성취도에서는 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웹기반 탐구학습 환경에서 학습양식과 스캐폴딩 유형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과학탐구능력에서 유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웹기반 탐구학습 환경에서 스캐폴딩을 적용함에 있어 학습자 학습양식을 고려하는 것은 중학생의 과학탐구능력 함양에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 서울에 거주하는 젊은 성인에서 흔한 흡입성 알레르겐에 대한 감작률과 기도 과민성의 유병률

        곽현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흡입성 알레르겐에 의한 감작과 기도과민성은 천식과 알레르기비염 같은 호흡기 알레르기에서 중요한 위험 인자이다. 천식 등 호흡기 알레르기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흡입성 알레르겐에 대한 피부단자시험 양성률에 대한 보고는 많으나 일반 집단에서 양성률과 기도과민성의 유병률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특히 우리나라에서 건강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드물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젊은 성인에서 흔한 흡입성 알레르겐에 대한 피부단자시험 양성률과 기도과민성의 유병률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21-36세의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의과대학생 27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이전에 의사에 의해 진단받은 알레르기비염과 천식의 유병률을 평가하였다. 피부단자시험은 10개의 흔한 흡입성 알레르겐에 대해 시행하였고 팽진의 크기가 히스타민에 의한 반응과 같거나 큰 경우를 양성반응으로 정의하였다. 1개 이상의 알레르겐에서 양성을 보인 경우를 아토피로 정의하였다. 기도 과민성은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시험을 시행하여 PC20가 16 mg/ml 미만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알레르기비염과 천식의 유병률은 227명의 대상자에서 각각 20.7%와 4.4%로 나타났다. 피부단자시험에서 나타난 아토피는 전체 대상자의 약 48.0%였다. 흔한 알레르겐은 세로무늬먼지진드기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37.9%), 큰다리먼지진드기(D. farinae) (35.7%), 긴털가루진드기(Tyrophagus putrescentiae) (8.8%), 고양이(7.0%), 쑥(mugwort) (6.2%), 바퀴벌레(3.5%), 두드러기 쑥(ragweed) (3.5%), 개(3.5%), Alternaria (3.5%), Aspergillus (2.2%) 순이었다. 알레르기비염과 천식 등 호흡기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에서 더 높은 아토피의 유병률을 보였고(74.5% vs. 40.3%, P <0.001), 기도 과민성의 유병률도 높았다(31.4% vs. 6.8%, P <0.001). 기도과민성은 전체 대상자의 14.5%에서 보였고 이는 아토피와 진드기 알레르겐의 감작과 유의한 연관을 보였다. 결론: 서울에 거주하는 젊은 성인에서 아토피와 기도 과민성의 유병률은 각각 48.0%, 14.5%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호흡기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 스팀(STEAM)교육을 활용한 미술 프로그램 연구

        곽현정 동아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융합의 시대에 발맞추어 하나의 지식이 아닌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 분야 등 다양한 지식을 융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과 함께 예술적 감성까지 아우르는 창의융합 인재를 양성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스팀(STEAM)교육은 융합교육을 기본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Science(과학), Technology(기술), Engineering(공학), Arts(예술), Math(수학) 등 5가지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스팀(STEAM)교육이 기존 교육과 크게 차이가 나는 특징으로는‘융합’을 들 수 있다. 융합인재교육으로도 불리는 스팀(STEAM)은‘창의적인 사고력을 바탕으로, 융합적인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갖춘 과학기술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것은 특별히 과학인재뿐 아니라 문화융합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반드시 교육과정을 통해 제공되어야 하는 교육의 방향이다. 문화와 창의 자본시대를 이끌어갈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능력을 갖춘 인재를 기르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교육 시스템과 프로그램 개발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실험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스팀교육을 활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김진수의 교과별 STEAM 융합교육 모형인 예술교과 중심의 ‘A-STEAM’을 활용하였다. ‘A-STEAM’은 예술에 적용할 수 있는 스팀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즉 예술교사가 미술 수업에 과학, 기술, 공학, 수학의 내용을 연계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단순한 미술활동이 아닌 다각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창의융합인재교육 모형이다. 실험 결과는 전경원‘초등 창의적 특성검사(K-CTC)’를 이용하여 본 프로그램 실행 사전·사후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팀미술교육을 통하여 융합적 사고에 의한 표현력과 창의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미술적 표현방식이 과학적 발견 및 원리를 시각화하는 동시에 작품 소재와 기법으로 활용되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스팀미술교육은 학생들의 관찰력과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팀미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자기 주도적인 창의적 미술 활동을 하게 됨으로써 향상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본 실험의 결과 창의융합 스팀(STEAM) 미술교육은 미술교육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스팀을 활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에 보다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아동의 정서, 행동에 미치는 임상효과

        곽현정 단국대학교 대학원(천)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some emotional and behavioral effect of clinical treatment of school sand play group counseling for a large grou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ounseling had been carried out to 113 children of OO Elementary school in OO City, including 10 times within 12 weeks from March to July 2015. Each group of counseling had 10~16 counselee, a main counselor and 3-4 of sub-counselors and all they did it 40-minute each time. And it consisted of 12 sessions including a baseline assessment, 10 times of therapy, and a post-assessment. It was conducted to 56 male(49.56%) and 57 female(50.44%) students with questionnaires for their sex and age, assessing KCYP results at the point of baseline and post-therapeutic condition. We used SPSS 15.0 program for analysing the results and also used paired t-test for comparison of the pre-therapeutic result with the post one, both including the value of reasonability of KCYP and that of detailed clinical evaluation. After the therapy, it was shown that there were an statistically remarkable differences with the baseline assessment in Ego strength(t=-3.16, P=.002), Reality Distortion(t=2.35, P=.021), Tension/Anxiety(t=3.75, P=P<.001), Hypochodriasis (t=2.90, P=.005), Phobia(t=3.53, P=.001), Introversion(t=2.13, P=.035), Inattention(t=2.74, P=.007), Oppositionlity(t=2.68, P=.008), Conduct problem(3.93, P<.001) and Parent conflict(3.45, P=0.001) etc. We suspect that school sand play group counseling has clinical effect to behavioral as well as emotional problems of children. 모래놀이치료는 1950년대에 Kalff가 모래놀이를 심리치료기법으로 이용하면서 발전되었다. 그 동안 국내에서 모래놀이치료의 선행연구는 사례 위주 및 소규모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대규모의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아동의 정서 및 행동에 미치는 임상적인 효과를 KCYP를 통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OO시에 소재한 OO초등학교 4-6학년 학생 113명을 대상으로 2015년 3월부터 7월까지 12주간 10회기의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을 시행하였다. 소그룹은 아동 10명-16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주상담사 1인과 보조상담사 3-4인이 참여하였고, 치료시간은 40분이며, 회기는 Baseline 평가, 치료 10회기, 사후 평가회기 등 총 12회기로 구성되었다. 대상군은 남아 56명(49.56%), 여아 57명(50.44%)이었으며, 평가도구로는 성별, 연령 등의 역학 설문지와 한국아동청소년인성검사(Korea Child & Youth Personality Test 이하, KCYP)를 Baseline 시점과 치료 후에 각각 평가하였다. 결과분석으로는 SPSS 1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paired t-test를 사용하여 모래놀이 시행전후에서 KCYP의 타당도 척도 및 임상영역 세부평가척도 점수를 각각 비교하였다.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 시행 후 Baseline에 비해서 KCYP상 자아강도(t=-3.16, P=.002), 현실왜곡(t=2.35, P=.021), 긴장불안(t=3.75, P=P<.001), 건강염려(t=2.90, P=.005), 공포(t=3.53, P=.001), 내향성(t=2.13, P=.035), 주의결함(t=2.74, P=.007), 반항성(t=2.68, P=.008), 품행문제(3.93, P<.001), 부모와의 갈등(3.45, P=0.001)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은 아동의 정서적 문제뿐만 아니라 행동적 문제에도 임상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