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 필립 라모(Jean-Philippe Rameau)의 화성 구조에 관한 연구

        곽지현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Jean-Philippe Rameau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rench composers and theorists in the 18th century. His Traité de l'harmonie (1722), Nouveau système de musique théorique (1726) and Génération harmonique (1737) along with some of his theses lay a cornerstone in foundation of functional harmony which was reigned over the musical world as the principal musical theory for the next two hundred years. On the other hand, Rameau is also regarded along with Lully as the founder of pre-Revolutionary French opera. His stage works comprise many genres, including the tragédie lyrique, the comédie lyrique, the opéra-ballet, the pastorale and the divertissement, as well as incidental music. Meanwhile Rameau was the one of main actors of the Quarrel of Bouffon, a dispute between partisans concerning the respective merits of French and Italian music, in particular opera, which was fought out in Paris. Rameau defended French musical tradition against the literary figures of the time such as Jean-Jacques Rousseau and Grimm Brothers who were enthusiastic partisans of Italian opera. The most important contributions Rameau had achieved in theory was due to the fact that he attempted to reduce music to a science. He argued that all music is founded on harmony, and that all chords can derived from the perfect triad (major or minor, the source of consonance) or the 7th chord (the source of dissonance). He also invented the concept of a fundamental bass, a sequence of roots, present or not, that are distinct from the thorough bass, and in addition, he formulated the idea of harmonic inversion. Finally in his musical theory, the notion of cadence was magistral, because it designates not only to determinate the tonality but also to schismatize the structure of whole piece. With all these new discoveries Rameau had provided theoritical background of the music of the Classical period which dominated the musical world as the invincible principle until Schönberg of 20th century.

      • 과장광고가 소비자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곽지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modern society is called 'information society', importance of information has been highlighted more and more and consumers have come in contact with a good deal of information in such a flood of information. In addition, many enterprises have entered into keen competition to make consumers remember their products. Accordingly, the functions and roles of advertisement, an important means of communication have been larger. However, since some enterprises often advertise exaggeratively for their products different from real products, in order to arouse consumers' interests in them among keen competition, consumers damaged by such exaggerative ads have increased more and more, which is rising as a social problem.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influences exaggerative ads have upon consumer's attitudes toward ads and purpose of purchasing, focused on ads for diet products which are easy to meet in the printed media and recognized as exaggerative ads by most consumer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find matters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highly-concerned consumers, are there effects of exaggerative ads although they recognize the ads's messages are exaggerated? Second, in the case of exaggerative ads, do the unknown models and their impressive messages affect greatly formation of consumers' attitudes, as suggested by the ELM? Third, are consumers' attitudes and purpose of purchasing for exaggerative ads decided according to types suggesting expressions of the printed ads? In order to investigate such matters,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s on effects of exaggerative ads were examined, a study model was deduced by examining the related literatures, the hypothesis was built up and the positive study was performed. The subjects were twenties to forties aged women and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results of positi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highly-concerned consumers recognize they are exaggerative ads, such exaggerative ads affected consumers' attitude toward ads and purpose of purchasing. Second, in the case of exaggerative ads, they had few influence upon consumers' attitude toward ads and purpose of purchasing, depending on types(well-known/unknown) of models, but impressive messages were more effective than unimpressive ones. Third, types of ads displayed with pictures had a great influence, compared to ones with only letters. In conclusion, in the case of exaggerative ads, although types of models have few influence upon consumers' behaviors, ads with visual effects by displaying together impressive messages or pictures seem to be more effective. 현대 사회를 정보사회라고 하듯이 정보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많은 정보를 접하고 있다. 또한 기업에서는 소비자들이 기억에 자사제품을 인식시키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따라서 중요한 전달 수단인 광고의 기능과 역할은 점점 커지고 있다. 그 러나 기업들은 치열한 경쟁속에서 자사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을 이 끌어 내기 위해 종종 제품을 실제와는 다르게 과장하여 광고하고 있어 소 비자들의 피해는 점점 늘어나고 이는 사회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장광고가 소비자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인쇄매체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소비자들이 과 장광고라고 인식하는 다이어트제품광고를 중심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관여 소비자의 경우 소비자가 광고 메시지가 과장되었다고 인식 하고 있는 경우에도 과장광고가 효과가 있는가 둘째, 과장광고의 경구에도 ELM 이 제안하고 있는 것처럼 비유명모델 과 강한메세지가 그들의 태도 형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인쇄광고의 표현제시 유형에 따라 과장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광고 태도 및 구매의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과장광고효과에 관한 사전 연구문헌을 고찰하였으 며,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모형을 도출하고 가설을 설정한 후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피시험자는 20 -4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t-test를 이용하여 검 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관여 소비자들이 광고가 과장되었다고 인식하는 경우에도 과장 광고는 소비자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과장광고의 경우, 모델의 유형(유명/비유명)에 따라 소비자 광고태 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는 거의 없으나, 강한메세지는 약한메 세지에 비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진과 함께 제시된 광고유형이 글만 제시된 광고유형에 비 해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과장광고의 경우에는 모델의 유형은 소비자들에게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강한 메시지인 경우나 사진을 제시하여 시 각적인 효과를 준 광고가 더욱 효과적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층상구조 화합물 A_(X)BO_(2)의 합성 및 물리화학적 특성 연구

        곽지현 가톨릭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양한 층상구조물 A_(x)BO_(2)를 고상 반응 또는 연성화학적 방법을 통하여 합성하였고 이들의 물성을 조사하였다. PART Ⅰ 에서는 Delafossite화합물 Ag_(x)CoO_(2)(x=0.75,0.95)와 AgNi_(1-x)Fe_(x)O_(2)(0≤x≤0.5)를 양이온 교환반응으로 합성하였고, 이들의 결정화학적 특성과 전하운반 특성을 살펴보았다. Ag_(x)CoO_(2의 연구를 통해 Ag-delafossite의 구조는 전구체의 결정구조에 의해 결정됨을 알 수 있었다. AgNi_(1-x)Fe_(x)O_(2)에서는 x=0.1 근처에서 금속-비금속 전이가 발견되었고 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PARTⅡ에서는 비양론적인 층상구조물 Na_(x)Ni_(x/2)O_(2)(0.6≤x≤1.0)를 고상반응으로 합성하였고, Ni/Ti-O와 Na-O결합의 이온 · 공유특성의 변화가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Na^(+)-의 이온전도 특성은 측정을 통해 이 화합물이 fast-conductor임을 알 수 있었고, 이를 Na-O의 결합 특성, 구조와 연계하여 논의 하였다. 한편, Na_(x)Ni_(x/2)Ti_(1-x/2)O_(2)를 전구체로 하여 A_(x)Ni_(x/2)Ti_(1-x/2)O_(2)(A=Ag, Cu ; 0.67≤x≤1)도 성공적으로 합성할 수 있었는데 A=Ag인 경우, x=0.75 근처에서 배위상태가 바뀌는 구조전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Various layer-type oxides A_(x)BO_(2) have been prepared by direct solid state reaction or soft chemistry. In Part Ⅰ, dlafossite-tyre compounds Ag_(x)CoO_(2)(x=0.72, 0.95) and AgNi_(1-x)Fe_(x)O_(2)(0≤x≤0.5) were synthesized through cation-exchange reaction and their structural and electrical transport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Studies on Ag_(x)CoO_(2) revealed that the structures of Ag-delafossite should be pre-determined by the structural type of precursors. With the solid solutions AgNi_(1-x)Fe_(x)O_(2). A metal-insulator transition was observed around x_(c)=0.1 and the nature of transition and electrical transport properties were discussed. In Part Ⅱ, nonstoichiometric oxides Na_(x)Ni_(x/2)Ti_(1-x/2)O_(2)(0.60≤X≤1.0) were prepared through thermal reactions and the influences of the variation of iono - covalency in Na-O and Ni/Ti-O bonds on the structural evolution with x were investigated. They exhibit fast ionic conductivity, which was discussed related with the evolution of bonding character of Na-O and their structures. Cation-exchange reaction With AgNO_(3), or CuCl Using Na_(x)Ni_(x/2)Ti_(1-x/2)O_(2) allowed us to prepare successfully the A_(x)Ni_(x/2)Ti_(1-x/2)O_(2)(A=Cu, Ag ; 0.67 ≤ x ≤ 1.0) and their structural features were considered in comparison with their precursors, Na_(x)Ni_(x/2)Ti_(1-x/2)O_(2).

      • 과장광고가 소비자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다이어트 제품을 중심으로

        곽지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modern society is called 'information society', importance of information has been highlighted more and more and consumers have come in contact with a good deal of information in such a flood of information. In addition, many enterprises have entered into keen competition to make consumers remember their products. Accordingly, the functions and roles of advertisement, an important means of communication have been larger. However, since some enterprises often advertise exaggeratively for their products different from real products, in order to arouse consumers' interests in them among keen competition, consumers damaged by such exaggerative ads have increased more and more, which is rising as a social problem.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influences exaggerative ads have upon consumer's attitudes toward ads and purpose of purchasing, focused on ads for diet products which are easy to meet in the printed media and recognized as exaggerative ads by most consumer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find matters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highly-concerned consumers, are there effects of exaggerative ads although they recognize the ads's messages are exaggerated? Second, in the case of exaggerative ads, do the unknown models and their impressive messages affect greatly formation of consumers' attitudes, as suggested by the ELM? Third, are consumers' attitudes and purpose of purchasing for exaggerative ads decided according to types suggesting expressions of the printed ads? In order to investigate such matters,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s on effects of exaggerative ads were examined, a study model was deduced by examining the related literatures, the hypothesis was built up and the positive study was performed. The subjects were twenties to forties aged women and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results of positi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highly-concerned consumers recognize they are exaggerative ads, such exaggerative ads affected consumers' attitude toward ads and purpose of purchasing. Second, in the case of exaggerative ads, they had few influence upon consumers' attitude toward ads and purpose of purchasing, depending on types(well-known/unknown) of models, but impressive messages were more effective than unimpressive ones. Third, types of ads displayed with pictures had a great influence, compared to ones with only letters. In conclusion, in the case of exaggerative ads, although types of models have few influence upon consumers' behaviors, ads with visual effects by displaying together impressive messages or pictures seem to be more effective. 현대 사회를 정보사회라고 하듯이 정보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많은 정보를 접하고 있다. 또한 기업에서는 소비자들이 기억에 자사제품을 인식시키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따라서 중요한 전달 수단인 광고의 기능과 역할은 점점 커지고 있다. 그 러나 기업들은 치열한 경쟁속에서 자사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을 이 끌어 내기 위해 종종 제품을 실제와는 다르게 과장하여 광고하고 있어 소 비자들의 피해는 점점 늘어나고 이는 사회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장광고가 소비자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인쇄매체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소비자들이 과 장광고라고 인식하는 다이어트제품광고를 중심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관여 소비자의 경우 소비자가 광고 메시지가 과장되었다고 인식 하고 있는 경우에도 과장광고가 효과가 있는가 둘째, 과장광고의 경구에도 ELM 이 제안하고 있는 것처럼 비유명모델 과 강한메세지가 그들의 태도 형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인쇄광고의 표현제시 유형에 따라 과장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광고 태도 및 구매의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과장광고효과에 관한 사전 연구문헌을 고찰하였으 며,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모형을 도출하고 가설을 설정한 후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피시험자는 20 -4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t-test를 이용하여 검 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관여 소비자들이 광고가 과장되었다고 인식하는 경우에도 과장 광고는 소비자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과장광고의 경우, 모델의 유형(유명/비유명)에 따라 소비자 광고태 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는 거의 없으나, 강한메세지는 약한메 세지에 비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진과 함께 제시된 광고유형이 글만 제시된 광고유형에 비 해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과장광고의 경우에는 모델의 유형은 소비자들에게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강한 메시지인 경우나 사진을 제시하여 시 각적인 효과를 준 광고가 더욱 효과적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피아노 영재의 재능발달 영향요인에 대한 개인적, 시대적 비교 : Gagné의 DMGT를 기초로

        곽지현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음악의 역사에서 괄목할만한 업적을 남긴 피아노 영재들의 생애와 업적을 다루며, 이들의 재능발달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비교하고 있다. 이러한 탐색을 통해 피아노 영재교육에 대한 방향 제안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했다. 연구는 이들의 재능발달 과정을 개인별․시대별로 고찰하고, 피아노 영재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토대로 영재교육의 방법을 모색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질적 접근 방법과 양적 접근 방법이 통합되었으며, Gagné의 ‘영재성과 재능에 대한 차별화 모형(DMGT)’을 비교의 틀로 사용하였다. 이에 의해 모형의 구성 요인인 타고난 능력(NAT), 개인내적 촉매IC), 환경적 촉매(EC), 우연 혹은 기회의 촉매(CH), 발달 과정(LP) 각각 포함된 세부 항목을 비교하였다. 연구 대상인 12인의 피아노 영재는 바로크, 고전주의, 낭만주의, 근대 및 20세기 총 네 시대에 걸쳐 각 3명씩 선정되었으며 이는 개인별로 비교되었다. 또한 이 네 시대 역시 DMGT 요인에 의해 각각 비교되었으며, 음악 역사의 일반적 배경을 토대로 개인의 분석 결과와 종합되어 분석되었다. Gagné에 의하면 이 요인은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서 출현해 특별한 재능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이러한 내용이 검증되었다. 개인적 비교 결과, 12인의 피아노 영재는 모두 타고난 능력이 뛰어났다. 그러나 각 영재가 처한 개인적인 환경과 생활 습성 등의 차이로 피아노 재능 발달에는 세부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영향을 미쳤다. 시대적 비교결과, 이 요인들은 시대의 요구에 부합하지만 그 범위는 당 시대가 처한 다양한 환경과 상황에 속했다. 그러므로 피아노 영재들 역시 사회적 상황에 따르는 연주 활동을 통해 각각의 재능을 발달시켰다. 본 연구의 개인적․시대적 비교 결과를 종합하면, 피아노 영재들은 탁월한 능력만큼 뚜렷한 개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개인적 특성을 잘 파악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영재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는 논의점에 도달했다. 또 현 사회가 처한 시대적 흐름은 영재가 활약할 수 있는 중요한 상호작용 적 배경이라는 차원에서 몇 가지의 교육적 시사점이 파생되었다. 개인적 비교 차원에서는 피아노 영재성 개발을 위한 DMGT의 교육적 활용, 교사에 대한 영재 교육의 이해, 창의성을 표출시키기 위한 실존적 교육관, 예술적 가치에 충실한 교육이라는 피아노 영재 교육의 방향이 제언되었다. 시대적 비교 차원에서는 시대 변화에 대응하는 피아노 영재성의 정립, 피아노 교육의 학문적 통합이 제언되었다.

      • 배임죄에 있어서 재산상 손해의 의미

        곽지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형법 제355조 제1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배임죄는 개인 간, 회사로 대표되는 법인과 개인 간 또는 법인간의 거래상 발생하는 배신행위, 나아가 그에 따른 재산상 손해를 발생하게 하였다는 점에 형법적 가벌성의 근거를 두고 있다. 따라서 재산범죄 중에서도 사법질서를 규율하는 데 그 의의가 있는 범죄이다. 원칙적으로 재산상 손해는 민사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사적자치의 원칙에 비추어 타당하며 형법적 개입은 보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민사의 형사화는 지양되어야 한다. 배임죄도 우리 형법의 다른 범죄와 마찬가지로 독일이나 일본의 영향을 받았음을 부인할 수 없으나 그 조문의 내용이 상이하여 해석에 있어서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다. 목적범의 형태가 아니며 미수범을 처벌하고 있기 때문에 손해를 가한 때의 의미를 손해를 가할 위험이 있는 경우까지 포함시켜 해석하는 것은 범죄자에게 지나치게 불리한 유추해석이 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배임죄의 경우에만 다른 재산범죄와 달리 손해를 가한 때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을 법 해석에 있어 명확히 반영하여야 한다. 또한 상법 제622조, 제623조의 특별배임죄나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3조의 배임죄 가중 규정으로부터 형법상 배임죄는 개인적 법익을 보호하는 재산 범죄라는 점에 비추어 보더라도 위험범으로 해석할 이유가 없다. 그동안의 배임죄의 해석론이 구성요건 해석을 통해 구체적 사례를 포섭하는 법적용이 아니라 구체적 사례에 법적용의 결과를 정당화하기 위한 해석이 되지는 않았는가를 돌아볼 필요가 있다. 여론에 의한 현실적 필요에 의해 구성요건의 엄격한 해석을 방관한 채 손해의 개념을 확대 해석하여 죄형법정주의의 원칙을 이탈하여서는 안될 것이다. 결국 형법 제355조 제2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배임죄는 본인에게 손해를 가한 것이 분명한 경우에 인정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 때의 손해란 침해범의 성질에 비추어 실질가치를 따져 산정하여야 할 것이다. 나아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 적용되는 대상 범죄에 형법상 업무상 배임죄의 특별규정인 상법상 특별배임죄가 추가되는 것이 타당하고, 이득액뿐만 아니라 손해액 역시 가중 구성요건으로 삼는 것이 법질서 전체의 조화를 이루는 방안이라 하겠다. The provisions of Article 355 (1) of the Criminal Act are based on the breach of the act of betrayal and property damage resulting from the transactions between individuals, corporations and individuals, or corporations. Therefore, it is a criminal offense that is meaningful in order to regulate the judicial order among property crimes. In principle, civil remedies are appropriate for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to resolve property damages. Criminalization of civil affairs should be avoided in that criminal intervention should be supplementary. Korean criminal law has been influenced by German and Japanese law,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gal usage because the content of the text is different. Korean Penal Code is not a form of objective offenders and punish the attempt.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when the harm is done" to "when there is a risk of causing harm" can be a very unfavorable analogy to criminals. Unlike other property crimes, only the breach of trust offenders requires "when the harm is done", which should be clearly reflecte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Furthermore, considering the Special Crimes in Articles 622 and 623 of the Commercial Act and the Article 3 of the breach of trust offenders in the Act of Aggravated Punishment for Specific Economic Crimes, there is no reason to interpret it as a dangerous offense even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 criminal offense is a property crime protecting personal interests. It is necessary to look back whether the interpretation theory of infidelity has been interpreted in order to justify the result of legal use in specific cases, not just the inclusion of specific cases through interpretation of constitutional requirements. The concept of damages should not be extended by the realistic necessity of public opinion to depart from the principle of criminal justice. In the end, the breach of trust offenders prescribed in Article 355 (1) of the Criminal Act should be considered to be recognized if it is obvious that the person has been harmed. The damage should be calculated based on the actual value in view of the nature of the infringer. In addition, it is reasonable to add a special felony offense under the commercial law, which is a special provision of the criminal law, on the basic crime to which the Act of Aggravated Punishment for Specific Economic Crimes, and it is a proper method to harmonize the entire legal system to demand not only the benefits but damages.

      • 성공적인 피아노 연주를 위한 효율적인 암보 학습에 관한 연구

        곽지현 이화여자대학교 실용음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피아노 연주자에게 암보는 음악적인 표현에 있어서도 중요하지만 심리적으로 부담스러운 학습의 하나인데, 충분한 암보 학습에도 불구하고 무대에서 일순간 기억을 잊게 되면 더 이상 훌륭한 연주를 하기 힘들어진다. 암보는 비단 관습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악곡에 대한 완벽한 이해와 청중에게 의미 있는 전달을 해주는 데에도 필수적인 요소이며, 악보를 가지고 칠 때보다 다양한 음악적 체험을 가능하게 하므로 더욱 활발한 연주 생활을 가능하게 해준다. 실제적인 암보 학습에 앞서 연주자는 기억의 파생과 저장의 과정을 살피는 인체 생리학적인 요소와 함께 음악적 기억의 중요성을 인식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체 생리학과 심리학적 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연주자가 암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암보의 실수가 되는 요인들을 제거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암보 모델을 정립하는 방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음악적 기억들은 암보의 기초 조건이 되어 학습 적용에 많은 영향을 끼치므로 초견, 조성의 인지, 화음 분석력, 청음, 즉흥 연주 등의 선행 음악 요소를 바탕으로 하여 암보의 방법을 고찰하고 실제 암보를 위한 학습에 적용해야 한다. 암보 학습은 감각·운동적인 영역의 행동주의 학습 이론과 지적이고 능동적인 인지주의 학습 이론, 두 견해를 통합한 성취동기 중심의 인본주의적 학습 이론들이 연주자의 개성에 맞게 조화 되어야 하며 암보 연습의 상황에 맞게 적용될 때 효과적인 성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저명한 피아노 연주자들이 제시하는 각각의 암보 학습법 역시 좋은 모델링이 될 수 있으므로 자신의 연습에 적합하게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암보를 위한 학습 후에는 실제 연주에서 겪게 되는 암보의 저해 요인들을 제거해야 하는데, 망각, 연주 중 실수, 불안과 긴장, 무대 공포증, 연습의 부족, 심신의 허약 등은 곡을 외워서 연주하는 것에 악영향을 끼치므로 원인을 잘 알고 대처해야 한다. 다양한 암보의 방법을 단계별로 모두 학습했다면 연주자 자신만의 암보 모델을 선정해야 하는데, 이는 스스로에게 가장 적합한 연습을 가능하게 하며 암보 단계에서 취약했던 점을 되짚어 학습하게 하므로 궁극적으로 훌륭한 암보 연주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된다. 이와 같이 암보 학습은 피아노 연주에 있어 필수적이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임을 인지하여 일상의 연습 가운데에서 암보 훈련을 생활화 시켜야 하며, 피아노 지도자들은 학습자 개개인의 발달 단계와 개성에 맞는 암보 모델을 정립해줄 필요가 있다.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at there are approaches to make a model of music memorization based on physiology and psychological Leaning theories. Along with this, this effort to contribute to build a proper model of a music memorization which can avoid to failure for the training. In the discussion of music memorization, it has a very important roll for the musical expression in the play but we can find that most of pianists have difficulties to Memorize whole music even how he/she tries hard to do. Occasionally, players have failed to play in a situation of a memory blackout. In the light of this, we cannot expect a good play without good music memorization. It because of that music memorization is an indispensable element to deliver proper understanding and meaning of music to the audience besides a common practice, and also it is possible to help to have various music experience and to do play lively when the player play without musical note. In the chapters, I defined that players hav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usical elements and physiological element for the derivation of memory and the process of preservation prior to do practical music memorization. And the music theory for the practical music memorization is applied on the basis of the precedent musical elements such as sight-reading, recognition of tonality, and an analysis of a chord, ear training, and improvisation when musical memory becomes the foundation of music memorization and affects the application of learning. It can become the large help to the successful performance when the method of music memorization is considered. In addition to these, the effective result of training of music memorization can be achieved as a result of the harmony between the Behavioral Learning Theory in sense and motion, the intellectual and active acknowledgement of the Cognitive Learning Theory, and the Humanistic Learning Theory which combine both the Behavioral Learning Theory and the Cognitive Learning Theory on the player's character and the practice situation. The obstructive elements that are experienced on the stage should be eliminated after the practice of music memorization. Since an oblivion, an error in play, an anxiety and strain, stage fright, lack of practice, weakness of body and mind have a bad influence upon the play without a score, the cause of them should be understood and they should be well coped with. It can be also good help to apply the method of music memorization of virtuosos to their own practice. In this dissertation, these results lead to the conclusion that the training of music memorization should be recognized as the necessary and effectual method for the piano play, and become the daily routine among everyday practice. Piano teachers should build the correct model of music memorization according to the player's own character and development. Since it makes the most suitable practice and supplements the fragility and insufficiency during the practice, it leads ultimately the excellent play without a score.

      • 미용고교의 헤어미용산업 실무형 교육현황 연구

        곽지현 영산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attempted to investigate cosmetology education which has been required in hair beauty industry and improve the cosmetology educational programs by proposing practical curriculum. First, according to a test on difference of field performances by the employees who have taken cosmetology education, difference was found among employees in terms of field performance, occupational consciousness and customer response skills. Most students who are receiving cosmetology education suffer from economic difficulties so that they tend to believe that development of skills is more important than personality education. As a result, the employees graduated from general high school were better than those who received cosmetology education in terms of personality education. In other words, it appears that systematic personality education needs to be added to the current cosmetology educational programs. Second, according to analysis on recruitment in hair beauty industry, the students from cosmetology high school were preferred. Especially, those from Busan Beauty High School were most preferred. When asked about the reasons for the answers above, respondents said fast learning was most considered. Because the students from cosmetology high school learn cosmetology in theory and practice at school, they are faster than those from general high school in learning practical skills. On the contrary, when asked about the reasons why they were reluctant to employee the students from beauty high school, giving up easily was most responded. In addition, a problem in future planning, lack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negative results after coming up with the curriculum customized to students level were answered. Third, according to analysis on differences in a point of view on beauty high schools between the employees from general high school and those from beauty high school, difference was observed in social perspective. It has turned out that those from general high school were more positive than those from cosmetology-related high school in terms of social perspective. These days, beauty-related high school curriculum has been differentiated based on students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quality of class has been going down. Therefore, students have realized that they are lack of cognitive ability at employment. In addition, they have found it difficult to adapt themselves to real world or have to learn things from the beginning. In addition, they have been treated like those who completed a short-term educational program in a private institute. Therefore, the students from beauty-related department tend to show a little pride in their school. It appears that envying the fast learning skills of the employees from beauty high school turned into positive results in this study. Except for social perspective by the employees from beauty high school, however, no difference has been observed among the employees in terms of strength and weakness of beauty high school and positive and negative reasons of social perspective. Fourth, according to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by hair industry educational course in beauty high school, when asked about the most practical curriculum, basic qualification education was most responded. When asked how much the skills acquired through high school curriculum have been useful after graduation and building future career, more than average has been responded. When asked about the reasons of a lack of knowledge and capability on beauty among those who responded no use at all, teachers teaching ability and method was mostly selected. This kind of result reveals the difficulty of systematic and panned education with the dependency ratio of substitute teachers and teachers covering both academia and engineering fields accounting for more than a half of total number of teachers enrolled.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teachers ability or teaching method in a systematical manner. 본 연구는 헤어미용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미용 교육의 방안과 실태를 조사하여 실무연계에 필요한 직접적인 교육을 제시하여 차후 미용교육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조사하였다. 첫째, 미용 교육을 받은 직원들의 현장실무능력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실무습득 수행능력 및 직업의식, 그리고 고객응대 기술력이 직원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미용 교육을 받는 학생들의 대다수가 경제적 어려운 환경으로 인성교육보다 기초 기술력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결과로 일반 교육을 받은 직원들의 인성 교육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며, 차후의 교육방식은 체계적인 인성교육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둘째, 헤어미용 산업체에서 직원들을 채용하는 이유를 검증한 결과, 미용고교 출신생들을 선호하고 그 중 가장 선호하는 학교는 부산미용고등학교였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기술 습득이 빠름’이 가장 중요시 되었다는 응답으로 현재 미용 교육이 미용실기 교육과 병행하여 반복된 기술 습득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그렇지 못한 일반고등학교 출신생들에 비해 현장기술 습득능력이 빠른 이유로 판단된다. 반면 미용고교 출신생을 채용하기 싫은 이유에 대해서는 ‘쉽게 포기해 버린다’는 응답으로 고등학교 진로선택의 문제점과 인성교육의 부족성, 그러한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낮은 수준의 교육편성으로 인한 부정적 결과 또한 그에 따른 이유로 판단된다. 셋째, 일반 교육을 받은 직원들과 미용 고등교육을 받은 직원들간의 현재 미용고교를 판단하는 관점에 대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 사회적 시각에 있어서 서로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 교육을 받은 직원이 미용고교 출신생의 사회적 시각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조사되었다. 현재 미용 교육방법을 학생들의 특성에 맞게 낮춰서 지도하다보니 수업의 질이 낮아져 현실적으로 취업 시 인지능력의 부족함을 느끼고 있다. 또한 이들은 현장 적응을 못하거나 실습을 다시 배워야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전공학생으로의 대우를 받지 못하고 단기 교육을 이수한 학원 출신과 같은 대우를 받고 있는 현실은 꿈을 가지고 미용학과를 선택한 학생들의 직업에 대한 갈등을 유발시키는 주요원인으로 미용 고등학교에 대한 자긍심과 애교심이 약한 편이다. 이에 따른 결과가 본 연구에서 일반 교육을 받은 직원이 미용 고등교육을 받는 직원들에 대한 단순한 빠른 실기습득 능력으로 인한 부러움이 긍정적 결과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미용고교 출신생의 사회적 시각외에 미용고교의 장점과 단점, 사회적 시각이 긍정적인 이유와 부정적인 이유에 대해서는 직원간의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미용고교의 헤어미용산업 실무형 교육에 따른 만족도를 검증한 결과, 미용고교 교과 중 현장 활용도가 가장 높다고 생각되는 분야로 ‘기초 자격검정교육’이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고교시절에 배웠던 실기습득 능력 교육이 졸업 후 진로나 활동에 도움이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보통이상이라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응답한 의견 중 미용에 대한 지식과 능력부족의 원인을 교사의 지도능력이나 방법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이는 계약제 교사인 기간제 교사와 산학겸임교사의 의존 비율이 전체 재직교사 대비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체계적이며 계획적으로 연계된 교육의 어려움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어 차후 교사의 능력이나 지도방식을 체계적으로 지도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다섯째, 미용고교 헤어미용산업 실무형 교육에 따른 만족도와 현장실무 능력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 검증한 결과, 실무형 교육에 따른 만족도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무형 교육에 따른 만족도가 높을수록 현장실무능력이 높다고 판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현장실무형 교육에 따른 만족도와 인성교육의 배려심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용 고등학교에서의 재학생들의 특성으로 인해 인성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과 더불어 보면 상관관계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야 하지만 그 중 배려심은 그 차이가 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그 이유로는 실질적인 업무수행 과정에서 쌓여온 돈독한 우애심이 적용 되어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 의거하여 미용고등학교 교육이 기초에 국한되지 않고 헤어미용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실무연계에 필요한 직접적인 교육을 개발하고 발전시켜 미용교육을 받는 학생들의 취업만족 향상과 현장 실무능력에 필요한 미용교육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조사지역이 부산지역에만 국한되어 있고, 조사대상자의 대부분이 최근 미용 교육을 받은자들로 이루어져 조사되었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모든 미용 교육기관들과 일반화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조사대상 지역을 확대하고 장기간에 걸친 연구로 모든 미용 교육기관에서 일반화 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대학생의 공적자의식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불안과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곽지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probl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SNS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otal of 394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yunggi Province and Chungnam Province participated in a survey measuring the level of their self-consciousness, SNS addiction,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problem.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st with AMOS and Mplu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ll variables of self-consciousness, SNS addiction,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problem. Second, it was found that after investigating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probl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SNS addiction, interpersonal problem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while social anxiety did not. Third, dual mediation effect was significant in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probl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SNS addiction. These findings proved that interpersonal problem, social anxiety, and self-consciousness are variables that affect SNS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also clarified that interpersonal problem is a strong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SNS addiction.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공적자의식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불안과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남 지역의 대학생 394명을 대상으로 공적자의식, SNS 중독경향성, 사회불안, 대인관계문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AMOS, Mplus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한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고, 끝으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자의식은 사회불안과 대인관계문제, SNS 중독경향성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사회불안은 대인관계문제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SNS 중독경향성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대인관계문제는 사회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에 각각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적자의식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이 SNS 중독경향성으로 가는 직접적인 경로에서 영향력이 유의미하지 않아 매개효과도 없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공적자의식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공적자의식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사회불안과 대인관계문제는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적자의식이 SNS 중독경향성, 사회불안,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공적자의식과 SNS 중독경향성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사회불안은 공적자의식과 SNS 중독경향성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지는 않지만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주어 간접적으로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