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지(Ganodema lucidum)의 마우스 腹腔癌細胞에 대한 NK 세포 활성능 및 세포성 면역효과

        곽주희 숙명여자대학교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se studies were attempted to assess the natural killer cells cytotoxity and cellular immunity effect of crude Ganoderma lucidum water extracts (GL-W) in vivo. The crude extract was prepared by reflux extraction with distillated water for 12hrs from Ganoderma Iucidum. Every experiment was done with Sarcoma-180 solid tumor in ICR mice,oral administration method. ICR mice (23 ± 2g)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having 20 animals each. Then 1 × 10^(6) Sarcoma tumor cells, which had been collected from a mouse on the 15th day after implantation and counted, were dorsal-subcutaneously inoculated into the right inguinal region of each ICR mouse with a syringe. From 24hrs thereafter, 80mg/kg ofa sample dissolved in physiological saline was orally administered once a day for 15 days, but control group was administered physiological saline only. To measure NK cells cytotoxity using 4hrs ^(51)Cr release assay, the lymphocytes were separated from the spleen of tumor-bearing mice administrated GL-W 80 mg/kg/day orally (per os) for 15 days. And to observe antitumor effect, the mice were sacrificed and the solid tumors were excised from mice, average tumor weight and suppression ratio were calculated. We used modified Boyden chamber to evaluate chemotactic activity of leukocytes from the mice of control and tested group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In the case of NK cells cytotoxity on the target cells the mice treated with GL-W (1.58 ± 0.14 LU) showed approximately three times stronger than the control group (0.46 ± 0.18 LU) (p<.005). 2.In the case of the weight of tumor formed to the right groin of the mice injected sarcoma-180 subcutaneously and treated with GL-W (0.85 ± 0.30),it showed inhibition ratio of 31.45% against solid tumor cell comparing to the control group (1.24 ± 0.29) (p<.025). 3.The chemotactic activities of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from GL-W(83.68 ± 24.50) treated tumor-bearing mi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 (45.90 ± 33.73) (p<.025). 4.Differential white blood cell counts from tumor-bearing mice treated with Ganoderma lucidum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ing to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ndicates that Ganoderma lucidum water extracts could inhibit the growth of mouse tumor cells(sarcoma-180) through the activation of chemotactic leukocytes and the increase of NK cell cytotoxity. For these reasons, Ganoderma lucidum water extracts could clearly enhance to cellular immune response in mouse model experimental results.

      • 국산 전문화장품과 수입 전문화장품의 구매행동에 관한 비교연구

        곽주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피부 관리실을 이용하는 소비자들과 경영하는 원장들을 중심으로 전문화장품의 구매행동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피부 관리실을 이용하는 소비자들과 피부 관리실을 운영하는 관리자들을 중심으로 전문화장품의 구매행동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문화장품의 마케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소비자의 수입전문화장품과 국산전문 화장품에 대한 인식 수준을 살펴보면, 국산전문화장품이 수입전문화장품 보다 가격 면 에서는 경제적이지만, 국산전문화장품이 수입전문화장품보다 용량, 포장용기, 향 면에서 다소 부정적인 평가를 보였다. 또한, 이에 따라 국산전문화장품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사는 낮은 수준이었다. 원장들의 수입전문화장품과 국산전문화장품에 대한 인식과 관련한 분석결과에서는 국산전문화장품이 수입전문화장품에 비해 포장용기가 아름답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지만, 그 외 가격, 용량, 색상, 신뢰도 등 전반적인 평가가 낮아 국산전문화장품에 대한 선호도와 구입의사가 낮았다. 이처럼, 소비자와 원장 간 소비자의 수입전문화장품과 국산전문화장품에 대한 인식 수준은 비슷하여 수입전문화장품이 국산전문화장품보다 품질이 우수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선호도와 구입의사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전문화장품 구매행동을 분석한 결과, 화장품 구매 장소로는 백화점이 45.9%로 가장 많았다. 화장품 선택 시 정보 출처로는 주위 사람이 48.0%로 가장 많았고, 화장품 구입 시 가장 먼저 고려하는 사항으로는 품질이 75.5%로 가장 많았다. 관리를 받고 있는 샵에서 전문 화장품 판매 시 구매 의향에 대하여 살펴보면, 그렇다가 50.0%로 가장 많았고, 샵 에서 전문화장품 구매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제품의 성능이 56.0%로 가장 많았다. 소비자의 전문화장품의 인지도 및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는 전문 화장품 범위 인지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전문 화장품 사용 빈도는 매일 사용하는 경우가 45.9%로 가장 많았다. 전문 화장품 사용하고 있는 86명을 대상으로 전문 화장품 사용 이유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품질이 우수하기 때문에가 75.6%로 가장 많았다. 전문 화장품의 상표(브랜드)가 구매의사 결정시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에 대하여 믿음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 국산전문화장품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브랜드 이미지 확립과 신뢰성 확보가 중요한 과제임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소비자의 전문화장품 구입시 고려사항을 분석한 결과 ‘제품의 기능은 중요하다’는 인식 수준이 4.30점으로 가장 높아 소비자는 다른 요인보다 전문 화장품 구매시 기능을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원장의 전문화장품 구매행동을 분석한 결과 피부관리실에서 화장품을 구매할 때 관리시 주로 사용하는 전문 화장품로는 미백 제품과 여드름 관리 제품이 각 25.0%로 가장 많았고, 주로 판매하는 전문 화장품으로는 미백 제품이 27.1%로 가장 많았다. 이를 통해 피부관리실을 이용하는 대다수의 고객은 피부의 문제를 개선하고 유지하려는 목적으로 피부관리를 받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현재 출시되고 있는 전문화장품 개선점으로는 고가의 가격을 개선하여야 한다는 의견이 41.7%로 가장 많았고, 피부관리시 사용하는 업소용 제품의 브랜드 비중에 대하여 살펴보면 수입 브랜드 주로 사용하는 경우가 81.3%로 월등히 많았다. 또한, 주로 사용하는 제품의 브랜드 선호 이유로는 효과가 좋아서가 83.3%로 대부분 효과가 좋기 때문에 해당 브랜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 사용 브랜드별 선호 이유에 대하여 살펴보면, 수입 브랜드를 주로 사용하는 경우는 89.7%가 효과가 좋아서라는 답변이었다.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purchase action of special cosmetics among the consumers using a skincare parlor and the directors managing it. And it attempted to grasp the purchase action of special cosmetics centered on the consumers using a skincare parlor and the managers operating it and suggest a marketing plan of special cosmetics based on i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bout general affairs of consumers using a skincare parlor we could know that a single person had more concern in a skincare than a married person, and that women in the middle age minded a skincare more than young women. and the special cosmetics marked 45.9% of the concern level, and for the question if they have the intention to purchase the special cosmetics when the management shop sells such cosmetics, they showed an affirmative response say 'yes' by 50.0%. The biggest reason for the purchase of special cosmetics indicated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s most by 56.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awareness and preference of special cosmetics are as follows. Considering the awareness of consumers regarding the scope of special cosmetics, the replay of 'recognize' marked 38.8%, that of 'not recognize' marked 61.2%, that is, the scope awareness of special cosmetics expresses a low level.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s to the matters to consider when one purchases special cosmetics, the recognition level of ‘the function of the products is important’ got 4.30 points, the highest, we could know that consumers consider the function first than other factors when they purchase special cosmetics. the analysis of the directors' purchase action of special cosmetics showed that the time they purchase cosmetics in the skincare parlor marked 49.0%, that is, most of the main channels were the salesman's visit, and the special cosmetics which they mainly use in the management marked whitening products and pimple-caring products were the most, marking each 25.0%. for the question regarding the level of the influence of the profits of the sale of the special cosmetics for consumers upon the sale of the skincare parlor, the reply of 'affect the sale' showed the most marking 39.6%, and for the method of the activation of the sale of special cosmetics for consumers, the opinion of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exact knowledge and information concerning the cosmetics marked the highest figure marking 66.7%. referring to the improvements of special cosmetics under being marketed, the opinion of 'high price must be improved' marked 41.7%, the most, and regarding the reason for the preference of their favorite brand, 'the efficacy is good' marked 83.3%, so it was shown that most of them preferred the relevant brand because the effect was good.

      • 측방접근 상악동 골이식술을 병행하여 식립한 임플란트의 16년 누적생존율에 대한 후향적 연구

        곽주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상 악 구치 부는 발치 후 일어나는 치조제의 흡수 또는 상 악 동 함기화와 같은 해부학적 한계 때문에 적당한 길이의 임플란트 식 립 이 제한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측방 접근에 의해 상악 동 골 이식술을 동반하여 식 립 한 임플란트 의 16년간 누적생존율 및 생존기간에 영향을 주는 예후 인자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1993년 11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부속 목동병원 구강 악 안면외과에 내원하여 측방접근을 통해 상 악 동 골 이식술을 동반하여 임플란트 를 식 립 한 환자 174명을 대상으로, 임플란트 의 누적생존율을 조사, 비교하였다. 누적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찾기 위해 예후와 관련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임상 변수로, 환자 및 위치 관련인자(성별, 연령, 구강 내 임플란트 식 립 위치), 임플란트 관련인자(임플란트 종류, 지 대 주 연결유형, 직경, 길이), 술 식 및 이 식 재 관련인자(접근방법, 식 립 시기, 이 식재 종류, 자가 골 공 여부)의 3가지로 구분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통계적 분석방법은 누적생존율을 구하기 위해 Kaplan-Meier법을 사용하고, Log-rank 검정 법으로 비교하여 선별된 지표에 대하여 Cox 비례위험 회귀모형을 적용하여 단 변량 분석 및 다 변량 분석을 각각 시행하였다. 실패한 임플란트에 대하여는 Chi-square 검정을 시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 악 구치 부에서 상 악 동 골 이식 술을 동반하여 식 립 된 임플란트 의 16년 누적생존율은 88.44%였다. 임플란트 를 식 립 한 연도에 따라서는 1993년부터 2000년까지 전체 누적생존율은 81.10%, 2001년부터 2010년까지 누적생존율은 93.02%였다. 2. 단 변량 분석에서 남성이 여성에 비하여 4.07배, 장 폭 경 임플란트가 2.85배, 자가 골과 이종 골 혼합 이식 시 3.01배, 자가 골 공 여부에서 하 악 지, 하 악 정 중부와 같은 막 성 골이 2.05배 실패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3. 다변 량 분석에서 성별, 임플란트 고정 체의 직경, 식 립 시기, 자가 골 공 여부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게 독립적인 예후인자로 나타났다. 임플란트 실패의 위험인자로서 남성 4.67배, 장 폭 경 3.52배, 동시 식 립 3.18배, 막 성 골 2.84배 실패율이 높아 성별, 임플란트 고정 체의 직경, 식 립 시기, 자가 골 공 여부와 같은 지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4. 임플란트 실패에 대한 위험인자로서 이식 재에 따른 차이는 임플란트 생존율에 대한 독립적인 예후인자는 아니었지만 불량한 예후와 연관된다. 5. 임플란트의 실패 시기는 46.8%가 식 립 1년 이내이었고, 63.8%가 보철 물이 장착되기 전에 실패하였고, 임플란트 종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long-term cumulative survival rate and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implants placed with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Subjects & Methods: The author reviewed the records of 174 patients undergoing implant surgery between November 1993 and May 2010. Data of 579 implants placed in the maxillary sinus combined with sinus floor augmentation by lateral approach were collected from the Oral Maxillofacial department of Ewha-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Survival analysis by use of Kaplan-Meier method and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model was carried out on host and related factors. The characteristics of failed implants was analyzed by Chi-square test. Results: 1. A 16-year Cumulative Survival Rate of the dental implants placed in posterior maxilla combined with sinus graft was 88.44% by Kaplan-Meier analysis 2. Kaplan-Meier estimates of overall cumulative survival rate of the implants according to the period resulted in 81.10% for 1993-2000 and 93.02% for 2001-2010. 3. The Un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influencing survival of implants were gender, diameter of implant fixture, graft material, and donor site(p<0.05 for Log-rank test). 4. Gender, diameter of implant fixture, donor site, and timing of implantation were the four most prognostic factors determined by Multivariate analysis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5. 46.8% of 47 failed implants were found within one year after implantation, and the failure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kinds of implant system significantly. 6. The failure rate was higher in male by 4.67 times, and mixed graft with autogenous bone and xenograft showed higher risk than those of single use by 1.87 times. 7.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models disclosed also higher risk in the implants placed simultaneously and those of delayed implantations by 3.18 times.

      • 원발성 총담관결석의 다수 재발의 위험인자 분석 : Risk Factors for Multiple Recurrences of Primary Common Bile Duct Stones

        곽주희 한양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지 배경/목적 내시경 총담관담석 제거술 후에 총담관담석의 재발에 관여하는 위험인자들은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원발성 총담관담석 환자에서 내시경적 치료를 시행하여 결석을 완전히 제거한 환자를 대상으로 무재발 담관결석, 담관 결석이 1회 재발 및 다수 재발한 환자의 특성 및 위험인자를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다수 재발한 환자의 특성을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03년 4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원발성 총담관담석으로 내시경적 치료(EST)를 시행받은 555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555명의 환자는 재발성 총담관 결석을 보인 112명과 재발이 없었던 443명으로 분류하였고, 총담관 결석의 재발이 있었던 112명은 2회이상 다발성 재발환자 34명과 한차례만 재발하였던 78명으로 재분류하였다. 각각의 환자들에 대한 임상적 특징, 내시경 및 영상학적 소견, 검사실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원발성 총담관담석의 다수 재발의 유병률은 6.13% 였다. 평균 나이는 69.65 ± 9.55 세 였고, 남녀비는 1:1 이었다. 가장 많이 재발한 환자는 총 13번의 재발을 경험하였다. 원발성 총담관 결석의 2번 재발한 환자수는 14명, 3번 재발은 13명, 4번 재발은 2명, 6번 재발은 3명, 8명 재발은 1명, 13번 재발은 1명이었다. 2번 이상의 재발까지 경험하기 위한 평균 기간은 20.12 ± 19.95 개월이었다. 내시경 유두 절개술 이후 재발성 담관결석에 대한 추가 치료로는 26명이 내시경 유두부 풍선확장술 치료를 시행받았다. 담즙 배양으로는 Enterococcus가 가장 흔한 균이었다. 원발성 총담관결석의 다수 재발에 관해 단변량 분석에서는 낮은 ALP 수치, 공기 담도증 (20(25.6%) vs. 21 (61.8%), p-value 0.001)과 관련이 있었다. 다변량 분석에서는 공기 담도증 (odds ratio 3.400, 95% CI; 1.376-8.401)만이 2회 이상의 다발성 재발에 관여하는 의미있는 위험인자였다. 한번 재발한 환자와 재발하지 않은 환자를 비교하였을 때는 단변량 분석에서 이전에 담낭절제술을 시행받은 경우, 담관 담석의 개수가 많을수록, 담석의 지름이 클수록, 담관의 크기가 클수록, 공기 담도증, 기계적 쇄석술, 담도의 각도가 작을수록 재발의 위험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다변량 분석에서 이전의 담낭절제술, 담석의 개수, 확장된 담도, 공기 담도증이 원발성 총담관담석의 다수 재발의 의미있는 위험인자였다. 결론 내시경적 치료 후 원발성 총담관담석의 재발과 관련된 인자는 이전에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결석의 개수, 담도의 크기, 공기 담도증의 유무였다. 다발성 재발 환자와 1회 재발 환자 사이에 공기 담도증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소견을 보였다. 향후 다기관 전향적인 연구와 생물학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ABSTRACT Risk Factors for Multiple Recurrences of Primary Common Bile Duct Stones Joo Hee Kwak,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Background & Aims The multiple recurrences of primary common bile duct (CBD) stones can be a serious clinical condition that can lead to death in elderly patients. However,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ultiple recurrences of primary CBD stones after endoscopic removal have not yet been clarified. The aim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patients with single recurrence and multiple recurrences of primary CBD stones after endoscopic stone extraction. Especially,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for multiple recurrences of primary CBD stones. Methods From April 2003 to May 2016, we retrospectively analyzed 555 patients who underwent endoscopic sphincterotomy (EST) for primary CBD stones in a tertiary center, Hanyang University Seoul Hostpital. Of the 555 patients, 112 had recurrent primary CBD stones and 443 had no recurrence. One hundred twelve patients with recurrent primary CBD stones were reclassified into 34 patients with multiple recurrences and 78 patients with single recurrence. Clinical characteristics, endoscopic, radiologic and laboratory finding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r patients between multiple recurrences and single recurrence of primary CBD stones. Results The rate of multiple recurrences of primary CBD stones was 6.13%. The mean age was 69.65 ± 9.55 years and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1: 1. The patient who had most recurrent primary CBD stones experienced 13 times. Fourteen patients experienced 2 times. Other patients had experienced recurrences of primary CBD stones as follows: 3 times (n=13), 4 times (n=2), 6 times (n=3), 8 times (n=1), 13 times (n=1). The mean length of time until two or more recurrences was 20.12 ± 19.95 months. Twenty-six patients received endoscopic papillary large balloon dilation (EPLBD) for additional treatment of recurrent CBD stones. Enterococcus was most common pathogen in bile culture. We compared recurrence group to non-recurrence group. Recurrent primary CBD stone was associated with age, prior cholecystectomy state, the number of bile duct stones, the diameter of the stones, the diameter of bile ducts, pneumobilia, endoscopic mechanical lithotripsy, and angulation of CBD by univariable analysis. Prior cholecystectomy, the number of stones, the diameter of bile ducts and pneumobilia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recurrence of primary CBD stones by multivariate analysis. Also, we compared multiple recurrence group to single recurrence group. In univariable analysis, low alkaline phosphatase (ALP) and pneumobilia (20(25.6%) vs. 21 (61.8%), p-value 0.001)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of multiple recurrent primary CBD stones. In multivariate analysis, only pneumobilia (odds ratio 3.400, 95% CI; 1.376-8.401) w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involved in multiple recurrences more than once. Conclusion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recurrence of primary CBD stone after endoscopic treatment were prior cholecystectomy state, the number of stones, size of bile duct and presence of pneumobilia. Additionally, significant risk factor for multiple recurrent primary CBD stones was pneumobilia.

      •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곽주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향상을 위한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첫째,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둘째,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을 향상시키는 가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소재 Y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학년 2개 반 중 1반은 실험집단(남 10명, 여 10명)으로, 자기결정성 사전검사 결과 동질성을 보이는 다른 1개 반을 통제집단(남 10명, 여 10명)으로 선정하였다.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김창대, 김형수, 신을진, 이상희, 최한나(2011)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총 11회기를 구안하여 주 2회씩 실시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한 검사 도구는 이현주(2014)의 자기결정성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사전·사후·추후의 검사를 통해 자기결정성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Window 18.0에서 반복측정 변량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사용하여 통계 결과를 분석하였다.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연구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성 향상을 위한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사후 검사 및 추후 검사에 있어 자기결정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자기결정성의 하위영역별 분석 결과에서 실험집단의 각 영역별로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연구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한 결과 자기결정성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기존에 연구되었던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주로 행복과 관련된 복합적인 개인의 정서적인 영역의 효과 연구에 반해, 본 연구는 학생의 자기결정성 측면만을 변인으로 삼고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시도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자기결정성의 하위 영역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효과 검증을 통해 새롭게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보다 효과적인 내용으로 구성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만들었다는 점이다. 한편, 본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타당한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한 결과 제시가 필요하다. 둘째, 모든 초등학생으로 일반화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장기적인 계획과 더불어 많은 연구 대상을 상대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비교집단을 설정하여 단순한 플라시보 효과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할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성이론 중 하나인 기본심리욕구이론만을 전제로 이루어졌으므로 그 밖의 자기결정성이론과 긍정심리학 요소를 접목시킨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