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및 대인관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곽아홍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심리 · 상담및특수교육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및 대인관계가 대학생활합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한 정책개발에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연구문제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중국인 유학생이 한국에서 문화적응 유형(동화, 통합, 분리, 주변화)에 따른 분포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및 대인관계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가 매개하는가? 이를 위해 총 246명의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문화적응척도(Vancouver Index of Acculturation: VIA), 대인관계척도(Relationship Change Scale: RCS), 대학생활적응척도(Student Adaptation College Questionnaire: SACQ)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문화적응 유형별 차이검증을 위해서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대인관계가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응 유형 척도를 활용해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문화적응 유형의 두 하위요인인 중국문화유지와 한국문화수용의 평균점 수를 기준으로 연구 대상자를 '동화', '통합', '분리', '주변화'의 총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연구에서 통합유형이 전체의 30.5%로 비율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분리유형(29.3%), 주변화유형(28.0%), 동화유형(12.2%)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부분도 있으나 차이가 있는 부분도 있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통합유형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도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둘째,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대인관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통합유형이 대인관계에 대한 영향력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동화유형, 분리유형 순이었으며, 주변화유형이 가장 낮았다. 통합유형과 동화유형이 주변화유형, 분리유형과 다른 특징은 한국문화수용 정도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중국인 유학생들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통합유형이 대학생활적응의 점수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동화, 주변화유형 순이었으며 대학생활적응의 점수가 가장 낮은 유형은 분리였다. 통합유형의 특징은 분리유형, 주변화유형과 다르게 한국문화를 수용하였다는 것이므로 중국인 유학생의 전반적인 대학생활적응에서 한국문화수용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문화적응의 하위요인인 한국문화수용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대학생활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하위요인인 중국문화유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한국문화수용도가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중국인 유학생의 대인관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대인관계와 대인관계의 하위요인 모두 대학생활적응과 정적인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수용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대인관계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문화수용은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대인관계를 통해서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중국문화유지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는 대인관계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인관계와 대학생활적응에 있어 한국문화적응이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확인시켰다. 다시 말해 한국문화로의 적응이 대인관계를 낮추고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유학생활을 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 중 비율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해 알아본 것에 대한 의의가 있으며, 문화적응의 이차원 모델을 적용하여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유형별 차이를 알아본 것에 대한 의의가 있다. 또한 문화적응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를 추가해서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가 되겠다. This study is helpful to the development of school life adaptation policies for Chinese students by observing the influence of cultural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adaptation on college life adaptation.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Question 1. What is the distribution of Chinese students' cultural adaptation types(integration,assimilations,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in Korea? Question 2. Can cultural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Chinese students have a meaningful impa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Question 3. Do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play a media role in the influence of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on college life adapta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246 Chinese students on the scale of cultural adapt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llege life adapt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detect the differences in the categories of cultural adaptation, unary variable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understand whet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s media func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cale of cultural adaptation types. Through the two main factors of cultural adaptation type- Chinese culture maintenance and Korean cultural adaptation's average score, the research object is divided into "integration", "assimilation", "separation", "marginalization" four types. In the study, the integration type accounted for 30.5% of the total, followed by the separation type (29.3%), the marginalization type (28.0%), and the assimilation type (12.2%).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leading research,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most of the leading research, the highest proportion of integration types is also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econdly, according to the different types of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personal relations. The integration type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 followed by assimilation type, separation type and marginalization typ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ntegration type and assimilation type and the separation type and the marginalization type show that Korean cultural adaptation is very important. According to the different types of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lege life adaptation. Integration type is the type with the highest score of college life adaptation, followed by assimilation type and marginalization type, while the type with the lowest score of college life adaptation is separation type. Integrative type and separation type and marginalization type difference is Korean cultural adaptation. Therefore, in the process of Chinese students' comprehensive adaptation to college life, we can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Korean cultural adaptation. Thirdly, the influence of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on college life adapta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pecifically, among the sub-factors of cultural adaptation, Korean cultural adapt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ollege life adaptation. Another sub-factor is the maintenance of Chinese culture, which h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adaptation of college life. That is, the higher the degree of Korean cultural adaptation, the higher the degree of college life adaptation. The influence of Chines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college life adjustmen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ub-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ollege life. Four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plays a media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and their college life adaptation. That is, Korean cultural adaptation can have a direct impact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indirectly influence college life adaptation through interpersonal relationship. Howev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s no media role in maint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culture maintenance and college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once again the importance of Korean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to interpersonal relations and college life. In other words, the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will reduc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results of the study on college life adaptation of the largest proportion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are of great significance. By using the dual model of cultural adaptation,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different types of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In addition, the increase of interpersonal rela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dapta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will be the basic data for subsequent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