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호텔산업 아웃소싱이 서비스품질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곽규환 명지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호텔산업 아웃소싱이 서비스품질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호텔산업의 아웃소싱 유형 선택이 서비스품질 및 고객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고찰함과 동시에 호텔산업 아웃소싱 활용 업체를 대상으로 서비스품질을 실증적으로 실시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한 모집단은 서울지역 특급호텔 중 아웃소싱을 실시하고 있는 4개 호텔을 선정 및 이용고객 300명을 대상으로 한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Win 12.0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성 분석을 위해 요인분석과 Cronbach's Alpha 값을 구하였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서비스 품질 및 고객만족을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 등을 살펴보기 위하여 t-test와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아웃소싱, 서비스품질, 고객만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가설검증을 위하여 t-test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 p<.01, p<.001에서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품질은 평균 3.30점으로 보통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는 응답성이 평균 3.4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신뢰성과 공감성 각 평균 3.36점, 확신성 평균 3.34점, 유형성 평균 2.60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객만족은 평균 3.33점으로 보통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는 재방문 의도가 평균 3.3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구전의도 평균 3.33점, 만족도 평균 3.26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웃소싱유형은 서비스 품질의 공감성, 확신성, 응답성, 신뢰성의 순으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아웃소싱 유형은 고객만족의 재방문의도, 구전의사, 만족도의 순으로 상관관계를 보였다. 서비스 품질의 유형성은 고객만족의 만족도, 재방문 의도, 구전의사의 순으로 상관관계를 보였다. 신뢰성은 재방문 의도, 만족도, 구전의사의 순으로 상관관계를 보였다. 확신성은 재방문 의도, 만족도, 구전의사의 순으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응답성은 재방문 의도, 만족도, 구전의사의 순으로 상관관계를 보였다. 공감성은 재방문 의도, 만족도, 구전의사의 순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비용절감형 아웃소싱은 분사형 아웃소싱보다 서비스 품질의 신뢰성, 응답성, 확신성, 공감성이 더 낮았다. 그러나 유형성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서비스 품질의 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확신성, 공감성은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고객만족은 아웃소싱의 비용절감형보다 분사형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아웃소싱 유형에 따라 호텔서비스품질에는 차이가 있으며, 서비스 품질은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Effect of Hotel Industry Outsourcing o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Kwak, Kyu Hwan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Myong Ji University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examine how the type choice of outsourcing affect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documentary research has been done to suggest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study purpose and the service quality has been offered empirically targeting companies applying outsourcing. The population for empirical study is based on 300 customers in 4 hotels where outsourcing has been done among premium hotels and the questionnaire has been don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rvice quality is average 3.30 and it is medium level. By sub-factors, the responsiveness is average 3.45 that is the highest. Reliability and sympathy are average 3.36 respectively. Next, confidence is average 3.34 and flexibility is average 2.60 in order. Second, the customer satisfaction is average 3.33 that is medium. By sub-factors, revisit intention is average 3.37 that is the highest. Next, oral transmission intention is average 3.33 and satisfaction is average 3.26 in order. Third, the outsourcing type has a correlation with the sympathy of service quality, confidence, responsiveness and reliability in order. In addition, the outsourcing type has a correlation with revisit intention, satisfaction and oral transmission in order. The type of service quality has a correlation with customer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oral transmission in order. The reliability has a correlation with revisit intention, satisfaction, oral transmission in order. The confidence has a correlation with revisit intention, satisfaction, oral transmission in order. The responsiveness has a correlation with revisit intention, satisfaction and oral transmission in order. The sympathy has a correlation with revisit intention, satisfaction and oral transmission in order. Fourth, cost-saving outsourcing is lower in the reliability of service quality, responsiveness, confidence and sympathy than the jet outsourcing.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type. Fifth, the type of service qua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confidence and sympathy has an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Sixth, the customer satisfaction is higher in jet type than the cost-saving outsourcing. As abov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hotel service quality by the type of outsourcing and the service quality has an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 Immunomodulatory Mechanisms of Human Dental Pulp Stem Cells

        곽규환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Stem cell therapy is promising method to treat injuries or disease. Among the several types of stem cells, categorized by their source, mesenchymal stem cells have been actively studied for application in clinic because of their regenerative property as well as their immunosuppressive function. It is feasible that cryopreserved mesenchymal stem cells could be allogeneically transplanted to HLA-mismatched recipient patients because of its immunosuppressive properties. In chapter 2, we tested human dental pulp stem cells (hDPSCs) in vitro effects on acute allogeneic immune responses to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hDPSCs may be used to regenerate pulp by allogeneic transplantation. Cells purified from human dental pulp had the phenotype of mesenchymal stem cells (MSCs). The mixed lymphocyte reaction (MLR) was suppressed by incubation with hDPSCs, and this effect was due to soluble factor(s) released from the hDPSCs rather than cell-to-cell contact.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 was the major soluble factor responsible for inhibiting the allogeneic proliferation of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s). The production of IgM and IgG by allogeneic activation of responder B lymphocytes was also completely abrogated by TGF- released from hDPSCs via IFN-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the responder T lymphocytes. This study provides an insight into the potential clinical use of hDPSCs for allogeneic transplantation. In chapter 3, to help immunosuppressive ability of hDPSCs, we have examined the effect of progranulin (PGRN) on human T cell proliferation and its underlying mechanism. We show that PGRN inhibits the PHA-induced multiplication of T lymphocytes. It increases the number of iTregs when T lymphocytes are activated by PHA, but does not do so in the absence of PHA. PGRN-mediated inhibition of T lymphocyte proliferation, as well as the induction of iTregs, were completely reversed by a TGF- inhibitor or a Treg inhibitor. Our findings indicate that PGRN suppresses T lymphocyte proliferation by enhancing the formation of iTregs from activated T lymphocytes in response to TGF-. Based on our work, both of them have an immunomodulatory function but they present their ability different way. It may have the potential to overcome the current limitations of immune rejection and have great accomplishment in future stem cell therapeutics including allogeneic transplantation of dental pulp.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법은 부상당하거나 질병에 걸렸을 때 사용할 수 있 을 것으로 생각되는 획기적인 치료방법이다. 줄기세포는 세포의 유래된 곳에 따라 몇가지 종류로 나뉘는데, 그 중 중간엽 줄기세포는 재생할 수 있는 능력뿐 아니라 면역억제 기능때문에 임상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중간엽 줄기세포의 면역억제능력 때문에 저온 보존된 중간엽 세포를 이용해 HLA 타입이 맞지 않는 환자에게 동종타가이식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제 2장에서는 동종타가이식을 통한 치수 재생에 인간 치아치수유래 줄기세 포를 이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급성 동종 타가 면역 활성 시 치아치수유래 줄기세포의 효과를 실험실상에서 확인했다. 인간 치아치수로부터 분리한 세포는 중 간엽 줄기세포의 표현형을 나타냈다. 인간치아치수유래 줄기세포와 함께 배양했을 때, 혼합림프구반응이 억제되었고, 이러한 효과는 인간치아치수유래 줄기세포와 림 프구의 접촉에 의한 것이 아니고, 인간치아치수유래 줄기세포로부터 나오는 용해 인자(들)에 의해 나타났다. 동종타가반응에 의해 유도된 말초혈액 증식은 인간 치아 치수유래 줄기세포에 의해 억제되는데, 이 기전에 영향을 주는 주된 용해 인자는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b) 였다. 반응 B 림프구를 동종타가반응으로 활성 화 시켜 생성된 IgM, IgG 또한 인간 치아치수유래 줄기세포에 의해 완전히 사라졌 는데, 이는 반응 T 림프구의 활성에 의해 나온 Interferon gamma (IFN-g)를 통한 인간 치아치수유래 줄기세포의 TGF-b의 방출에 의한 것이었다. 제 2장에서의 연구를 통 해, 인간 치아치수유래 줄기세포가 동종타가이식을 위해 임상적으로 쓰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제 3장에서는 인간 치아치수유래 줄기세포를 동종타가이식 시켰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면역 거부 반응을 좀 더 낮춰줄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이러한 후보 물 질 중 Progranulin (PGRN)의 인간 면역 억제에 대한 연구와 그 작용 기전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이 연구에서 PGRN이 PHA에 의해 유도된 인간 T 림프구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PGRN은 PHA에 의해 T 림프구가 활성 되었을 때, 유도 조절 T세포 (iTregs)의 숫자를 증가시켰으나, PHA에 의해 T 림프구가 활성화되지 않았을 때는 유도 조절 T세 포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았다. PGRN에 의한 인간 T 림프구의 활성 억제와 유 도 조절 T세포의 유도는 TGF-b 억제제 혹은 조절 T 림프구 억제제에 의해 완 전히 그 기능이 사라졌다. 제 3장의 연구에서는 PGRN이 활성화된 T 림프구에 서 나오는 TGF-b에 의해 조절 T 림프구의 형성을 촉진함으로 인간 T 림프구 의 활성을 억제 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인간 치아치수유래 줄기세포와 PGRN 모두 면역조절기 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이 각각 다른 기전으로 면역억제능력 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면역 거부 반응에 대한 한계 점을 뛰어 넘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주었으며, 미래에 치수의 동종 타가 이식을 포함한 줄기세포 치료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우리나라 컨벤션 산업현황과 그 발전에 관한 연구

        곽규환 경기대학교 국제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0년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와 2002년 한일 월드컵의 성공적 개최로 대한민국의 브랜드 이미지가 부상하고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1978년에 입국한 외국관광객이 100만명을 돌파하면서 최근 정부는 관광진흥 10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2005년에는 외래관광객 800만명의 유치를 목표로 관광업계에 대한 세금, 금융지원, 국제회의 산업육성 등의 정책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각국 정부는 컨벤션 산업을 21C의 고부가가치 신종산업으로 인식하고 전략산업으로 육성하는 등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있으며, 유럽을 비롯한 일본, 싱가폴 등에서는 관련법 제정, 경비보조, 세금감면, 컨벤션 도시지정 등 각종지원책을 마련하여 각종 컨벤션 뿐만 아니라 전시박람회, 학술세미나, 각종 문화예술행사, 스포츠행사, 외국 기업체들의 인센티브 관광 등의 유치전략을 세우고 있는 실정이며 우리 나라를 동북아에서 가장 으뜸가는 지역경제 중심지로 만들기 위해서는 금융, 교역, 정보, 통신, 물류, 기술개발, 관광 등 핵심분야에서 주변국가에서 꼭 필요로 하는 지식집약형 고부가가치 재화 및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그 중에서도 ‘관광산업의 꽃’으로 불리는 컨벤션 참가자들은 그 나라의 여론을 주도하는 계층으로 국가 이미지 제고에 한몫을 하고 있다. 또한 소비 수준은 일반 관광객들보다 2.2배나 지출이 높은 그야말로 고부가가치 산업임과 동시에 항공업, 여행업, 호텔업 및 기타 관광 관련 산업의 발전과 정치적으로는 국가적 지위 향상 및 국가홍보의 효과, 경제적으로는 고용기회의 창출과 지역 경제의 활성화, 사회문화적으로는 지역 민의 국제친선 도모 및 문화의 공간 형성 등 엄청난 파급효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컨벤션 산업은 국가적으로 육성해야 할 산업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컨벤션 산업은 대형 컨벤션의 부재, 컨벤션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대외 신뢰도 저조, 컨벤션 관련업의 수도권 집중, 지방 국제 항공망 부족, 컨벤션 산업 인프라 부족 및 관련업계와의 협조체제 미비, 컨벤션 유치활동 및 지원책 미비 등 많은 현안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검토해보고 컨벤션 산업 발전에 관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이론의 검토와 각종통계 및 사례연구를 위한 문헌연구를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구축하고 이를 근거로 컨벤션 산업 육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나름대로 노력해 보았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전문인력의 육성 및 자격증 제도의 도입 컨벤션 산업 개최수요의 증가와 함께 회의 내용도 한층 다양화, 고도화 되어 최첨단 기술을 동원해야 하는 등의 여러 분야에 대한 지식정보와 경험을 가진 전문 인력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컨벤션 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전문인력의 육성이다. 따라서 컨벤션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하여 컨벤션 산업의 중요한 요소인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해 현행 단기교육프로그램을 차별화하고, 전문교육과정확대 및 해외 컨벤션 전문기관과의 공동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컨벤션기획사” 등의 자격증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둘째, 복합 컨벤션 센터의 건립 및 선별적 추진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 COEX를 제외하고는 전문 컨벤션시설이 없을 뿐 아니라, 컨벤션시설의 절반정도가 서울지역에 집중되어 있어, 컨벤션산업이 갖고 있는 지역경제 활성화 기능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 컨벤션시설의 확충은 선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컨벤션, 이벤트,전시회 등을 위한 시설이외에 비수기 타개 및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오피스빌딩을 포함한 국제업무지구, 텔리포트, 테크노 파크, 컨벤션 리조트 등의 복합시설로서의 다목적 시설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산발적으로 추진되는 컨벤션센터의 체계적인 건립을 위하여 보다 적극적인 수급분석과 국토계획과 연관한 수급정책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며, 지역 특성 및 사업수행능력에 대한 심층적 검토를 통하여 경쟁력 있는 컨벤션 시설을 건립해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활동의 강화이다. 컨벤션 유치증대를 위해서는 적극적인 홍보, 유치활동도 필요하지만, 우선 과제 중 하나는 유용한 정보를 수집하여 각종, 정보 및 자료의 관리와 공급을 체계화 하는 것이다. 컨벤션개최를 통하여 관광객 유치를 극대화하고 컨벤션의 파급효과를 장기적으로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조사 및 연구 활동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주변 경쟁국 및 선진국의 컨벤션산업 진흥전략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주변 여건과 우리 특성에 부합되는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넷째, 전담조직의 설치이다. 컨벤션 유치의 활성화를 위해 컨벤션 유치 및 운영을 전담하는 컨벤션 사무국(Convnetion & Visitors Bureau)을 지방자치단체 여건에 맞게 설치 운영해야 한다. 다섯째, 컨벤션 유치 및 홍보활동이다. 또한 컨벤션의 효과적인 유치를 위해서는 컨벤션기획업체와 지방자치단체, 컨벤션뷰로 등이 컨벤션 관련 국제기구에 가입하고 컨벤션 전문 국제기구와의 협력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우리만의 확실한 정체성 및 독특한 문화, 따뜻한 사람들의 환대를 표현할 수 있는 슬로건의 개발 활용을 통해 경쟁국과 이미지를 차별화 해야 한다. 여섯째, 관련법제도의 개선이다. 컨벤션 유치의 촉진 및 개최의 지원을 통한 컨벤션산업의 육성을 위한 법적 지원근거의 마련을 위해 컨벤션산업 육성과 관련한 각종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 컨벤션관련 법규 중에는 상/하위 법끼리 일부 상충되거나, 계획규정은 있지만 시행규정이 명확하지 않은 부분도 있다. 그러므로 급변하는 세계환경에 적용할 법을 갖추고 앞으로의 컨벤션산업의 체계적인 육성 및 관리를 위한 제도의 신설이 요구된다. 일곱째, 컨벤션산업의 통합 네트워킹 구축이다. 복합산업으로서의 컨벤션산업의 경쟁력 있는 상품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통합적 네트워킹의 구축이 필요하다. 따라서 컨벤션 센터, 호텔 및 관련 민간 주체들과 공공 주체들간의 협력이 필요하다. 공공투자와 민간의 협력하에 핵심적 연구 사업을 추진 할 수 있도록 협력과 제휴의 수립을 장려해야 하는 것이다. 근래의 우리나라 컨벤션 유치 성장 폭은 점차 둔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유치건수는 증가했으나 외래객수는 감소하여 회의의 규모가 점차 소규모로 되어지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개최지역도 서울에 편중되어 있고 개최시기 역시 관광성수기에 편중되어 있어 관광비수기 타개 효과를 보기 어렵다. 이는 전문국제회의시설의 부족, 컨벤션전문인력의 부족 및 부족한 정부의 지원 등을 감안했을 때 당연한 결과이나 빠른 시일 내에 컨벤션산업 전 부분의 정비를 통해 이를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따라서 향후 우리 나라의 컨벤션 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복합적인 컨벤션 센터의 건립이라는 하드웨어적인 요소와 컨벤션 뷰로의 설립, 인프라, 전문인력 등의 소프트웨어적인 요소가 동시에 개선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romotion for the Korean convention industry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in the Korean convention industry. Its fostering plans as follows; 1. Provide educational program such as meeting planners institute (MPI) in the United Statesproduces a range of training program for convention management, together with a certification when a certain level is reached. 2. Construct multiplex-convention center and convention facilities propelling by demand analysis. 3. Strengthen gather information and investigation 4. Establishment of Korea convention bureau 5. Strengthen overseas publicity activities through Korea National Tourism Organization and activate the inducement of international convention from the public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6. Increased financial and legal support for convention center developers and convention organizers. 7. The rapid growth of convention industry tourism combined with increasing competition, makes integrated networking an imperative tool for ensur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 반복 스트레스에 의한 흰쥐 해마조직내 신경전구세포의 생성과 BDNF mRNA 발현에 미치는 Ginseng total saponin의 효과 연구

        곽규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15

        홍삼은 전통적으로 항스트레스 작용과 기억과 학습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그 기전에 acetylcholine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해마 부위에서 신경전구세포가 생성되고, 이는 학습과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해마 에 존재하는 신경성장인자중 BDNF는 신경전구세포의 생성과 기억 및 학습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스트레스에 노출시 BDNF의 발현과 신경전구세포의 생성이 저하되고, 이는 인지기능저하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까지 홍삼 성분에 의한 신경전구세포의 생성과 BDNF의 발현에 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반복 스트레스에 노출시 신경전구세포의 생성과 BDNF mRNA의 발현에 미치는 홍삼 성분 사포닌의 반복 투여효과를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고려홍삼 사포닌의 반복 투여시 해마 SGZ 부위에서 신경전구세포의 생성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이와 같은 경향은 반복 스트레스에 노출되어도 유지되었다. 고려홍삼 사포닌의 반복 투여시 해마 CA3와 CA1 부위에서 BDNF mRNA의 발현이 증가되었으나, 반복 스트레스에 의한 BDNF mRNA의 감소를 차단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고려홍삼 사포닌 반복 처치에 의한 해마 신경전구세포의 생성에 BDNF 보다는 다른 요인이 관여할 가능성이 크며, 고려홍삼 사포닌 반복 투여에 의한 해마 신경전구세포의 생성 증가와 BDNF mRNA의 발현 증가는 홍삼에 의한 기억과 학습 증진 작용에 기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Korean red ginseng is known to have anti-stress and memory enhancing effects. Recent studies demonstrated that the production of neural progenitor cells in hippocampus, a process termed neurogenesis, occurs in a variety of adult mammals including rats, macaque monkeys, and humans. Stress has been shown to reduce adult neurogenesis in the hippocampus, which may be, in part, related with diminished performance of hippocampus-dependent tasks by stress. On the other hand, hippocampus is believed to mediate negative feedback inhibition of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HPA) axis, which may reduce stress-induced HPA activation. Recent studies suggested that stress-induced inhibition of adult neurogenesis in hippocampus may contribute, in part, to decreased negative feedback inhibition of HPA axis. In order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Korean red ginseng in anti-stress and memory enhancing effects, we observed the effects of repeated treatment of Korean red ginseng total saponin (GTS, 50mg/kg, i.p.) in response to repeated unpredictable stress for 10 days. Male Sprague-Dawley rats (230-260g) received with either GTS (50mg/kg, i.p.) or vehicle (1ml/kg, i.p.) 1 h before stress for 10 days. Rats were injected with bromodeoxyuridine (BrdU, 50mg/kg, i.p.) 16-18 hr after last stress procedure, and were sacrificed 2 hr later by perfusion. Immunohistochemistry of BrdU was done to measure proliferation of neural progenitor cells in hippocampus, which was used as an index of neurogenesis. BDNF mRNA was measured in subregions of hippocampus by in situ hybridization. Repeated GTS treatment for 10 days increased neurogenesis in subgranular zone area of dentate gyrus (SGZ), but not hilus, compared with vehicle-treated rats. Repeated unpredictable stress did not affect the neurogenesis compared with controls, while repeated GTS treatment increased neurogenesis in SGZ in repeated unpredictable stress-exposed group. BDNF mRNA expression in CA3 and CA1 pyramidal cell layer was increased by repeated GTS treatment but not in dentate granule cell layer. Repeated unpredictable stresses significantly decreased BDNF mRNA expression in all subregions of hippocampus, but repeated GTS treatment did not prevent stress-induced BDNF mRNA downregulation. Given that repeated GTS treatment increased proliferation of neural progenitor cells in repeated unpredictable stress-exposed rats in the presence of decreased BDNF mRNA expression in dentate granule cell layer, it raise the possibility that BDNF may not play a significant role in GTS-mediated increase of neurogenesis in adult rat hippocampus. Also,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peated GTS treatment increased neurogenesis of SGZ and BDNF mRNA expression, which may account for memory enhancing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In addition, repeated GTS treatment appears not to have anti-stress effects in terms of neurotrophin, but GTS-mediated increase of neurogenesis in hippocampus may contribute to increase negative feedback inhibition of HPA ax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