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유아의 수학 협동활동과 개별활동 효과 비교 : 수학문제해결력과 친사회적행동, 학습행동을 중심으로

        곽경숙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협동적 수학활동의 가치를 인식하고, 수학 협동활동이 유아의 수학문제해결력과 친사회적행동 및 학습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 양천구 소재 B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반 유아 40명씩을 선정하여 20명은 실험집단, 20명을 비교집단으로 하였다. 수학 협동활동은 실험집단에 4-5명의 소그룹으로 실시하였고, 수학 개별활동은 비교집단에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두 집단 모두 12회기에 걸쳐 소그룹으로 활동을 진행하였다. 유아의 수학문제해결력 검사도구는 Ward(1993)가 개발한 검사도구를 황정숙(1996)이 번안하고 류혜숙(2003)이 재구성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친사회적행동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김영옥(2003)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평가 척도를 간편형 척도로 재구성하여 사용한 서소정(2006)과 홍혜란(2008)의 친사회적 행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학습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는 유아의 학습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McDermott, Green, Francis & Stott, (2000)에 의해서 개발된 유아학습행동척도(Preschool Learning Behaviors Scle; PLBS)를 정선교(2006)가 사용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학문제해결력, 친사회적행동, 학습행동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량으로 하고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변수로 사전검사를 통제한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학 협동활동이 수학 개별활동에 비해 유아의 수학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문제해결력의 하위 요소인 분류, 패턴, 수, 측정, 도형, 통계 중에서 수학 협동활동이 수학 개별활동에 비해 분류, 패턴, 도형, 측정의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 통계의 영역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협동활동이 수학 개별활동에 비해 유아의 친사회적행동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행동의 하위 영역인 나누기, 도움주기, 감정이입과 조절, 지도성 중에서 수학 협동활동이 수학 개별활동에 비해 도움주기, 감정이입과 조절, 지도성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누기 영역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협동활동이 수학 개별활동에 비해 유아의 학습행동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학 협동활동이 수학 개별활동에 비해 학습행동의 하위영역인 학습동기부여, 주의와 지속, 학습태도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협동을 통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문제해결력과 친사회적행동 및 학습행동을 증진시키는 교육활동임을 보여주었다. 협동을 통한 수학활동을 강조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유아수학능력의 다양한 측면을 측정하기 위한 표준화된 검사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perceive the value of collaborative math activities in kindergarten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math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math problem solving skills, prosocial behaviors and learning behaviors. Participants were 40 children aged 5-year-old. 20 children were experiment group and 20 children were control group. Experiment group did collaborative math activities in small groups of 4-5 children, while control group did individual math activities. Both groups had 12 sessions. Math problem solving skill measure for young children was Ward's(1993) test which Hwang Jungsook(1996) translated and Ryu hyesook(2003) revised. Prosocial behaviors test was the Prosocial Behaviors Scale of Seo Sojung(2006) and Hong Heyran(2008) who revised Kim Youngok's(2003) Prosocial Behaviors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 into handy scale. Learning behaviors test was Preschool Learning Behaviors Scale of McDermott, Green, Francis & Stott, (2000) which was used in Jung Sungyo's(2006) study. By using SPSS 12.0 Program the data was analysed in the t-test and covariance analysis. As results collaborative math activities improved young children's math problem solving skills more effectively than individual math activities. Among the sub-elements of the math problem solving skills: classification, pattern, number, measure, diagram, and statistics, collaborative math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classification, pattern, measure, and diagram, but not on the statistics and number. The collaborative math activities exerted more positive influences on the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than individual ones. In the sub-elements of the prosocial behaviors: sharing, helping, empathy, regulation, and leadership, collaborative math activities showed positive effects on helping, empathy, regulation, and leadership, but not on the sharing. The collaborative math activities made learning behaviors better than individual ones. The collaborative math activities positively influenced all of the sub-elements of the learning behaviors: learning motivation, attention, persistence, and learning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collaborative math activities enhanced young children's math problem solving skills, prosocial behaviors and learning behaviors. They indica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llaboration-based program and standard test for young children's math ability.

      • 연극치료가 대학생의 정서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곽경숙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연극치료가 대학생의 정서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로 취업스트레스, 경제적 스트레스, 진로, 장래에 대한 스트레스 등 다양한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감과 정서적 불안감, 심리적 불안을 호소하는 대학생들에게 연극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연극치료가 대학생들의 정서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한 분석이며 둘째,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다양한 역할 스트레스에 노출되어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정서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입증 하는데 있다. 서울 D대학교의 2, 3학년 총 2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연극치료프로그램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연극치료프로그램집단은 ‘역할이해-역할탐색-역할확장’의 과정을 통해 2009년 1월 7일부터 2월 13일까지 주 2회, 총 12회기, 약 1400여분의 연극치료프로그램을 경험하게 한 후에 프로그램 진행 동안의 학생들의 변화과정을 관찰하고 일지를 작성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참여자들에게 먼저 사전검사를 실행한 후에, 연극치료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 실행 후 사후검사를 통해 정서적 안녕감이 얼마만큼 향상이 되었는지를 SPSS 12.0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질적 연구를 위하여 그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참여자들의 구체적인 반응을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연극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대부분은 초반엔 각자의 우울감과 정서적 불안감, 경제적 스트레스와 진로, 장래에 대한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불안을 호소하였고, 연극치료프로그램 진행 후의 자기변화에 대한 기대감을 표출하였다. ‘연극놀이’를 통한 자연스런 접촉과 신체표현으로 친밀감을 형성하고 서서히 자신의 신체적, 정서적, 정신적으로 내가 원하는 것, 나의 감정, 느낌, 생각을 연극치료의 기법들을 통해 표현 할 수 있게 되었다. ‘즉흥극’과 ‘역할극’ 과정에서 자신의 고민과 문제를 표현, 공유, 소통하며 자기 성장의 기회를 찾기 위한 모습을 보였으며, 우울감과 정서적이고 심리적인 불안감이 감소되고 스트레스 압박의 틀에서 조금씩 벗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연극치료프로그램의 실시가 정서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가설 1) ‘연극치료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것이다.’ 가설 2) ‘연극치료가 대학생의 우울감을 감소시킬 것이다.’ 가설 3) ‘연극치료가 대학생의 상태적 기분감을 변화시킬 것이다.’ 가설 4) ‘연극치료가 대학생의 정서적 불안감을 낮출 것이다.’라고 하는 네 가지 차원에 대해 연극치료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정서적 안녕감을 확인하기 위한 네 가지 가설의 차원인 우울감, 정서적 불안감, 상태적 기분감, 심리적 안녕감의 차원 모두에서 사전에 비해 사후의 결과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연극치료가 정서적 안녕감을 긍정적으로 높인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연극치료가 대학생들의 정서적 안녕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향후 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정서적 안녕감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계발과 적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 된다. The present paper is about a research of the effectiveness on undergraduate's emotional well-being through drama therap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bout drama therapy by applying the program to the students. Especially to the students who were going under variety of stress as employment stress and about the future attend to have depression, emotional insecurity which appealed to psychological anxiety. I applied this program to twenty sophomore and junior students at the 'D' University in Seoul, Korea. Then I divided them in to two groups of participation group and controlled group and let them process the 'search and recognize' by the 'role-realization - role-exploration - role-aggrandizement'. This procedure was held two times a week to the total of twelve rounds which approximately ended to 1,400 minutes. Before I let them through the program, I did a preliminary examination and then examined their behavior and reaction when the program was applied. After the therapy, I operated the SPSS 12.0 to define the emotional well-being improvement. The initial state of each student who participated the program was appealing psychological anxiety as depression, emotional insecurity and financial stress. They expressed that they were looking forward to their changes after the therapy. Through the drama therapy, students had natural contacts and body expression which led them close to each other. Due to this outcome, each student understood their body, emotion and mind. They have acknowledged what they want, how they feel and think by following the drama therapy techniques. Furthermore, by the process of the 'impromptu play' and 'role play', students have expressed, shared and communicated with their agony. In addition, they tend to find the chance for their self growth which showed their depression, emotional and psychological anxiety to decrease. This process led each one of them to free themselves from the stress they were suffering from. The present research presumption was that the drama therapy program will have effectiveness upon emotional well-being. To verify this presumption, the first hypothesis was that the drama therapy will enhance the students' emotional well-being. The second hypothesis is that the therapy will reduce the students' depression. The third was that the it will change the students' conditional feelings. The last was that the therapy will lower the emotional insecurity. These four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the process. To the result, depression, emotional insecurity, conditional feeling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ignificantly progressed. This defines the drama therapy program improves affirmative to the emotional well-being. The main significance to the research is that it confirms the drama therapy influences a positive effect to the college students. Furthermore, it establishes to develop and apply the program to elevate the emotional well-being for the students who are exposed and intimidated to psychological health variety of role stress. Through this research, the drama therapy have improved affirmative to the emotional well-being, we should consider developing a program to elevate the emotional well-being hereafter.

      • 스포츠센터 종사자의 라포와 감정노동, 직무소진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곽경숙 경성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sport center employees' rapport,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on customer orienta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29 employees in sport centers located in Busan and Ulsan Metropolitan Cities and Gyeongnam Province in Korea. The survey results were processed using SPSS/AMOS 21.0 program to perfor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 ANOVA test, Duncan test,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1) In comparison of rapport, emotional labor, job burnout, and customer orientation by background variable, in terms of rapport, the level was relatively higher for male employees than for female employees, for employees in their 30s or older than for employees in their 20s, for full-time employees than for contract employees, and for employees with three years of experience or more than for employees with six months of experience or less. The extent of emotional labor was more intensive for employees in their 30s or older than for employees in their 20s, for contract employees than for full-time employees, and for employees with three years of experience or more than for employees with six months of experience or less. The degree of job burnout was greater for female employees than for male employees, for employees in their 30s or older than for employees in their 20s, for high-school graduates than for college graduates, for full-time employees than for contract employees, and for employees with three years of experience or more than for employees with six months of experience or less. As for customer orientation, the inclination was stronger for male employees than for female employees and for full-time employees than for contract employees. 2) The results of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how that the positive correlation was highest between members' level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followed by the correlation between pleasant relationships and personal connections, and then in descending order by the correlations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emotional exhaustion, emotional dissonance and depersonalization, pleasant relationships and customer orientation, personal connections and customer orientation, frequency of emotional displays and emotional dissonance, and frequency of emotional displays and emotional exhaustion.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correlation was highest between the levels of a lack of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then between pleasant relationships and a lack of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lastly between members’depersonaliz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3)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 that as for rapport, the existence of a pleasant relationship was shown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emotional dissonance, emotional exhaustion, members’depersonalization, and the lack of a sense of accomplishment, while it had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orientation. Personal connections prov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emotional dissonance, frequency of emotional displays, emotional exhaustion, members’depersonaliz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while they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lack of a sense of accomplishment. Regarding emotional labor, frequency of emotional displays had a positive impact on emotional exhaus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but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lack of a sense of accomplishment. Emotional dissonance had a positive impact on emotional exhaustion and on members’depersonalization, while it had a negative impact on customer orientation. As for job burnout, emotional exhaus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orientation, while members’ depersonalization and the lack of a sense of accomplishment had a negative impact on customer orientation. 4) After conducting a path analysis for all of the factors of rapport, emotional labor, job burnout, and customer orientation, the study found that causal relationships existed among rapport, emotional labor, job burnout, and customer orientation. 5) Research findings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of all,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ra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port center employees’emotional labor, job burnout, and customer orientation. To maximize this benefit, continued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working environments so that sport center employees take pride in their work, treat customers in a pleasant manner, and strengthen their personal connections with them. Next, solutions should be sought to prevent in advance job burnout from emotional labor. Job burnout from emotional labor is highly likely to result from unfair treatment or from unequal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or supervisors. Emotional labor incurs significantly negative impacts on job performance, which might deter the achievement of performance targets. Thus, management in sport centers should establish a system to improve their working environments. More specifically, it is urgent to enhance organizational environment by giving employees greater autonomy, more discretion at work, and positive feedback so that they become more immersed in their jobs. Third, greater efforts are needed toward human-resource management to assess the individual capacities of employees and reflect them in job allocations and rotations, rather than overburdening employees with excessive expectations or difficult tasks. More effective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would greatly reduce sport center employees’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while strengthening their customer orientation.

      • 우울경향이 있는 아동의 행동적, 정서적 특징

        곽경숙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학생들이 가장 많이 경험하는 정신건강문제 중 하나는 우울이다. 이 시기의 우울은 아동기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이후 청년기와 성인기까지 지속되고 여러 가지 사회문제와 결부되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초등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심리적 문제의 조기발견과 치료를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이를 다룬 기존의 연구들은 이상아동이나 정신과 표집에 국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상아동 중에서 우울한 경향이 있는 아동들이 어느 정도이고, 한국아동인성평정척도의 군집프로파일을 통해서 이러한 아동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행동적, 정서적 특징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고, 우울정도에 따른 프로파일 특징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경상남도 진주시 소재 2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6학년 1,003명을 대상으로 한국아동인성평정척도 아동보고용(KPRC-CRF)과 아동우울검사(CDI)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 중에서 신상정보를 기재하지 않거나 두 검사지에서 누락된 문항의 수가 각각 5%이상인 15명의 자료와 KPRC 아동보고형의 타당성척도인 L과 ICN 척도의 T점수가 70이상인 66명의 자료를 제외한 922명 아동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아동우울검사 점수에 따라 우울경향이 있는 아동은 18점 이상, 분할치를 T점수 65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KPRC 프로파일 유형을 도출하기 위해 10개 임상척도의 점수를 군집분석하였다. 군집분석은 먼저 10개 임상척도의 점수를 위계적 군집분석, Ward의 방법을 사용하여 적절한 군집의 수를 결정하고 추출된 각 군집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였다. 그런 후 비위계적 군집분석 방법인 K-means 방법을 사용하여 최종 군집의 수를 결정하였다. 또한 8개의 임상척도 점수를 근거로 척도점수가 분할치 이상으로 상승한 상승척도쌍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와 그 의미를 상정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집한 922명 아동의 CDI 총점의 평균은 10.83, 표준편차는 7.18, 범위는 1~44점이었다. 우울점수의 정도에 따른 프로파일 특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우울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근거로 세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집단 1과 2 프로파일의 경우 L과 ERS의 척도점수가 다소 차이가 나는 것을 제외하고는 매우 유사한 프로파일 유형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집단간의 CDI점수 차이를 반영한 것으로 생각된다. 즉 우울지수가 높아짐에 따라서 L척도로 측정하는 자기방어와 ERS척도를 통해 측정하는 외부 환경에 대한 적응력과 적응잠재력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집단 3 프로파일은 CDI점수가 평균 24.55로 심한 우울을 의미하는 범위로 흔히 임상적으로 관심이 있는 집단에서 나타날 정도로 자기방어기능과 외부환경에 대한 적응력과 적응잠재력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있으며 정신병리적 심각성이 우려되는 집단이라 볼 수 있다. 둘째, 우울경향이 있는 아동의 군집분석 프로파일을 도출한 결과 (1) 약 30% 아동의 경우 환경에 대한 적응력과 적응잠재력이 다소 낮다는 점을 제외하면 정상으로 볼 수 있는 정상 프로파일(군집 4), (2) 약 13.4%는 임상척도 전반이 매우 현저하게 상승되어 있어서 모든 영역에서 심리적 불편감을 호소하고 있는 전반적 불편감 프로파일(군집 1), (3) 18.3%는 우울과 불안이 혼재되어 있으면서 신체적 불편감과 사회적 위축을 호소하는 프로파일(군집 2), (4) 23.9%는 가족의 역기능이나 가족문제로 인한 우울 프로파일(군집 3), (5) 14.8%는 언어와 운동발달에 현저한 문제가 있으면서 비행, 과잉활동과 같은 외현화된 문제를 전반적으로 나타내는 프로파일(군집 5)로 분류할 수 있었다. 셋째, 우울경향이 있는 아동의 개인별 프로파일 상승정도를 고려하여 임상척도 순서별로 상승척도쌍을 분류해보면, 불안 및 불안과 관련해서 상승되어 있는 척도쌍은 11명, 우울 및 우울척도와 같이 상승되어 있는 척도쌍은 30명, 신체적 불편감의 호소 및 이와 관련 있는 특징이 상승되어 있는 척도쌍은 10명, 비행과 관련해서 상승되어 있는 척도쌍은 15명, 과잉행동과 관련해서 상승되어 있는 척도쌍은 3명, 가족관계 및 이와 관련해서 상승되어 있는 척도쌍은 22명, 사회관계와 관련해서 상승되어 있는 척도쌍은 6명, 정신증과 관련해서 상승되어 있는 척도쌍은 1명이었다. 이는 우울경향이 있는 아동이 우울뿐만 아니라 언어발달, 운동발달, 불안, 신체증상, 거짓말, 도벽 등의 비행과, 충동성과 과잉행동 등의 품행장애와 가족내 갈등, 또래관계의 어려움, 심하면 정신병적인 증상이 함께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적인 생활을 하고 있는 초등학생에게서도 우울, 불안, 신체화와 같은 정서관련 문제와 행동적 문제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정상아동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사용해서 우울경향이 있는 아동들의 특징을 추출하였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우울경향 아동 전체에게 일반화하는 데는 제한 점이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본 연구는 군집프로파일을 도출하고 분류하는데 그쳤고 심리적 문제를 상정할 수 있는 개별 프로파일에 해당되는 아동들의 특성을 사후조사를 통해서 확인하지 못했다는 제한점도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군집프로파일을 분류한 후 비정상적으로 분류되는 프로파일에 해당된 아동들을 대상으로 개별적인 진단 면담을 통한 심리적 평가와 이에 따른 심리상담적 개입을 다룰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One of the most prevalent mental-health problems among elementary schoolers is depression. Childhood depression is likely not to fade away even in adolescence and adulthood, and that may engender lots of social problems at the same time. A lot of studies have dealt with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multiple psychological problems that school children might be exposed to, but their focus has just been placed on children who are abnormal or suffer from mental disor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any normal children tend to be depressive, what their behavior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were, and what differences the intensity of depression made to their profile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03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at two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in the city of Jinju. After KPRC-CRF and CDI were used to test the selected children, the test results about 922 children were analyzed, and invalid data about 66 children were ruled out. Those whose CDI scores were above 18 and whose T scores were 65 were rated as depressive, and their 10 clinical scale scores were processed by a cluster analysis to determine their KPRC profile typ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nd their meanings could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922 children got a mean of 10.83 in CDI(SD=7.18). Their scores ranged from a high of 44 to a low of 1. A higher depression index indicated less self-defense, less adaptability to external environments and less potential adaptability. Second, when the cluster analysis was implemented to evaluate the profiles of 142 children who turned out depressive, approximately 30 percent appeared to be normal. 13.4 percent felt uncomfortable in general. 18.3 percent suffered from a combination of depression and anxiety and complained about their physical uncomfortableness and social withdrawal. 23.9 percent were depressed due to family dysfunction or problems, and 14.8 percent gave rise to explicit problems like delinquency or hyperactivity. Third, in which pair of clinical scales the depressive children showed an increase was checked, and it's found that 68 children and two children showed an increase in two and three scales respectively. It implied that in addition to depression, those children were likely to be vulnerable to one or more additional disorder, including problems with language and motor development, anxiety, somatic symptoms, delinquency like lying and a propensity for theft, demeanor disorder such as impulsiveness and hyperactivity, family conflicts, beleaguered peer relationship, or even mental disease. And it also suggested that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like depression, anxiety or somatization, were relatively widespread even among the school children who led a normal life. However, the findings of the study might not be generalizable since just the features of children who tended to be depressive were investigated by conducting a cluster analysis. Besides, no further efforts were made than merely detecting and categorizing the cluster profiles of the selected children, and no follow-up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look into their characteristics in detail. In the future, individual interview should be provided to children who turn out abnormal after their cluster profiles are identified, and then their psychology should be assessed and what sort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should be offered to them should carefully be studied.

      • 영아-영아 간 협응적 공동주의에서 언어로의 전이

        곽경숙 명지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어린시기에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아들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영아의 또래 간 상호작용의 기회가 많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영아-영아 간 협응적 공동주의가 영아 후기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였다. 어린이집 만 2세반 즉 28∼38개월 전후 영아들의 일상생활에서 보여 지는 협응적 공동주의 양상을 연구하여, 영아 후기의 언어 과도기 상황에서 협응적 공동주의에서 언어로의 전이 과정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실험상황에서 영아-성인 간의 공동주의 빈도를 측정하고 발달적 측면에 초점을 두고 평가하였다. 이 연구는 영아-영아 간 공동주의 소통이 관찰되는 영아의 자연스러운 일상을 기술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공동주의가 언어과도기 영아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교육기관에 다니는 영아기 아이들의 교실에서 자율적으로 구성되는 공동주의와 이를 통한 소통의 모습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의 중류층 거주 지역에 소재하는 어린이집 만 2세반 7명의 남녀 영아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영아-영아 간 공동주의 양상의 자연스러운 상황을 살펴보기 위해 보육실에서 일과 중 보이는 공동주의 행동과 그 상황을 관찰하고 녹화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4월부터 2019년 9월까지 6개월간 총 37회 참여관찰로 이루어졌으며 관찰은 주로 한번에 1시간씩 자유놀이 시간에 집중하여 진행되었다. 관찰 중 의문점에 대해 담임교사와 면담을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전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분석의 오류와 자의적 해석을 방지하기 위해 아동학 관련 전문가 2인의 의견을 참고하였다. 첫째, 일상생활 속에서 나타난 영아-영아 간 협응적 공동주의 모습을 영아 간 관계적 양상과 내용적 양상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영아들의 공동주의에서 관계적 양상은 ‘일방적 공동주의’, ‘쌍방적 공동주의’, ‘다자 간 공동주의’로 나타났다. 실험상황에서 이루어지는 1대 1 공동주의와 달리 다자 간 공동주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서, 영아가 또래들에게 차를 나눠주며 함께 마시는 진전된 모방 놀이는 ‘다자 간 공동주의’의 관계적 양상이 놀이를 풍요롭게 하고 소통의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영아 간 공동주의 내용적 양상은 영아가 일상생활 속에서 공동주의를 통해 소통하는 요소들로 놀이 활동을 위한 영아의 의도된 소통의 모습이다. 내용적 양상에서 ‘놀이참여 시도하기’, ‘놀이참여 시키기’, ‘거부하기’, ‘배제시키기’, ‘의견 수용하기’, ‘놀이 확장하기’는 공동주의를 통해 자발적이고 주도적으로 이루어지는 사회적 행동을 보여준다. 영아 간 공동주의는 실험상황의 공동주의에서 볼 수 없었던 다양한 의미를 소통하고 있었고, 또래 놀이 참여의 긍정적 의미 외에도 공동주의에 대한 의도적 거부라든가 의도적 무시를 통한 배제 양상도 보였다. 또한 수준 높은 의사소통 내용인 공동주의를 통해 또래의 의견을 수용 조율하여 놀이를 진행하거나 가상놀이를 심화 확장하는 것이 가능했다. 둘째, 일상생활에서 영아-영아 간 공동주의에서 언어로의 전이 과정은 공유기제의 구체성에서 추상성으로와 공유기제의 영아들만의 언어에서 사회적인 언어로의 전이가 나타났다. 공유기제의 구체성에서 추상성으로는 전이가 ‘구체적 사물에 대한 공유’, ‘구체적 사물에서 시작하여 추상적 사고의 공유’, ‘공유맥락 확장하며 즐기기’로 나타났다. 영아들은 언어를 포함한 협응적 공동주의로 구체적 사물에서 추상적인 사고의 교류 수준을 넓혀갔다. 예를 들어서, 영아가 색종이와 같은 구체적 사물에 주의집중하고 또래들과 색종이를 응시하며 나누는 이야기는 과거 경험이라는 또는 가상놀이 상황이라는 추상적 사고를 위한 공유를 이끈다. 영아는 구체적 사물에서 시작된 공유를 통해 공통된 심상적 이미지를 경험하게 된다. 또래와 색종이를 앞에 두고 서로 응시하며 이야기를 공유 하는 경험은 구체적 사물에 대한 공유로 나타나기 시작하여 추상적 사고와 언어적 공유로 확장되는 양상이다. 이와 같은 과정은 영아들이 공동주의를 통해서 추상적 사고를 가능하게 했고 추상적인 도구인, 언어로 소통하는 과정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였다. 공동주의 공유기제의 영아들만의 언어에서 일반 성인들과 소통할 수 있는 사회적인 언어로의 전이는 ‘이미 있는 단어에 자기들만의 의미 입혀 공유’, ‘새로운 단어 만들어 공유’, ‘사회적인 소리․언어 활용하여 공유’로 나타났다. 언어적 전이 양상은 영아-영아 간 언어적 의미 공유로 나타났다. 공동주의 의사소통이 감정 공유에서 언어적 의미 공유로 진전되면서 영아-영아 간 공동주의는 영아들의 언어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예를 들어서, 영아들이 조개를 응시하며 공유한 거부 감정은 영아가 공동주의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언어적 의미를 공유하고 그들만의 공유된 언어, 즉 “엄마” “아빠”로 거부의 의미가 표현되었다. 엄마, 아빠의 가족관계를 나타내는 일반적 의미가 아닌 자기들만의 의미를 사용하여 공유하고 있었다. 또한 추레펑커와 같이 성인에게는 무의미하지만 영아 간에만 의미가 통하는 새로운 용어를 만들어 공동주의가 이루어지며 놀이를 진행하였다. 물론 성인이 사용하는 언어들도 공동주의의 대상이 되어 놀이를 확장 심화하였다. 이와 같이 영아들은 공동주의를 통해 언어의 사회적 의미를 놀이를 통해 이해하고 즐기며 일반적 사회적 의미를 받아들여 가고 있었다. 이 연구에 밝힌 공동주의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은 영아-영아 간 공동주의를 성인이 좀 더 존중하고 걸음마기 영아들의 초기 비언어적 경험을 지지하는 근거가 되길 바란다. 영아들에게서 발견되는 공동주의는 목적이 있는 놀이와 소통이 사회적으로 지지되는 교실 내에서 발현되므로, 교실에서 나타나는 영아 간 공동주의 출현에 행동하는 지지적 태도는 영아기 공동주의 발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가 친숙한 또래와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질수록 반복되는 협응적 공동주의 경험이 언어적 공유를 도모하고 전이되는 주요한 과정이 되었다. 이 연구는 영아가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어린이집 일과 내에서 공동주의 양상을 문화기술지적 질적 연구방법을 통한 살펴보았다. 영아-영아 간 협응적 공동주의의 소통의 양상에 주목하고 탐색하였으며 공동주의 후에 언어로의 전이를 기술 한 것에 의의가 있다. 성인과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공동주의와는 별도로 영아 자신과 비슷한 수준의 또래들과의 소통에서 나타나는 공동주의 양상이 언어적 전이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협응적 공동주의가 영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인식하고 영아기 공동주의에 대한 이해와 수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infants attending daycare centers in childhood, there are more opportunities for peer interaction among them.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infant-infant coordinated joint attention on late language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coordinated joint attention seen in the daily lives of infants aged 2 to 3 years, that is, around 28 to 38 months, registered at daycare centers. Previous studies have evaluated the frequency of infant-adult joint attention in experimental situations focusing on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infants. This study described infant's natural routines in which infant-infant joint attention communication was observed and analyzed how joint attention is used in infants who go through the period of language transition.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joint attention in infants that naturally emerges in classroom and subsequent patterns of communication. For this purpose, seven children of two and a half years old attending daycare centers located in middle-class residential areas in Seoul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subjects. In order to examine the infant-infant joint attention that occurs naturally, we observed and recorded the joint attention behavior and the situation involved in a daycare center classroom.Data were collected on 37 participation observations for 6 months from April 2019 to September 2019, and the observations were mainly focused on free playtime for one hour at a tim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classroom teacher for questions raised during the observation, and the collected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The researcher consulted two child education experts to prevent errors in data analysis or arbitrary interpretation. First, the patterns in the infant-infant joint attention in daily life are divided into relational aspects and content aspects between infants as follows. The relational aspects of infantry's joint attention were ‘unilateral joint attention’, ‘bilateral joint attention’, and ‘multilateral joint attention’. Unlike in the one-to-one joint attention used in experimental situations, joint attention in the relational aspect was observed in one-to-one, one-to-two and one-to-many communication, and trying and responding to joint attention widened the infant's interaction. For example, in an advanced mimic play in which infants share tea with their peers, the relational aspect of ‘multilateral joint attention’ enriches play and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The content aspect ofinfant-infant joint attention is the infant's intentional communication for play activities as an element of communication through joint attention in daily life. In the content aspect, 'trying to join the play', 'inviting to join the play, 'rejecting', 'excluding', 'accepting an opinion' and 'play expansion' show social actions that are voluntary and initiated through joint attention. For example, "Trying tojoin the play" is a joint attention act where an infant watches the play with a peer to participate in the play and then finds the block the peer needs. 'Inviting to join the play’ is a behavior in which an infant player sprinkles petals on the head of a bystander infantas if to invite him/her to join the play. In other cases, an infant shoves his or her peerby showing a robot to 'reject' the peer’s joint attention attempt, or deliberately pays no attention to peers who attempt to join,to 'exclude' them. This demonstrates how infants communicate in social contexts with various emotions. ‘Accepting an opinion’ is an act in which an infant exchanges an eye contact with another infant, understands the infant’s intention and helps to turn a page to read the book together. ‘Play expansion,’ a pattern in which both joint attention and language are seen, is a way in which play disputes are interrupted and the play gets intensified. Second,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infant-infant joint attention to language in daily life is analyzed in terms of sharing mechanism from specificity to abstraction and from language unique to infants to social language.In the sharing mechanism from specificity to abstraction, it ranged from 'sharing of concrete things', and 'sharing from concrete things to abstract thoughts ', 'expanding and enjoying shared context'. The situation of coordinated joint attention that comes with language lies in the transition of language following the transition in the sharing mechanism from specificity to abstraction. Infants have expanded the level of exchange from concrete objects to abstract thoughts with coordinated joint attention, including language. For example, a story in which an infant is focused on specific objects such as colored paper and shares the colored paper with peers leads to sharing of abstract thinking. Infants experience a common mental image through the activity of sharing that begins with concrete objects. The experience in which infants share a story while watching colored paper with each other turns into sharing of specific objects and is expanded to abstract thinking and linguistic sharing. The transition from language unique to infants to social language in coordinated joint attention includes ‘assigning a new meaning to existing words on their own and sharing it,’ ‘creating and sharing a new word’ and ‘sharing via social sounds and words.’ The patterns in verbal transition emerged in the form of sharing linguistic meanings.As joint attention communication transitions from sharing of emotions to sharing of verbal meanings, infant-infant joint attention begins to influence the language of infants.For example, the refusal feelings that infants shared whilewatching shells were naturally shared in linguistic meanings in joint attention and expressed in their own shared language.The joint attention that infants experience in their peers and social contexts help them learn about others' intentions and the wider world, and become a means by which awareness is actively developed. The fact that infants communicate with a favorable attitude with peers through sharing emotions via joint attention indicates infants’verbal development. Communicating with a friendly attitude with peers through sharing feelings via joint attention means that infants’ language is being developed, and joint attention communication as an important axis of development promotes the infant-infant circulation structure. These new insights of adults should respect infant-infant joint attention and support early childhood experiences. Since joint attention found in infants is expressed in a classroom where purposeful play and communication are socially supported, attitude actively supporting such joint attention between infants in classroom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infant joint attention. This becomes a major process in which coordinated joint attention that is repeated with increasing contact with peers in daily life promotes and is transferred to verbal sharing.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joint attention in a daycare center, where infants naturally get along, through an ethnographical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patterns of infants’communication via coordinated joint attention and described the transition from joint attention to language. This study also explored how the patterns of joint attention shown in infants’ communication with peers, unlike those in infants’ interaction with adults, are related to linguistic transition.

      • 항공사 승무원의 이미지와 자기이미지 일치성이 전공선택 및 전공만족도, 취업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곽경숙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항공 서비스 전공 여대생들이 생각하는 항공사 승무원의 이미지와 자기 이미지와의 일치성이 전로선택 동기와 전공 만족도, 취업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에 대해 확신을 가지고 취업준비 행동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을 목적으로 항공서비스 전공의 2년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배포한 설문지 220부로 회수된 설문지는 208부(회수율 94.5%)이나 이 중 193개만 유효응답으로 인정되었고, 통계분석프로그램 SPSS 17.0을 통하여 통계적 자료처리를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서비스 전공 여대생이 지각하는 항공사 승무원 이미지와 자기 이미지(현실적, 이상적)의 일치성은 전공선택 동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독립변수로 항공 승무원 이미지와 현실적 자기 이미지 일치성 4가지 요인을 투입하고, 종속변수로 전공선택 동기를 투입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현실적 자기 이미지에서는 스타일 요인, 이상적 자기 이미지에서는 지성 요인이 각각 전공선택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항공서비스 전공 여대생이 지각하는 항공사 승무원 이미지와 자기 이미지(현실적, 이상적)의 일치성은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독립변수로 항공 승무원 이미지와 현실적 자기 이미지 일치성 4가지 요인을 투입하고, 종속변수로 전공 만족도를 투입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현실적 자기 이미지와 이상적 자기 이미지 모두에서 스타일 요인과 용모 요인에서 전공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나타났다. 셋째, ‘항공서비스 전공 여대생이 지각하는 항공사 승무원 이미지와 자기 이미지(현실적, 이상적)의 일치성은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독립변수로 항공 승무원 이미지와 현실적 자기 이미지 일치성 4가지 요인을 투입하고, 종속변수로 취업준비행동을 투입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현실적 자기 이미지에서는 스타일 요인이 외적 취업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나타났다.

      • 한국 현대소설의 생태학적 연구 : 김동리·황순원 소설을 중심으로

        곽경숙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생태 위기라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생태의식의 계발과 확산이 시급하다는 생각에 동의하면서, 최근 거론되는 생태 이론이 비록 서구에서 출발한 것이기는 하나 그 이론적 발판은 동양 정신에 있으며, 이러한 정신은 한국문학에 용해되어 흐른다는 생각 아래, 한국문학사에 구현되어 있는 생태주의의 맥을 찾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이의 일환으로 한국 현대소설사에서 생태주의는 대체로 서정소설에 구현되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한국 현대소설사에서 서정 장르를 대표하는 두 작가 김동리와 황순원을 택해 그들의 문학 세계를 살펴봄으로써 한국문학에 구현된 생태주의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 시대에 그들의 문학이 어떠한 현재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아울러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본론의 II장에서는 본고의 방법론이 되고 있는 생태 이론의 전반적 이해를 위해 문학과 생태학적 상상력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생태주의와 동양 사상과의 관련성을 고찰하고, 문학과 생태주의의 관계 그리고 한국 현대소설과 생태주의와의 상호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생태주의는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인 관계를 지향하는 개념으로서, 모든 사물의 전일성과 상호 연관성을 깨달아 고립된 자아의 개념을 초극하여 궁극적 실재와 합일시키고자 하는 동양적 사고와 일치한다. 생태론의 철학적 배경이 되는 심층생태론의 두 가지 기본 원리는 '자아실현'(self-realization)과 '생물 중심적 평등성'(biocentric equality )이라는 말로 요약 되는데, 이는 동양 사유의 핵을 이루는 정신이며, 문학의 본질적인 속성이라는 것을 살필 수 있었다. III장에서는 한국 현대소설을 생태비평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일환으로 김동리와 황순원의 텍스트들을 고찰해 보았다. 뚜렷한 평론가가 없던 시절 작가와 평론가를 겸한 김동리에게 있어서 그의 문학 이론은 창작의 기반을 이루고 있으므로 먼저 작가의식에 담긴 생태학적 의미를 살펴보고, 이어서 텍스트 분석을 통해 그의 소설에 나타난 생태주의의 양상을 고찰하였다. 김동리의 문학 이론에 드러난 두 가지 핵심적 내용은 '신인간주의'와 '구경적 삶의 추구'라 할 수 있는데, 이들은 우주 공동체의 큰 질서에 편입되고자 하는 열망을 기초로 한 것으로서 생태 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김동리의 작가의식은 그의 문학 텍스트에 그대로 구현되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전일적 세계를 지향한 것과 유기체적 자아를 실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먼저 전일적 세계에의 지향은 우주에 본질적으로 내재된 리듬으로의 회귀나 노장 철학의 기본 사상인 '무위자연(無爲自然)', 그리고 양(陽)의 세력에 억눌린 음(陰)의 세계인 '여성성'의 회복 둥을 통해 구현되고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 좁힐 수 없는 신과 인간 사이의 '저만치'의 거리가 그대로 노정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그의 소설 속에서 유기체적 자아 인식은 풍수사상과 관련하여 드러나기도 하며, 동물 또는 인간, 그리고 자연물 등과 동체 의식을 확보하는 방법을 통해 드러나기도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론 III의 둘째 장에서는 황순원의 문학적 출발이 전일적 세계에 대한 지향과 관계의 파괴로 인해 초래된 불모적 현실에 대한 인식에 있으며, 작가가 이와 같은 결핍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대안으로 삼은 것이 '모성성'과 '범생명주의의 추구', '자연과의 동화' 등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작가의식은 작품 활동 후기로 들어서면서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는 근대적 산업화가 초래한 환경오염 문제로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신들의 주사위>를 통해 구현된 작가의 문명 비판은 물론 그의 다른 소설처럼 현실적 소재가 배경으로 처리되어 있을 뿐이지만, 텍스트 속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근대성에 기반을 둔 인간의 문명은 인간의 생명을 억압하고 파괴한다는 데에 작가의 인식이 머물고 있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김동리와 황순원의 문학은 이처럼 전일적 세계의 추구와 상호의존적인 관계망 속에 놓인 유기체적 자아를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생태주의의 이념과 일치하는 것으로 이들의 문학이 생태의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물론 최근 거론되는 생태주의는 생태계 파괴라는 현실에 대한 진단을 토대로 한다. 따라서 생태계 파괴라는 현실에 대한 천착이 부재하는 두 작가의 생태의식은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그러나 오늘날의 환경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절실히 필요 한 것은 인간과 자연이 대등한 유기체적 존재라는 자각이라 할 때, 김동리와 황 순원 소설에 담긴 생태지향적 사고는 생태문학의 지향점일 수 있다고 본다. 생태계의 파괴가 현실로 드러난 것은 최근의 일이고 이로 인해 오늘날 생태이론이 부상된 것이기는 하지만, 사회 생태주의자들의 주장처럼 강자인 지배자/약자인 피지배자라는 대립 구도는 인간의 역사가 시작한 이래로 존재해 왔던 것이고, 이러한 대립 구도가 오늘날 환경위기의 원인이라는 점올 감안할 때, 이들 작가의 문학은 오늘날에도 현재적 의미를 확보한다고 생각된다. The environmental issues have become part of global talk that now dominates. We are in the midst of a global crisis that heralds a paradigm shift to a socially harmonious and ecological era. Though the ecological theory comes from western countri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is rooted in oriental spirit. This study aims to uncover the core of ecoism(ecology ideology) that is included in the Korean modern novels.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novel; the ecoism is found in the lyric novels. The representative writers of Korean modern lyric novels are Dong-lee Kim and Soon-won Hwang. Intensive researches on the topics of ecoism in their literary works intended to induce readers to read, think, sort out ideas, and connect personal views to the explicit and implicit values in the Korean novels. Chapter II presents the basic relationship of literature and ecological imagina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coism and oriental thought, literature and ecoism, and Korean modern novels and ecoism are investigated. Ecoism that aspires to keep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agree with oriental thought that makes a great point of harmony between the planet and us. The two norms of deep ecology that form the background of ecoism are self-realization and biocentric equality. This thesis could find out that these two characteristics are the ultimate idea of oriental thought and nature of literature. To understand ecocentric imagination that is expressed in Korean modern novels, the literary works of Dong-lee Kim and Soon-won Hwang were studied in chapter III. First, because literature theory of Dong-lee is based on writings, this thesis searched the ecological meaning in his critical essays and then studied ecological aspects in his novels through text analysis. The two key points of his literature theory are 'new humanism' and 'pursuing of extreme life'. These are based on the desire to enter into the large scheme of universal community and are related in ecoism. The writer's consciousness appears in his novels. Orientation to holistic world and realization organic self can be viewed as the main ecological imaginations in the Dong-lee's novels. First, Orientation to holistic worldview is carried out by returning to original rhythm in the universe, 'let things be' a notion with certain similarities to what Taoism calls wu wei, and restoration of negative world, femaleness that is suppressed by positive power. But we can see that there exists considerable gap between man and god. Second, in his novels the organic self recognition can be found in relation with feng-shui(geomantic) theory and the insight that is all human and non-human individuals in their own right as parts of the whole without feeling the need to set up hierarchies of species with humans at the top. In the later part of chapter III, the starting of Soon-won Hwang's literature orients the holistic world view and realization of barren reality resulted from the relation break. To escape from the barren reality, various alternatives are chosen like 'motherhood', 'reverence for life', 'harmony with nature', and etc. This consciousness is connected with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caused by industrialization that threatens human lives. Although the criticism on civilization in the <The dice of gods> is written in setting like his other novels, it is looked upon as important thing. This means Soon-won Hwang think that the modernity based on human civilization suppresses and destroys the human life. The Novels of Dong-lee Kim and Soon-won Hwang orient the holistic world and organic self in the intimat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network. This consciousness coincides with ecoism ideology. This means that their literature is largely based on ecological consciousness. The latest ecoism is based on the realization of ecological system corruption. Their ecological identification cannot but have some limit because of lacking in deep study on this ecological disruption. Biocentric equality is intimately related to the self-realization in the sense that if we harm the rest of nature then we are harming ourselves. There are no boundaries and everything is interrelated. But insofar as we perceive things as individual organisms or entities, the insight draws us to see that the ecological imaginations in their novels are the ecological literatures ultimate pursuit. Social ecology explains the ecological crisis as the outcome of authoritarian social structures, embodied most perniciously in capitalism. Wanton destruction of nature reflects the distorted social relations at work in hierarchical systems, in which elite subjugates other people while pillaging the natural world for prestige, profit, and control. Knowing that this confrontation relationship is the cause of environmental crisis, we may accept that their literary works have the current im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