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효소 동시 반응에 의한 curcumin glucosides의 생합성

        공소연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Plant-derived "polyphenols" are structurally and biosynthetically diverse. Polyphenols are clinically important due to their antioxidant properties and their ability to interact with enzymes that are important targets for therapy. However, most polyphenols, such as curcumin, have low solubility and bioavailability. Therefore,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glycosylated molecule shows improved solubility and, in some cases, improved biological activity.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of bioavailability and solubility of curcumin, the glycosylation reaction was performed to the above-mentioned plant polyphenol using multiple enzymes in a single pot called “One-pot multi-enzyme” (OPME) enzymatic reactions. They have phenolic hydroxyl groups to which sugars are attached. The OPME reaction is particularly important because it can provide a substrate that is typically used in commercial enzymatic reactions that are either not commercially available or commercially very expensive NDP-sugars. Two OPME systems were used for the glycosylation of curcumin. One system produced UDP-α-D-glucose from a simple starting material (UMP and glucose-1-phosphate) and the other synthesized UDP-α-D-2-deoxyglucose from UMP and 2-deoxyglucose. The two systems include a UGT, YjiC, which transfers glucose and 2-deoxyglucose from respective sugar donors to curcumin releasing UDP as by product. The OPME systems recycle cofactors such as ATP and UDP; and regenerates the UDP-sugar. Using these two OPME reaction systems, six glycoside derivatives of curcumin were synthesized. The synthesized derivatives were characterized by ESI/MS, 1H and 13C-NMR analysis. The curcumin 2-deoxy-glycoside derivatives were synthesiz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study. All the glycoside derivatives synthesized in this study were tested for cytotoxicity using various human cancer cell lines by standard MTT colorimetric assay. Gastric cancer (AGS) cell line, liver cancer (HepG2) cell line, cervical cancer (HeLa) cell line, colon cancer (HCT116) cell line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the derivatives. MTT assay with curcumin and four glycosides for each of six different human cancer cell lines showed that curcumin 4'-Ο-β-glucoside inhibited AGS cell line (IC50 = 7.11 μM) and HCT116 cell line (IC50 = 5.27 μM). Curcumin 4'-O-β-2-deoxy-glucoside was detected in AGS cell line (IC50 = 5.86 μM), HCT116 cell line (IC50 = 5.40 μM), HepG2 cell line (IC50 = 18.61 μM) and HeLa cell line (IC50 = 12.47 μM). In addition, curcumin 4 ', 4''-di-O-β-2-deoxy-glucoside exhibited following results AGS cell line (IC50 = 6.90 μM), HCT116 cell line (IC50 = 10.35 μM), HepG2 cell line (IC50 = 13.04 μM) and HeLa cell line (IC50 = 13.49 μM). However, curcumin 4', 4''-di-O-β-glucoside was less effective than curcumin. However, since the in-vivo conditions are different from in-vitro studies, compounds active in-vitro can not work normaly in-vivo and vice versa. But, new compounds can be further evaluated against different target diseases in the future.

      •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남한지역 육지표면에서의 에너지 및 물 순환 특성 변화에 대한 수치모델 연구

        공소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지구 온난화는 전 지구적인 기후 현상으로, 지구 시스템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그 중 수자원에 대한 영향은 인간 활동과 생태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수자원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구 온난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국내의 경우, IPCC SRES를 기반으로 한 전구기후모델 (GCM) 규모의 분석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복잡한 지형에 따른 국지적 기후 특성을 가진 한반도에서 저해상도의 GCM 자료는 수자원 관리에 실질적으로 이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특성을 반영한 보다 정밀한 분석을 위해 지역기후모델 (RCM) 자료인 MM5 지역 기후 시나리오를 경계 자료로 하여 지표면 과정을 모의하는 육지표면과정 모델 (University of Torino model of land Process Interaction with Atmosphere; UTOPIA)와 강우-유출 모델 (Hydrology Simulation Program in Fortran; HSPF)를 이용하여 지구 온난화에 따른 한반도의 에너지 및 물 순환 요소의 특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UTOPIA는 강수, 복사량, 바람, 기온 등 대기와 관련된 변수를 경계 자료로 사용하므로 IPCC의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 중 A2 (상대적으로 많은 배출)및 B1 (상대적으로 적은 배출)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모의된 MM5 지역 기후 시나리오 값을 미래 자료로 이용하였다. HSPF는 MM5의 미래 강수량과 UTOPIA에서 생산한 증발 산 량을 경계 자료로 사용하여 모델 간의 연계를 시도하였다. 모의 기간 1996년-2005년, 2046년-2055년, 2091년-2100년 동안 UTOPIA로 남한 전 지역의 토양 온도 및 수분 변화를 모의하고, 최종적으로 HSPF를 사용하여 대청댐 유역의 장기 유출을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 A2와 B1 시나리오 모두 남한 지역의 토양 온도는 대부분 지역에서 먼 미래일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증가 폭은 기온과 비례하였다. 토양 수분의 경우, 강수가 크게 감소하는 A2 시나리오에서 감소하였다. 또한 대청댐 유역의 장기 유출은 점차 증가하였으나, 갈수기인 겨울의 경우 유출량이 감소해 겨울 가뭄이 심화되었다. 가까운 미래에는 단 기간에 걸쳐 극심한 유출량 변화가 일어났는데, 봄에서 초여름까지 극심한 유출량 감소를 겪다가 늦여름 큰 폭의 유출량 증가를 시작으로 가을까지 그 증가 추세가 이어졌으며, 농촌 지역인 해당 지역의 특성상 물 수요가 많은 5월에 유출량 감소를 보여 이 지역의 수자원 관리가 매우 중요해 질 것이다. 또한 이러한 유출량 변화는 강수에 대한 민감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미래 강수 변동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러한 분석은 향후 수자원 관리 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며, 지표면 관련 변수 모의 결과는 기타 토양과 관계된 수문, 관개, 식생 등의 분야에도 활발히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Global warming is a worldly climate phenomenon that affects the whole earth system. Among various effects, water resources have been emphasized with importance with their great impact on human activities and ecosystem. Currently there are various experiments running to investigate about the climatic phenomenon’s impact on water resources. In Korea, there are usually GCM scale analyses that are based on IPCC SRES. However, GCM data are limited to apply in the Korean Peninsula’s regional climatic characteristics because of Korean Peninsula’s complicated topography. In order to obtain a reliable analysis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experiment used the University of Torino model of land Process Interaction with Atmosphere (UTOPIA) that simulate the land surface process using RCM data, MM5 regional climate scenario as boundary condition and Hydrology Simulation Program in Fortran (HSPF) which is a precipitation runoff model to find out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Korean Peninsula’s soil energy and water budget under global warming. We used atmosphere variables such as precipitation, solar radiation, wind and temperatures as boundary conditions of UTOPIA, and these boundary conditions were extracted from MM5 regional climate scenario that were based on A2 and B1 emission scenarios of IPCC for future simulation. Also, HSPF attempted to link three models by using boundary conditions of precipitation from MM5 regional climate scenario and evapotranspiration from UTOPIA. Simulation periods consist with present climate, 1996 to 2005, near future climate 2046 to 2055, and far future climate, 2091 to 2100. For these periods, we simulated soil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for whol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using UTOPIA, and finally, we simulated runoff change of Daechong Dam basin through HSPF. According to simulations, soil temperature of southern region will increase in the future with the increase proportional to the air temperature. The soil moisture, however, is decreased under A2 scenario with a huge decrease in precipitation. Also it is expected with a severe winter drought as the runoff near the Daechong Dam Basin steadily increases but decreases during winter, a period of water shortage. In the near future, there will be a severe change in runoff within a short period. From spring to the beginning of summer, there will be an intense decrease in runoff but in the late summer to fall, there will be an increase in the runoff. In agricultural districts, there will be a decrease in runoff in May, when is the time with great demand of water; therefore, th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in such districts is crucial. The change in runoff is very sensitive to precipitation that an attentive care for future precipitation changes is crucial for water sources management. Following analysis can be used as a base data for water sources management policy. The results of the land surface variables can also be appli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flood management, irrigation and vegetation related to soil.

      • 성인애착과 성관계요구에 대한 응종 모형 연구

        공소연 성신여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성인애착과 성관계 응종의 동기들이 어떻게 원하지 않는 성관계 응종에 영향을 미치며 그 결과가 정적 정서와 부적정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데이트 파트너와 원하지 않는 성관계에 응해본 적이 있는 신입생에에서부터 4학년까지의 한국대학생 327명(남자 160명, 여자 167명)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인터넷 수업 수강자 284명이 전자 우편을 통해서 보고하였으며 43명이 심리학 개론 수업에서 보고하였다. 성인애착척도 (revised Adult attachment Scale), 원하지 않는 성관계 응종 척도(Consensual Unwanted Sex Scale, Impett & Peplau), 성관계 응종 동기 질문지( Reasons for Sexual Compliance Questionnaire, Impett & Peplau 2002)),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2003)가 연구도구로 사용되었다. 결과는 SPSSWIN 13.0과 AMOS 5.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적률상관계수, 평균차이검증, 구조방정식 모형과 경로분석으로 분석되었다. 이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의미한 경로가 남녀모두에게서 나타났다. 첫째, 남녀 모두에게서 애착의 불안수준이 높을수록 성관계 응종의 동기와 성관계 응종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여학생에게서만 애착의 회피의 수준이 높게 나타날수록 응종의 동기와 응종이 낮아졌다. 세 번째, 남학생들은 성관계 응종을 많이 할수록 정적 정서를 많이 보고하였다. 네 번째, 여학생들은 응종을 많이 할수록 부적정서를 적게 보고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adult attachment style and motivation of sexual compliance resulted in unwanted sexual behavior, and how its effect influenced on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three hundred and twenty seven students(160 men and 167 women) recruited from 12 Korean universities who had experienced unwanted sex with a her/his dating partn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vised Adult Attachment Scale(RAAS), Consented unwanted sex scale, reasons for sexual compliance and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PANAS) were administered to the two hundred eight four students taking a cyber class and forty three students taking a introductory psychology cours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test,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pathway analysis using SPSSWIN 13.0 and AMOS 5.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Significant paths were demonstrated for men and women participants. First, the higher the anxiety level of attachment of them appeared, the higher motivation for sexual compliance and the consensual unwanted sex occurred among both sexes. Second, the higher the avoidance level of attachment of them appeared, the lower motivation for sexual compliance and the lower consensual unwanted sex occurred only in women. Third, men reported that the more they consented unwanted sexual compliance, the more they felt positive affect for their sexual behavior. Fourth, women showed that the more they complied with unwanted sex, the lower they felt negative affect for their sexual behavior. Discussions and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were suggested. The limitation and further study were also suggested. key words: unwanted sexual compliance, reasons for sexual compliance,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다문화가정 아동 현장실습 체험연구

        공소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in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understand the essence and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Based on the research, this study aim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nhancing understanding and preparation on field practice for graduate student, institute, and people related to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carried out research process composed of existential experience exploration,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writing focusing on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based on the research question of “How is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that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go through during the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what’s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For collecting research data, this study conducted a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from September 2018 to November 2018 on 6 graduate students in master’s course who had experience of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in-depth interview continued until getting the enough data. Then, this study analyzed the collected data based on the research methods and came up with 6 essential topics and 18 sub-topics. 6 essential topics were as follows. 〈Meeting children without bias of multi-cultural family〉, 〈Reflecting on failing to approach in therapeutic way〉, 〈Feeling regretful for children’s potential restricted by reality〉, 〈Difficulty of therapeutic cooperation from mother who go through a rough life in Korea〉, 〈Art therapy as the valuable space of experience for helping children〉, 〈Becoming a mature and open-minded member of society〉. Based on the above topics, this study explored the essence and meaning of field practice experience that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had in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learned that their fixed idea about multi-culture may lead to bia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at moderate therapy is available when they are careful about their own bias and prejudice. Secondly, during the field practice in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felt confused in lack of understanding in characteristic of client, and communication issues with institute and children’s mothers. Also,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felt the necessity of studying and training on theory and practical affairs. Third, although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learned that issu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related to foreign mothers hav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stress in Korean society, they realized that therapeutic cooperation with mother isn’t easy. Fourth,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discovered the resources and competenc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could not be expressed due to lack of educational support and emotional exchange at home. Also,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experienced that art can be the important mean and pathway for developing the resources and competenc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ifth,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realized that field practice on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necessary for developing into an art therapist and mature individual respecting the diversity with open attitude. This study covered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after performing art therapy o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is study holds academic significance in identifying the essence and meaning of such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the actual information for graduate students who will be meeti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field practice field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field practice. This study also can be used as the basic material for reducing the trials and errors in preparing for the field practice. 본 연구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다문화가정 아동과의 현장실습 체험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함으로써 그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그 본질과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토대로 현장실습을 준비하는 석사과정생과 다문화가정 아동 미술치료를 실시하는 기관 및 관계자에게 실습현장에 관한 이해와 준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다문화가정 아동과의 현장실습과정에서 어떤 체험을 하며, 그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가지고,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근거한 체험 본질에의 집중, 실존적 체험 탐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로 구성된 연구절차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해 다문화가정 아동 미술치료 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석사과정생 6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부터 11월까지 개인별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이는 자료가 포화 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이후 수집된 자료들은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과정을 거쳐 본질적 주제 6개와 하위 주제 18개를 도출하였다. 6개의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다문화가정이라는 렌즈를 벗고 아동 자체를 만남〉, 〈치료적으로 접근하지 못한 미숙한 나를 반성함〉, 〈현실에 발목 잡혀있는 아동의 잠재력이 안타까움〉, 〈한국에서의 삶이 힘겨운 어머니와의 치료적 협력이 어려움〉, 〈미술치료는 아동의 날개를 펼쳐주는 소중한 경험의 장〉, 〈열린 사고를 지닌 사회의 성숙한 구성원으로 발돋움함〉 위와 같이 도출된 주제를 통해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다문화가정 아동 현장실습 체험에 대한 본질과 의미에 관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다문화에 대한 학문적 고정관념이 자칫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편견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자신이 가진 편견과 선입견을 경계 할 때만이 내담자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각성한다. 둘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현장실습 과정에서 내담자 특성에 관한 이해 부족, 기관 및 아동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문제 등에서 혼란스러운 감정을 느끼며 이론과 실무에 관한 공부와 훈련이 필요함을 깨닫는다. 셋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제가 한국사회 내에서 심리, 정서적 고통을 겪는 외국인 어머니와 연결되어 있음을 인식하지만, 아동에 대한 어머니와의 치료적 협력이 어렵다는 것을 알고 고민한다. 넷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다문화가정 내 교육적 지원과 정서적 교류 부족으로 인해 잠재되었던 아동의 자원과 역량을 발견하고 키워나가는 데 있어 미술이 중요한 수단이자 통로가 될 수 있음을 경험한다. 다섯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다문화가정 아동 미술치료 실습경험이 개방적 태도를 가지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미술치료 전문가이자 성숙한 개인의 한 사람으로서 나아가는 데 있어서 필요한 경험이었음을 깨닫는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다문화가정 아동과의 현장실습 체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다루며 이에 대한 본질과 의미를 드러내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미술치료 실습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을 접하게 되는 석사과정생들에게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아동과 현장실습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습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