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사회과에서 지역 박물관을 활용한 학습방안 연구 : 제주교육박물관을 중심으로

        고홍자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역의 문화는 해당지역의 오랜 역사를 배경으로 전통적 기반 위에서 성장하고 발전하는 것이다. 문화와 전통은 지역주민들이 오랜 세월 동안에 축적해 온 생활양식과 의식구조 등을 반영한 결과로서, 과거와 현재 나아가 미래를 일관하는 지역적 특성 혹은 공동체 의식으로 자리잡는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전통과 문화를 올바르고 가치 있게 이해하고 재창조하는 노력은 곧 현대의 문화활동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지역주민들이 문화활동의 일환으로서 혹은 학교교육과 관련된 사회과 학습이나 역사학습에 중점을 두고 박물관을 찾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각 지역마다 학생들에게 전통문화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동시에 그 가치를 이해시키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학교에서 행해지는 수업내용의 일부를 보충하거나 정해진 횟수의 현장학습을 소화하는 정도에 그치는, 그야말로 아주 소극적인 차원에서 박물관을 찾는 경우가 많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학교교육의 현실을 개선해 보고자 하는 취지에서 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의 전통과 문화의 산실인 지역 박물관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렵거나 생소하게 느낄 수 있는 전통문화에 대하여 친근감을 가지고 흥미롭게 학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논의의 흐름은, ① 초등 사회과와 지역 박물관 학습과의 관련성 ② 제주교육박물관의 현황과 박물관 학습 ③ 제주교육박물관을 활용한 학습방안의 제시 라는 세 가지 대주제를 토대로 하여 전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었던 지역 박물관을 활용한 학습방안은 개별화 과제 선택학습, 소집단 주제 협동학습, 박물관 현장학습의 세 가지 형태로 구안하여 접근하였으며, 지역 박물관의 사례로서는 ‘제주교육박물관’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핵심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사회과와 지역 박물관 학습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제주도에서는 사회과 교과서의 단원 중 ‘경제’와 ‘정치’를 제외한 거의 모든 단원이 지역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여러 가지 자료와 깊게 관련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초등학교 사회과 학습이 지역 박물관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학생들이 학습할 단원과 지역 박물관의 자료(인쇄자료), 전시물, 학습방법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전개한다면, 결과적으로 사회과의 학습능력이나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는 한층 더 향상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둘째, 제주지역의 박물관은 제주의 특수한 자연환경을 이용했던 생활모습과 전통적인 문화양식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다양한 전시물은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고장생활의 변천이나 지역의 역사 및 문화적 특성과 관련된 학습주제를 소화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지적할 수 있다. 특히, 제주교육박물관은 교육전문 박물관으로서 초등학교 학생들이 아주 쉽게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는 전시형태와 전시물들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학습활동을 하는 데는 비교적 좋은 환경이라고 지적할 수 있다. 셋째,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제주교육박물관 현장학습 방안은 학습형태별로 검토·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개별화 과제 선택학습 방안은 학습능력, 학습속도 및 흥미도에 따라 스스로 학습내용과 박물관 유물을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한 점이 매우 유효하였다. 나. 소집단 주제 협동학습 방안은 학생들이 박물관 전시물을 활용한 학습주제를 함께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한층 더 학습능력을 높일 수 있었다. 다. 박물관 현장학습은 교사의 주도 하에 개별적으로 또는 소집단끼리 박물관 현장학습을 실시한 후에, 여러 가지 체험활동을 다양한 표현방법에 의해 다가서는 학습방법이 훨씬 창의적이었으며, 동시에 기존의 학습방법에 비하여 학습목표를 달성하는 데도 보다 효율적이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초등사회과에서 지역 박물관을 활용한 학습방안은 전통문화와 지역적 특성을 이해하고 안목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 박물관의 전시물이나 자료 등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현장학습을 시행한다면, 지역의 전통문화와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변화를 이끌어내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따른 제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박물관을 활용한 학습이 학교교실과 연계되어 살아있는 현장수업으로 대체할 수 있는 학습기회를 교사 스스로가 많이 만들어야 한다. 둘째, 초등 사회과 학습은 교과 특성상 교과서 중심의 학습을 과감히 탈피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교사들은 수업현장을 교실 밖이나 학교 밖으로 자주 옮기려는 기본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셋째, 지역 박물관에서는 학생들의 학교수업과 관련하여 유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시자료나 인쇄 자료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와 더불어, 가능하다면 학생들이 실제로 체험하거나 시연해 볼 수 있는 학습공간(장소)이 갖추어져야만 보다 효율적인 박물관 학습이 실행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렇기 때문에, 초등학교 학생들에게는 박물관의 구조나 전시물을 중심으로 하여 상세한 설명이나 안내를 해 줄 있는 교육 전문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Local culture can be developed, based on a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The effort to understand and create the tradition and culture can be placed on the modern literary activity. Nowadays museums are frequently visited, for educational purpose, social study or history. However, in the real situation, museums are visited only for the passive purposes of supporting classes or field tri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reality of school education by helping children feel enthusiastic and take interest in local culture which they are unfamiliar with through local museums. The major topic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ocial study and local museums ■ design of program for field trip to museums ■ suggestions of learning methods through Jeju Educational Museum The main learning methods through local museums, designed in this study, include individual assignment work, cooperative learning by small groups and field trips to museums. Jeju Educational Museum is selected as an example.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arranged as follows; Fir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ocial study and local museums is analyzed. The analysis shows that almost all the lesson units except "economics" and "politics" have deep relationships with the materials owned by local museums. Secondly, it can be said that the museums in Jeju represent a life style of overcoming difficulties with natural environment and the traditional cultural style. And the various exhibits can be sai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students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e and the learning subjects related with history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community. Lastly, the method of practical use of Jeju Educational Museum is surveyed and analyzed, based on the third year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The individual choice of assignment work is very effective by letting students choose their own assignment task according to students' own interest, ability and development. B. The cooperative study by small groups can be more effective by letting students solve problems cooperatively through the exhibits. C. The practice of field trips should be put into by individuals or small groups under the control of teachers so that students can approach and understand the subjects through their own experience. At the same time this method is much more effective than existing ones. In summary, learning methods in elementary social study through local museums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local culture and the community, widening students' judgement. Therefore, the effective use of the exhibits or materials in local museums can be expected to bring us a good result in the change of cognition of the community. The suggest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ore opportunities to use local museums should be given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classroom education. Secondly, the learning method centered by textbooks should be avoid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eachers should try to give students more opportunities for field trips. Lastly, local museums should provide visitors with as many exhibits and printed materials as possible. If possible, they should provide visitors with experiencing places so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and try the traditional culture they acquired. Especially some experts who can give elementary schoolers explanations of the exhibits and guidance should b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