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저전력 아크플라즈마를 이용한 과불화합물 분해

        고지훈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플라즈마를 이용한 과불화합물 분해 공정은 많은 전력를 소모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저전력 아크 플라즈마를 개발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토치의 열효율을 포함한 아크 플라즈마의 인가전력과 첨가 반응가스의 영향에 의한 과불화합물의 분해율 변화를 조사하였다. 인가전력, 폐가스 유량 그리고 반응가스의 양이 조절되었고 열역학적 평형조성 분석이 실험결과와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해율은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기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토치는 폐가스 유량에 따라 60%에서 66%의 열효율을 보였으며 각각의 과불화합물은 폐가스의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분해율이 감소하였고 또한 인가된 전력의 량이 증가함에 따라 분해율 상승하였다. 반응가스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 NF3, SF6, CF4가스는 인가 전력 3kW, 폐가스 유량 70 l/min 조건에서 각각 최대 분해율인 90%, 15%, 4%을 보였다. 산소와 수소를 반응가스로 이용함으로써 폐가스의 분해율을 상승시킬 수 있었고 적은 양의 반응가스로도 급격한 분해율 상승 효과를 보였다. 수소가 산소보다 분해율을 높이는데 더 좋은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수소는 반응 후 가스의 경우에도 스크리버를 이용하여 처리가 쉬운 불화수소산 형태로 배출되었다. 수소를 반응가스로 사용하였을 때 100 l/min의 유량, 인가전력3kW에서 NF3는 99.2%, SF6는 39.3%, CF4는 25.0%의 분해율을 보였다.

      • 실험실 화재피해 저감 방안에 관한 연구

        고지훈 경기대학교 건설·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교육시설 실험실 내 안전관리규정의 강화와 연구 활동 종사자들의 교육을 통한 실험실 안전수칙이 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안전의식의 확보 및 관리체제의 변화는 크게 없는 실정이다. 위험성 물질의 취급·저장에 따른 연구 활동 종사자들의 실험실 내 거주 시간이 늘어남에 있어 실험실의 미흡한 소방시설과 시설물을 관리하는 관리자들의 관리체제의 문제로 인해 화재로부터의 위험성은 더욱더 증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용자들의 안전의식 또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고 있다. 최근 5년간 소방 방재 청 통계자료를 통해 화재발생요인을 분석한 평균 결과 부주의 47%, 전기적인요인 42%, 기계적인요인 9%, 화학적인요인 2%로 나타났다. 이처럼 사용자들의 부주의로 인한 화재발생 빈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화재로부터의 안전의식부족 및 관리자들의 관리부실로 인한 시설물의 비화재보 또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교육시설 실험실 내 화재발생 원인을 분석하여 향후 관리자 및 사용자들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화재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여 차후 화재발생에 대한 대처능력을 강화하고 효율적인 소방시설 관리방안을 제시함으로서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리자들의 관리체제를 위탁관리에서 자체관리로 변화시키고 소방안전관리자의 선임조건 및 소방안전교육을 강화함으로서 관리자들의 효율적인 시설물관리 및 사용자들의 소방안전의식 및 필요성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한 중등 역사 교육 방안 : 국립공주박물관을 중심으로

        고지훈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the history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through a museum education program - focused on Gong-ju national museum - Ko Ji-Hoon Department of Histor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Yoon Yong-Hyuk As a collection of data in museum is one of the foremost textbooks in history education, teaching using a museum is a very useful way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history education, that is, difficulty in seeing objects in person. Museum visits and experiential programs can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ing of and proper attitude toward cultural assets. With enhanced educational function of museum, a lot of programs for students have been designed and implemented. Despite its usefulnessof museum, junior or high school students have little, if any, opportunity of museum visits or participating in various programs due to time-limitation, the current admission-oriented curriculum, and other circumstantial reasons. This study intends to figure out programs offered by museums, which can actually benefit history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and methods to utilize these programs. The study verifies the effectiveness of Out-reach Program which is design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urrently run by Gongju National Museum (GNN); then, the study tries to expand the program to secondary schools in consideration with current situation to enhance the effect of history education. To this end, the studyinvestigates literature on educational function of museum, identifies curriculum related to museum, analyzes the current educational program offered by national museums, looks at the current education program in Gongju National Museum, and illustrates the relation between Gongju National Museum and secondary school textbook conten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tudy conducts a satisfaction survey and consumer demands survey on the programs currently being conducted. Since Gongju has a lot of remains of Woongjin Baekje Period excavated and Gongju National Museum displays are focused on the remains excavated in Tomb of King Muryeong, we can expect a secondary school history class can use this when covering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and Baeje history related programs are already opened. The survey analyzing school's demands only covers students and teachers in Daejeon and Chungnam regions; thus, it has a regional limitation. Also study on Gongju National Museum might not be generally applied to other museums in nation. However, the study is still meaningful because it becomes a turning point by enabling the proposed plan to bring attention to cultural assets in secondary education field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remains. The study suggested a method to utilize museums as an effective way of history education by analyzing the education programs currently conducted by national museum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museums and history education. It tried to objectively analyze research and surveys on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Out-reach Program; and the results, I believe, can contribute to designing a substantial plan which museums and schools cooperate together. The study, therefore, is expected to serve as a referential data for planning and devising other educational programs. I hope a further study which implements the educational program proposed in this study in an actual education setting to be conducted to identify the actual effects.

      • 역사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박물관 교육 내러티브 실행 연구

        고지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박물관에서 전시물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교육프로그램이 중등학생의 역사적 사고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된 실행연구이다. 박물관은 전시물과 직접 소통하며 당시 사람들이 어떻게 생활했는지 역사를 입체적으로 바라보고 그 시대로 돌아가 상상하고 느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교육적으로 아주 적합한 장소이다. 특히 실물을 직접 보고 느끼고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과서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 역사 교육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박물관에서의 교육이 학습자의 역사 이해와 역사적 사고력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실행을 통한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박물관 교육을 통해 청소년기 학습자의 역사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적 사고력이 어느 정도 향상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역사적 사고력의 범주를 ‘시간변화’, ‘역사적 상상’, ‘인과관계’, ‘가치판단’의 네 가지로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박물관 수업에서 고려해야 할 내용 조직 방법, 설명 방식, 수업 집단 규모에 따른 효과 정도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내러티브 학습과 역사적 사고력의 관계를 밝혀, 박물관학습에서 향상 정도가 가장 높은 역사적 사고력의 범주를 확인하고자 함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청소년기의 중등학생으로 현재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으로 한정하였다.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자발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87명을 대상으로 역사 관련 전시물이 가장 많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기간은 12개월이며 총 24회 수업을 3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수업 시작 전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향상도 확인을 위한 기준으로 삼고 전시실 수업을 진행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향상의 정도를 보고자 하였다. 또 학습자의 생각과 인식의 변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매회 질문지 인터뷰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실행연구를 통한 질적 연구이며 분석 역시 질문지를 통한 사고력 변화 정도와 심층면담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질문지를 통한 분석은 역사적 사고력의 네 가지 범주를 상, 중, 하 3등급으로 나누어 3인의 채점자가 9차례 채점하여 오류를 줄이고자 했다. 역사적 사고력의 향상 정도는 범주별 분석과 차시별 분석으로 나누어 다각도로 확인하였고, 심층면담 자료의 코딩과 연구자의 성찰일지, 동료연구자의 성찰일지 등을 통해 타당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 내러티브 학습에서 중등학생의 역사 이해를 높이는 내용 조직 방법은 주제 중심 수업이 좀 더 적합하였다. 시대 중심 학습과 주제 중심 학습은 모두 역사적 사고력의 전 영역을 향상시켰으며 각 방법에 따른 장점이 있었다. 시대 중심 수업은 시간변화 영역과 역사적 상상에 더 효과적이었다. 주제 중심 학습은 인과관계 영역에서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인과관계를 통해 역사 이해를 높여 장기기억에 도움이 된다. 결과적으로, 내러티브 학습을 통한 내용 조직 방법으로는 주제 중심 학습이 박물관교육에 더 적합하다. 둘째, 박물관 내러티브 학습에서 중등학생의 역사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설명 방식은 내러티브 설명이다. 내러티브 설명 방식은 일반적 설명 방식 보다 학생의 역사적 사고력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키나, 그 중 ‘인과관계’, ‘역사적 상상’, ‘가치판단’영역에 더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러티브 방식의 설명을 통해 학생들이 단순한 유물의 설명이 아닌 하나의 스토리로 받아들여 이를 스스로 상상하고 이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역사적 사고력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수업집단의 규모는 수업 집중도와 참여태도를 형성하는데 크게 작용하였다. 박물관 내러티브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학습 집단의 규모는 5명이하의 소집단이 집중력과 참여태도 면에서 효과가 있었다. 특히 역사적 상상과 가치판단 면에서 대집단에 비해 상승도가 높았다. 또한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만족도 역시 매우 높아 소규모 집단의 교육이 역사적 사고력 향상에 효과가 큰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주제 중심의 내러티브 설명을 통한 소집단 학습은 학습의 결과를 매우 향상시키며 역사적 사고력이 크게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넷째, 박물관 내러티브 학습은 학생의 역사적 사고력에 변화를 주었다. 역사적 사고력의 네 영역이 모두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그 중에서 가장 향상도가 큰 영역은 ‘인과관계’이다. 전체적인 향상도가 큰 영역은 ‘역사적 상상’,‘가치판단’ 이었다. 상 등급의 학습자가 가장 많은 영역은‘시간변화’영역이었다. 이는 인과관계를 이해하는 사고 구조가 역사적 상상과 가치판단을 향상시키는 주요 요소가 되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참여 후 학생들은 역사이해력이 향상 되었고 수업 후 자기만족도가 높아짐에 따라 자신감 상승과 성취감 향상으로 발전되었다. 이러한 역사에 대한 관심과 박물관에 대한 친숙함은 박물관을 지속적으로 방문하게 하는 이유가 되었으며, 일부는 박물관과 문화재 관련분야로 진로를 결정하기도 하는 효과를 낳았다. 박물관 학습에서 내러티브에 의한 이야기식 설명 방식은 유물을 통해 역사를 이해하고 시대를 파악하기에 적합하였다. 내러티브를 활용한 수업은 자신의 목소리를 드러내기 때문에 학생들이 나름대로의 해석과 가치판단을 통해 내용을 이해하고 발견하며 재창조 한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내러티브 학습은 유물에 대한 역사적 상상을 가능하게 하고 학생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게 하여 스스로 의미를 재구성하고 자신의 역사내러티브를 만들도록(Doing History) 하였다. 그러므로, 박물관에서 내러티브 학습은 중등학생의 역사적 사고력 향상에 큰 효과가 있다.

      • 변혁적·거래적·서번트 리더십이 공무원과 공무직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지훈 고려대학교 행정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대와 분야를 막론하고 모든 조직은 저마다의 목적 실현을 위해 최적의 성과를 달성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인적자원의 가치가 중요시 되는 오늘날의 많은 조직들은 성과의 질적 수준 제고와 기대 이상의 성과 달성을 위해 자발적인 직무태도인 조직몰입에 많은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성과의 양적 측정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행정조직에서의 조직몰입은 공익 실현을 위한 구성원의 행정적 책임성의 근간으로 작용하며, 성과 달성에 보다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조직관리를 위한 핵심요소이자 수직적 의사결정 구조를 지닌 행정조직에서 구성원의 조직생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부서장의 리더십 중에서 현대적 리더십의 대표격인 변혁적・거래적 리더십 및 구성원 중심의 서번트 리더십과 함께 직무 자체에 대한 자발적인 즐거움과 성취감 등인 내재적 동기를 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핵심적인 선행요인으로 주목하고 부서장의 거래적・변혁적・서번트 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구성원의 내재적 동기가 갖는 매개효과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행정조직 구성원에 공무직을 포함하고, 주요 변수 간의 관계에서 나타난 영향력의 차이가 공무원과 공무직에게 나타나는지를 비교・분석해 봄으로써 그 간 행정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차별성을 부여하였다 각 변수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행정조직의 하나인 S기관 본부와 소속기관에 근무하는 6급 이하 공무원과 공무직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공무원 201명과 공무직 205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양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의 분석을 위해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과 함께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첫째, 부서장의 거래적・변혁적・서번트 리더십은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서장의 거래적・변혁적・서번트 리더십이 구성원의 내재적 동기에도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구성원의 내재적 동기는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 과정에서 구성원의 내재적 동기는 거래적・변혁적・서번트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과 공무직을 각각 대상으로 한 경우에도 모든 관계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매개효과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서장의 거래적・변혁적・서번트 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은 공무직이 공무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컸고, 부서장의 거래적・변혁적・서번트 리더십이 구성원의 내재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력과 내재적 동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은 공무원이 공무직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행정조직의 리더십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했던 서번트 리더십을 포함하여 연구함으로써 거래적・변혁적・서번트 리더십 모두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리더십 함양의 필요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과, 구성원의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밝혀냄으로써 내재적 동기가 조직몰입 향상에 핵심요인으로서 작용함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행정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대한 연구에서 구성원의 범위에 공무직을 포함하고, 공무원과 공무직을 대상으로 각각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지 비교・분석한 최초의 연구인 점에서 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구결과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보다 확보하고, 향후 행정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 연구에 실질적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중등수학 수행평가에서 포트폴리오 및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고지훈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중등수학에서 수행평가의 한 유형으로 포트폴리오 평가를 도입하고, 이를 합리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포트폴리오에 관한 이론들을 정리해 보고, 이것을 바탕으로 수학 포트폴리오를 새롭게 정의하였다. 그리고 수행평가의 특징과 유형을 살펴보고, 국내외에서 수학 포트폴리오 평가가 적용된 사례를 바탕으로 수행평가로서 수학 포트폴리오 평가가 활용되어야 하는 필요성에 대해 논의한 후,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수학 포트폴리오와 포트폴리오 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into portfolio assessment model of mathematics and to develop of portfolio assessment of mathematics The portfolio is a collection of selected student work. It can display a student's best or most significant efforts across a range of mathematical activities or couple early work with later and stronger work to illustrate a student's mathematical progress. These mathematics concrete examples can show the teacher or parent the student's performance in more detail than would an abstract number or letter grade. Therefore, more various and systemic in the portfolio assessment of mathematics could be tried more successful education of mathematics. The more study should be done for the concrete portfolio assessment of mathema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