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 내부효과에 미치는 영향 : 대기업과의 거래관계에 있는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고지연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Global companies are being called for intensive implementa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demands. Recently, not only global companies and conglomerates, but also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that have business relations with these companies are demand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As a prime reason, large businesses were required to realize the responsibility of risk management in areas of social responsibility such as human rights violation, labor, environment, safety and economy of small businesses for supply chain management, and small businesses faced a situation where they had to fulfill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to maintain their continued business relations with large business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the results of social responsibility fulfillment are actually affect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hich are fulfilling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in order to maintain business relations with large compani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and internal effects of small businesses and to test the mediated effect of supporting small and medium businesses of large enterprises in this relationship. Measurement of the social responsibility(CSR) of small businesses with economic, legal, philanthropic and ethical responsibilities defined by Carroll (1991) found that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review of prior studies. Thus, the definition of a company’s social responsibility was based on the most cited definition of carroll, but largely divided into two responsibilities. The economic and legal responsibilities required by an entity were classified as ‘reasonable social responsibility(CSR)’ and the ethical and philanthropic responsibilities recommended by the entity as ‘extended social responsibility(CSR)’. The internal effectiveness factors of the organization includ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variable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Support for small businesses by large companies that are utilized as the basis for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and shared growth between large and small businesses was established as parameters and measured using the shared Win-Win index. The data of part 202 obtained through a survey of employees working 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a transaction relationship with large enterprises were analyzed using SPS 24.0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responsibility(CSR)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of workers 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econd, the social responsibility (CSR)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f small business workers and lower beta values compared to the extended social responsibility(CSR) of small businesses when the corresponding social responsibility(CSR) of small businesses was independent variables. Third, the impact of social responsibility(CSR) on job satisfaction by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as partly mediated by supporting small and medium businesses of large enterprises. Finally, the effect of extended social responsibility(CSR)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f small businesses was partly mediated by the support of small businesses, but the effect of representative social responsibility(CSR)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was fully mediated by the support of large enterprise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ocial responsibility(CSR) of small businesse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rnal effect' of small business workers. It also confirmed that support of small businesses by large businesses has a partial-complete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responsibility(CSR) of small businesses and the internal effects of employees of small businesses. This confirmed that support in the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sectors of the CSR, such as support for small businesses, such as the fairness of contracts,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support for human resources and recruitment, support for the establishment of ethical management systems, and improvement of worker safety and working environment, is actually affecting the fulfillment of CSR by small businesses. In addition, the research confirmed that the support of large companies was fully mediated when the reasonable social responsibility(CSR)(economic responsibility, legal responsibility) of small businesses affected th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support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ith regard to the area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Keywords】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f Small and Medium Businesse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Supporting Small and Medium Businesses of Large Enterprises, Win-Win Growth 글로벌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요구가 대두되면서 글로벌 기업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강도 높은 이행을 요구받고 있다, 최근엔 글로벌 기업과 대기업 뿐만 아니라 이들 기업과 거래관계에 있는 중소기업에게까지 사회적 책임(CSR)을 요구하고 있다. 대표적인 이유로는 대기업이 공급망관리를 위해 중소기업의 인권침해, 노동, 환경, 안전, 경제 등 사회적 책임 영역에서의 리스크 관리의 책임성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중소기업은 대기업과의 지속적인 거래관계의 유지를 위해서 사회적 책임을 이행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기업과 거래관계 유지를 위해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고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사회적 책임 이행의 결과가 중소기업에 실질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기업과의 거래관계에 있는 중소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내부효과의 영향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이 관계 속에서 대기업의 중소기업 지원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Carroll(1991)이 정의한 경제적, 법적, 자선적, 윤리적 책임으로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을 측정하는 것은 선행연구 검토 결과, 한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정의할 때 가장 많이 인용되고 있는 Carroll의 정의를 기반으로 하되, 이 정의를 크게 두 가지의 책임으로 구분하였다. 기업에게 당위적으로 요구되는 경제적 책임과 법적 책임을 '당위적 사회적 책임(CSR)', 기업에게 권장되는 윤리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을 '확장적 사회적 책임(CSR)'로 분류하였다. 조직의 내부효과 요인으로는 조직의 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직무만족과 조직동일시 변수를 사용하였다.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상생을 위한 동반성장의 기반으로 활용되는 대기업의 중소기업 지원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였고, 동반성장지수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대기업과의 거래 관계에 있는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을 통해 확보된 202부의 데이터를 SPSS 2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은 중소기업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은 중소기업 종사자의 조직동일시에 정(+)의 영향을 보였으며, 중소기업의 당위적 사회적 책임(CSR)이 독립변수인 경우 확장적 사회적 책임(CSR)에 비하여 낮은 베타값을 보였다. 세 번째로,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기업의 중소기업 지원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중소기업의 확장적 사회적 책임(CSR)이 조직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은 대기업의 중소기업 지원에 의하여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으나 중소기업의 당위적 사회적 책임(CSR)이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은 대기업의 중소기업 지원에 의하여 완전 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 중소기업 종사자의 내부효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기업의 중소기업 지원은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중소기업 종사자의 내부효과 간의 영향관계에 부분-완전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대기업의 중소기업 지원 즉 계약의 공정성, 근로 환경 개선, 인력·채용 지원, 윤리경영 시스템 구축 지원, 근로자 안전 및 작업 환경 개선 등 CSR 영역인 경제, 사회, 환경 분야의 지원이 실질적으로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이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중소기업의 당위적 책임(CSR)(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이 조직 동일시에 영향을 미칠 때 대기업의 지원이 완전 매개역활을 하고 있음을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대기업의 중소기업 지원에서 사회적 책임 영역에 관한 지원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 SCEP 기반 디자인씽킹 과정을 적용한 고등학생 창직 교수학습자료 개발

        고지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진로개발 활동프로그램 SCEP을 기반으로 디자인씽킹 과정을 적용하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창직 활동을 할 수 있는 교수 자료와 이를 유의미하게 지도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선행 연구 및 관련 문헌을 기초로 하여 SCEP 기반 디자인씽킹 과정을 적용한 고등학생 창직 교수학습자료를 준비, 개발, 개선의 3단계를 거쳐 개발하였고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평가와 검토를 2차에 거쳐 수정·보완하였다. 일상생활에서 어떤 인물이 겪는 문제 상황에 대한 공감으로 인한 문제 발견, 문제 정의 방법, 아이디어의 생성과 피드백을 통해 새로운 직업명이나 제품과 관련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본다. 그 후 학생들과의 프로토타입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도전과 시도를 하는 과정을 3차에 걸쳐 활동하는 교수자료와 활동지를 완성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자료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이 교수학습자료에 있어서 디자인씽킹 과정은 스탠포드 대학의 d. school 모델인 Empathize(공감), Define(문제정의), Ideate(아이디어발상), Prototype(시안 만들기), Test(검증하기) 5단계 절차에 기반하여 ‘공감하기’, ‘정의 내리기’, ‘아이디어 내기’, ‘프로토타입 만들기’, ‘피드백’의 다섯 단계로 구성하였다. 둘째, 개발된 교수학습자료는 ‘생활 속의 직업 세계, 미래 세계의 변화와 기술에 따른 직업 세계 변화 탐구, 문제에서 기회 발견하기, 문제를 재정의하기, 새로운 직업 상상해 보기, 새로운 직업명이나 제품 만들기, 새로운 직업에 대한 피드백 및 자신의 역량 찾기’ 학습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개발된 교수학습자료는 활동 중심으로 창직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 교수학습자료에는 디자인씽킹 프로세스의 이해, 창직의 원리, 미래 세계의 변화와 기술에 대한 이해가 포함되었으며 7차시에 거쳐 결과물인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 일반 학급을 대상으로 한 창직 교수학습자료는 현직 교사들이 디자인씽킹과 창직의 결합에 대해 유용성이 있다고 보았으며 디자인씽킹 방법이 다른 진로 교육 방법에 접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둘째, 창직 활동을 한다는 것은 학생들에게 문제 해결을 하는 방법을 배움과 동시에 성공 경험을 통해 집단에 대한 연대감과 도전적인 태도를 형성하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교수학습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의 기관지천식악화요인으로서 기도호산구탈과립에 관한 연구

        고지연 인제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s: We attempted to investigate whether airway eosinophil activation and degranulation develop in mycoplasma pneumonia and to elucidate the association between mycoplasma pnuemonia and asthma.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40 patients with Mycoplasma pneumonia (Mycoplasma group), 20 stable asthma patients (Asthma group) and 20 normal controls (control group), all of whom underwent sputum induction and laboratory tests. In Mycoplasma group, the initial studies were evaluated during the acute stage and the follow-up studies were performed at 6 to 8 weeks after the initial study (convalescence stage). The eosinophil-derived neurotoxin (EDN) and 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levels in sputum and serum were evaluated, and were compared among these three groups in acute and convalescence stages. Results: The serum EDN and ECP levels in acute stage of mycoplasma pneumonia were comparable with those in Asthma group. However, in convalescence stage of mycoplasma pneumonia, thos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Asthma group (P<0.01 and P<0.05, respectively). The sputum EDN and ECP levels in acute stage of mycoplasma pneumonia were comparable with those in the Asthma group. The sputum EDN level in convalescence stage of mycoplasma pneumonia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Asthma group (P<0.05), and the sputum ECP levels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Asthma group,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serum levels of total eosinophil counts in Mycoplasma and Asthma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001).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osinophil activation and degranulation may have a pivotal role in to acute mycoplasma pneumonia. 목 적: Mycoplasma pneumoniae 감염과 천식의 관련성이 알려져 있긴 하지만, 기도 내 호산구가 그 병리학적 기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기도 내 호산구의 활성도와 탈과립이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2005년 10월부터 2007년 2월 사이에 유도객담 및 혈액에서 호산구성 염증매개체(eosinophil-derived neurotoxin [EDN], 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수치를 검사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환아 40명(Mycoplasma군), 안정된 천식환자 20명(천식군), 대조군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Mycoplasma군은 증상이 있는 시기에 검사를 시행하였고(급성기), 6-8주 후 반복검사를 시행하였다(회복기). 세 군에서 급성기와 회복기 때의 각각의 수치를 비교분석하였다.

      • 중학교 음악교사를 위한 피아노 반주법 연구 : 현대적인 화성 기법을 중심으로

        고지연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생들은 직접 노래를 부르는 활동에서 뿐만 아니라 반주를 듣는 활동을 통해서도 미적 체험을 할 수 있다. 또한 같은 곡이라 할지라도 반주에 따라서 곡의 분위기와 매력이 달라지므로 가창에 있어 피아노 반주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현재 음악 수업에서 가창이 차지하는 비중을 생각해 볼 때, 반주의 중요성에 대해 올바로 인식하고 이를 발전시켜 학생들로 하여금 보다 수준 높은 심미적 체험을 경험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대다수의 교사들이 피아노 반주에 대해 관심과 자신감이 부족하며 교과서 가창곡의 반주 형태는 매우 단조롭고 진부함을 인식하여, 교사들로 하여금 좀 더 다양하고 흥미로운 반주를 할 수 있도록 돕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반주의 기본 개념 및 중요성 등을 제시하고 다양한 반주를 하기 위한 여러 가지 화음, 화성 진행 및 패턴, 다양한 반주 유형과 리듬 패턴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여 교과서에 있는 가창곡을 골라 기존의 주요 3화음과 단순한 리듬 패턴 중심의 반주에서 벗어난 새로운 반주를 창작하여 제시하였다. 가창 수업에 있어 피아노 반주는 학생들의 음악적 체험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교사들은 이를 인식하고 기존의 단조로운 반주에서 벗어나 곡의 성격, 가사, 박자 등을 고려하여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반주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음악교사들이 가창에 있어 피아노 반주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가창 수업을 위한 보다 효과적이고 세련된 반주를 하는데 본 논문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Students can feel aesthetical experience from not only singing but also listening to accompaniment. Also, piano accompaniment is very important to sing because same works have a different atmosphere and attractiveness according to accompaniment. Especially, thinking of the proportion of singing in the present music class, we should cognize rightly an importance of accompaniment, and try to serve higher quality aesthetic experience for our students. Most of music teachers are short of confidence and interest of accompaniment, and song accompaniments in the textbook are too simple and outdated. Therefore, this study purposes to help that music teachers can do various and interesting piano accompaniment for their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hows a general concept and the importance of accompaniment and researches into various chords, harmonic progresses and patterns, various patterns of accompaniment and rhythm. Furthermore, this study creates and indicates new accompaniment whi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accompaniment based on primary triads and simple patterns of rhythm. In singing class, piano accompaniment influences students' musical experience. So teachers ought to recognize this fact and endeavor to express the character of music, lyric, rhythm and etc. I wish this study can help music teachers to change their mind about piano accompaniment in singing and to do more efficient and polished accompaniment for singing class.

      •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光州地域 벤처기업을 中心으로

        고지연 전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이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서 출발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은 1985년 Bass가 기존의 대부분의 리더십의 이론들이 리더와 구성원들간의 교환관계에 비중을 둔 거래적 리더십에 치중하고 있다는 비판을 하면서 변혁적 리더십을 제시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은 리더가 카리스마, 개별적 배려, 지적자극 등을 통해 구성원들이 기대를 능가하는 최고의 노력을 발휘하도록 동기부여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하는 리더는 구성원들의 욕구수준을 높여 주고 자신감을 심어줌으로써 성공에 대한 확신을 높여주고, 조직문화, 분위기 혁신을 주도하며, 구성원들의 조직에 대한 만족을 주고 조직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리더십 스타일은 집단 혹은 조직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변수로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변혁적 리더십 스타일이 구성원들의 직무만족 및 조직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이러한 변혁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기 위해 광주지역 벤처기업 40개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변혁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성과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연구방법상의 한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러한 한계 및 연구방향에 대해 마지막으로 논의하였다. Leadership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affect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Over the past two decades, several new leadership theories, variously labeled transformational, charismatic, or inspirational, have been proposed by Bass and other researchers. As noted by Bass, "most experimental research, unfortunately, has focused on transactional leadership, whereas the real movers and shakers of the world are transformational." Research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ory has expanded the range of leadership characteristics being systematically examined beyond the boundaries of transactional theories. Transformational leaders take responsibility for performance beyond ordinary expectations as they transmit a sense of mission, stimulate learning experiences, and arouse new ways of thinking.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s the job satisfaction of subordinat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formation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in surveys of 222 subordinates from 40 venture companies.

      • 코로나19 시대 대학 원격수업의 저작권 및 법적 문제 고찰

        고지연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코로나19는 우리의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교육 방식 또한 크게 변화시켰다. 교육 영역에서는 소위 ‘비대면 원격수업’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교육 방식이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대학은 강의실에서 실시하던 대면수업을 비대면 원격수업으로 전환하였다. 이러한 급작스러운 변화로 인하여 무방비 상태였던 비대면 시스템은 저작권 보호 영역에서 화두가 되었다. 구체적인 예로, 2021년 저작권 보호 10대 이슈 전망 1위는 ‘비대면 환경에서의 저작권 문제(13.8%)’가 차지하였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교육, 공연 등 많은 분야의 활동이 온라인 환경으로 전환되면서 새로운 저작권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증명한다. 또한, 수업 영상 및 화면 캡처가 무단으로 유포되는 초상권 문제 또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외형상 원격수업 형태가 코로나19 이후 활성화 되었지만 제정된 디지털 기반의 원격교육 활성화 기본법에는 야기될 수 있는 법적 문제에 대한 어떠한 마련책도 없는 실정이다. 대학의 경우, 교육부 지침에 따라 원격수업 규정을 제정하고, 대학 자체적으로 원격교육지원센터를 운영하는 등 교육부 및 협의체의 지침사항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모습으로 변화된 교육 환경에 적응하려고 자발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2020년 초, 코로나19의 갑작스러운 등장으로 교육 분야의 대응을 거시적 관점에서 원격수업의 질적 향상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약 2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미시적인 관점으로 그 안에 담긴 법적 문제를 논의할 단계이다. 원격수업은 대면수업과 달리 녹화를 통하여 저작물의 사용이 기록되어 그 이용에 대한 증거가 남게 된다. 특히 학생들은 수업 화면을 개인적으로 캡처, 다운로드 및 소장하는 등 저작물에 대한 복제가 무분별하게 행해짐에 따라 제 3자에게 전파될 가능성 또한 증가하였다. 이는 원격수업이 갖는 편리성의 부작용으로 법적 문제로 번질 수 있다. 따라서 교수자와 학생이 예기치 못한 법적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준점이 되는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원격수업의 학습매체 활용과 대학의 저작물 이용 현황을 파악하고, 대학의 원격수업 규정을 검토함으로써 규정에 저작권 조항 추가의 필요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향후 우리나라 대학의 원격수업 운영 체계가 미래 교육을 이끌어 간다면, 이용자와 제공자 모두 법적 테두리 안에서 보호 될 수 있도록 교수자와 학생의 법적 인식 개선을 위한 촘촘한 교육 시스템의 정비를 정부와 대학에게 기대한다. COVID-19 has significantly changed not only our daily life, but also the way we teach. In the field of education, a new type of education method called 'non-face-to-face distance learning' has rapidly spread. Universities switched from face-to-face learning in the classrooms to non-face-to-face distance learning, and systems that were not prepared for sudden changes became a hot topic in the copyright protection field. As a specific example, the top ten prospects for copyright protection in 2021 was occupied by 'copyright problems in non-face-to-face environments (13.8%)'. This proves that a new copyright problem has arisen as activities in many fields, such as education and performances, are switched to an online environment due to COVID-19. In addition, the problem of portrait rights in which class videos and screen captures are distributed without permission also occurs frequently. Although the form of distance learning has been activated after COVID-19, there is no provision for legal problems that may arise in the enacted Basic Act on the Promotion of Digital-based Distance Education. In the case of universities, they are voluntarily trying to adapt to the changed educational environment by actively accepting the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councils, such as enacting distance learning regul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operating the distance education support center of the university. In early 2020, the response of the education field to the sudden appearance of COVID-19 was focused on improving the quality of distance learning from a macro perspective. But at now, about two years later, we are in the stage of discussing the legal issues contained within it from a microscopic point of view. Unlike face-to-face learning, distance learning records the use of works through recording, leaving evidence of their use. In particular, as students personally capture, download, and own class screens, the possibility of dissemination to third parties has also increased as the reproduction of copyrighted works is done indiscriminately. This can lead to legal problems as a side effect of the convenience of distance learning. Therefore, the specific guidelines as a reference point should be prepared to prevent exposure of teachers and students to unexpected legal risk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use of learning media for distance learning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university's use of copyrighted works, and examine the university's distance learning regulations to consider the necessity of adding a copyright clause to the regulations. This researcher expects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to establish a tight education system to improve the legal awareness of teachers and students so that both users and providers can be protected within the legal framework if the distance learning operating system of Korean universities leads future education.

      • 토론을 활용한 진로프로그램이 고등학교 동아리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고지연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토론을 활용한 진로프로그램이 고등학교 동아리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또한 토론을 활용한 진로프로그램을 기획, 수행, 개선하기 위한 방법은 있는지 면담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21세기 지식기반사회는 더 이상 지식의 양으로 승부를 보는 것이 아니라 지식을 자신의 목적에 맞게 선택하고 구성해서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 환경 변화와 더불어 개인 환경, 즉 학습자에 대한 다른 시각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2011년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배려와 나눔, 실천을 위한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을 편성하였다. 현재 고등학교 학교 교육과정에서도 동아리 활동과 진로교육을 강화하여 하여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2013 청소년 통계'(여성가족부, 통계청)에 의하면, 청소년의 고민은 1위는 ‘공부와 장래직업’이었고, 희망직업 1위는 ‘공무원’이었다. 이 통계자료는 청소년들이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지만 자기 이해, 일과 직업에 대한 지식 및 이해 부족, 의사 결정 방법 및 능력 미숙 등으로 인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즉 교육과정과 학생들의 삶의 괴리되어 있음을 보여 준다. 또한 진로 관련 선행연구는 주로 진로에 대한 기초적인 탐색 부분에 관점이 맞춰져 있으며, 진로프로그램들이 회기가 너무 길고 일반 교사가 적극적으로 활용하기에는 시간과 전문성의 한계가 있었다. 게다가 진로의식 성숙도 구성 요인에서 의사결정 능력이 다른 부문과 달리 별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진로프로그램에 기반하여 그 과정에 토론을 넣고자 했다. 결국 진로는 학생이 늘 고민하고 선택해야 하는 문제이다. 학생이 스스로 질문하고 생각해보고 여러 가지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결정하고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을 해 보고 자신의 생각을 키우는 일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학교 교육 과정 안에서 할 수 있는 범위, 즉 창의적 체험활동 중 진로 활동과 동아리 활동을 연결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운영했을 때 진로성숙도가 변화를 보이는지 그 구성 요인 중 어떠한 부분이 변화가 더 많이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S시에 있는 S고등학교 1학년 중 진로 미결정자 12명을 선정하여 동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하여 검사를 활용한 양적 연구와 면담을 하고 관찰하여 분석한 질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2015년 3월부터 계획을 하고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015년 8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주당 6시간을 계획하고 방과후를 이용하여 10회기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모든 회기는 오후 6시 50분부터 시작하여 8시 30분에 회기당 100분으로 진행되었다. 토론을 활용한 진로프로그램을 진행하였는데 실험집단에게 이상의 방법과 절차로 실시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론을 활용한 진로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설은 95% 신뢰 수준에서 유의확률이 p=0.002<0.05이므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응 표본 t검증을 한 결과, 총 진로성숙도 사전 합계 점수는 3.441점으로 나타났고, 사후 합계점수는 3.752점으로 전체 점수가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t=--4.12 , p<0.05). 따라서 토론을 활용한 진로프로그램은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토론지도가 진로지도의 유용한 한 방식임을 알 수 있었다. 첫째, 토론을 활용한 진로프로그램은 진로성숙도 검사 결과, ‘진로성숙도 총점’과 하위 영역 ‘진로에 대한 의견 및 태도’, ‘정보 탐색 및 합리적 의사결정’, ‘관심 있는 직업에 대한 지식’, ‘진로 탐색 및 준비 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하위 영역 중 ‘다양한 직업에 대한 지식’에서 즉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직업에 대한 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토론을 활용한 진로프로그램을 기획, 수행, 개선하기 위한 방법은 면담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것을 얻을 수 있었다. 토론을 활용한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으로는 12명중 토론 이론을 선호하는 학생 5명, 토론 실습(피라미드 토론 포함)을 선호하는 학생이 4명, 피드백(판정)과 더불어 사고의 확장을 가져왔다는 학생 3명으로 분석되었다. 즉 토론을 활용하여 진로에 대한 프로그램을 진행했을 때 토론에 대한 경험과 개인적 선호도에 따라 토론이론, 토론 실제, 피드백(판정)의 선호로 나뉘긴 했으나 토론이 가지는 장점, 논리적 사고력, 논증력, 비판적 사고력을 체계적으로 배움으로써 진로성숙도의 향상에 기여를 했다. 진로에 대한 인식은 프로그램을 하기 전과 한 후에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 변경하지 않았으나 자신이 정한 진로를 구체적으로 경험하기 위해 부모님의 직장을 찾아가거나 롤모델을 알아보거나 찾기 위해 노력하고 책과 커리어넷, 또는 각 대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구체적으로 알아보려고 행동을 했다. 자기소개서를 쓰고 PMI기법을 적용한 것이 학생들이 상당히 수용적인 태도로 받아들임으로써 적극적인 자세로 변화를 보인 부분이었다. 토론을 통해 활성화된 논리적·비판적 사고력이 문제를 보는 시각과 대안적 방법까지 고려함을 알 수 있었다. 토론을 활용한 진로프로그램은 고등학교 동아리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쳐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이 개인적으로 행복하고 자아실현을 하고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진로 발달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프로그램의 다양화, 프로그램의 실현을 위한 예산 및 여건 형성화 등 현실가능적인 창의적 체험활동이 필요하다.

      •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정책 결정과정 분석 : Zahariadis의 다중흐름모형을 중심으로

        고지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의 정책 결정과정을 밝히는 것으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정책 결정 과정에서 정책문제의 흐름, 정치의 흐름, 정책대안의 흐름은 어떠하였는가? 둘째, 정책문제의 흐름, 정치의 흐름, 정책대안의 흐름이 어떻게 결합하여 정책의 창이 열리게 되었는가? 셋째, 정책의 창이 열리는 과정에 정책선도가는 누구이며, 어떤 역할과 전략을 수행하였는가? 이 연구는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정책 결정과정을 탐구하는 정책연구로서 정책자료와 보도자료, 선행연구물, 언론기사, 국회회의록 등을 토대로 한 문헌분석 방법을 사용했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학교공간 개선사업이 시행된 시점부터(2000)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1.0이 발표(2021.2.)되는 시점까지로 설정하였다.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의 확장 형태인 Zahariadis의 다중흐름모형을 일부 수정한 분석 틀을 바탕으로 도출한 연구결과를 서술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의 흐름과 정치의 흐름, 정책대안의 흐름은 각각 독립적으로 흐르고 있었다. 문제의 흐름에서는 학령인구의 감소, 40년 이상 경과 학교건물의 증가와 유해물질의 위협, 기후변화의 심화 등 지표의 변화가 있었으며, 코로나19 펜데믹으로 인해 등교중지 사태가 벌어지며 학교의 디지털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 증대 및 교육 형태의 변화가 있었다. 학교시설 노후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교공간혁신사업이 추진되고 있었으나 각종 비리 발생 등 문제점이 있어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정치의 흐름은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의 교육여론에서 국민은 초등 돌봄교실 확대, 교육의 공정성·공공성 강화에 큰 관심을 둔 반면 미래교육 환경조성 및 안전한 학교 조성 관련 관심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코로나19로 인해 경제위기에 직면한 정부는 국가적 뉴딜 사업을 계획하고자 하였고, 뉴딜 사업 계획 초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여당(더불어민주당)이 다수당이 되면서 한국판 뉴딜 추진에 유리한 상황이 전개되었다. 한국판 뉴딜 정책 골격이 완성된 제6차 비상경제회의에서도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은 한국판 뉴딜 사업에서 거론되지 않았지만, 후에 이러한 정치적 흐름을 정책선도가가 이용함으로써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정책대안의 흐름에서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은 OECD의 미래교육 연구 및 4차 산업혁명 대응이라는 측면에서 가치수용성을 충족하였고, 새로운 정책 내용보다는 학교공간혁신사업의 확장 및 기존 정책을 차용한 형태로서 정책 채택과 추진 부담을 덜어 기술적 실행가능성이 높아졌다. 재정은 국비와 지방비 혼합형태로, 지방비의 경우 임대형민자사업(BTL) 방식으로 부족한 재정을 충당하고자 하였다. 정책의 창은 서로 독립적으로 흐르던 세 가지 흐름이 정책선도가인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서울시교육청에서 서울시와 합동 기자회견(2020.7.)을 열어 ‘미담학교 사업’을 제안하면서 정책의 창이 열리게 되었으며, 그 결과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이 미담학교 사업을 수정·보완한 형태로 확정되어 성공적인 정책 결정이 이루어졌다. 정부가 특정 문제에 주목하여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정책을 고안한 것이 아닌, 정책을 채택 후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찾아 주의를 기울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선언적’인 논리로 합류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정책선도가는 유은혜 교육부 장관과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으로, 두 사람 모두 정책 입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고위직이며 학교공간 개선에 대해 큰 관심과 의지가 있었다. 특히 조 교육감은 한국판 뉴딜 정책 계획이 유리하게 진행되고 있었던 정치의 흐름을 놓치지 않고 임의로 정책의 창을 열어 교육 분야와 접목시킨 뉴딜 계획을 정부에 제안함으로써 세 흐름의 합류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정책선도가의 역할과 전략이 정책 결정에 중요하게 작용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의 결론은 첫째,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은 교육정책임에도 불구하고 교육문제 해결을 위해서라기보다 코로나19로 인한 국가의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결정되어 교육적 성과보다는 사업 진행률, 사업을 통해 창출된 일자리 수, 재정투자 소요액 등에 중점을 둘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둘째, 특정 문제를 명확히 인식한 후 그를 해결할 대안을 찾는 합리적 정책 결정 절차를 거치지 않고, 특정 문제에 대한 정책입안자의 관심이 집중되는 동시에 ‘미담학교 사업’이라는 정책대안이 발생하여 결정되어 비합리성에 기반한 현실적인 정책 결정과정을 보여준다. 셋째, 정책 결정과정에서 정책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정책선도가의 역할과 전략이 결정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세 흐름 중 정치의 흐름에 가장 영향을 받았다. 이에 정책이 Top-down 형태로 추진되어 학생, 학부모 등 교육 당사자들과의 소통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고, 학부모와 지역주민 등의 거센 반발에 직면하는 등의 한계점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