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변 다중 경로 페이딩 환경에서 사전 등화기를 사용하는 적응 변조 SFBC-OFDM 시스템에 관한 연구

        고정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55

        이 논문에서는, 하향 링크의 수신기 복잡도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하향 링크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OFDM 시스템에 SFBC(Space-Frequency Bloc Code) 전송 다이버시티와 적응 변조(adaptive modulation)를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분석한다. SFBC 전송 다이버시티의 성능은 연속되는 부채널이 얼마나 플랫한가에 달려 있다. SFBC 전송 다이버시티와 결합해서 적응 변조를 하면 시스템 용량이 증가하지만, 심각한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을 겪는 경우 야기되는 심볼 간 간섭으로 인해 성능이 저하된다. 이 논문에서는 인접 부채널에 사전 등화기(pre-equalizer)를 사용해, 인접 부채널의 수신 SNR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한다. 전송 전력 내에서 가용한 모든 부채널에 pre-equalizer를 적용한다면, 적응 변조처럼 SNR에 대해 일정한 BER을 유지하는 고정 변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변조의 사용은 하향링크 수신단의 blind modulation-level detection 또는 modulation-level signaling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해주므로 수신기 구현을 간단하게 한다. 적응 변조를 위해서는 이미 채널 예측이 필요하므로, 채널 예측에 기반한 사전 등화기의 추가는 complexity를 증가시키지는 않는다. 다시 말하면, 이 논문에서는 OFDM 시스템에서 SFBC 전송 다이버시티와 결합한 적응 변조를 제안한다. 또한 주파수 선택성으로 인한 제한한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보상하고 일정한 BER 성능을 갖는 고정 변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술로서 사전 등화기(pre-equalizer)를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을 분석하고 기존의 OFDM 적응 변조와 비교한다. 또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시스템이 시변 다중 경로 환경에서 기존 방법 보다 더 좋은 BER 성능과 throughput을 가짐을 보이고, 심각한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을 겪는 환경에서도 사전 등화기를 사용해 성능을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In this thesis, in order to increase data transmission rate in the downlink without increasing of complexity, we propose and analyze an adaptive modulation scheme combined with SFBC transmit diversity in OFDM system. The performance of SFBC transmit diversity depends on how flat adjacent subchannels are. Although an adaptive modulation with SFBC transmit diversity increases system capacity, performance degradation is resulted by inter-symbol interference due to severe frequency-selectivity. In this paper, we solve this problem by keeping received SNR constant using a pre-equalizer among adjacent subchannels. As a result, the orthogonality of SFBC is kept and the throughput is increased. If we use a pre-equalizer over all possible subchannels, we can use the superior fixed modulation, as far as transmit power is allowed. The fixed modulation with a pre-equalizer keeps BER constant and makes the detection process of a receiver simple by omitting blind modulation-level detection or modulation-level signaling. The proposed schemes don't require additional complexity because adaptive modulation already use channel prediction. In other words, we propose an adaptive modulation with SFBC transmit diversity in OFDM system and a pre-equalizer as a technique for compensating a frequency-selectivity and as a technique for fixed modulation. We analyze and compare the proposed schemes with conventional adaptive modulation.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we are confirmed that the proposed schemes show a better BER and throughput performance than the conventional schemes under the time-varying multipath fading channel.

      • 지역사회 환경과 노인 우울의 관계에 대한 다층모형 검증

        고정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1855

        최근 개인의 건강성과(health outcome)를 평가하는데 있어 지역적 요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이제까지 주로 연구된 개인적 특성들에 더하여 지역사회 환경적 특성들을 포함하여 연구모델을 구성하고, 지역사회 환경적 특성과 노인 중증우울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10년 서울시복지패널 2차 자료와 구별 행정자료를 토대로 혼합자료를 구성하고 위계적 일반화 선형모형(HGLM)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노인 우울의 로그승산에 대한 총 분산 중 지역수준 분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약 20%로 나타나 다층모형의 유용성이 확인되었다. 지역수준 변수 중 노인 1인당 노인복지예산과 지역사회 만족도는 노인 중증우울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지역범죄율은 그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수준 변수 중 75세를 기준으로 한 연령, 기초생활수급 대상, 질병은 노인 중증 우울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정기적 운동실천은 그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노인 우울에 대한 지역사회에서의 환경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이는 최근 부상하고 있는 고령친화도시에서 강조하는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방안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노인의 우울증상 감소와 정신건강 증진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노인복지 사업을 위한 노인복지예산의 안정성, 범죄피해 예방, 지역사회만족도 향상을 위한 노력, 생활권 중심의 공원배치의 가능성 등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understanding the effect of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on health outcome.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nd geriatric depressive symptoms. The data of individuals with ages between 65 and 99 were drawn from the 2010 Seoul Welfare Panel Data (N=1,413), and they were combined with various administrative statistics collected by districts (N=25). These data then were analyzed via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 (HGLM). This study found that the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explained 20% of the log odds of having severe depressive symptoms. Among neighborhood level variables, district welfare budget for older adults and perceived level of neighborhood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og odds of having severe symptoms of depression. District crime rate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likelihood of having severe symptoms. Individual characteristics (i.e., age, poverty, disease, regular exercise) were more likely to increase the odds of having severe depressive while regular exercise was more likely to decrease the odds. The findings above illustrate the importance of neighborhood environment, which is in line with the “Age-Friendly City” that encompasses the concept of sustaina- bility. The author finally suggested a need to consider neighborhood context in any effort to facilitate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 of geriatric depression, and made recommendations in the areas of district welfare budget, crime prevention, and resident satisfaction on the neighborhood.

      • 해금산조 덜렁제 선율 구조에 관한 연구

        고정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lodic structure of haegeum sanjo deolleongje, focusing on the conception of pansori deolleongje-the origin of deolleongje-and the melodic structure of the parts which were regarded as deolleongje. Haegeum sanjo is classified into two schools: Seo Yong-seok and Kim Yeong-jae. And the melodies of deolleongje, appeared in every jangdan, were examined focusing on composition sounds and its frequency of appearance, whereas the patterns of melodies were examined focusing on naedeuleum melodies and ending melodie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The portions of pansori that are regarded as deolleongje are the part of gunro saryeong in Chuhyangga; the part of Namgyeong jangsa crewmen in Simcheongga; the part of eojeon saryeong in Simcheongga; the part of Nolbu going to chase swallows in Heungboga; the part of Haeungong Bangge in Sugungga; and the part of wigukja's song in Jeokbyeokga. The feature of deolleongje in pansori is that although the composition sound is different due to the difference of sound combination, it commonly consists of sol, la, do, re and mi from the aspect of movable-do system. In addition, since it mainly uses the upper register of sol-la-do, it presents tense and highly-elated senses. The first melody of every part is shouted out and the last part creates an enlarged width between tunes and decreases. In addition, a unique feature of deolleongje seems to be such a severe fluctuating melodic pattern as dropping sharply below octave or rising suddenly above octave. The deolleongje melodies in Seo Yong-seok School's haegeum sanjo consist of 4 jangdans in jinyang; 5 jangdans in jungmori; 22 jangdans in jungjungmori; and 30 jangdans in jajinmori respectively. The composition sound of all the deolleongje in Seo Yong-seok School's haegeum sanjo consists of sol, la, do, re and mi. The appearance frequency of composition sound is different, but its tune relations are the same (major second - minor third - major second - major second). As for the naedeuleum melodies and ending melodies of deolleongje in Seo Yong-seok School's haegeum sanjo, the initial sound of naedeuleum melodies is 'sol' and this phenomenon is consistent in all the deolleongje in Seo Yong-seok School's haegeum sanjo. The last sound of ending melodies is 'do' and this phenomenon is consistent in all the deolleongje in Seo Yong-seok School's haegeum sanjo. Exceptionally, the jajinmori deolleongje in Seo Yong-seok School's haegeum sanjo ends with such ending sounds as dragging down 'do' in the second maru and as 'mi' in the third maru respectively. The deolleongje melodies in Kim Yeong-jae School's haegeum sanjo consist of 6 jangdans in jungmori and 12 jangdans in jajinmori respectively. Although the composition sound of deolleongje in Kim Yeong-jae School's haegeum sanjo is different due to the difference of sound combination, it commonly consists of sol, la, do, re and mi from the aspect of movable-do system. The appearance frequency of composition sound is different, but its tune relations are the same (major second - minor third - major second - major second). Although 'fa' exceptionally appears in jajinmori, it is transition tune and therefore ruled out from the composition sound. As for the naedeuleum melodies and ending melodies of deolleongje in Kim Yeong-jae School's haegeum sanjo, such remarkable features of pansori deolleongje melodies as suddenly dropping ones, heavily fluctuating ones between tunes and the ones that give the sense of dangling appear frequently. Therefore, the haegeum sanjo deolleongje, the theme of this study, appears in the haegeum sanjo of Seo Yong-seok School and Kim Yeong-jae School. The melodic structure of haegeum sanjo deolleongje is the same with that of pansori deolleongje, consisting of sol, la, do, re and mi. The feature of melodic pattern of Seo Yong-seok School's haegeum sanjo deolleongje is that its naedeureum melody is similar to the shouting-out melody of pansori deolleongje. The feature of melodic pattern of Kim Yeong-jae School's haegeum sanjo deolleongje is that its melody is similar to such pansori deolleongje's melodic characteristics as suddenly dropping ones, heavily fluctuating ones between tunes and the ones that give the sense of dangling. As for the common points of deolleongje's melodic structure in the haegeum sanjo of Seo Yong-seok School and Kim Yeong-jae School, their tune relations, appeared in the melodies of haegeum sanjo deolleongje, are the same (major second - minor third - major second - major second). In addition, there commonly appears such a melody of which gap between tunes is large in both schools' haegeum sanjo deolleongje. And the ending melodic structure of both schools' haegeum sanjo deolleongje has the same going-up pattern. 해금산조 덜렁제 선율구조에 관한 연구로 본 논문에서는 덜렁제의 원천인 판소리에서 덜렁제의 개념과 덜렁제로 일컬어지는 대목들의 선율구조를 살펴보고, 해금산조는 서용석·김영재류 류파별로 각 장단에 나타나는 덜렁제 선율을 구성음과 구성음의 출현빈도, 선율형태를 내드름 선율과 종지 선율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판소리에서 덜렁제로 일컬어지는 대목은 춘향가 中 군로사령 대목, 심청가 中 남경 장사 선인들 대목, 심청가 中 어전 사령 대목, 흥보가 中 놀부 제비 후리러 가는 대목, 수궁가 中 해운공 방게 대목, 적벽가 中 위국자의 노래 대목이 있다. 판소리에 나오는 덜렁제의 특징을 살펴보면 조성이 달라 구성음들의 음이름은 다르지만 이동도법으로 봤을 때 공통적으로 솔, 라, 도, 레, 미음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솔-라-도’의 고음역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긴장감과 고조감 등의 느낌을 갖는다. 각 대목의 첫 선율은 질러내고, 마지막 대목은 음정 간의 폭을 크게 하며 하강시킨다. 그리고 옥타브 아래로 뚝 떨어지거나 반대로 옥타브 위로 갑자기 올라가는 심한 도약의 선율형태는 덜렁제에서 보여지는 독특한 형태라 할 수 있다. 서용석류 해금산조 中 덜렁제 선율은 진양에서는 총 4장단으로 구성되어있고, 중모리에서는 총 5장단으로 구성되어있고, 중중모리에서는 총22장단으로 구성되어있고, 자진모리에서는 총 30장단으로 구성되어있다. 서용석류 해금산조 덜렁제의 구성음은 솔, 라, 도, 레, 미음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다. 구성음들의 출현빈도는 각각 다르지만, 구성음들의 음정관계가 장2도-단3도-장2도-장2도로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서용석류 해금산조 덜렁제의 선율형태를 내드름 선율과 종지 선율을 중심으로 살펴보니, 서용석류 해금산조 덜렁제의 내드름 선율 시작음은 ‘솔’음으로 모든 서용석류 해금산조 덜렁제에서 동일하게 나타나고, 서용석류 해금산조 덜렁제의 종지선율에서 마지막 끝나는 종지음은 ‘도’음으로 모든 서용석류 해금산조 덜렁제에서 동일하게 나타난다. 예외적으로 서용석류 해금산조 中 자진모리 덜렁제 둘째마루는 종지음이 ‘도’음에서 끌어내리면서 종지하고, 셋째 마루는 종지음이 ‘미’음으로 종지한다. 김영재류 해금산조 中 덜렁제 선율은 중모리에서는 총 6장단으로 구성되어있고, 자진모리에서는 총 12장단으로 구성되어있다. 김영재류 해금산조 덜렁제의 구성음은 조성이 달라 음이름은 다르지만 이동도법으로 봤을 때 공통적으로 솔, 라, 도, 레, 미음 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성음들의 출현빈도는 각각 다르지만, 구성음들의 음정관계가 장2도-단3도-장2도-장2도로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진모리에서는 예외적으로 ‘파’음이 출현하지만, 선율진행하는 과정 중에 거쳐가는 음정으로 구성음에서는 제외 시킨다. 그리고 김영재류 해금산조 덜렁제의 선율형태를 내드름 선율과 종지 선율을 중심으로 살펴보니, 김영재류 해금산조 덜렁제 선율형태의 특징은 판소리 덜렁제의 특징 中 급히 아래음으로 하강하는 가락, 음정간의 도약이 큰 가락, 덜렁덜렁대는 느낌의 가락과 흡사한 가락이 많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 논문의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해금산조 덜렁제는 서용석류와 김영재류에 나타나며, 해금산조 덜렁제의 선율구조 분석 결과는 해금산조 덜렁제는 판소리 덜렁제와 동일하게 구성음이 솔, 라, 도, 레, 미음으로 되어 있고, 서용석류 해금산조 덜렁제 선율형태의 특징은 판소리 덜렁제의 특징 中 호령하는 느낌이 나는 선율과 서용석류 해금산조 덜렁제의 내드름 선율이 흡사한 것을 알 수 있고, 김영재류 해금산조 덜렁제 선율형태의 특징은 판소리 덜렁제의 특징 中 급히 아래음으로 하강하는 가락, 음정간의 도약이 큰 가락, 덜렁덜렁대는 느낌의 가락과 흡사한 것을 알 수 있다. 서용석류 해금산조와 김영재류 해금산조 덜렁제 선율구조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해금산조 덜렁제 선율에 출현하는 구성음들의 음정관계가 장2도-단3도-장2도-장2도로 동일하게 나타나고, 해금산조 덜렁제 선율에서 음정간의 간격이 큰 가락이 나타나고, 서용석류 · 김영재류 해금산조 덜렁제 종지 선율 구조가 상행 종지 형태로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 전통색채의 실용화를 위한 전통염색법 연구

        고정은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1855

        전통염색법은 20세기에 들어서 합성염료의 범람으로 천연염료를 사용하지 않게 되면서 그 맥이 끊어졌으나, 일각에서 전통염색법을 재현하고 전통색채를 규명하여 체계화하려는 노력이 일고 있다. 이러한 작업은 전통의 계승과 발전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이 연구는 전통염색법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전통색채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하고 전통염색의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여, 현대에 적합한 전통색채의 개발 및 실용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전통색채와 전통 염료 및 염색법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하여 전통염색 기능보유자의 도움을 받아 염색 실험하였다. 염색 실험의 소재는 전통소재인 모시와 명주, 현대 많이 이용되고 있는 레이온 크렙(Rayon Crepe)과 면 보일(Cotton Voile)을 선택하였다. 염료로는 청색계의 쪽과 황색계의 황련, 적색계의 홍화와 소목을 선택하였고, 이들 각각의 염료와 그리고 쪽과 황련, 황련과 홍화를 교염하여 모두 31가지색을 염색하였다. 염색된 실험물들의 색채는 측색기로 측정하고 먼셀 표색계와 CIE L*a*b* 식으로 객관적인 계측치를 제시하였다. 염색 실험 결과, 동일한 양의 염료로 염색하여도 사용하는 소재에 따라 다양한 색채로 염색되었는데, 전반적으로 명주, 레이온, 면이 모시에 비하여 명도가 높게 염색되어 부드럽고 온화한 분위기를 내었다. 4가지 소재들 중에서는 레이온이 가장 밝게 염색되었으며, 면은 가장 탁하게 염색되었고, 홍화 염색에 있어서는 동물성 섬유인 명주는 셀룰로우즈(cellulose)계 섬유인 레이온, 면과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와 같이 전통소재 뿐만 아니라 현대소재에 염색실험을 함으로써 현대에 적합한 다양한 전통색채의 표현 및 새로운 소재 개발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쪽과 홍화의 전통염색법은 조선시대 문헌인 「규합총서」에 나타난 염색법과 구전에 의한 염색법이 차이를 보였는데, 구전에 의한 염색법은 문헌에 기록된 방법보다 발달된 것으로 쪽염색의 경우는 석회와 잿물을 사용하여 환원 및 산화 발색의 과정을 거치는 것이었으며, 홍화의 경우도 염색 방법 자체는 동일하더라도 매염제의 사용에 있어 보다 발달된 상태를 보여주었다. 이는 전통염색법을 과거의 방법 그대로 답습하는 단계를 넘어 기본 틀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합리적으로 개선하려는 시도로 전통의 계승·발전이라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전통염색법의 문제점으로 대부분 개인의 숙련된 기술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는데, 향후 전통염색법을 체계화하고 과학적으로 정량화하기 위한 관련 여러 분야의 공동연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이 연구의 결과가 전통의 계승과 발전에 기여하는 동시에, 전통색채를 현재 산업체에 응용·실용화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As it goes with flooding of synthetic dyestuff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nd as it develops not to use natural dyestuff the traditional dyeing method has ceased its pulse to beat. Meanwhile, efforts are rising to systematize reproducing traditional dyeing and trailing traditional colors, This kind of efforts can find the meaning in terms of succession and growth of the tradition. So this study tries to present the objective data for traditional colors, to prepare the basic raw materials for he textile development of traditional dyeing and to contribute the development and practicality of traditional colors that fits today. First of all, literature studies on traditional colors, traditional dyestuff and dyeing method have been made, then upon those theoretical foundations performed a practical dyeing experiment with the assistance of those who hold professional techniques. Traditional materials like linen and silk and also rayon and cotton which are commonly used today have chosen for the basic material of dyeing experiment. For the dyestuff, indigo, safflower, plugiorhegma dubium maximwicz, Salpinia Sappan are chosen. Furthermore, a very special methods of cross-dyeing technique have been adopted to dye all of those 31 colors altogether. Indigo and Carthamous Tinctouius Linne dyeing have compared and analyzed by the traditional dyeing method. But has been handed down by word of mouth and an experimental dyeing method. Experimentally dyed colors were measured by spectrophotometer and the objective measurements have presented by the Munsell renaotation system and the CIE Lab. The study made it possible to find the possibility of a new material development and the expression of traditional colors. But go well with modernity through the dyeing experiment on not only the traditional textiles but also on the modern textiles. Even though used the same dyestuff, it appea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se of textiles. So silk, rayon, and cotton appeared softer and milder mood then linen, as it dyed closer to pastel shade. In general, cotton appeared darker and rayon appeared brightest and clean for the result of dyeing. Meanwhile, as it understood, the classical dyeing method in old literature is only the beginning stage, the traditional dyeig method which has been handed down by word of mouth is a step ahead way of dyeing method through reduction, oxidation and decolorization procedure. It has been realized that it is a meaningful kind of trial which have tried to find improved plan in a reasonable way in a limit of not deviating from the basic idea, overcoming just following the traditional way of dyeing. For a controversial point of the traditional dyeing it would be considered that mostly they are depending on the personally well-trained technique. At the same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be of some practical help for the application and practicality of traditional dye stuff to today's industry as it contributes to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tradition.

      • 고등학생의 높임법 사용 실태에 따른 지도 방안 연구

        고정은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ABSTRACT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High School Students' Honorific Use and its Guidance Methods Go, Jeong Eun Department of Korea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im, Jin Kyu This thesis was studied with the object of surveying the students' using state of honorific talking and poingting its issues so that to guide them with proper manner at school. The research was done by surveying the 170 10th grade high school students, researching what is their awareness and how do they use, by choosing a written inquiry consisted of 7 awareness questions, 26 fact-finding questions. The result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First, in regard to the awareness survey, students think the honorific discipline should be kept in general. The ratio was also pretty high that the majority of students think they are talking the honorific expressions quite properly. However in realistic life it shows there are many students who do not use properly. Second, the actual condition of use, they were using the common used honorific expressions comparatively properly. But for the subject honorific manner was not kept properly, Object honorific, it shows they rarely spoke 'Can I ask' instead of 'May I ask'. Informal languages were more frequently used compared to the formal language. Third, the problem of the current 'honorific language education' might be the structural problems in the grammar context book which is less related to the actual daily lives and the problems in the school field would be the status of grammar subject as an elective course and the university-centered education. Fourth, I have found the method of the students' honorific guidance as educating them by grammar textbook and at school field education. By textbook education is first, complementing the concept explanation related with the actual life. Second, providing the basic items of learning knowledge, attitude and process as well as the related activities so that might be the guide to the teachers. Except these, it provides the various research study methods and real progresses for the research study. For the guide method at school field, it provides direct teaching method type and research study type. I have complemented the each type's weak points by applying both types into the real school field. By providing these teaching, learning guidelines may be the guiding priciple at the real school field for the honorific class. Through this thesis, I hope that this is the step forward being established the proper honorific education for the students at the school field.

      • 들꽃의 이미지를 主題로 한 陶磁造形 硏究

        고정은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1855

        자연은 인간에게 생활의 터전을 주고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무한한 대상을 제공하며, 인간은 이러한 자연을 소재로 수많은 예술적 표현을 만들어 왔다. 자연의 미에 대한 인지와 표현의 방식은 지역적인 특수성에 따라 그 방식을 달리 해왔다고 할 수 있다. 에스키모족들에게 '눈'을 가리키는 명사만 수십 개에 이른다고 한다. 자연이 인간의 인지와 언어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 주는 하나의 단적인 예이다. 사계절이 뚜렷하여 갖가지 꽃들에 둘러 싸인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살아온 우리 민족이 꽃에, 특히 산야에 지천으로 피어나던 들꽃들에 대한 남다른 미감을 가진 것은 당연한 일이다. 본 연구는 들꽃이 지닌 아름다운 생명의 이미지를 주제로, 그 이미지가 가장 잘 표현될 수 있는 조형 방식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미술사를 통하여 동서양을 막론하고 꽃의 표현이 꽃 자체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나타내기 위한 것만이 아니라, 다양한 상징들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우리 산하에는 수많은 들꽃들이 자생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살아 온 우리 민족은 꽃에 대한 격조 높은 미의식과 더불어 들꽃을 이용한 다양한 생활 문화를 향유하고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무엇보다도 연구를 통하여, 들꽃들에 대한 관심이 개인으로서의 취향이 아니라 문화적 원형으로서 물려받은 것임을 깨닫게 되었다. 이러한 우리 들꽃에 대한 배경 인식을 바탕으로, 들꽃 중에서도 한국적 정서와 친근한 소재를 선택하는데 주의를 기울였으며, 들꽃이 지닌 '생명의 에너지', 그리고 주목받지 못해도 자신의 생을 열심히 살아가는 모습으로부터 느껴지는 '삶의 미덕'에 대한 주관적 해석을 작품 안에 담아내고자 하였다. 화려한 들꽃의 외형적 표현은 열심히 생명의 임무를 다하는 들꽃들에 대한 헌시(獻詩)이다. Nature has provided humans with infinite objects in which beauty can be found. Humans have created innumerable artistic expressions inspired by nature. The ways how humans recognize and represent the natural beauty vary depending on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instance, Eskimos have several tens of nouns to describe snow. It clearly shows how nature affects humans' recognition and their language. It is not surprising that Koreans, who have lived surrounded by several thousands of wild flowers, have special sense of beauty toward flowers. Though wild flowers have not been a main subject in the field of ceramic art, they deserve a eulogy for their strenuous and vital energy of lif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 that can fully reflect the images of wild flowers. Proceeding the research, I realized that there are thousands of wild flowers existing in Korea, and Koreans, who have been living in such environment, possess high level of esthetic sense and various cultures related to wild flowers. Above all, I found that the interest in wild flowers was not just an individual preference of mine, but a cultural archetype. Hoping this work could remind people of peaceful scenery of nature, I tried to emphasize these objets' ornamental role in the interior space. I wish this study could promote to increased concern and interest for wild flowers of Korea. Gorgeous adornments are dedication for wild flowers, who faithfully fulfill their duties of life.

      • 내러티브를 활용한 유아 명화감상활동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고정은 부산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narrative-centered early childhood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activities in an effort to teach preschoolers to feel the beauty of celebrated paintings to gain aesthetic experience to foster their artistic expressiveness and aesthetic attitude, as just appreciation techniques are overly stressed in existing early childhood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program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8 preschoolers in a class of western age 5 in a kindergarten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organized with 14 preschoolers each. 10 narrative-centered early childhood celebrated painting appreciation program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selected procedure of development, and the programs were conducted 10 times from September 2 to October 10, 2014. A pretest and a posttest were carried out to see whether they underwent any changes in art and verbal expressiveness and how much they aesthetically responded to the program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narrative-centered early childhood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program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drawing representation skills and verbal expressiveness of the preschoolers. 2. The narrative-centered early childhood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programs enabled them to be more absorbed in the paintings to gain delightful aesthetic experience by meeting the characters of the paintings, and they showed various aesthetic responses to the painting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ould be described as below: First, the narrative-centered early childhood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programs served to boost the art expressiveness and verbal expressiveness of the preschoolers and thereby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ir artistic expressiveness. Second, the preschoolers were more deeply absorbed in the paintings when they appreciated them through narrative, and they found it joyful to appreciate the paintings. Thus, they acquired significant learning experience. Third, the narrative-centered early childhood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activities served to cultivate the personality of the preschoolers and were consequently of use for their well-rounded growth. Fourth, narrative was applied to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activities of the existing Nuri curriculum in an effort to take a new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increase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preschoolers.

      • 한국산 보리수나무속(Elaeagnus L.)의 분류학적 연구

        고정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55

        한국산 보리수나무과(Elaeagnaceae)의 분류학적 연구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 병동의 근골격계 질환으로 수술을 받은 대상자의 간호진단-간호중재-간호결과 연계체계 분석 및 비교

        고정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ANDA-I(nursing diagnosis), NIC(nursing interention), and NOC(nursing outcome) for musculoskeletal surgical participants betwee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the general ward, and to identify the NANDA-NIC-NOC linkage to provide proper care for musculoskeletal patients. Participants who had musculoskeletal surgery were recruited from one hospital. Data were obtained from the nursing records of participants admitted for musculoskeletal surgery. A total of 700 patents’ records were analyzed to describe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NANDA-I diagnosis, NIC interventions, and NOC outcomes for participants with musculoskeletal surger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software with analysis of frequency. The top five NANDA-I diagnoses associated with NOC outcomes and NIC interventions were identified. 1. The average age of 700 participants was 59.7±17.04, 62.6% were women; 30.1% were admitted to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2. Comparison betwee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the general ward, results of a t-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for age(t=-13.628, p=<.001), and chi-square test showed for gender(x2=15.290, p<.001), underlying diseases(x2=65.728, p<.001). 3. The result of NANDA-I-NOC-NIC linkage for participants who had musculoskeletal surgery is as follows: Risk for infection-Medication management-Infection severity Acute pain-Pain management-Pain control Deficient knowledge-Teaching:preoperative-Knowledge: disease process Risk for peripheral neurovascular dysfunction-Incision site care- Wound healing: primary intection Hyperthermia-Medication management-Thermoregulation 4. All nurses working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 and the general ward applied nursing diagnosis 'Risk for infection' to all participants who had musculoskeletal surgery. The follows applied to all patients who admitted to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Nursing Diagnosis: Risk for infection, Acute pain, Risk for peripheral neurovascular dysfunction Nursing Intervention: Pain management, Analgesic administration, Skin surveillance, Medication management, Medication administration: IM, Teaching: preoperative Teaching: procedure/treatment Nursing Outcome: Pain level, Infection severity, Wound healing: primary intention Registered nurses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provided more scientific, professional nursing process for musculoskeletal patient using the standard nursing language system compared with those of general ward and especially it was found out what kind of nursing diagnoses, nursing interventions, and nursing outcomes and NANDA-NIC-NOC linkage are often used for the participants who had musculoskeletal surger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NANDA-NIC-NOC linkage for patients with specific disease, and also for providing individual nursing care in various clinical fields. 본 연구는 근골격계 질환으로 수술을 받은 입원 대상자에게 적용된 간호진단-간호중재-간호결과 연계체계를 확인하고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시행 병동과 시행하지 않는 일반 병동에서 적용된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시행 중인 일개 종합병원에서 근골격계 수술을 받은 대상자를 계통표집하였으며, 연구자가 간호기록 열람을 통하여 연구도구를 활용, 적용된 항목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간호진단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NANDA-I에서 선별된 23개의 항목, 간호중재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NIC에서 선별된 61개 항목, 간호 결과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NOC에서 선별된 31개 항목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t-test,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700명의 근골격계 질환으로 수술을 받은 연구 대상자에게 최다빈도로 적용된 간호진단과 이에 대한 간호중재-간호결과 연계체계는 다음과 같이 확인되었다. - 감염위험성-투약관리-감염심각성 - 급성통증-통증관리-통증수준 - 지식부족-교육:수술 전-지식:질병과정 - 말초신경 혈관 기능장애 위험성-절개부위 간호-상처치유:일차유합 - 고체온-투약관리-체온조절 2.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병동에 입원한 대상자 사이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성, 고령, 기저질환 보유자가 간호‧간병통합서비스에 많이 입원하였으며, 가장 많은 대상자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으로 입원한 수술명은 슬관절치환술로 나타났다 3. 총 700명의 전체 대상자에게 감염위험성 진단이 100% 적용되었으며,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는 감염위험성, 급성통증, 말초신경 혈관 기능장애 위험성 3가지 진단이 입원 대상자 전원에게 적용되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는 입원한 대상자의 50% 이상에게 적용된 간호진단은 23개 중 16개로 나타났으나, 일반 병동에서는 4가지 진단 만이 50% 이상 적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5.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결과에서는 통증관리, 진통제 투여, 피부 감시, 투약관리, 투약: 근육, 교육: 수술 전, 교육: 절차/치료 등 7개 항목에서 대상자 전원에게 수행되었다. 또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간호중재 62개 중 58개의 간호중재가 50%를 넘는 대상자에게 적용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일반 병동에서는 62개 중 13개의 중재만 50%를 넘는 대상자에게 적용되어 큰 차이를 보였다. 6.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는 통증수준, 감염심각성, 상처치유:일차유합에서 100%(211명)로 나타났으며 31개의 간호결과 중 28개의 간호결과가 대상자의 50% 이상에서 적용된 반면, 일반 병동에서는 32개 중 8개만 50% 이상의 대상자에게 적용된 것으로 나타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일반 병동보다 다빈도로 간호결과가 적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 근골격계 질환으로 입원하여 수술을 받은 대상자에게 적용 가능한 한국형 간호진단-간호중재-간호결과 연계체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를 비교한 결과를 통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일반병동보다 총체적‧체계적 간호가 제공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사업이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능력, 간호사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간호사가 과학적으로 간호과정을 계획하여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간호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역할을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상자의 요구를 확인하고 개별적‧총체적 전인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상자군에 특화된 간호진단-간호중재-간호결과 연계체계를 적용해야하며, 연계체계가 표준화된 지침으로 사용되기 위해서 이와 같은 표준간호언어체계가 반복적인 분석, 검토를 통하여 세분화되어 우리나라의 임상 실정에 맞게 개발 및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