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멀티 모달 자기 지도 학습을 활용한 차량 내부 소음 수준 예측

        고은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차량 산업에서 차량 내부 소음 수준을 예측하고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에 따라 인공 지능을 활용하여 차량 내부 소음 수준의 주 원인인 전동식 조향 장치로부터 발새하는 차량 내부 소음 수준을 효과적으로 예측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차량 내부 소음 수준 예측을 위한 기존 연구들은 다량의 레이블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지도 학습 방식으로 차량 내부 소음 수준을 예측한다. 하지만 차량 내부 소음 수준 예측 모델 구축을 위한 레이블 데이터를 얻는 과정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적은 레이블 데이터 만으로도 차량 내부 소음 수준을 잘 예측하는 멀티 모달 자기 지도 학습 방법론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론은 먼저 수집이 용이한 레이블이 없는 전동식 조향 장치 가속도 데이터로 입력 데이터를 사전 학습 한다. 원본 가속도 신호 데이터와 이를 스펙트로그램으로 변환한 데이터 사이 관계를 사전 학습을 진행한 후, 사전 학습된 모델의 특징 추출기를 활용하여 적은 레이블 데이터 만으로 성능이 좋은 차량 내부 소음 수준 예측 모델을 구축한다. 본 연구는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사전 학습 방법론이 전동식 조향 장치 가속도 데이터의 특징을 학습하는데 적합한 방식임을 보인다. 더 나아가서 적은 레이블 데이터만을 활용하여 기존 지도학습 기반 모델보다 제안 모델이 차량 내부 소음 수준을 더 잘 예측하고 있음을 입증한다. Predicting in-vehicle noise levels is an important issue in automobile industry. In most previous studies, various supervised learning methods that use both the input and output(labeled) variables are used to predict automobile noise levels. However, collecting labeled data for in-vehicle noise prediction is time consuming and expensive. In this study, we propose a multimodal self- supervised learning framework that can predict in-vehicle noise levels with only a small amount of labeled data, so that resources required to collect labeled data can be saved. In our framework, both original acceleration signals and spectrograms converted from the original data are used as the input to predict in-vehicle noise levels. In the first stage, we pretrain the features of the input data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al and spectrogram data using only unlabeled data, which is much easier to collect than labeled data. In the second stage, we use a small amount of data to construct the in-vehicle noise prediction model with the pretrained feature extractor. The effectiveness and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framework are demonstrated using the actual acceleration signal data collected from various locations of electric power steering vehicle noise levels. The proposed framework outperforms the existing supervised learning method especially when a few labeled data are available.

      • 주민기피 도시계획시설의 사례분석을 통한 도시건축디자인 시사점 연구 : 환경시설, 추모시설, 에너지공급시설을 중심으로

        고은성 中央大學校 建設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존에 지역주민 들로부터 기피시설로 인식되어 왔던 도시계획시설의 입지방식 및 갈등관리 사례를 검토하고, 과거의 산업유산으로 인해 불용 건물로 방치되었던 기존 유휴 공공시설의 새로운 용도의 재탄생과 지역주민에게 환원되는 상생하는 도시계획시설로서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주민기피시설에 대한 건축디자인 사례를 분석을 통한 주민기피 도시계획시설의 도시건축디자인으로서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자료와 다양한 매체의 보도자료 등을 활용한 이론적 고찰과 국내외 불용건축물 재생사례 및 국내의 주민기피 도시계획시설의 주민편익 복합 활용사례를 시간적, 공간적, 내용적 범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지는 2000년대 초반에서 최근까지의 사례로 서울과 경기도 권에서 유형별로 구분하여 환경시설, 추모시설, 에너지공급시설로 주민편익시설을 갖춘 6개소를 선정하여 입지적 요소, 시설의 기능과 용도, 경관, 건축물디자인 요소로 나누어 시설의 도시건축디자인 시사점 도출을 중점으로 한 사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주민보상 등 갈등요소를 해소하고 주민소통을 위한 내외부의 공간적, 건축적 디자인요소에 주안점을 두고자 노력하는 흔적을 살필 수 있었으며 미비하나마 시설의 도시건축디자인 요소로 작용하는 것은 해당 지역의 특성에 기인한 문화적 인식의 표출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주민기피 도시계획시설은 시설이 갖는 특수성으로 인한 부정적 외부효과로 해당 지역주민들로부터 기피시설로 인식되어 시설 건립의 입지적 갈등이 끊임없이 현재에도 이어져 오고 있다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계획단계에서부터 세심한 건축도시디자인적인 배려를 통통해 기피의식을 저감하고 선호의식을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주민기피 도시계획시설의 효과적인 입지유도를 위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의 전환과 친환경적인 설계와 시설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할 수 있는 신ㆍ재생에너지 활용으로 환경위기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지역특성을 감안한 지역이미지 개선과 건물안팎의 주민소통과 문화시설 등 다양한 기능의 통합적인 도시건축디자인 설계원칙을 세우고 시설의 디자인에 대한 주민의 참여를 유도 할 수 있도록 하는 홍보서비스 등으로 지역사회의 협력적 거버넌스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주민기피 도시계획시설의 지속가능한 지역의 랜드마크로서 역할을 하는 공공시설로서 미래 활용가치를 발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begun in order to elicit implications as the urban architectural design in the LULU(locally unwanted land uses) urban planning facilities through examining a case of a location method and a conflict management of the urban planning facilities, which have been conventionally recognized as the unpleasant facilities from local residents, and through analyzing an architectural design case on the unwanted facilities, which makes it available for being regenerated as the win-win urban planning facilities of being restored to local residents, along with the re-birth of new use in the existing idle public facilities that had been neglected as the unused building owing to the industrial heritage in the past. For this, a theoretical consideration was carried out by utilizing documentary research materials and press release in diverse media. A case of reviving the unused buildings at home and abroad and a case of utilizing the resident-benefit complex of the LULU urban planning facilities at home and abroad were examined by being divided into temporal, spatial and contextual scopes. The research target area included the cases from the early 2000s up to the recent times and was divided by typ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6 places with the resident-benefit facilities as the environmental facility, memorial facility, and energy supply facility were selected, were divided into the locational element and the elements in function, use, landscape and architectural design of the facilities and then were carried out a case analysis focusing on the elicitation of implications in urban architectural design of the facilities. As a result, a trace could be watched that strives to solve a conflictual element such as compensation for residents and to focus on internally and externally spatial and architectural design elements for communication of its inhabitants. What functions as an element of urban architectural design in the facility even if being insufficient can be said to be expression of cultural awareness originating from a characteristic of the corresponding region. It is a fact that the LULU urban planning facilities in the meantime have been recognized as the unwanted facilities from the corresponding local residents due to the negative external effect caused by distinctiveness that the facility has, thereby being continued even now a locational conflict of constructing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analytical outcome of this study, an elaborate consideration on urban architectural design from the planning stage can be known to lead to having possibility of reducing the avoidance consciousness and expanding the preference awareness. An environmental crisis can be coped by a change in local residents' recognition, by eco-friendly design, and by the application of new renewable energy available for being naturally generated in the facility in order to induce the effective location of the LULU urban planning facilities. Also, it can contribute to forming the cooperative governance in community through establishing a principle of the integrated urban architectural design in various functions such as the improvement in regional image in consideration of local characteristic, as the communication of its inhabitants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and as cultural facility, and through promotional service, which can induce residents' participation in design of the facility.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can be drawn in the aspect available for excavating the future applicable value as the public facilities of playing a role as a sustainable landmark of the region in the LULU(locally unwanted land uses) urban planning facilities.

      • 꿈으로 본 고대인의 사유(思惟)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고은성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ought of anciet people through dream :Based o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and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Dreamer resolves conflicts from the first situation through the situation in to final situation. Human being may achieve self-realization through giving careful attention to his unconsciousness. The ancients were flexible in responding to their situation by making interpretations about a special thing out of dreams every night. We can discover such their behaviors in historical materials. Thus, by analyzing the documented historical materials on dream, this article is to examine how the ancients' the process of thinking for dream have developed and had an influence on the society up to this day. This article deals with such problems from two points of view. Firstly, it is about ‛a dream becoming the monarchy’(兆朕夢) which is connected with ‘founding a dynasty’ such as the national destiny(國運) and succession to the throne. Secondary, it is about ‘a revealed dream’ (啓示夢) which is related to Buddhism as the ancient political thought. Its role was studied as an extension of nation and society. In the second chapter, I examine the dreams which are involved in ‘founding a dynasty’ and ‘succession to the throne’ respectively. Among dreams involved with ‘founding a dynasty’ in Korea, Mun Hee․Bo Hee's dreams were known widely. MunHee's dreams had been internalized in many people through history, and been embodied in Kukjowondukdaewang(國祖元德大王) Bo Youk(寶育)' dream, who was held in high esteem as a historical figure of Koryo Dynasty, his daughter, the Queen Jung Hwa Gin Eau's dream, and the King Keung Jung's Queen, Heun Jung's dream. Choo Nam's dream about the fall of the Koguryo Kingdom and the Vi Gi's dream about the fall of the Baikje Kingdom supported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by the Silla Kingdom. There was a dream about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King Won Sung had heard two conflicting dream readings and believed the favorable one. He took drastic measures to win the throne. He had suggested and explained the dream logically, rationally, and inevitably before ascending the throne. Thus, King Won Sung is considered as the important figure who made active decision against his historical situation. We can discover two more similar cases in Samgugsagi. The first king of the Koguryo Kingdom strived for diverting a bad dream into a lucky omen, but he miscarried to turn the misfortune to our advantage. The King Sin Moo couldn't free himself from a bad dreams. In the third chapter, I examine ‘a revealed dream’ which is related to Buddism. I classified it into Buddism in Silla Dynasty, royal authority, filial duty, Buddhist doctrines and its ideal. And then, I examined them carefully. Among Buddhism, royal authority and dream, King Beohung quoted the dream of Myung-je(명제) at the Han time to put down the resistance, when Silla Buddhism was introduced and settled. We could know that Buddhism was 'patriotic' through dream of Jajang Beop-sa and Jangchoonrang․Parang. About the filial duty and dream, I could find that the dream of Jinjeongsa(眞定師) had come forefront to make understand and spread the Buddhist filial duty, when Buddhism was criticized and excluded by the 'filial duty' of Confucianism. Also, Dream of Joshin and Nohhil-boodeuk(努肸夫得) · Daldal-parkpark(怛怛朴朴) had been used to let the public know the Buddhist doctrines and encourage them to join the sangha. So, I could find that dream was used as stated above because whoever could dream and understand it familiarly and easily. Also, dream was used frequently because it could represent authority of human being, dreaming subject, reasonably and effectively.

      • 전산화 단층촬영 영상의 3차원 재구성 기법에 기반한 조선시대 미라 내부장기의 해부학적 형태 및 위치 추정

        고은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조선시대 미라는 수백 년 전 우리 조상들의 건강 및 질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해부학적 연구 대상이다. 최근까지 수백 구의 미라가 우리나라 고고학적 발굴 조사 중 확인되었지만 그 중 의과학적 연구가 제대로 수행된 것은 수십 구에 불과하다. 특히 조선시대 미라의 후손이 아직도 존재하는 경우 조상인 미라에 대한 침습적이거나 파괴적인 검사를 기피하여 연구자가 원하는 대로 검사를 끝까지 수행할 수 없이 미라에 대한 파괴적 검사가 회피 되어 정확한 결론 없이 조사가 중단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해주는 방법의 일환으로 조선시대 미라 연구자들 사이에는 비 파괴 검사-특히 방사선학적 연구에 대한 기대가 컸다. 하지만 임상 의학 지식에 기반해 살아 있는 환자에 대한 방사선학적 진단 과정에서 축적된 방사선 검사 방법으로 회곽묘 안에서 오랜 시간 변형이 이루어진 조선시대 미라 내부 장기의 보존 상태를 파악해 병리적 소견을 진단-예측하는 목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다만 임상의학에 기반한 방사선학적 분석법의 직접 적용은 어렵다 해도 조선시대 미라 장기들이 방사선 영상에서 서로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면 이러한 경향을 파악하여 미라 연구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다. 이 방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파괴적 분석이 불가능한 미라에 대한 연구에 큰 도움이 되겠지만 현재까지 보고된 연구들은 미라의 단면 영상 소견만 활용한 것이 대부분으로 내부 장기의 보존 및 변형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쉽지 않았다. 따라서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 기법을 조선시대 미라 체강 내 장기의 해부학적 형태 및 위치 추정하는데 이용해야 할 필요성이 관련 연구자 사이에 증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병리학적 부검을 수행하여 방사선 소견과 실제 장기의 확인 대조가 가능한 조선시대 미라에 대해 먼저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 분석을 수행하여 이 기법의 기술적 유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고 이어 기왕에 유족의 반대로 부검이 수행되지 못했던 조선시대 미라 1례에 대해 방사선 영상 소견 분석 만으로 내부장기의 보존 상태를 최대한 추정하여 보고자 하였다. 이 중 후자는 구미에서 발견된 조선 중기의 유명 학자 고응척 선생의 미라로서 조사 당시 시신에 대한 파괴적 훼손을 염려하여 부검을 못하고 후손에게 반환했던 경우이다. 이 미라는 비록 부검을 하지는 못했지만 당시 촬영한 방사선 영상이 그대로 남아 있었다. 따라서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 분석 기법이 신뢰성 높은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면 이를 통해 파괴적 검사 없이도 고응척 선생 미라 내부장기의 보존 상태와 병리적 소견에 대해 검토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부검 결과를 기 확보하고 있는 사례에 대해 수행한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 분석에서는 재구성된 심장과 간이 부검 당시 관찰된 실물과 거의 비슷한 모양을 보여 이 기법의 신뢰성 높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동일한 기법을 고응척 선생 미라 방사선 영상에 대해 적용한 결과 선생의 심장과 간의 3차원적 구조를 성공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는데 그 중 간으로 보이는 구조물은 다른 미라에서 확인 가능한 간 보다 크기가 커서 우상복부에서 좌상복부까지 채우고 있을 정도로 비대의 정도가 심하였다. 방사선 영상에서 간으로 보이는 구조물의 비대 원인을 규명하기는 쉽지 않았지만 이 논문에서는 임상적으로 추정해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간비대의 원인을 함께 고찰해 보았다. 결과적으로 조선시대 미라 연구에서 부검 등 파괴적 검사의 적용이 어려워 방사선 영상 촬영 등 비파괴적 검사에만 의존해야 하는 사례는 점점 증가할 것이라 본다. 하지만 살아 있는 사람의 경우와 많은 면에서 차이를 보이는 미라의 특성상 임상적 지식만을 근거로 미라 장기의 보존 상태를 추정하는 것은 문제가 많은 일이므로 보다 확고한 이론적 근거를 가진 방사선 영상 기법 분석의 필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런 면에서 본 연구는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 기법이 실제 보존 상태를 어느 정도로 잘 반영하고 있는지 우선 확인하였으며 그 후 부검을 수행하지 못하고 방사선 영상 결과만 남은 사례를 동일 기법으로 분석하여 성공적으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 성과는 향후 미라 연구에서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 기법으로 내부장기 보존상태 및 병리적 소견의 관찰 등의 분석에 이용하는데 기술적 토대를 이룬다는 점에 학술적 가치가 있다고 본다. 주요어: 미라,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 간 비대, 조선시대, 심장 The mummy of the Joseon Dynasty is a valuable anatomical research object that can determine the health and disease state of our ancestors hundreds of years ago. Hundreds of mummies have been identified in archaeological excavations until recently, but only a few dozen of them have been medically and scientifically studied. In particular, when descendants of mummies of Joseon Dynasty still exist, invasive or destructive investigation of the ancestral mummy is avoided, so that the researcher cannot carry out the investigation as desired, and the investigation is stopped without an accurate conclusion. As a way to solve these difficulties, there were high expectations for non-destructive examination - especially radiological research among the Joseon Dynasty mummy researchers. However, predicting the internal condition of the mummy during the Joseon Dynasty through radiographic examination was not as easy as expected. Because the mummy organ preserved in the tomb for a long period of time was severely deformed, so it is difficult to make an accurate judgment only by simple application of clinical and medical knowledge accumulated for the diagnosis of the living patient. However, even if it is difficult to directly apply the radiological analysis method based on clinical medicine, if the mummy organs of the Joseon Dynasty showed similar patterns in the radiographic images, it would be possible to identify these trends and use them for mummy research. If such a task is successful, it will be of great help to the study of mummy, which cannot be destructively analyzed, but it is not easy to accurately grasp the preservation status of internal organs using only cross-sectional imaging findings of the mummy. Therefore, the need to use the 3D computed tomography technique, which has been rapidly developing in recent years, to estimate the anatomical shape and location of organs in the body cavity of the mummy during the Joseon Dynasty has increased among related researchers. Therefore, in this study, we first tried to confirm the technical effectiveness of this technique by performing 3D computed tomography analysis on the Joseon Dynasty mummy, where radiological findings and actual organs could be confirmed and contrasted by performing postfactum autopsy. Conversely, we tried to estimate and report the preservation state of internal organs as much as possible only by analyzing radiographic findings of one mummified case of the Joseon Dynasty, for which an autopsy could not be performed. The latter is the mummy of Mr. Go Eung-cheok, a famous scholar of the mid-Joseon Dynasty, discovered in Gumi, and was returned to descendants after the autopsy was discontinued due to concerns about destructive damage to the body at the time of the investigation. Although this mummy did not reach an autopsy, the radiographic images taken at the time were still available. Therefore, if the 3D computed tomography analysis technique can produce reliable results, it was expect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review the preservation state and pathological findings of the internal organs of mummy of Mr. Go Eung-cheok. First of all, in this study, the 3D computed tomography analysis performed on cases for which autopsy results were already obtained showed that the reconstructed heart and liver showed almost similar shapes to the real thing observed at the time of autopsy, indicating that this technique shows reliable results. Next, the same technique was applied to the radiographic image of Mr. Go Eung-cheok's mummy, and as a result,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heart and liver was successfully observed. The degree of enlargement of guessed as liver structure was severe enough to fill not only right upper quadrant of the abdomen but also the upper left upper quadrant of abdomen. Although it was not easy to ascertain the cause of the enlarged structure of the liver on the radiographic image, in this paper, we considered various causes of hepatomegaly that can be suspected clinically.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apply destructive tests such as autopsies in research on Joseon Dynasty mummies, so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cases where only non-destructive investigation such as radiographic imaging should be used will increase.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mummy, which differs in many respects from that of a living person, it is problematic to estimate the preservation status of the mummy organ based only on clinical knowledge. So, the need for an interpretation of radiographic imaging techniques with a firmer theoretical basis is increasing more and more. In this regard, this study first checked how well the 3D computed tomography technique reflects the actual state of preservation, and then successfully derived the results by analyzing the case where an autopsy could not be performed and only the results of the radiographic image remained with the same technique. This achievement is considered to be of academic value in that it forms a technical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mummies using 3D computed tomography for analysis of internal organ preservation status and observation of pathological findings. Keywords : 3D CT, hepatomegaly, Joseon Dynasty, heart

      • (A) comparison of mathematically talented and non-talented students levels of thinking with regard to statistical variability

        고은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통계는 수학과는 다른 영역을 탐구하며, 또한 통계적 탐구를 안내하는 통계 고유의 개념을 가지고 있다. 특히 통계적 사고는 경험적 자료를 이용한 귀납 추론에서 핵심이 되는 불확실성에 대한 직관과 비결정론적 사고방식을 요구한다. 그러나 통계 학습을 위해 수와 연산, 비와 비율 등의 기본적인 개념부터 함수와 미적분 등의 고차원적 개념까지 수학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연구자들은 수학적 사고와 통계적 사고의 공통점과 차이점, 수학적 추론 능력과 통계적 추론 능력 사이의 관계에 주목해 왔다. 수학에서의 성취와 통계에서의 성취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일부 연구에서 비교적 강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으나, 일부 연구에서는 매우 낮은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수학적 추론 능력과 통계적 추론 능력 사이의 상관관계가 통계적 개념에 따라 다른 경향을 보임을 확인한 연구도 있다. 이와 같이 수학적 사고와 통계적 사고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상이한 연구결과가 제시되고 있으며, 또한 이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사고 능력이 서로 다른 두 집단 간의 통계적 사고 능력 비교를 통해 수학적 사고 능력과 통계적 사고 능력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다. 이를 위해 일반학급 학생들과의 비교를 통해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통계적 사고 능력은 어떠한지 조사하였다. 먼저 통계적 변이성에 대한 사고 요소를 변이성 인식, 변이성 설명, 변이성 제어, 변이성 모델링, 표본의 이해, 표집분포의 이해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각 요소에 대한 학생들의 사고 수준을 조사하기 위해 사고 수준 비교틀을 개발하고, 일반학급 학생들과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통계적 변이성에 대한 사고 수준을 조사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변이성 인식에 대한 사고는 측정상황과 우연상황 모두에서 5개의 수준으로 구분되었다. 변이성의 편재성 인식 부족(0 수준), 변이성 인정 불안정(1 수준), 하나의 실체로서 변이성 인식 부족(2 수준), 변이성을 하나의 실체로 인식(3 수준), 분포 개념의 발달(4 수준)로 구분되었다. 변이성 설명에 대한 사고는 측정상황에서 5개의 수준으로 구분되었다. 변이성의 원인 설명에 대한 이해 부족(0 수준), 원인 인식 미흡(1 수준), 물리적 원인 제시(2 수준), 설명되지 않는 원인을 변이성의 근원으로 제시(3 수준), 설명되지 않는 원인을 의사-우연변이성으로 간주(4 수준)로 구분되었다. 우연상황에서도 역시 5개의 수준으로 구분되었다. 변이성의 원인 설명에 대한 이해 부족(0 수준), 원인 인식 미흡(1 수준), 물리적 원인 제시(2 수준), 우연변이성 제시(3 수준), 분포의 원인 제시(4 수준)로 구분되었다. 변이성 제어에 대한 사고는 측정상황과 우연상황 모두에서 5개의 수준으로 구분되었다. 변이성 제어에 대한 인식 부족(0 수준), 물리적 제어 방법 미고려 그리고 통계적 방법의 부적절한 사용(1 수준), 물리적 제어 방법 미고려 그리고 통계적 방법의 적절한 사용(2 수준), 물리적 제어 방법 고려 그리고 통계적 방법의 부적절한 사용(3 수준), 물리적 제어 방법 고려 그리고 통계적 방법의 적절한 사용(4 수준)으로 구분되었다. 변이성 모델링에 대한 사고는 5개의 수준으로 구분되었다. 변이성 모델링에 대한 인식 부족(0 수준), 극단적인 값에 주목(1 수준), 퍼짐이나 다수의 위치에 주목(2 수준), 중심에 주목(3 수준), 중심과 퍼짐 모두에 주목(4 수준)으로 구분되었다. 표본의 이해에 대한 사고는 5개의 수준으로 구분되었다. 표본이 모집단의 일부분이라는 인식 부족(0 수준), 모집단의 부분집합으로 인식(1 수준), 모집단의 준비례적 축소버전으로 인식(2 수준), 편의없는 표본의 중요성 인식(3 수준), 무작위 표집의 영향 이해(4 수준)로 구분되었다. 표집분포의 이해에 대한 사고는 5개의 수준으로 구분되었다. 표집변이성 인식 부족(0 수준), 표집변이성 인정(1 수준), 표본 통계량의 퍼짐에 주목(2 수준), 표본 통계량의 중심과 퍼짐에 주목(3 수준), 표본 크기와 표집변이성의 관계 인식(4 수준)으로 구분되었다. 초등학교 수학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학급 학생들의 사고 수준에 대한 t-검정 결과, 측정상황에서 변이성 설명, 측정상황에서 변이성 제어, 우연상황에서 변이성 제어, 변이성 모델링, 표본의 이해, 표집분포의 이해에 대한 사고에서 두 그룹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측정상황과 우연상황에서 변이성 인식, 우연상황에서 변이성 설명에 대한 사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요소별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사고 수준의 분포는 일반학급 학생들의 사고 수준의 분포와 상당 부분 중첩되며 일부 요소에서는 동일한 범위에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수학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학급 학생들의 사고 수준에 대한 t-검정 결과, 측정상황에서 변이성 인식, 우연상황에서 변이성 인식, 측정상황에서 변이성 설명, 측정상황에서 변이성 제어, 우연상황에서 변이성 제어, 변이성 모델링, 표본의 이해에 대한 사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연상황에서 변이성 설명과 표집분포의 이해에 대한 사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초등학생들과 마찬가지로 각 요소별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사고 수준의 분포는 일반학급 학생들의 사고 수준의 분포와 상당 부분 중첩되며 일부 요소에서는 동일한 범위에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과 중학생 모두 통계적 변이성에 대한 일부 사고 요소에서 수학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학급 학생들의 사고 수준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일부 요소에서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통계적 사고 수준의 분포는 일반학급 학생들의 사고 수준의 분포와 상당 부분 중첩되며 일부 요소에서는 동일한 범위에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랫동안 축척된 연구 결과들은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이 수학적 사고 능력에서 일반학급 학생들보다 상당히 우수하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일반학급 학생들과의 비교를 통해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통계적 사고 수준을 조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통계적 사고에서도 역시 그러한 경향이 나타난다고 확신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수학적 사고 능력과 통계적 사고 능력 사이의 관계가 불분명함을 보여주는 증거가 될 수 있다. Statistics studies areas apart from mathematics and has its own unique concepts to guide statistical exploration. In particular, statistics requires a sound mind-set and acknowledgment of uncertainty which are crucial for inductive reasoning about empirical data. Although statistics is a separate field on its own, it works in tandem with mathematics; thus research has often compared statistics and mathematics in various respect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erformance in both fields. Studie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erformance in mathematics and statistics present a variety of opinions. For instance, some studies identified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erformance in the two fields while others found a very weak relationship. Still, others argu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s in these two fields depends on the students’ grasp of statistical concepts or ideas that were selected to measure their statistical aptitude.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istical and mathematical ability is at best inconclusive and studies regarding this issue are still ongoing.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is issue by examining the statistical abilities of mathematically talented student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istical and mathematical ability by comparing cognitive abilities of mathematically talented students in statistics with those of non-talented students. Because there is no conceptual framework suitable for examining hierarchical cognitive levels for statistical abiliti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first decomposes statistical variability thinking into six components: the noticing of variability, the explaining of variability, the controlling for variability, the modeling of variability, understanding of sample, and understanding of sampling distribution. This study then develops frameworks of hierarchical cognitive levels for comparing the thinking levels of mathematically talented and non-talented students of statistical variability. After analyzing the mathematically talented students’ thinking levels of statistical variability, this study compares them with those of the non-talented students. The finding of this study are outlined below: The framework for students’ noticing of variability consists of five hierarchical cognitive levels in both the measurement and chance settings: unawareness of the omnipresence of variability (level 0), inconsistent unawareness of variability (level 1), no recognition of variability as an entity (level 2), consideration of variability as an entity (level 3), and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distribution (level 4). The framework for students’ explaining of variability consists of five hierarchical cognitive levels: in the measurement setting, no awareness of the causes (level 0),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causes (level 1), consideration of physical causes (level 2), consideration of unexplained causes as the source of variability (level 3), and consideration of unexplained causes as quasi-chance variability (level 4); in the chance setting, lack of awareness of the causes (level 0),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causes (level 1), consideration of physical causes (level 2), recognition of chance variability (level 3), and consideration of the causes of distribution (level 4). The framework for students’ controlling for variability consists of five hierarchical cognitive levels in both the measurement and chance settings: lack of awareness of control for variability (level 0), no consideration of physical control and inappropriate use of statistical control (level 1), no consideration of physical control and appropriate use of statistical control (level 2), consideration of physical control and inappropriate use of statistical control (level 3), and consideration of physical control and appropriate use of statistical control (level 4). The framework for students’ modeling of variability consists of five hierarchical cognitive levels: no data-based decision (level 0), extreme-value-based decision (level 1), spread-based decision (level 2), center-based decision (level 3), and distribution-based decision (level 4). The framework for students’ understanding of sample consists of five hierarchical cognitive levels: no recognition sample of a part of the population (level 0), consideration of samples as subsets of the population (level 1), consideration of samples as a quasi-proportional, small-scale version of the population (level 2),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unbiased samples (level 3), and recognition of the effect of random sampling on samples (level 4). The framework for students’ understanding of sampling distribution consists of five hierarchical cognitive levels: lack of recognition of sampling variability (level 0), confusion of data in a sample with sample statistics (level 1), focus on spread of sample statistics (level 2), focus on the distribution of sample statistics (level 3), recogni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ample size and sampling variability (level 4).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mathematically talented and non-talented fifth graders using t-tests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ir ability to explain variability in the measurement setting, control for variability both in the measurement and chance settings, model variability, their understanding of sample, and understanding of sampling distribution.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ir noticing of variability both in the measurement and chance settings and their ability to explain variability in the chance setting. The distributions of thinking levels of these two groups of students overlap extensively in each component. For some components, the distributions coincided with each other (e.g., Noticing (C), Explaining (C), and Controlling (C)). For other components, some talented students performed lower than their non-talented counterparts (e.g., Modeling).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mathematically talented and non-talented eighth graders using t-tests reveal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ir noticing of variability both in the measurement and chance settings, their ability to explain variability in the measurement setting, control for variability both in the measurement and chance settings, model variability, and in their understanding of sample.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ir ability to explain variability in the chance setting and in their understanding of sampling distribution. Just as that for the elementary students, the distributions of thinking levels of these two groups of secondary students overlap extensively in each component. For some components, the distributions coincided with each other (e.g., Controlling (C) and Modeling (C)). For other components, some talented students performed lower than the non-talented students (e.g., Sampling Distribu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statistical abilities of mathematically talented students are at the same levels as their mathematical abilities when compared with non-talented students. In other words, although mathematically talented students are better than non-talented students in terms of mathematical ability in general, their statistical abilities did not exhibit the same pattern. The statistical abilities of mathematically talented students overlap with those of non-talented students. Some talented students performed better than non-talented students in some components, some performed the same as the non-talented in some components, and still some performed lower than the non-talented in other components. These results can be evidence of unclear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abilities.

      • 지능형 교수 시스템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고은성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COVID-19로 교육 현장에서 발생하는 학습 결손과 학습 부진에 대한 논의가 생겨나기 시작하면서 이를 해결할 방안으로 여러 디지털 교수·학습 방법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러한 시기에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공지능 교육이 확대되고 지능형 교수 시스템도 구축되었다. 지능형 교수 시스템은 학생 개인 맞춤형 학습을 지원하고, 기존 담임교사 1인의 학급에서는 한계였던 부분을 실현 가능하도록 만들어주는 대안으로 부상하였다. 대표적인 지능형 교수 시스템으로 수학 교과에서는 ‘똑똑수학탐험대’, 영어 교과에서는 ‘AI 펭톡’이 개발·보급되고 있지만 아직 교사가 교육 현장에서 참고할 구체적인 방향과 실제적인 지침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수업지원시스템 교수·학습모델에 기반한 ‘똑똑수학탐험대’ 활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능형 교수 시스템의 실제 교육 실천 사례를 제시하고, 학습자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과정으로 선행연구와 ADDIE모형을 기반으로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실행(Implementation), 평가(Evaluation)의 순으로 인공지능 수업지원시스템 활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학습자의 인식 및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설계 단계에서는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와 평가 계획을 수립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수학 교과 교육과정의 수학 학습 목적에 따른 단계 선택과정인 ‘개념 학습’, ‘원리 탐구’, ‘귀납 추론’, ‘문제 해결’과 인공지능 교육시스템 활용 목적에 따른 단계 선택과정인 ‘기능 안내’, ‘수 개념 이해’, ‘계산원리 탐구’, ‘개념원리 연습’ 중 하나씩 선택하여 결합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19차시 분량의 학습 프로그램은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사 실시 후 수정 및 보완 작업을 걸쳐 연구에 활용되었다. 실행 단계에서는 실험학급에 ‘똑똑수학탐험대’라는 지능형 교수 시스템 활용 수업을 적용하고, 통제학급에 교과서 위주의 일반 강의식 수업을 적용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수학 학업성취도 검사와 수학적 태도 검사지가 투입되었다. 사전 수학 학업성취도 검사지는 충남교육청에서 제공한 진단평가 검사지를 활용하였고, 사후 수학 학업성취도 검사지는 초등 아이스크림 사이트의 문제 생성 기능으로 제작 후 전문가 집단에 통계적 타당성을 검증받았다. 수학적 태도 검사지는 한국교육개발원(1992)에서 개발되어 여러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도구이며 사전, 사후 동일 검사지를 활용하였다. 평가 결과, 지능형 교수 시스템 활용 학습 후, 초등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의 8개 하위요소인 우월감, 자신감, 목적 의식, 성취 동기, 주의 집중, 자율 학습, 학습 기술 적용 모두에서 p<.05 수준 유의미한 향상을 확인하였다. 사후 학습자의 면담 분석 결과, 지능형 교수 시스템 활용 학습은 학생들이 수학 교과에 흥미를 느끼고 자신감을 기르게 해주었으며, 다양한 게임형식의 문제 풀이가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촉진 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지능형 교수 시스템 활용 학습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긍정적 효과를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더 많은 학년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분석하여 일반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지능형 교수 시스템 프로그램이 개발·적용되어 학업성취도와 태도 이외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들이 이어지길 기대한다.

      • 플레이스 브랜딩 관점의 서울시 국·공유 유휴공간 재생 프로젝트 특성 분석

        고은성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급격한 산업화와 사회적, 경제적 변화에 따라 도심지역이 빠르게 발전하였으며, 가장 급격한 변화를 갖은 장소는 수도 서울이었다. 우리나라의 급격한 성장에 따라 국유재산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가에 따른 관리에 대한 패러다임도 변화하여, 1950년 「국유재산법」이 제정된 이후, 처분, 유지 및 보전 그리고 적극 활용 방식으로 정책이 변화하였다. 1994년부터 진행된 적극 활용 방식은 지금까지 적용되어 국·공유 유휴재산은 방치, 대부, 매각 등 형태로 처분되거나 유휴공간을 재생하는 등 다양한 방식을 활용되고 있다. 국·공유 유휴공간을 재생하기 위해 과거에 사용되던 유휴공간의 형태를 유지하고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여 특색있는 공간으로 재생하는 프로젝트가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유휴공간의 재생은 계속 이뤄지고 있지만 새로운 공간을 구성하는 것보다 공간을 지속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재생된 공간의 방문객을 지속적으로 확보하지 못하면, 다시 유휴공간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유휴공간에 방문객의 지속적인 접근을 유도하기 위해 장소의 차별성과 고유성을 통해 장소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며, 이때 적용 가능한 방법론으로 ‘플레이스 브랜딩(Place Braning)’을 제안한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서울시에서 진행된 국·공유 유휴공간의 재생 프로젝트의 특성을 플레이스 브랜딩의 관점으로 분석하여, 연구대상지들의 플레이스 브랜딩 유형별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서울시의 국·공유 유휴공간의 플레이스 브랜딩 유형별 특성과 해외의 플레이스 브랜드 확립한 사례의 플레이스 브랜딩 유형별 특성을 도출하여, 서울시와 해외의 플레이스 브랜드 특성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플레이스 브랜딩 유형은 공공성, 상징성, 접근성, 자연 친화성, 역사성이 있으며, 서울시의 국·공유 유휴공간 재생 프로젝트의 플레이스 브랜딩 특성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공성은 국·공유 유휴공간을 재생하여 공공시설로 활용되며 사람들의 일상에 편리함을 주며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문화시설을 제공한다. 또한, 지역 필요 시설로 재생되어 주민 교류 거점 공간으로 주민공동체를 활성화하며, 기반시설로서 주민들의 삶에 필요 시설로 활용된다. 상징성은 공간의 외관에서 나타나며, 재생 이전의 공간의 외관을 원형 보존하여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신축 공간일 경우, 역사적 특성을 반영한 공간으로 조성된다. 접근성은 지하철이나 버스 등 대중교통을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지역에 위치하며, 재생공간 외에 사람들의 방문을 유도하는 다른 유입장소 근처에 위치한다. 또한, 자연 친화성 도심 속 공원이나 산과 같은 자연적 장소와 함께 조성되거나 자연을 조망할 수 있는 옥상 정원, 테라스 혹은 산책로 잔디마당, 공원, 광장 등을 조성한다. 마지막으로 역사성은 재생 이전 공간의 역사적 특성이나 과거에 그 장소에서 발생한 역사적 사건을 바탕으로 공간을 구성하고, 역사적 특성에 의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와 서울시 재생 프로젝트들의 재생 특성을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와 해외 재생의 차이점도 살펴보았다. 서울시 국·공유 유휴공간의 재생 프로젝트들은 재생 과정에 집중한 공간과 프로그램을 통해 브랜드를 구축하고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렇듯, 서울시 국·공유 유휴공간은 특히 역사성에 집중하여 보존을 중시하는 방법으로 재생이 진행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국·공유 유휴공간의 재생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기를 바라며, 효율적인 국·공유 유휴공간의 활용을 위하여 플레이스 브랜딩이 활용할 수 있도록 특성을 제시한 것에 의의를 가진다. In Korea, urban areas developed rapidly according to rapid industrialization and social and economic changes over time, and accordingly, the place with the most rapid change was Seoul. With the rapid growth of Korea, the paradigm for management according to how state-owned property should be managed has changed, and since the enactment of the State-owned Property Act in 1950, the policy has changed in a way of disposal, maintenance, preservation, and active utilization. The active utilization method, which has been in progress since 1994, has been applied so far, and national and public idle property has been disposed of in the form of neglect, loan, and sale, or various methods such as regenerating idle spaces are being used. In order to regenerate national and public unused space, projects are currently being carried out to maintain the form of idle spaces used in the past and to regenerate them into distinctive spaces by adding new elements. Although the regeneration of idle spaces continues, it is more important to regenerate them into spaces that are continuously operated rather than constructing new spaces. This is because if visitors to the regenerated space cannot be secured continuously, idle spaces will occur again. Therefore, in order to induce people to continue to access unused spaces, this researcher needs a strategic way to improve the value of the place through the differentiation and uniqueness of the place, and at this time, we would like to propose “Place Branding” as an applicable methodolog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lace branding type of the research target site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eneration project of the national and public unused space currently conducted in Seoul from the perspective of Place Branding. In addition, by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lace branding type of Seoul's national and public unused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lace branding type of overseas place brand establishment cases, we inten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Seoul and overseas place brands. The types of Place Branding derived in this study include publicity, symbolism, accessibility, nature friendliness, and history, and the results of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Place Branding of Seoul's national and Public unused space regeneration projects show that it is used as a public facility in the case of publicity, a space that regenerates the national and public unused space, and provides a space that gives convenience to people's daily lives and a cultural facility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addition, when it is regenerated as a local necessary facility, it activates the resident community as a base space for resident exchange and is used as a necessary facility for residents’ lives as an infrastructure. In the case of symbolism, it appears from the exterior of the space, and the exterior of the space before regeneration is often preserved and utilized in the original form. In the case of a new space, it is created as a space that reflects historical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accessibility, it is located in an area that can be easily accessed through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subways or buses, and is located near other inflow places that induce people to visit other than the regeneration space. In addition, in the case of nature-friendliness, it is created with natural places such as parks or mountains in the city center, or rooftop gardens, terraces or trails such as grass yards, parks, and squares with natural views of nature are created. Finally, in the case of historicity, a space is constructed based on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before regeneration or historical events that occurred at the place in the past, and a program based on historical characteristics is organized and operated. Therefore,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overseas regeneration projects by comparing the re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overseas regeneration projects and the national and public unused spaces in Seoul. Regeneration projects of the national and public unused spaces in Seoul are characterized by establishing a place brand through spaces and programs focused on the regeneration process. 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national and public unused spaces in Seoul are regenerated in a way that emphasizes preservation, especially focusing on historica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place branding for efficient use of national and public unused spaces, hoping that research on the regeneration of national and public unused spaces will contin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