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함평만 조하대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여름철 분포 특성

        고옥순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조사는 함평만의 여름철 저서환경과 저서동물의 공간적인 분포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2013년 8월에 실시되었다. 함평만 내에 25개의 정점을 선정한 후 van Veen grab(표면적 0.1m2)을 사용하여 각 정점당 2회씩 퇴적물을 인양하여 저서동물을 채집하였고, 저서군집과 환경요소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저층수질요소(수심, 염분, 용존산소, pH) 및 표층퇴적물 특성(TOC, IL, AVS, 분급도, 입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BIO-ENV 분석 결과 IL, silt, clay 함량이 저서동물군집 구조 및 분포에 밀접한 상관성을 보이고 있었다. 표층 퇴적물은 slighty gravelly sandy mud, mud, silt 퇴적상으로 구분되었다. 무안-함평 해역 만 입구에서 함평만 내측을 향하는 수로의 중앙에서는 slighty gravelly sandy mud의 퇴적상을 나타냈다. 해제-염산 해역에 위치한 정점들은 세 퇴적상이 모두 나타났고, 다른 정점들과 비교하여 silt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함평만 조간대 저조선 부근에 위치한 정점들은 mud 퇴적상을 나타냈다. 평균 입도는 8.2∅로 세립한 퇴적상을 보였으며 평균 분급도는 2.5∅로 조간대 저조선 인근에 위치한 정점들에서 함평만 수로 중앙으로 갈수록 분급이 불량해졌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총 116종의 저서동물 가운데 다모류가 43종(37.1%)으로 가장 많았으며, 절지동물이 31종(26.7%), 연체동물이 29종(25%)로 나타났다. 평균 밀도와 평균 생체량은 각각 612±1,291 ind./m2와 654.9±2018.1 g/m2로 연체동물이 밀도(73.8%)와 생체량(93.9%)에서 가장 우점하였다. 주요 우점종은 Ruditapes philippinarum(59.4%), Musculista senhousia(8.8%), Ilyoplax deschampsi(4.2%), Praxillella affinis(2.5%), Pitar indecoroides(2.4%), Heteromastus filiformis(1.8%), Glycera chirori(1.7%), Chone sp.(1.7%), Ampelisca sp.(1.1%) 였다. R. philippinarum, M. senhousia, I. deschampsi는 함평만 내측의 특정 정점에 극우점 하였고, 이외의 우점종들은 무안-함평 해역를 중심으로 넓게 분포하였다. 이 종들은 해제-염산 해역에는 대부분 나타나지 않거나 출현 개체수가 매우 적었는데, 대체적으로 전체 출현종수 및 밀도, 생체량은 해제-염산 해역에 위치한 정점들이 무안-함평 해역에 위치한 정점과 비교하여 낮은 값을 보였다. Spearman의 순위상관계수 분석에 의하면 분급도는 전체 출현종수 및 종풍부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이고 있었다. Clay 함량은 밀도 및 우점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silt 함량은 밀도, 우점도 및 생체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함평만은 집괴분석에 의해 함평만 전체에 고르게 분포하는 정점군 A, 만 내측 가장 안쪽에 위치한 정점군 B, 특정종에 의해 우점현상이 뚜렷했던 정점군 C, 무안-함평 해역의 만 입구에 위치한 정점군 D 그리고 해제-염산 해역에 위치한 정점군 E와 F, 총 6개로 구분되었다. 상관분석 결과 각 정점군의 주요 종들은 퇴적물 조성과 수심 및 생물 상호간의 관계에 의해 공간 분포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ummer benthic environment an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benthic community of Hampyeong Bay in August 2013. 25 station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two replication sediment samples were taken from the each station by using a van Veen grab(surface area 0.1m2). The element of water quality(Temperature, Salinity, DO and pH) and characteristic of surface sediment(TOC, IL, AVS, Sorting value and mean grain size) were analyzed for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nvironmental parameters and benthic community. As the result of BIO-ENV anlaysis, structure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macrobenthic community in Hampyeong Bay were closely related to IL, silt and clay content. The surface sediment in the sampling area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slightly gravelly sandy mud, mud, and silt. The station located in the center of watercourse between the mouth of Muan-Hampyeong waters and inner bay was classified as slightly gravelly sandy mud. The stations located in Haeje-Yeomsan waters contained all three types of sediment in which the ratio of silt content was the highest, compared to other stations. Mud sediment type was distributed in the stations adjacent to the low-water lines of the intertidal zone. The mean grain size of Hampyeong Bay was 8.2∅ which can indicate that Hampyeong Bay has fine sediment type, and average sorting value was 2.5∅. Sorting value of the stations located in the center of watercourse were wore than in the stations adjacent to the low-water lines of the intertidal zone.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116 species consisted of 43 species of polychaeta(37.1%), 31 of crustaceans(26.7%), and 29 of molluscs(25%) were collected. The mean density was 612±1,291 ind./m2 and mean biomass was 654.9±2018.1 g/m2. Molluscs were the most abundant faunal group in density(73.8%) and biomass(93.9%). The dominant species in abundance were Ruditapes philippinarum(59.4%), Musculista senhousia(8.8%), Ilyoplax deschampsi(4.2%), Praxillella affinis(2.5%), Pitar indecoroides(2.4%), Heteromastus filiformis(1.8%), Glycera chirori(1.7%), Chone sp.(1.7%) and Ampelisca sp.(1.1%). Ruditapes philippinarum, Musculista senhousia, and Ilyoplax deschampsi were distributed only in a specific station of inner bay. Most of the predominant species appeared mainly on the Muan-Hampyeong waters, but there were only a few in Haeje-Yeomsan waters. The number of species, abundance and biomass in the stations located in Haeje-Yeomsan waters were mostly lower than in Muan-Hampyeon waters stations. According to the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macrobenthos, the sorting valu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species and species richness index. Clay content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abundance, dominance index while silt content shows negative correlation with abundance, dominance index and biomass.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macrobenthic faunal composition showed that Hampyeong Bay could be divided into six station groups; staion group A appeared widely in Hmapyeong Bay, station group B distributed only in the innermost bay, station group C which showed dominant phenomenon due to the abundance of certain species, station group D located in mouth of Muan-Hampyeong waters, and Station E and F that were distributed in Haeje-Yeomsan Bay. The study showed that major species of each station group were affected by sediment composition, sorting value, depth, and interaction between macrobenthos.

      •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8종 분석연구 :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 중 국악가창분야 중심으로

        고옥순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8종 음악 교과서 국악가창을 중심으로 한 전통음악 교육의 내용을 조사 분석하여 새로운 전통음악 교육의 효율적인 지도방안을 모색하고 제1차 적인 문헌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 국민 기본 공통 교과 중의 음악 교과과정 및 현행 음악 교과서 8종의 전통음악 부분 중 고등학교 1학년(10학년)의 학생 필수중심 교육과정의 국악가창부분을 중심으로 연구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방안으로 우선 1954년 제1차 교육과정부터 현재의 제7차 교육과정까지 음악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의 변천 및 음악과 신·구 교육과정 등을 비교 연구하였으며 국악가창 활동 영역을 8종 음악교과서 별로 비교 분석하여 바람직한 국악가창교육의 효율적인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8종 교과서를 비교 분석 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가창 영역 중에서는 첫째, 전체 8종 교과서 활동영역부분 중 감상부분, 기악부분, 창작부분보다 가창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악 가창곡과 국악 가창곡을 비교한 결과 8종 교과서 중 국악 가창곡이 가장 높은 비율은 36%이고 가장 낮은 비율은 24%로 나타난다. 셋째, 국악부분 중 감상부분이 가창부분, 기악부분, 창작부분보다 대부분 높은 비율로 나타나고있으나 3종 교과서에서 가창부분이 높게 나타난다. 넷째, 8종 교과서에 실린 국악 가창영역의 내용을 민요, 시조 및 가곡, 판소리(창극) 및 단가, 창작노래, 기타(정악곡, 고려가요 등)와 같이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민요가 74%, 시조 및 가곡 8%, 판소리(창극) 및 단가 8%, 창작노래 5%, 기타 8%로 수록되어 있어 모든 교과서가 민요곡에 편중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민요는 경기도민요 20곡, 전라도민요가 13곡, 경상도민요 12곡, 제주도민요 11곡이 수록되어 경기도민요에 편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민요의 장단별 수록 현황은 굿거리 장단이 30곡으로 가장 많고 단모리 장단은 1곡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다. 그 외에 장단과 관련하여 민요곡의 박자를 분석한 결과 전 교과서가 비슷한 양상을 보이나 제7차 이전 교과서에는 홀박자가 많이 쓰였는데 제7차에서는 홀박자가 많이 줄어서 겹박자를 쓰고 있으며 특이한 점은 서양식 박자 표기에서 분모 부분의 숫자를 음표로 바꿔 표기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가곡과 시조, 판소리(창극) 및 단가, 창작노래 및 기타부분을 골고루 다룬 교과서는 2종 교과서이고 나머지 교과서는 다양하지 못한 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비교 분석 해 본 결과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 보면 첫째, 교과서에 수록된 민요에서 특정 지방 민요에만 편중된 경향을 보이고 있으므로 각 지방별 민요를 고루 수용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전통음악에는 다양한 장단이 있는데 몇몇 장단에 편중되어 있는 점도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학생들로 하여금 민요 외에 전통 가창곡들을 폭넓게 배우고 부를 수 있도록 국악 가창곡 선택의 다양성이 요구된다.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져야할 주제는 '전통음악 교육내용의 체계화'이다. 교육시켜야 할 전통음악 내용을 선정해서 다듬고 교과서라는 매체를 통하여 적절히 배열하는 것은 어쩌면 지도 방법을 체계화시키는 것 보다 더욱 시급한 일일 것이다. 그러나 지도의 내용과 방법은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에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nd out effective solutions to ho to instruct of Korea classical music educations through researching and analysing the contents of the field of singing in Korea classical music on the 8 high school musical textbooks and to make the best use of it as the first literature materials.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analyze the musical curriculum of a basic common course of the seventh curriculum and the field of singing of Korean classical music of the essential curriculum for first-year(10 school years) highschool students in current 8 musical textbooks, find problems and suggest solutions to it. As one of solutions, a comparative study on the objective and the change in content of the musical curriculum and the new and old curricula of music from the first curriculum of 1954 to the current seventh one was made. Also a comparative study on the field of singing of Korean classical music was made by 8 musical textbooks to find a direction of desirable singing instruction. Findings of the comparative study on 8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the field of singing accounted for the most compared to the fields of Listening to music, instrumental music and creation in the musical activities of 8textbooks. Second, the highest frequency of Korean classical songs accounted for36% and the lowest one accounted for 24%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Western songs and Korean classical songs in 8 textbooks. Third, mostly, the field of listening to music was more than the fields of singing, instrumental music and creation in Korean classical music, while the field of singing was the most in 3 textbooks. Fourth, as a result of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field of singing of Korean classical music in 8 textbooks into Minyo(folk song),Sijo(Korean poem) and Gagok(Korean song), Pansori(Korean classical opera) and Danga, creative song, and others(court music, Goryeo song etc.), Minyo accounted for 74%, Sijo and Gagok 8%, Pansori(Korean classical opera) and Danga 8%,creative song 5%, and others 8% - all the textbooks were oriented to Minyo. For Minyo, 20 songs were Gyenggido Minyo, 13s were Jeollado Minyo, 12 songs were Gyeongsangdo Minyo, and 11 songs were Jejudo Minyo - it was oriented to Gyeonggido Minyo. For the time of Minyo, Gutgeori was the most mentioned(in thirty songs) and Danmori was the least mentioned(in one song).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other times of Minyo, similar patterns were shown in the whole textbooks but double time was used many times instead of single time on the 7th curriculum, while single time was often used in the textbooks before(the 7th curriculum), and specially a number of demoninator in the Western indication of time was changed into a note. In addition, Gagok and Sijo, Pansori(Korean classical opera) and Danga, creative song and others were equally introduced in two textbooks but were not in the other textbooks.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study, solutions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Minyo mentioned in the textbooks was oriented to that of a special region, so Minyo shall be evenly introduced by regions. Second, there are diverse times in Korean classical music, so the orientation to several times shall be improved. Third, variation of selection of Korean classical songs is required to allow students to diversely learn and sing Korean classical songs except Minyo. A subject to be continuously researched is 'systemization of contents of the Korean classical musical education'. Selecting and embellishing the contents and arranging them properly through a medium of textbook may be a more urgent thing than systemizing how to instruct. Content and method of instruction, however, are in a complementary relation, so they shall be continuously researched under mutual connection.

      • 다문화사회전문가의 역할 적합성 탐색 및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고옥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 사회는 체류 외국인이 급격히 증가함으로써 우리나라도 이제 단일민족이 아닌 다양한 민족과 인종이 함께 사는 다문화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에 걸맞게 정부 부처는 여러 법이나 제도를 제정하거나 개정하여 오고 있다. 그 중 법무부는 체류 외국인이나 새롭게 한국 국적을 취득하고자 하는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국 사회의 조기 적응 및 정착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다.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국사회 이해’ 교육을 전개함으로써 다문화에 대한 이해의 확산을 통하여 미래에 다가올 다문화적 갈등상황에 대응방안을 위한 사회통합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이의 교육을 담당할 다문화사회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 그 예이다. 다문화사회전문가는 이러한 취지에 따라 양성되고 있으나 실제로 이와 더불어 이들이 현장에서 어떠한 역할을 할 것인지 다문화와 관련된 기관에서 이들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방안도 동시에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선 다문화 관련 사업의 운영기관 현황 및 실태와 각 부처별 다문화 사업내용을 살펴봄으로 다문화사회전문가 역할에 부합되거나 요구되는 부분이 있는지, 부처별로 적합한 다문화사회전문가 역할 및 활용방안은 무엇인지를 찾아보고자 했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사회전문가의 양성과정을 살펴보았다. 둘째, 다문화사회전문가의 전문적 역할을 살펴보았다. 셋째, 각 부처별 다문화사회전문가의 역할 적합성 및 활용 방안을 탐색했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존 선행연구와 각 중앙 부처 및 지자체의 관내 관련 기관의 간행물 및 홈페이지 자료 등의 문헌 정보를 조사․분석하였다. 지자체의 경우는 대전광역시를 예로 하여 기관별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기관 종사자에게 직접 전화 및 방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각 부처별로 살펴보면 법무부에서는 사회통합프로그램으로 다문화사회이해 교육, 결혼이민자를 위한 조기 적응 프로그램, 국제결혼프로그램 운영하고 있었으며, 교육부에서는 공교육진입을 위한 원스톱서비스 운영을 위한 전담 코디네이터가 전 과정을 지원하고 있었다. 여성가족부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운영과 다누리콜센터 운영, 보건복지부는 다문화가족 지원 사업, 지자체인 대전광역시청, 구청은 민원상담 창구이용을 통한 다문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역아동센터는 센터 시설을 활용하여 다양한 사회통합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관에서 다문화사회전문가의 부재 현상을 찾아볼 수 있었으며, 사업의 전문성, 지속성, 통합성의 부족한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사회전문가 활용에 대한 논리적 타당성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문화사회전문가가 양성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장에서 직접 그 역할을 다할 수 있는 여러 제도적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임을 주장하였다. 이 연구결과가 후속 연구를 위해 기여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At present, our society is rapidly transform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in which various ethnic groups and ethnic groups are living together instead of a single nation.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government departments have enacted or amended various laws and systems. Among them, the Ministry of Justice is organizing a program to support foreign residents and immigrants who want to acquire Korean nationality. Through the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for immigrants, a social integration program will be developed to cope with multicultural conflicts in the future through the spread of understanding about multiculturalism, and a multicultural social expert training program For example. Multicultural society experts are being cultivated according to this purpose, but in addition to thi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they will play a role in the field and how they can be utilized by institutions related to multiculturalism. Therefore,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status and status of the operating organization of multicultural projects and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projects by each department, and finds out whether there are any parts that are compatible with or demanded by the role of multicultural society experts.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looked at the process of cultivating the experts of multicultural society. Second, I examined the professional role of experts in multicultural society. Third, we examin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roles of multicultural social professionals and their utilization plans. As a research method, we analyzed and analyzed the information of the previous researches and the publications and homepage data of the related agencies i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case of local governments, Daejeon Metropolitan City was taken as an example and data were collected by direct telephone and visit to the employees of the organization operating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Ministry of Justice operated a multicultural society understanding education, an early adaptation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s, and an international marriage program as a social integration program.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a dedicated coordinator for one- .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operates a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nd operates the Da Nuri Call Center,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upports multicultural families,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Ward Office conduct multicultural projects through the use of counseling centers. The local children's center operated programs for diverse social integration by utilizing the center facilities. However, in most institutions, the absence of multicultural social workers was found, and the lack of professionalism, persistence and integration of the business was see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emphasized the logical validity of using multicultural social experts. This study suggests that multicultural social experts should not only be trained, but also institutional systems should be prepared to fulfill their role directly in the field. We hope that thes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further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